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1807Y1 - 플래시라이트로 사용 가능한 완구형 전화기 - Google Patents

플래시라이트로 사용 가능한 완구형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807Y1
KR200291807Y1 KR2020020018714U KR20020018714U KR200291807Y1 KR 200291807 Y1 KR200291807 Y1 KR 200291807Y1 KR 2020020018714 U KR2020020018714 U KR 2020020018714U KR 20020018714 U KR20020018714 U KR 20020018714U KR 200291807 Y1 KR200291807 Y1 KR 2002918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toy
keypad
phone
fron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87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태기평
Original Assignee
태기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기평 filed Critical 태기평
Priority to KR20200200187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18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8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807Y1/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화기 몸체의 전면 상부에 램프를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음성, 음향이 출력되는 완구형 전화기로 사용하다가 필요시에 램프를 점등시켜 플래시라이트로 사용할 수 있는 플래시라이트로 사용 가능한 완구형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전면 하부에 키패드부(2)가 있고 그 상부에 램프(3)가 설치된 휴대폰 형태의 전화기 몸체(1)와, 상기 키패드부(2)와 램프(3)의 사이 선택된 곳에 설치된 램프 온/오프 S/W(4)와, 상기 램프 온/오프 S/W(4)를 작동시키는 전면커버(5) 및 상기 키패드부(2)의 기능버튼 입력에 의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되고 램프(3)의 점/소등을 제어하는 제어부(1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플래시라이트로 사용 가능한 완구형 전화기{Telephone toy for using flash light}
본 고안은 완구형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화기 몸체의 전면 상부에 램프를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음성, 음향이 출력되는 완구형 전화기로 사용하다가 필요시에 램프를 점등시켜 플래시라이트로 사용할 수 있는 플래시라이트로 사용 가능한 완구형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키패드부에 구비된 기능버튼을 눌러주면 특정한 음성이나 음향을 출력하여유아, 소아들에게 흥미를 주어서 감각을 발전시키며 대화를 통하여 언어습득을 촉진하기 위한 완구로서 휴대용 전화기형태의 완구가 인기를 끌고 있다. 상기 전화기 완구는 주로 음성이나 음향을 출력하기 때문에 언어학습에 도움을 주고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 완구에 부가기능을 추가함으로서 완구의 제품가치를 높일 필요성이 있다. 즉 완구로서 뿐만 아니라 생활에 필요한 제품으로서의 기능을 더 추가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화기 몸체의 전면에 램프를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음성, 음향이 출력되는 완구형 전화기로 사용하다가 필요시에 램프를 점등시켜 플래시라이트로 사용할 수 있는 플래시라이트로 사용 가능한 완구형 전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완구형 전화기의 외관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완구형 전화기의 블록회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완구형 전화기의 작동상태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키패드부 3 : 램프
4 : 램프 온/오프 S/W 5 : 전면커버
10 : 제어부 13 : 램프 온/오프제어부
본 고안의 플래시라이트로 사용 가능한 완구형 전화기는 전면 하부에 키패드부가 있고 그 상부에 램프가 설치된 휴대폰 형태의 전화기 몸체와, 상기 키패드부와 램프의 사이 선택된 곳에 설치된 램프 온/오프 S/W와, 상기 램프 온/오프 S/W를 작동시키는 전면커버 및 상기 키패드부의 기능버튼 입력에 의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되고 램프의 점/소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전화기의 외관사시도로서, 전화기 몸체(1)의 전면하부에는 다수의 기능명령의 입력을 위한 다수의 기능버튼(2a)이 구비된 키패드부(2)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램프(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화기 몸체(1)의 전면 중앙에는 램프(3)를 점등 소등시키는 램프 온/오프 S/W(4)가 설치되어 있되, 상기 전화기 몸체(1)의 전면에는 슬라이딩 방법으로 이동되면서 램프 온/오프 S/W(4)를 작동시키는 전면커버(5)가 설치되어 있고, 그 전면커버(5)의 표면에는 그림이나 상표, 로고등을 부착시킬 수 있는 라벨표시창(6)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전면커버(5)는 램프(3)가 점등된 상태에서는 하부로 이동되어 램프(3)를 개방시키고 키패드부(2)를 폐쇄시키며, 램프(3)가 소등된 상태에서는 램프(3)를 폐쇄시키고 키패드부(2)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램프(3)는 플래시라이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구로서 소아 또는 유아가 전면커버(5)를 하부로 내리면 램프 온/오프 S/W(4)가 작동되어 점등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유아 또는 소아의 장난감 전화기로 이용하다가 플래시라이트로 사용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플래시라이트로 사용 가능한 완구형 전화기의 블록회로도로서, 키패드부(2)와, 제어부(10)와, 메모리부(11)와, DAC(12)와, 증폭부(15)와, 스피커(16)와, 전원부(14)와, 램프 온/오프 제어부(13)와, 램프(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키패드부(2)는 다수의 기능버튼을 구비하고 특정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의 입력을 위한 것이다. 장난감 전화기의 임의의 기능버튼을 눌러주면 음향,음악, 또는 대화내용이 출력된다.
제어부(10)는 키패드부(2)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신호를 판독하고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즉, 램프(3)의 점등 명령이 램프 온/오프 S/W(4)를 통하여 입력되면 램프(3)를 온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명령을 수행한다.
또한 음악이나 음성출력에 대한 명령이 입력되면 메모리부(11)에 저장되어 있는 음향발생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음악이나 음향을 출력한다. 메모리부(11)로부터 제어부(10)에 의하여 독출된 데이터는 DAC(12)로 전송되어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된 후에 출력된다.
아날로그형태의 출력신호는 증폭부(15)에 의하여 충분한 크기의 신호로 증폭된 후에 출력된다. 출력신호는 최종적으로 스피커(16)를 작동시켜서 유아 또는 소아가 청취하게 된다.
미설명부호 14는 본 고안의 완구형 전화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로서, 통상의 건전지(AA4 사이즈 등)를 이용하여 필요한 동작전원을 제공하는 것이다.
램프 온/오프 제어부(13)는 플래시라이트로서 사용되는 램프(3)를 온/오프 제어하는 것으로서 램프(3)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스위치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위칭작용은 릴레이(RY)를 이용하거나 또는 트랜지스터의 스위칭기능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램프 온/오프 제어부(13)는 전면커버(5)의 위치에 따라서 제어부(10)로부터 온상태신호가 입력되면 작동상태를 유지하다가 오프상태신호가 입력되면 작동을 중지함으로서 전원공급을 차단한다. 상기 온/오프 제어명령의 입력은 전면커버(5)에 의해서 작동되는 램프 온/오프 S/W(4)를 통하여 입력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도 4의 흐름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아, 소아, 또는 성인 등의 사용자에 의하여 전면커버(5)가 하부로 이동되어 램프(3)의 전면이 개방될 경우에는 램프 온/오프 S/W(4)가 작동되어 램프 온/오프 제어부(13)를 이용하여 램프(3)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므로 상기 램프(3)가 점등되므로 사용자는 전화기 몸체(1)를 플래시라이트와 같이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5)가 상부로 이동되어 램프(3)의 전면이 닫혀지게 되면 램프(3)는 소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면커버(5)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기능버튼(2a)을 이용한 신호입력이 검출되면 제어부(10)는 검출된 신호를 판독한다. 판독결과에 따라서 제어부(10)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는 DAC(12)에서 아나로그 형태로 변환된 후 증폭부(15)에서 증폭되어 스피커(16)를 통하여 출력되는 것으로서, 각 기능버튼(2a)에 따라서 다양한 음성이나 음향이 출력됨은 주지의 사실이며, 이러한 음성이나 음향의 출력은 언어학습에 도움을 주게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은 소아 또는 유아들에 의하여 실행되어져서 비상등 기능 및 흥미유발효과를 거둘 수 있음은 명백하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전화기 몸체의 전면에 램프를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음성, 음향이 출력되는 완구형 전화기로 사용하다가 필요시에 램프를 점등시켜 플래시라이트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2)

