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1511Y1 - 개폐식 콘센트 - Google Patents

개폐식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511Y1
KR200291511Y1 KR2020020021172U KR20020021172U KR200291511Y1 KR 200291511 Y1 KR200291511 Y1 KR 200291511Y1 KR 2020020021172 U KR2020020021172 U KR 2020020021172U KR 20020021172 U KR20020021172 U KR 20020021172U KR 200291511 Y1 KR200291511 Y1 KR 2002915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outlet
casing
closing plate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11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경석
Original Assignee
오경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경석 filed Critical 오경석
Priority to KR20200200211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15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5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511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센트를 개폐식으로 설계를 하여 평소 전면에서 보면 막혀 있는 콘센트처럼 보이고 사용시에만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공이 하방으로 노출되고 그와 같이 노출된 플러그 삽입공 내로 전기 플러그를 하방에서 상방으로 꽂아넣을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디자인면에서나 인테리어적으로 우수함은 물론이고 안전사고 예방에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한 개폐식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전면에 개구(3)가 형성되고, 벽체(7) 속으로 매설될 수 있는 후방 돌출 플랜지(8)를 갖는 케이싱(2)과; 상기 케이싱의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단부가 상기 케이싱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배면에 소켓(6)이 장착될 수 있는 브래킷(5)이 일체로 형성된 개폐판(4)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2)의 개구는 콘센트의 비사용 시에는 상기 개구 내에 개폐판을 정합시킴으로써 폐쇄될 수 있고, 콘센트의 사용 시에는 상기 개폐판을 잡아당겨 회동시킴으로써 소켓의 플러그 삽입공을 하방으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개방될 수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개폐식 콘센트{OPENABLE AND CLOSABLE CONCENT}
본 고안은 개폐식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센트를 개폐식으로 설계해서 콘센트의 사용시에만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공이 하방으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디자인이나 인테리어적으로 우수함은 물론이고 어린이 전기안전사고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개폐식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시중에 유통되어 사용되고 있는 전기선, 전화선, 안테나선, 전용선 등의 전기 코드의 플러그를 꽂기 위한 매입형 콘센트의 구조와 디자인 등은 획일화되어 실정이다. 이에 따라, 인테리어가 중요하게 작용하는 최고급 빌딩이나 호텔 등에서도 여전히 일반적인 디자인의 콘센트를 사용하고 있어 디자인면에서나 인테리어적으로 우수하지 못하다.
또한, 일반 가정에서는 어린이들이 호기심으로 인해 젓가락이나 금속봉 등을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공으로 꽂아넣으려는 일이 종종 발생하며, 이로 인해 감전이나 누전 또는 합선 등의 어린이 전기안전사고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그에 대한 대비책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그러나, 이와 같이 어린이 안전 사고를 방지하여야 하는 곳에서도 여전히 일반적인 디자인의 콘센트를 사용하고 있어 어린이 안전 사고에 대한 대비가 충분치 못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 실정을 감안해서 창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콘센트를 개폐식으로 설계를 하여 평소 전면에서 보면 막혀 있는 콘센트처럼 보이고 사용시에만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공이 하방으로 노출되고 그와 같이 노출된 플러그 삽입공 내로 전기 플러그를 하방에서 상방으로 꽂아넣을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디자인면에서나 인테리어적으로 우수함은 물론이고 안전사고 예방에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한 개폐식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개폐식 콘센트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개폐식 콘센트를 벽체에 설치하고 덮개판을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개폐식 콘센트를 벽체에 설치하고 덮개판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센트 2 : 케이싱
