KR200292235Y1 - 난연성 단열판넬 - Google Patents

난연성 단열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2235Y1
KR200292235Y1 KR2020020021198U KR20020021198U KR200292235Y1 KR 200292235 Y1 KR200292235 Y1 KR 200292235Y1 KR 2020020021198 U KR2020020021198 U KR 2020020021198U KR 20020021198 U KR20020021198 U KR 20020021198U KR 200292235 Y1 KR200292235 Y1 KR 2002922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weight
parts
insulation panel
fl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11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우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우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우산업
Priority to KR20200200211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22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22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2235Y1/ko

Links

Landscapes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단열 시공을 위한 난연성 단열판넬에 관한 것으로서, 난연성 및 기계적 강도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해함이 적고 친환경적인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를 이용한 난연성 단열판넬에 관한 것이다.
내부판(1), 외부판(3) 및 상기 내부판(1)과 외부판(3) 사이에 위치하는 내부단열재(2)로 이루어지는 단열 판넬에 있어서, 본 고안의 내부단열재(2)는 폴리올(polyol)과 이소시아네이트(isocyanuate : MDI)의 당량비가 1:2.0~4.0이 되도록 조절된 혼합물과, 상기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 10~35중량부, 삼량화촉매 또는 삼차아민촉매 0.5~5 중량부, 인계난연제 또는 브롬계난연제 20~45중량부로 구성되는 발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단열 판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단열재로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를 사용함으로써, 강도가 높아서 외부충격에 의하여 변형 또는 변질이 되지 않을 뿐만아니라, 내열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어, 화재시 건축물의 연소 및 화재의 빠른 진행을 방지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게 하는 우수한 작용 효과를 가진다.
또한, 통상의 비난연성 판넬과 구별하기 위하여 내부 단열재에 안료를 첨가하여 단열 판넬을 제작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난연성 단열 판넬 {FLAME RESISTANT INSULATING PANEL}
본 고안은 난연성 단열 판넬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판(1), 외부판(3) 및 상기 내부판(1)과 외부판(3) 사이에 위치하는 내부단열재(2)로 이루어지는 단열 판넬에 있어서, 상기 내부 단열재(2)는 난연성과 물성이 우수한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polyisocyanurate foams : PIR foams)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단열판넬 (modified polyisocyanruate panel) 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냉동창고, 산업건축물, 파이프, 단열주택, 콘테이너박스 및 선박 내부 등을 비롯하여 각종 건축물의 단열 시공을 위한 재료로 사용되는 난연성 단열 판넬에 관한 것이다.
내부 단열재로 사용되는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는 일반적으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을 발포제, 촉매, 정포제 및 기타 첨가제류의 존재하에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종래에는 변성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로 형성된 난연재를 금속판 등으로 형성된 표면재 사이에 충전시킨 단열재가 있었으나, 이는 일반적으로 가교밀도는 높지만,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로 되는 단열재는 부서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국 특허공보 제(소)46-4591호에는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을 발포제의 존재하에 삼량화 촉매와 카보디이미드화 촉매를 이용하여 되는 단열재로 사용되는 변성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의 제조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278,365호에는 폴리머릭 MDI와 테레프탈산에 프로필렌 산화물과 에틸렌 산화물을 부가하여 얻은 폴리올을 혼합한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폼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최근에 개정된 건축법시행령 제61조 규정에 의거하여 일정규모 이상의 다중이용시설, 공동주택 및 생활권수련시설, 자연수련시설등의 벽, 천장, 복도, 계단등의 마감재료를 불연, 준불연 또는 난연재료로 하도록 개정됨으로써, 이전에는 내부마감재료에 한하여 실시되는 불연성능시험(KS F 2271)을 폴리우레탄, 스티로폼 샌드위치 판넬 등에 대하여서도 적용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인체에 유해함이 적고, 친환경적인 판넬의 필요성이 급증하고 있다.
