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1992B1 - 아기 음성에 따라 음원을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음원 출력 방법 - Google Patents

아기 음성에 따라 음원을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음원 출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1992B1
KR100691992B1 KR1020050037259A KR20050037259A KR100691992B1 KR 100691992 B1 KR100691992 B1 KR 100691992B1 KR 1020050037259 A KR1020050037259 A KR 1020050037259A KR 20050037259 A KR20050037259 A KR 20050037259A KR 100691992 B1 KR100691992 B1 KR 100691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baby
sound source
output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7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5000A (ko
Inventor
박정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7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1992B1/ko
Publication of KR20060115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5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1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1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3Structure or support of upper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기 음성에 따라 음원을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음원 출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인식된 아기 음성을 저장부에 저장된 아기 음성과 비교/분석하여 그에 해당하는 음원을 출력함으로써 아기의 상황에 적절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아기 음성에 따라 음원을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아기 음성 및 음원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와, 음성 인식부로부터 인식된 음성과 저장부에 저장된 아기 음성을 비교 분석하는 비교/분석부와, 비교/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아기 음성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을 출력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음성 인식부, 음원, 아기 음성, 보호자 심장 박동소리

Description

아기 음성에 따라 음원을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음원 출력 방법{MOBILE TERMINAL OUTPUTTING VOICE SOURCE DEPENDING ON BABY VOICE AND VOICE SOURCE OUTPUT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기 음성에 따라 음원을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기 음성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원을 출력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무선 송/수신부 20 : 저장부
21 : 아기 음성 데이터베이스 23 : 보호자 음성 데이터베이스
25 : 보호자 심장 박동소리 데이터베이스
27 : 엠피쓰리 파일 데이터베이스 30 : 음성 인식부
40 : 비교/분석부 50 : 제어부
60 : 키 입력부 70 : 음원 입력부
80 : 음원 출력부 90 : 발광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기 음성을 감지하여 그에 대응되는 음원을 출력하는 아기 음성에 따라 음원을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음원 출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가 간편하고 신속한 정보전달이 가능함으로써 현재 다량보급되고 있는 개인용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수십가지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아기가 좋아하는 음악이나 자장가를 저장하였다가 아기 울음소리가 감지되면 저장된 음악을 출력하는 기능이 제공되고 있으나, 아기의 음성에 반응하여 그에 상응하는 음원을 출력하거나 또는 제어하는 기능이 구비되지 않아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아기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소지할 경우, 키패드가 눌려져 예상치 못했던 통신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아기의 놀이감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이 미비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로 감지되는 아기 음성에 따라 저장된 해당 음원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아기 음성에 따라 음원을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음원 출력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아기 음성에 따라 음원을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아기 음성 및 음원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와, 음성 인식부로부터 인식된 음성과 저장부에 저장된 아기 음성을 비교 분석하는 비교/분석부와, 비교/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아기 음성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을 출력하고, 분석된 아기 음성이 울음소리일 경우, 통화 수신 모드를 발광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저장부는 아기 음성 DB, 보호자 음성 DB, 보호자 심장박동 소리 DB, 음악 파일 D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음성 인식부는 아기의 울음소리 또는 특정 단어 중 어느 하나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는 분석된 아기 음성이 특정 단어일 경우, 통화 잠금 기능을 설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아기 음성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원 출력 방법은, 음성을 인식하는 단계와, 인식된 음성과 미리 저장된 아기 음성을 비교 분석하는 단계, 분석된 아기 음성에 따라 저장된 음원을 출력하는 단계 및 분석된 아기 음성이 울음소리일 경우, 통화 수신 모드를 발광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분석된 아기 음성이 특정 단어일 경우, 통화 잠금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음성을 인식하는 단계는 아기의 울음소리 또는 특정 단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분석된 아기 음성에 따라 저장된 음원을 출력하는 단계는 보호자의 심장 박동소리, 보호자의 목소리, 음악 파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기 음성에 따라 음원을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음원 출력 방법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기 음성에 따라 음원을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기 음성에 따라 음원을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송수신부(10), 저장부(20), 음성 인식부(30), 비교/분석부(40), 제어부(50), 키 입력부(60), 음원 입력부(70), 음원 출력부(80), 발광부(90)로 구성된다.
먼저, 무선 송수신부(10)는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음성, 영상 또는 데이터 신호를 송, 수신한다.
저장부(2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프로그램 수행 중에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20)는 아기 음성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1), 보호자 음성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3), 보호자의 심장 박동소리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5), 아기가 선호하는 음악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음원 입력부(70)를 통한 사용자 설정에 의해 녹음 저장된다.
음성 인식부(30)는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는 음성 인식 센서로 아기의 울음소리 또는 특정 단어를 인식한다.
이 때, 특정 단어는 옹알이나 현재 아기가 발음할 수 있는 단어로 음원 입력부(70)를 통해 미리 저장부(20)에 저장되어 있는 단어이다.
