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4847B1 - 매립형 콘센트 - Google Patents

매립형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4847B1
KR102344847B1 KR1020200052644A KR20200052644A KR102344847B1 KR 102344847 B1 KR102344847 B1 KR 102344847B1 KR 1020200052644 A KR1020200052644 A KR 1020200052644A KR 20200052644 A KR20200052644 A KR 20200052644A KR 102344847 B1 KR102344847 B1 KR 102344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mounting
hole
case
cover
mounting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2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3700A (ko
Inventor
이근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웰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웰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웰바스
Priority to KR1020200052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4847B1/ko
Publication of KR20210133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3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4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4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하우징과, 전방케이스와, 케이스커버 및 폐쇄캡을 포함하는 매립형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통과공을 가로막도록 이루어진 상기 폐쇄캡이 전방케이스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통과공을 가로막거나 혹은,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해당 폐쇄캡의 분실을 방지하면서도 동작 불량이 방지될 수 있고, 또한 파손 위험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매립형 콘센트{concealed type concent}
본 발명은 벽면에 매립 설치되면서 대기전력 차단모듈의 개방된 상측 부위를 폐쇄하도록 폐쇄캡이 구비된 매립형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전기 배선과 코드의 접속에 쓰이는 기구로써, 플러그를 끼워 전기를 통하게 만들어진 장치이다.
이와 같은 콘센트는 벽면형 콘센트와, 휴대형 콘센트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벽면형 콘센트는 실내의 벽면에 매립 설치되면서 옥내 배선에 연결되도록 이루어진 콘센트이며, 플러그가 삽입되는 부위는 상기 실내의 벽면으로부터 노출되게 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멀티탭과 같은 휴대형 콘센트의 경우 해당 휴대용 콘센트 전체 혹은, 각 플러그 삽입부마다 스위치를 설치함으로써 대기 전력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지는 반면, 상기 벽면형 콘센트는 이러한 대기 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구조가 없었다.
즉, 종래에는 벽면형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분리하여야만 대기 전력의 손실을 줄일 수 있었던 것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벽면형 콘센트에 접속된 전자 기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전자 기기에서 소모되는 대기 전력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이를 차단하는 대기전력 차단용 콘센트가 제공됨으로써 대기 전력의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1068081호(선행기술 1), 등록특허 제10-1732507호(선행기술 2), 등록특허 제10-1912896호(선행기술 3) 등에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다.
상기한 대기전력 차단용 벽면형 콘센트는 복수의 플러그홈이 형성된 전방케이스와, 상기 각 플러그홈 중 적어도 어느 한 플러그홈에 구비되는 대기전력 차단모듈과, 상기 전방케이스의 전면 중 플러그홈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를 덮는 케이스커버 및 각종 회로부품이 설치되는 몸체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대기전력 차단용 벽면형 콘센트는 벽면 내에 매립된 전원선을 상기 몸체하우징에 연결한 다음 해당 벽면에 고정된 고정브라켓에 상기 몸체하우징을 체결 고정하며, 계속해서 전방케이스의 전면에 케이스커버를 덮어 결합함으로써 해당 벽면에 매립 설치된다.
상기 몸체하우징과 고정브라켓은 나사를 이용하여 서로 체결 결합하며, 상기 전방케이스에는 상기 몸체하우징과 고정브라켓 간의 나사 체결을 위한 작업공구(예컨대, 드라이버 등)가 통과되도록 통과공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통과공은 전방케이스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위치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모듈은 전방케이스에 케이스커버를 결합하여 덮더라도 선행기술 1과 같이 통과공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미관의 불만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대기전력 차단모듈의 통과공을 가로막는 폐쇄캡(선행기술 2의 링데코 및 선행기술 3의 커버캡 참조)이 제공됨으로써 상기 통과공의 노출로 인한 미관상 불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전술된 바와 같이 선행기술 2의 폐쇄캡(링데코)은 케이스커버나 전방케이스와는 별개로 제공되기 때문에 보관의 어려움으로 잦은 분실이 있었다.