3 : 개구 4 : 개폐판
5 : 브래킷 6 : 소켓
7 : 벽체 8 : 플랜지
9 : 힌지 핀 10 : 단차부
11 : 손잡이부 12 : 걸림턱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개폐식 콘센트는 전면에 개구가 형성되고, 벽체 속으로 매설될 수 있는 후방 돌출 플랜지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단부가 상기 케이싱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배면에 소켓이 장착될 수 있는 브래킷이 일체로 형성된 개폐판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의 개구는 콘센트의 비사용 시에는 상기 개구 내에 개폐판을 정합시킴으로써 폐쇄될 수 있고, 콘센트의 사용 시에는 상기 개폐판을 잡아당겨 회동시킴으로써 소켓의 플러그 삽입공을 하방으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개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개폐식 콘센트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개폐식 콘센트를 벽체에 설치하고 덮개판을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개폐식 콘센트를 벽체에 설치하고 덮개판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먼저, 본 고안의 개폐식 콘센트(1)는 크게, 정면에 개구(3)가 형성된 케이싱(2)과, 이 케이싱(2)의 개구(3)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판(4)과, 이 개폐판(4)의 배면에 일체로 형성된 브래킷(5) 상에 장착되는 소켓(6)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케이싱(2)의 정면에는 대략 직사각형의 개구(3)가 형성되고, 케이싱(2)의 주연부에는 콘센트(1)의 벽체(7)로의 설치 시에 벽체(7)에 매설될 후방 돌출 플랜지(8)가 형성된다. 또한, 케이싱(2)의 개구(3)의 상단 근방의 케이싱(2)에는 힌지 핀(9)이 제공된다.
상기 힌지 핀(9)의 제공과 관련해서, 개폐판(4)의 상단 근방에는 케이싱(2)의 힌지 핀(9)이 삽입되는 힌지 삽입공(비도시)이 제공되며, 이로써 개폐판(4)은 케이싱(2)의 힌지 핀(9)을 중심으로 해서 상하로 회동 가능하다. 또, 개폐판(4)의 하단부에는 대략 개폐판(4)의 두께만큼 정면으로 돌출한 단차부(10)가 형성되고, 이 단차부(10)에 의해 개폐판(4)의 폐쇄 시에 개폐판(4)의 정면은 케이싱(2)의 정면과 동일 평면 상에 있게 된다. 또, 상기 단차부(10)로부터는 손잡이부(11)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는 이 손잡이부(11)를 정면으로 당기거나 벽체(7) 쪽으로 밀므로써 개폐판(4)을 개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판(4)의 배면 하단 근방에는 개폐판(4)과 일체로 형성되고, 개폐판(4)의 배면으로부터 대략 수평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브래킷(5)이 제공된다. 이 브래킷(5)의 자유 단부에는 대략 90도보다 작은 각도로 하방으로 절곡된 걸림턱(12)이 제공되며, 이 걸림턱(12)은 개폐판(4)의 개방 시에 개구(3)의 하단부 근방 위치에서 케이싱(2)의 내측면에 걸리게 됨으로써, 개폐판(4)이 완전히 개방되지 않고 소정 각도 범위에 걸쳐서만 개방될 수 있도록 개폐판(4)의 개방 각도를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브래킷(5) 상에는 소켓(6)이 장착되고, 또 브래킷(5) 자체에는 소켓(6)의 플러그 삽입공(비도시)과 일치되는 위치에 관통 구멍(비도시)이 형성되며, 또한 브래킷(5)의 하면에는 마찬가지로 상기 브래킷(5)에 형성된 관통 구멍과 일치되는 위치에 관통 구멍(비도시)이 형성된 받침판(13)이 제공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전기 기구의 전기 플러그는 상기 받침판(13) 및 브래킷(5)의 관통 구멍을 통해 소켓(6)의 플러그 삽입공 내로 삽입됨으로써, 전원과 접속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개폐식 콘센트(1)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개폐식 콘센트(1)는 평상시, 즉 전기 기구의 미사용시에는 개폐판(4)이 케이싱(2)의 개구(3)를 완전히 폐쇄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개폐판(4)의 브래킷(5) 상에 장착된 소켓(6)의 플러그 삽입공은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개폐식 콘센트(1)는 전기 기구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개폐판(4)의 하단부에 마련된 손잡이부(11)를 잡아당겨 개폐판(4)이 힌지 핀(9)을 중심으로 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게 함으로써 상기 소켓(6)의 플러그 삽입공은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이때, 개폐판(4)은 전술한 바와 같이 브래킷(5)의 선단부에 형성된 걸림턱(12)에 의해 그 회동 범위가 소정 각도로 제한된다. 