  1. 전면 하부에 키패드부(2)가 있고 그 상부에 램프(3)가 설치된 휴대폰 형태의 전화기 몸체(1)와, 상기 키패드부(2)와 램프(3)의 사이 선택된 곳에 설치된 램프 온/오프 S/W(4)와, 상기 램프 온/오프 S/W(4)를 작동시키는 전면커버(5) 및 상기 키패드부(2)의 기능버튼 입력에 의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되고 램프(3)의 점/소등을 제어하는 제어부(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라이트로 사용 가능한 완구형 전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5)는 램프(3)가 점등된 상태에서는 하부로 이동되어 램프(3)를 개방시키고 키패드부(2)를 폐쇄시키며, 램프(3)가 소등된 상태에서는 램프(3)를 폐쇄시키고 키패드부(2)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전화기 몸체(1)의 전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라이트로 사용 가능한 완구형 전화기.
KR2020020018714U 2002-06-20 2002-06-20 플래시라이트로 사용 가능한 완구형 전화기 KR2002918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714U KR200291807Y1 (ko) 2002-06-20 2002-06-20 플래시라이트로 사용 가능한 완구형 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714U KR200291807Y1 (ko) 2002-06-20 2002-06-20 플래시라이트로 사용 가능한 완구형 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1807Y1 true KR200291807Y1 (ko) 2002-10-11

Family

ID=73076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714U KR200291807Y1 (ko) 2002-06-20 2002-06-20 플래시라이트로 사용 가능한 완구형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180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6950A (en) Speaking toy employing chordic input
CA2345083C (en) Toy telephone having phone number teaching system
US8137149B2 (en) Interactive doll
CN102128382A (zh) 一种声控的会讲故事的台灯
KR200291807Y1 (ko) 플래시라이트로 사용 가능한 완구형 전화기
JP3074434U (ja) 携帯電話機用ハンズフリー装置を備えた玩具
CN206183970U (zh) 一种播放装置及其控制电路
JP6192753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H0730069Y2 (ja) 玩具のスイッチ機構
KR200187642Y1 (ko) 작동완구
CN202822759U (zh) 一种智能玩具猫
KR101685626B1 (ko) 블루투스 인형
CN219588879U (zh) 一种智能语音壁灯
WO2023286675A1 (ja) 音出力玩具
CN210891155U (zh) 一种台灯
KR100691992B1 (ko) 아기 음성에 따라 음원을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음원 출력 방법
CN208940209U (zh) 一种音箱
KR200213741Y1 (ko) 대화 시스템을 이용한 거울
KR100252667B1 (ko) 발성 및 변성 기능을 갖는 인형
KR101155778B1 (ko) 조명기능이 구비된 산업용 스피커
KR940002975Y1 (ko) 더블데크 음향기기의 발음교정용 녹음회로
CN203232837U (zh) 一种改进的智能终端设备键盘
KR930000837Y1 (ko) 음성 합성을 이용한 문자 습득기
KR200213037Y1 (ko) 방향기능을 구비한 폴더형 녹음장치
JP2017517858A (ja) ハンドヘルド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