기존의 폴리우레탄 판넬(polyurethane panel)은 폴리올 혼합체(polyol premixture) 와 이소시아네이트(isocyanuate : MDI)의 당량비가 1:1에서 1:1.5 범위에서 사용되었다. 하지만, 본 고안자는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끊임없는 연구를 거듭한 결과,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당량비가 1:2.0에서 1:4.0이 되도록 이소시아네이트를 과량으로 투입하고, 난연제 및 삼량화촉매등을 첨가하여 제조되는 난연성 및 물성이 우수한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polyisocyanurate) 발포체를 이용한 판넬을 고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난연성 단열 판넬은 초저온하에서도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가 고유하게 가지는 우수한 단열성을 유지하면서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 등 우수한 강도를 나타내며, 특히 뛰어난 난연성 및 접착성을 나타내는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가 내부 단열재로 사용되는 난연성 단열 판넬을 제공함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고안에 따른 난연성 단열 판넬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내부판 2. 내부단열재
3. 외부판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판(1), 외부판(3) 및 상기 내부판(1)과 외부판(3) 사이에 위치하는 내부단열재(2)로 이루어지는 난연성 단열 판넬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단열재(2)의 구성은 폴리올(polyol)과 이소시아네이트(isocyanuate : MDI)의 당량비가 1:2.0~4.0이 되도록 조절된 혼합물과, 상기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 10~35중량부, 삼량화촉매 또는 삼차아민촉매 0.5~5 중량부, 인계난연제 또는 브롬계난연제 20~45중량부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내부판 및 외부판은 아연 철판, 알루미늄판, 착색 아연철판, 칼라 알루미늄 아연 합금 도금강판, 스텐레스 강판, 티탄강판 등이 있다. 강판의 두께는 숙련된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것이고, 판넬의 용도에 따라 다양하겠지만, 0.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내부단열재의 구성성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내부 단열재의 구성성분 중의 하나인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지방족계, 방향족계 및 이들의 혼합물 등 어떠한 형태의 것이라도 좋지만, 우레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4,4',4-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2,4,6-톨릴렌트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트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올 성분의 반응비율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과 폴리올의 당량비가 1:2.0 내지 1:4.0이어야 한다. 당량비가 1:2.0이라는 것은 NCO%(index)가 200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NCO%가 낮을수록 접착력 및 압축강도는 일정범위까지 증가하지만,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 특유의 난연성이 감소되고, NCO%가 높을수록 PIR 합성이 높아져 발포체가 부서지기 쉬우며, 저온치수 안정성이 저하되고, 접착력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당량비를 1:2.0 내지 1:4.0으로 조절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로서는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피마자유 등과같이 한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가진 지방족계, 당계, 방향족계 또는 이들의 혼합계 등의 혼합물 및 폴리우레탄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을 포함한다.
폴리에테르 폴리올은 보다 구체적으로,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6-헥사디올, 글리세린 등의 알콜류, 비스페놀 A등의 비스페놀류, 아민류, 폴리카르복실산 등의 활성수소함유 화합물에 알킬렌 옥사이드를 부가한 구조의 화합물이 있다.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보다 구체적으로, 다가 알콜과 카르복시산을 반응시켜 수득되는 축합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등이 있다.
폴리우레탄은 우레탄 결합 이외에도 우레아계(urea), 비울렛트계(biuret), 알로파네이트계(allophanate), 에테르계(ether) 및 에스테르계(ester) 등이 있다.
폴리에스테르계는 프로필렌글리콜과 에틸렌글리콜을 아디프산과 반응시켜 폴리에스테르를 만들고, 양단에 OH기를 가진 것을 디이소시안산으로 우레탄화시킨 것등이 있고, 폴리에스테르계는 폴리에테르의 양 끝에 OH기를 톨루일렌디이소시안산과 반응시켜 폴리우레탄으로 제조한 것 등이 있다.
상기 난연제는 인계(non-halogen type), 할로겐계(halogen type) 및 무기질계 등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계난연제, 브롬계 난연제 또는 그 혼합물이 적절하다.
특히, 인화합물을 포함하는 인계 난연제가 인체에 유해함이 적고, 환경 친화성이 우수하며 난연효율이 높기 때문에 인계 난연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계 난연제는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의 경우 인계 화합물이 탄화수율을 늘려주기 때문에 가연 물질이 연소 가능한 상태의 기체로 변환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무기 인계 난연제는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 암모늄 포스페이트, 암모늄 폴리 포스페이트 등이 있고, 유기 인계 난연제는 멜라민 포스페이트, 디멜라민 포스페이트, 트리에틸렌 포스페이트 등이 있고, 할로겐 포스페이트에는 브롬 포스페이트 등이 있다. 다른 난연제에 비하여, 인계 난연제는 대개 무해하거나 약간의 독성만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브롬계(brominated based) 난연제는 트리브로머 네오펜틸알콜, 디브
로머 네오펜틸 글리콜, 데카브로머 디페닐옥사이드, 펜타 브로머 디페닐 옥사이드 등이 있으며, 특히 액상 브로메이티드(brominated)가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사용되는 난연제 총량은 폴리올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혼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인 경우에는 난연제 첨가에 의한 난연효과가 미미하고, 50 중량부 이상인 경우에는 난연제 첨가에 의한 가속된 난연 효과를 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난연제의 독성 때문에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하고, 접착력, 탈형성, 흐름성 및 가공성 등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폴리올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혼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인계난연제, 브롬계 난연제, 또는 인계난연제와 브롬계난연제의 혼합물 20~45중량부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 삼량화 촉매는 하이드록시 알킬 암모늄화합물, 1,3,5-트리스(N,N-디메틸아미노프로필)-S-트리아진, 2,4,6-트리스(디메틸 아미노메틸)페놀 등의 아민,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 알칼리 금속염 등이 있다.