이로써, 소켓(6)의 플러그 삽입공은 하방으로만 노출되게 된다. 그 결과, 전기 기구의 전기 플러그는 하방에서 상방으로 상기 플러그 삽입공 내로 삽입됨으로써 전원에 접속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환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 전술한 구성의 본 고안의 개폐식 콘센트에 따르면, 전기 기구를 사용하지 않는동안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공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어린이 전기 안전 사고를 예방은 물론이고 디자인면에서나 인테리어적으로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콘센트 전면에 안전 마크 또는 전압이나 사용 용도 등을 표기할 수 있고 기업에서는 각종 캐릭터 등의 디자인을 할 수 있어 인테리어적인 측면에서도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Claims (2)

  1. 전면에 개구(3)가 형성되고, 벽체(7) 속으로 매설될 수 있는 후방 돌출 플랜지(8)를 갖는 케이싱(2)과; 상기 케이싱의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단부가 상기 케이싱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배면에 소켓(6)이 장착될 수 있는 브래킷(5)이 일체로 형성된 개폐판(4)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2)의 개구는 콘센트의 비사용 시에는 상기 개구 내에 개폐판을 정합시킴으로써 폐쇄될 수 있고, 콘센트의 사용 시에는 상기 개폐판을 잡아당겨 회동시킴으로써 소켓의 플러그 삽입공을 하방으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개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콘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21)의 자유 단부에는 상기 개구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개폐판(4)이 회동될 때 상기 케이싱(2)의 전면 하방에서 전기 기구의 플러그를 브래킷(5) 상에 장착된 소켓(6)에 꽂을 수 있을 정도의 회동 범위 내로 상기 개폐판(4)의 회동을 구속하는 걸림턱(1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콘센트.
KR2020020021172U 2002-07-15 2002-07-15 개폐식 콘센트 KR2002915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172U KR200291511Y1 (ko) 2002-07-15 2002-07-15 개폐식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172U KR200291511Y1 (ko) 2002-07-15 2002-07-15 개폐식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1511Y1 true KR200291511Y1 (ko) 2002-10-09

Family

ID=73126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172U KR200291511Y1 (ko) 2002-07-15 2002-07-15 개폐식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151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3531A (en) Weatherproof outlet cover
US5317108A (en) Weather-resistant electrical outlet cover assembly
US6835890B2 (en) Water resistant electrical box
US7462777B2 (en) Dual hinge recess weatherproof electrical box assembly
CA2280218A1 (en) Weatherproof outlet cover
US8088999B1 (en) Electrical plug stabilizing cover
CA2592830C (en) Universal recessed while-in-use box and cover
KR100611573B1 (ko) 방수 콘센트
KR200291511Y1 (ko) 개폐식 콘센트
KR102072141B1 (ko) 차량용 파워 아울렛
KR200218451Y1 (ko) 테이블 부설용 출몰식 다기능 콘센트
KR101894146B1 (ko) 콘센트 안전 커버
CN210350709U (zh) 一种可徒手安装的接线盒
JP2012094326A (ja) コンセント
JP2002027630A (ja) 配線器具用防滴プレート
JP3684693B2 (ja) 回路遮断器の外部操作ハンドル装置
KR102344847B1 (ko) 매립형 콘센트
KR101180129B1 (ko) 공동주택용 매입형 안전 콘센트
JP3551659B2 (ja) テーブルタップ用防滴カバー
US20020182936A1 (en) Multi-outlet adapter with safety cover
CN217903541U (zh) 弹起式排插
JPH0637582Y2 (ja) 電線接続装置
CN219180825U (zh) 一种防水隐藏式多功能插座
CN214957518U (zh) 固定式安装防水插座
JP2008109738A (ja) フロアコンセント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