특히, 전방케이스에 케이스커버를 결합한 후 상기 전방케이스의 통과공에 억지로 결합함에 따른 파손의 위험이 항상 존재하였고, 차후 전방케이스의 유지 보수를 위해 케이스커버를 전방케이스로부터 분리할 경우 상기 폐쇄캡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아 파손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물론, 선행기술 3의 경우 폐쇄캡(커버캡)이 전방케이스에 결합된 상태로 제공되면서 필요시(나사 체결 혹은, 분리 작업시) 해당 폐쇄캡을 전방케이스의 통과공이 형성된 부위로부터 좌우 슬라이딩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이를 통해 폐쇄캡의 분실 방지 및 작업 용이성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전술된 선행기술 3의 폐쇄캡(커버캡)은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 전방케이스의 대기전력 차단모듈이 설치된 부위에 좌우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홀이 형성되고, 상기 폐쇄캡에는 상기 슬라이딩홀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기 슬라이딩홀로부터 분리됨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탭과 하부연장탭이 상기 폐쇄캡에 각각 형성되어야 함과 더불어 상기 전방케이스에는 상기 가이드탭이 걸릴 수 있도록 오목가이드홈이 형성되어야 하는 등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할 수밖에 없다는 제조상의 어려움이 있다.
이와 함께, 상기 폐쇄캡의 가이드탭을 상기 오목가이드홈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하부연장탭의 파손 혹은, 가이드탭의 파손이 발생될 우려가 컸다.
뿐만 아니라, 폐쇄캡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서는 슬라이딩홀과 오목가이드홈과 하부연장탭 및 가이드탭의 가공 정밀도가 항상 일정하게 관리되어야만 한다는 제조상의 어려움이 있다.
즉, 상기 슬라이딩홀의 폭을 과도히 크게 형성하거나 성형 오차로 인해 슬라이딩홀의 폭이 과도히 크게 형성될 경우에는 폐쇄캡의 가이드탭이 오목가이드홈으로부터 쉽게 탈거될 우려가 있을 뿐 아니라 폐쇄캡이 정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일부 이탈하는 경우가 많아 케이스커버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으며, 반대로 슬라이딩홀의 폭이 좁게 형성될 경우나 오목가이드홈이 정확히 수평 방향을 따라 형성되지 못할 경우에는 동작성이 좋지 못하여 조작의 불편함 및 파손 우려가 클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전술된 선행기술 3의 경우 폐쇄캡이 그 동작성을 위해 슬라이딩홀에 헐겁게 결합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케이스커버의 결합 도중 발생되는 작은 흔들림이나 기울어짐으로도 정위치를 벗어나면서 상기 케이스커버의 결합을 방해하였고, 작업공구를 이용한 나사 체결시에도 상기 폐쇄캡이 원치않게 통과공을 가로막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이로써 케이스커버의 결합 작업이 불편하게 진행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선행기술 3은 폐쇄캡이 통과공을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일부를 가로막도록 위치되기 때문에 나사를 해당 통과공에 통과시키는 작업에서의 불편함이 여전히 존재할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068081호 등록특허 제10-1732507호 등록특허 제10-1912896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통과공을 가로막기 위한 폐쇄캡의 조립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항상 원활히 동작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전방케이스에 케이스커버를 결합할 때 상기 폐쇄캡이 설정된 위치에 놓인 상태를 정확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폐쇄캡 구조가 적용된 매립형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매립형 콘센트에 따르면 후방으로 함몰되면서 플러그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러그홈 및 대기전력 차단모듈의 선단 일부가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 장착단이 각각 형성되고, 벽면 내의 매립 부위에 나사 체결하도록 관통된 복수의 통과공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각 통과공 중 적어도 어느 한 통과공은 모듈 장착단의 어느 한 둘레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전방케이스; 상기 전방케이스의 전면을 덮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상기 플러그홈 및 모듈 장착단의 노출을 위한 노출공이 각각 형성된 케이스커버; 상기 케이스커버를 전방케이스의 전면에 결합할 경우 상기 케이스커버의 노출공으로 상기 모듈 장착단의 둘레를 관통하는 통과공이 노출됨을 방지하도록 가로막는 폐쇄캡;을 포함하며, 상기 폐쇄캡은 그 일단이 상기 전방케이스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노출공과 통과공 간의 개방 부위를 가로막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방케이스에 형성된 모듈 장착단의 둘레 중 상기 통과공이 관통되는 부위 및 이 통과공의 둘레측 부위에는 상기 폐쇄캡이 수용된 상태로 회전되도록 전방케이스의 전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된 수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폐쇄캡은 상기 전방케이스의 수용홈 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와, 상기 노출공으로 통과공이 노출되는 부위를 가로막는 덮개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폐쇄캡의 힌지는 상기 전방케이스의 