또한, 삼차아민촉매는 디메틸사이클로헥실아민(DMCHA), 디메틸에탄올 아 민(DMEA), 펜타메틸디에틸렌트리아민(PMDETA), 테트라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TMHMDA) 등이 있다.
촉매는 삼량화 제1차 및 제2차 반응을 조절하며,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의 생산성, 가공성, PIR 합성(conversion)에 영향을 주며, 특히 삼량화촉매와 삼차아민촉매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삼차아민촉매, 삼량화 촉매 또는 삼차아민촉매와 삼량화촉매의 혼합물의 총 중량은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혼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5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삼량화 반응의 속도가 늦어지는 문제가 있고, 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촉매 첨가에 따른 반응속도의 가속된 효과를 볼 수 없으며, 원가부담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0.5~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제는 플루오르 탄소계 발포제인 트리클로로모노플루오르메탄 또는 디클로로모노플루오르에탄 등이 있다. 발포제는 밀도에 영향을 주며 밀도는 KMS 3809 규정에 따라 성형밀도가 35kg/m3이상 이어야 한다. 사용하는 발포제의 총량은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혼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 이하인 경우에는 발포가 잘 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40중량부 이상인 경우에는 두께변형율, 압축강도 등 발포체의 물성에 악영향을 끼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10~35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에 색상을 부가하기 위한 첨가물로써, 코발트 블루, 세릴리언 블루 등과 같은 청색계열의 안료 또는 에메랄드 그린, 산화 크롬(Oxide of Chromium), 크롬그린, 그린 어스(Green Earth) 등과 같은 그린색 계열의 안료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안료 분말과 비용제타입의 유기화합물이 혼합하여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의 착색에 사용될 수 있다. 필요한 착색제 혼합물의 량은 숙련된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것이지만, 전체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가 적당할 것이다.
또한, 상기 물은 상기 구성 요소들을 골고루 혼합할 수 있는 용매의 작용을 하며,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 100중량%에 대하여 최소한 0.5중량부가 필요하다. 물의 함량이 3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혼합물의 점도가 낮아져 발포체로 성형하는데 문제가 있기 때문에, 0.5~2.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인 난연성 단열 판낼은, 상기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를 내부판(1) 및 내부판(3) 사이에 내부단열재(2)로서 사용하여 접착 및 압축 함으로써 제조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난연성 단열판넬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난연성 단열 판넬은 내부판(1), 외부판(3) 및 내부판(1) 및 외부판(3) 사이에 위치하는 내부단열재(2)를 포함하고 있으며, 내부단열재는 상기한 발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난연성 단열판넬의 내부단열재의 주요 구성성분인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의 대표적인 구조는 하기 화학식 1과 같다.
화학식 1.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의 구조식
상기 구조에서 자유 NCO기와 OH기를 완전 반응 시켰을 때, 자유 NCO기는 OH와 결합하거나, 삼합체 반응(Trimerization)을 일으켜 각각 반응에 참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조는 R그룹과 R'그룹이 갖고 있는 고리 구조와 삼량체(Trimer)구조가 탄(char)을 형성하여 난연성을 주고, R'그룹의 에스터기(ester group)가 발포체의 부서지기 쉬운 성질(friability)을 감소시켜 접착력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내부단열재(2)인 발포체의 주요성분인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의 형성 메카니즘을 하기 반응식1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반응식 1. 이소시아누레이트 형성 메카니즘
이하, 본 고안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고안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권리 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하기 도 1 (가)와 같이, 두께 0.5mm의 아연도금 강판을 내부판(1) 및 외부판(3)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한다. 내부단열재와의 접착력을 좋게 하기 위해 상기 아연도금 강판을 약 50℃로 예비 가열한 후, 상기 내부판(1)과 외부판(3) 사이에 이하의 조성을 가지는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혼합물을 주입하고, 발포시킴으로써 본 고안인 난연성 단열 판넬은 제조된다.