비교/분석부(40)는 음성 인식부로(30)부터 인식된 아기의 음성과 저장부(2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아기의 음성을 비교하여, 입력된 아기의 음성이 울음소리인가 또는 특정 단어인가를 분석하여 제어부에 제공한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중앙 제어부(50)인 MCU(Micro Control Unit)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비교/분석부(40)에 의해 분석된 아기 음성에 따라 저장부(20)에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보호자의 음성, 보호자의 심장 박동소리, 엠피쓰리 파일을 선택하여 재생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50)는 비교/분석부(40)에 의해 분석된 아기의 음성 소리가 특정 단어일 경우, 통화 잠금 기능을 자동으로 설정하고, 분석된 아기의 음성 소리가 울음 소리일 경우, 통화 수신모드를 발광 모드로 자동 전환한다.
키 입력부(60)는 사용자가 소정 키를 누를 때 해당되는 키 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50)로 출력한다.
음원 입력부(70)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마이크 폰 연결구(도시하지 않음)에 마이크 폰을 연결하여 아기의 음성, 보호자의 음성 및 심장 박동소리를 입력 받고, 음원 출력부(80)는 제어부(5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음원 입력부(70)로부터 입력되어 저장된 보호자의 음성, 보호자의 심장 박동소리 또는 아기가 선호하는 음 악을 출력한다.
발광부(90)는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의해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발광램프를 작동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원 출력 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원 출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기 음성에 따라 대응되는 음원을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원 출력 방법은, 음성을 인식하는 단계와, 인식된 음성과 저장된 아기 음성을 비교 분석하는 단계 및 분석된 아기 음성에 따라 저장된 음원을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 일측에 구비된 음원 입력부(70)인 연결구에 마이크 폰을 연결하여 아기의 음성과 보호자의 음성, 보호자의 심장 박동소리 등의 음원을 저장부(20)의 각 데이터베이스에 입력 저장한다(S120). 이 때, 저장부(20)의 아기 음성 데이터베이스(21)에 저장되는 아기의 음성은 아기의 울음소리, 옹알이, 현재 아기가 발음할 수 있는 특정 단어들이다.
또한, 사용자는 아기의 울음소리나 특정 단어의 저장시 아기의 각 음성에 대응하는 보호자의 음성, 보호자의 심장 박동소리 또는 음악 파일을 저장한다.
이 후, 음성 인식부(30)에 아기의 음성이 인식되면(S110), 비교/분석부(40)는 인식된 아기의 음성이 울음소리인가를 저장부(20)의 아기 음성 데이터베이스(21)에 저장된 음성과 비교/분석하여 판단한다(S120).
비교/분석부(40)의 판단에 의해 인식된 아기의 음성이 울음소리이면 제어부(5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수신 모드를 발광모드로 자동 전환하고(S130), 아기의 울음소리에 대응하여 저장부(20)에 저장된 해당 음원을 음원 출력부(80)로 출력한다(S150). 이 때, 음원 출력부(80)로 출력되는 음원은 보호자의 음성이나 아기가 선호하는 음악, 자장가 등이 될 수 있다.
계속해서, 음원이 출력되고 소정시간 경과 후, 아기의 음성이 인식되는가를 판단한다(S160).
판단결과, 아기의 음성이 인식되면, 인식된 아기의 음성이 울음소리인가를 판단하고(S170), 울음소리일 경우, 음원의 출력을 중지하고(S180)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통화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S190).
반면, S120에서 음성 인식부(30)에 인식된 아기 음성이 비교/분석부(40)에 의해 옹알이나 특정 단어로 판단되면, 제어부(50)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통화 자동 잠금 기능을 설정한다(S140).
그런 다음, 인식된 아기 음성의 옹알이나 특정 단어에 대응하는 보호자의 음성, 보호자의 심장 박동소리 또는 음악 파일을 재생시켜 음원 출력부(80)로 출력한다(S150).
그런 다음, 전술한 바와 같이, 음원이 출력되고 소정시간 경과 후, 아기의 음성이 인식되는가를 판단한다(S160).
판단 결과, 아기의 음성이 인식되면, 인식된 아기의 음성이 울음소리인가를 판단하여(S170), 울음소리가 아닌 경우, S150 단계로 복귀한다.
반면에, 소정시간 경과 후, 아기의 음성이 인식되지 않으면 음원의 출력을 중지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대기모드로 전환한다(S190).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음성 인식부에 아기의 음성이 입력되면, 입력된 아기의 음성을 저장부에 저장된 음성과 비교하여 아기의 상태를 분석하고, 그에 해당하는 음원을 출력함으로써 아기의 울음에 대응하여 달래줄 있다. 또한, 아기의 음성에 대응하는 보호자의 음성이나 음악을 들려줌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를 장난감으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을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위와 같이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에 미리 저장된 아기 음성과 음성 인식부를 통해 입력되는 아기 음성을 비교 분석하여 해당 음원을 출력함으로써 아기의 울음 소리나 음성에 신속하게 반응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아기 음성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기능을 자동으로 잠금 설정 함으로써 아기로부터 잘못된 키입력 신호에 의해 통신 요금이 부과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기의 장남감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아기 음성 및 음원을 저장하는 저장부;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
    상기 음성 인식부로부터 인식된 음성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아기 음성을 비교 분석하는 비교/분석부; 및
    상기 비교/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아기 음성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을 출력하고, 상기 비교/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아기 음성이 울음소리일 경우, 통화 수신 모드를 발광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아기 음성에 따라 음원을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아기 음성 DB, 보호자 음성 DB, 보호자 심장박동 소리 DB, 음악 파일 D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음성에 따라 음원을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부는
    아기의 울음소리 또는 특정 단어 중 어느 하나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음성에 따라 음원을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분석된 아기 음성이 특정 단어일 경우, 통화 잠금 기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음성에 따라 음원을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삭제
  6. 음성을 인식하는 단계;
    인식된 음성과 미리 저장된 아기 음성을 비교 분석하는 단계;
    분석된 아기 음성에 따라 저장된 음원을 출력하는 단계; 및
    분석된 아기 음성이 울음소리일 경우, 통화 수신 모드를 발광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기 음성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원 출력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분석된 아기 음성이 특정 단어일 경우, 통화 잠금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음성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원 출력 방법.
  8. 삭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을 인식하는 단계는
    아기의 울음소리 또는 특정 단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음성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원 출력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된 아기 음성에 따라 저장된 음원을 출력하는 단계는,
    보호자의 심장 박동소리, 보호자의 목소리, 음악 파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음성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원 출력 방법.
KR1020050037259A 2005-05-03 2005-05-03 아기 음성에 따라 음원을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음원 출력 방법 KR100691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259A KR100691992B1 (ko) 2005-05-03 2005-05-03 아기 음성에 따라 음원을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음원 출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259A KR100691992B1 (ko) 2005-05-03 2005-05-03 아기 음성에 따라 음원을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음원 출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5000A KR20060115000A (ko) 2006-11-08
KR100691992B1 true KR100691992B1 (ko) 2007-03-09