모듈 장착단 상면에 비해 더욱 상측에 위치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덮개단이 그 자중에 의해 상기 모듈 장착단의 상측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듈 장착단의 둘레면 중 상기 덮개단이 밀착되는 부위에는 삽입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덮개단에는 상기 삽입 돌출부가 수용되도록 장착홈이 요입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매립형 콘센트는 폐쇄캡을 슬라이딩 이동 방식이 아닌 회전 방식으로 동작되도록 개선함에 따라 통과공을 완전히 개방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통과공으로 나사를 통과시키는 도중 상기 나사가 폐쇄캡에 걸리는 등의 간섭은 발생되지 않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매립형 콘센트는 전방케이스에 수용홈 및 힌지공만 형성하면 되기 때문에 슬라이딩 방식의 폐쇄캡 구조에 비해 그 구조가 극히 단순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폐쇄캡에 대한 결합 구조의 단순화로 인해 전방케이스의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폐쇄캡의 조립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고, 폐쇄캡의 조립시 폐쇄캡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으며, 동작성의 향상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매립형 콘센트는 폐쇄캡이 자중에 의해 모듈 장착단의 상면에 얹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전방케이스에 케이스커버를 결합하는 도중 상기 폐쇄캡이 정위치를 벗어나지 않고 항상 정위치로 유지될 수 있고, 이로써 조립이 손쉽게 수행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매립형 콘센트는 폐쇄캡이 90°를 초과하는 각도에 이르기까지 세위질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폐쇄캡을 회전시킨 상태에서 해당 폐쇄캡을 손으로 붙잡지 않더라도 원치않게 역회전됨이 방지되며, 이로써 나사 체결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콘센트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콘센트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콘센트를 설명하기 위해 케이스커버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전방케이스의 정면측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콘센트를 설명하기 위해 몸체하우징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전방케이스의 배면측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콘센트의 전방케이스에 폐쇄캡이 통과공을 가로막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도 5의 “A”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콘센트의 전방케이스에 폐쇄캡이 통과공을 개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도 7의 “B”부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콘센트의 체결브라켓과 고정브라켓 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콘센트의 폐쇄캡과 삽입돌출부 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콘센트의 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매립형 콘센트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콘센트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콘센트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콘센트를 설명하기 위해 케이스커버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전방케이스의 정면측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콘센트를 설명하기 위해 몸체하우징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전방케이스의 배면측 사시도이다.
또한,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콘센트의 전방케이스에 폐쇄캡이 통과공을 가로막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콘센트의 전방케이스에 폐쇄캡이 통과공을 개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콘센트는 크게 몸체하우징(100)과, 전방케이스(200)와, 케이스커버(300) 및 폐쇄캡(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통과공을 가로막도록 이루어진 상기 폐쇄캡(400)이 전방케이스(20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통과공을 가로막거나 혹은,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해당 폐쇄캡(400)의 분실을 방지하면서도 동작 불량이 방지될 수 있고, 또한 파손 위험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몸체하우징(100)은 각종 회로부품(도시는 생략됨)이 고정 설치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몸체하우징(100)은 전면이 개방되면서 내부가 빈 통체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하우징(100) 내에 상기 회로부품이 고정 설치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회로부품은 대기전력 차단모듈 및 접지단자가 포함된다.
상기 대기전력 차단모듈은 상기 접지단자에 연결된 플러그를 갖는 전자 기기에서 소모되는 대기 전력을 자동으로 감지한 후 이를 자동으로 차단하도록 이루어진 회로모듈이다.