상기 내부단열재(2)은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50g 및 폴리에테르 50g , 폴리이소시아네이트 220g, 발포제로써 트리클로로모노플루오르메탄 20 g, 삼량화촉매로써 암모늄염 3.5g 및 삼차아민촉매 0.9 g, 물 2.2g, 인계 난연제로써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 30g 및 브롬계난연제로써 트리브로머 네오펜틸알콜 10g 을 발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단열재이다.
(실시예 2)
내부판(1), 외부판(3)의 형상을 하기 도 1 (나)와 같이 한 것과 내부단열재를 이하와 같이 구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다.
상기 내부단열재(2)은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70g 및 폴리에테르 폴리올 30g, 폴리이소시아네이트 205g, 발포제로써 트리클로로모노플루오르메탄 22g, 삼량화촉매로써 하이드록시 알킬 암모늄화합물 4g, 삼차아민촉매로써 디메틸사이클로헥실아민 1.2g, 물 2.0g, 인계 난연제로써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 30g 및 브롬계난연제로써 데카브로머 디페닐옥사이드 10g을 발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단열재이다.
(실시예 3)
상기 내부단열재인 발포체의 그린 색상을 현출하기 위한 첨가물로써, 에메랄드 그린 20g을 더 첨가하여 내부 단열재를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난연성 단열 판넬을 제작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의 판넬의 난연성은 KS F 2271-1998에 의거하여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판넬을 220mm×220mm×25mm 의 크기로 실시예 2와 같이 제작하고, 이를 항온기(40℃)에서 24시간 및 데시케이터에서 24시간 동안 양생시키고, 한쪽면을 주열원인 1.5kw의 전열기와 부열원인 프로판가스(350cc/min)으로 6분동안 가열시킨결과 그 결과치는 하기 표 1과 같으며, 한국 방재시험연구원으로부터 난연3급 적합판정을 받았다.
상기한 실시예 2의 판넬을 항온기(40℃)에 24시간 및 데시케이터에서 24시간 동안 양생시키고, 한쪽 면을 주열원인 1.5kW의 전열기와 부열원인 프로판가스(350cc/min)으로 6분동안 가열한 후 발생한 가스를 생후 5주된 ICR계의 암컷쥐(체중18~22g)에게 1차 3L/min, 2차 25L/min 만큼 흡입 시킨 결과 그 실험치는 표 2와 같다.
표 1. 표면시험결과
시 험 명 표 면 시 험 판정기준
시험체 번 호 1 2 3 공 란
크 기(mm) 220×220 220×220 220×220
두 께(mm) 25.0 25.0 25.0
중 량(g) 846.8 825.7 827.9
시험후감량(g) 6.2 7.1 7.4
배기온도및 연기 3분이내표준온도곡선초과 유무 초과하지 않을 것
온도×시간면적(℃ ×분) 0 0 0 350 이하
단위면적당발연계수(CA) 0 0 0 120 이하
잔염시간(초) 13 25 27 30 미만
균 열 폭(mm) 0 0 0 두께×1/10미만
방화상 유해한 변형 등 없음 없음 없음 없을 것
판 정 적합 적합 적합 -
(시험처: 방제시험연구원 시험방법: KS F 2271-1998기준)
단위면적당 발연계수라 함은 배기가스를 광학측정장치에 통과시켰을 때의 상대적인 계기의 수치를 의미한다.
표 2. 가스유해성시험
시 험 명 가스유해성시험 판정기준
시험체 번 호 1 2 공란
크 기(mm) 220×220 220×220
두 께(mm) 25.0 25.0
중 량(g) 830.9 830.6
시험후 감량(g) 10.2 5.8
마 우 스 혈통,성별 IRC, 암컷 IRC, 암컷
평균중량 20.8 20.4
시험상자온도(℃) 초 기 32.4 33.8
최 고 33.8 33.8
마우스행동정지시간 15분 00초 14분 46초 9분 이상
판 정 적합 적합 -
(시험처: 방제시험연구원 시험방법: KS F 2271-1998기준)
표 3. 내부단열재인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의 물성
실시예 1 실시예 2
압축강도(kg/cm2) 1.6 1.8
독립기포율 92% 91%
열전도율(kal/m·hr·℃) 0.01 0.015
두께 변형율 1.5% 1.6%
접착강도저하 14% 12%
상기, 압축강도는 발포 방향에 대하여 수직 또는 수평으로 발포체 높이의 10%를 압축하여 강도를 측정한 것이다. 압축강도 = 압축힘/단면적 이며 ASTM D-1621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독립기포율(closed sell content)은 단위체적당 닫힌 셀(closed cell)의 비율을 뜻하며 ASTM D-2856 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열전도율(thermal conductivity)은 ASTM D-1621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접착강도저하율은 기존의 폴리우레판 발포체와의 접착강도 저하에 대한 본 고안인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의 접착강도 저하의 값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난연성 단열 판넬은, 그 내부 단열재로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를 사용함으로써, 내부단열재의 강도가 높아서 외부충격에 의하여 변형 또는 변질 되지 않을 뿐만아니라, 난연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화재시 건축물의 연소 및 화재의 빠른 진행을 방지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게 하고, 인체에 유해함이 적고, 환경친화적인 우수한 효과가 있어 다중이용시설 및 공동주택등 건축물에 적합한 우수한 난연성 단열 판넬이다.