Family

ID=37652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7259A KR100691992B1 (ko) 2005-05-03 2005-05-03 아기 음성에 따라 음원을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음원 출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19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55342B2 (en) 2013-06-05 2019-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ound event detecting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55342B2 (en) 2013-06-05 2019-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ound event detecting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5000A (ko) 200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6733A (en) Voice-controlled operator-interacting radio transceiver
US9509269B1 (en) Ambient sound responsive media player
CA2180392C (en) User selectable multiple threshold criteria for voice recognition
KR20010020875A (ko) 음성 제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40122071A1 (en) Method and System for Voice Recognition Employing Multiple Voice-Recognition Techniques
US20060235701A1 (en) Activity-based control of a set of electronic devices
JP2001022372A (ja) 発話を使用した機械間の通信方法および装置
JP2001042895A (ja) 音声制御デバイスを識別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5263181A (en) Remote transmitter for triggering a voice-operated radio
JP2001308970A (ja) 携帯電話の音声認識操作方法及びシステム
KR20010020876A (ko) 음성 제어 디바이스의 활성화를 강화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20010020874A (ko) 표준 음성 유저 인터페이스 및 음성 제어 디바이스용 방법및 장치
KR100691992B1 (ko) 아기 음성에 따라 음원을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음원 출력 방법
JP3683502B2 (ja) リモコン装置
CN108735212A (zh) 语音控制方法及装置
CN111512364B (zh) 智能音箱、多语音助手控制方法以及智能家居系统
KR20060089493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성인식 리모콘을 이용하기 위한장치 및 방법
US2023022301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4189107B2 (ja) 携帯電話装置
JPH11308309A (ja) 携帯端末
KR20000067091A (ko) 휴대폰의 음성인식 조작 방법 및 시스템
US2009014406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verbal feedback messages in head-worn electronic devices
KR10104282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부팅 알람 모드 변경을 위한 장치 및방법
KR10067811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악 파일 재생 방법
KR100400560B1 (ko) 휴대 단말기의 수신 통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