또한, 본 고안인 난연성 단열 판넬의 내부단열재인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는 두께 변형율 2%이내에서 연속생산이 가능하고, 접착강도의 저하가 기존의 폴리우레탄 발포체에 비하여 15% 만큼 적은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내부판(1), 외부판(3) 및 상기 내부판(1)과 외부판(3) 사이에 위치하는 내부단열재(2)로 이루어지는 단열 판넬에 있어서,
    상기 내부단열재(2)는 폴리올(polyol)과 이소시아네이트(isocyanuate : MDI)의 당량비가 1:2.0~4.0이 되도록 조절된 혼합물과, 상기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 10~35중량부, 삼량화촉매 또는 삼차아민촉매 0.5~5 중량부, 인계난연제 또는 브롬계난연제 20~45중량부로 구성되는 발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단열 판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계난연제는 트리에틸렌인산염(triethylene phosphate : TE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단열 판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단열재(2)는 색상이 현출 되도록 안료를 포함하는 발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단열 판넬.
KR2020020021198U 2002-07-15 2002-07-15 난연성 단열판넬 KR2002922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198U KR200292235Y1 (ko) 2002-07-15 2002-07-15 난연성 단열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198U KR200292235Y1 (ko) 2002-07-15 2002-07-15 난연성 단열판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1379A Division KR100370470B1 (en) 2002-07-15 2002-07-15 Flame retardant insulating pan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2235Y1 true KR200292235Y1 (ko) 2002-10-18

Family

ID=73126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198U KR200292235Y1 (ko) 2002-07-15 2002-07-15 난연성 단열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223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92937B1 (en) Rigid foams suitable for wall insulation
CN109476805B (zh) 聚氨酯泡沫形成组合物、使用这种组合物制备低密度泡沫的方法及由此形成的泡沫
EP1090056B1 (en) Hydrocarbon blown rigid polyurethane foams having improved flammability performance
US9074039B2 (en) Polyurethane foam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making same
EP2288648B1 (en) Process for preparing ridig polyisocyanurate foams using natural-oil polyols
EP1115771B1 (en) Rigid polyurethane foam and heat insulating construction element comprising the same
US4292353A (en) Urethane modified polyisocyanurate foam surfaced with aluminum foil or sheet
MX2015003863A (es) Espumas rigidas de poliuretano y poliisocianurato adeucados para aislamiento de techos.
US8003708B2 (en) Process for making rigid polyurethane foams
KR20080045228A (ko)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경질 발포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83509B1 (ko) 고난연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US3989651A (en) Catalyst for sprayable polyisocyanurate foam composition
KR102065299B1 (ko) 준불연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US4094869A (en) Thermally stable, rigid, cellular isocyanurate polyurethane foams
CN113015757A (zh) 不燃性聚氨酯泡沫用发泡性组合物
CN106459335B (zh) 用于制造含聚异氰脲酸酯泡沫体的异氰酸酯三聚催化剂
EP0397378B1 (en) Hydrochlorofluorocarbon blown rigid polyurethane foams and their preparation
US11674010B2 (en) Flame-retardant polyurethane foam
US20010003758A1 (en) Rigid isocyanurate-modified polyurethane foams
CN115073695B (zh) 一种用于集装箱模块化建筑保温的喷涂型环保聚氨酯泡沫
US10533067B2 (en) Polyether polyol compositions and polyurethane foams formed therefrom
US5026737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urethane-modified polyisocyanurate foam
KR200292235Y1 (ko) 난연성 단열판넬
JP2003089714A (ja) 硬質ポリイソシアヌレートフォーム用組成物及び硬質ポリイソシアヌレートフォームの製造方法
KR101729205B1 (ko) 개질된 폴리에스터 폴리올과 이것을 포함한 난연성 우레탄폼보드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