또한, 상기 몸체하우징(100)에는 실내 벽면 내의 매립 부위(매립형 콘센트가 매립 설치되는 벽면)에 나사로 체결 고정되는 체결브라켓(11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체결브라켓(11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면서 상기 몸체하우징(100)의 배면과 상면 및 저면을 감싸도록 다단 절곡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체결브라켓(110)의 양 끝단은 몸체하우징(100)의 상부 및 하부로 노출되도록 외향 절곡되게 형성됨과 더불어 이러한 체결브라켓(110)의 양 끝단에는 체결공(111)이 각각 형성되면서 벽면 내에 고정된 고정브라켓(도시는 생략됨)과 나사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전방케이스(200)는 매립형 콘센트의 전방측 몸체를 이루는 부위이다.
이러한 전방케이스(200)는 상기 몸체하우징(100)의 전방에 결합 고정되며, 전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러그홈(210)이 형성된다.
상기 플러그홈(210)은 전자 기기의 플러그가 삽입 결합되는 홈이며, 상기 전방케이스(200)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전방케이스(200)의 전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 장착단(220)이 형성된다.
상기 모듈 장착단(220)은 대기전력 차단모듈의 선단 일부가 장착되는 부위이며, 상기 전방케이스(200)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면서 내측 부위를 갖는 원형의 리브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모듈 장착단(220)의 내측 부위는 대기전력 차단모듈의 전면을 형성하면서 각종 조작 버튼이 노출됨과 더불어 각종 이미지(혹은, 문자)가 인쇄되도록 형성된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모듈 장착단(220)은 내측 부위가 개방된 원통형의 리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의 경우 상기 대기전력 차단모듈의 선단은 상기 모듈 장착단(220)의 내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플러그홈(210)과 모듈 장착단(220)은 상기 전방케이스(200)의 전면에 상하로 배치된다. 예컨대,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 장착단(220)은 전방케이스(200)의 전면 중 상측 부위에 배치되고, 상기 플러그홈(210)은 상기 모듈 장착단(220)의 직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플러그홈(210)이 전방케이스(200)의 전면 중 상측 부위에 배치되고 모듈 장착단(220)은 상기 플러그홈(210)의 직하방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방케이스(200)에는 복수의 통과공(231,232)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통과공(231)은 몸체하우징(100)의 체결브라켓(110)과 벽면 내에 고정된 고정브라켓(10) 간의 나사 체결시 나사 및 작업공구(예컨대, 드라이버 등)가 통과되도록 형성된 구멍이다.
이러한 통과공(231,232)은 상기 체결브라켓(110)의 양 끝단 위치와 일치되게 각각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모듈 장착단(220)의 중앙측 상단을 관통하는 상측 통과공(231) 및 플러그홈(210)의 중앙측 하단을 관통하는 하측 통과공(232)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모듈 장착단(220)은 원형의 둘레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측 통과공(231)은 상기 모듈 장착단(220)의 상측 둘레벽 일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방케이스(200)와 몸체하우징(100)은 서로 나사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전방케이스(200)의 배면과 상기 몸체하우징(100)의 전면 간 밀착 부위에는 나사 체결을 위한 체결리브(101,201)가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전방케이스(200)의 전면 네 모서리 부위(혹은, 둘레측 부위)에는 걸림공(240)이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공(240)에는 케이스커버(300)의 배면에 형성되는 걸림후크(도시는 생략됨)가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스커버(300)는 매립형 콘센트의 전면을 형성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케이스커버(300)는 전방케이스(200)의 전면을 덮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커버(300)의 배면에는 걸림후크(도시는 생략됨)가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전방케이스(200)의 전면에 형성된 각 걸림공(240)에 걸려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케이스커버(300)에는 상기 전방케이스(200)의 플러그홈(210) 및 모듈 장착단(220)의 노출을 위한 노출공(310)이 각각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폐쇄캡(400)은 상기 케이스커버(300)의 노출공(310)을 통해 상기 모듈 장착단(220)에 형성된 상측 통과공(23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로막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폐쇄캡(400)이 상기 전방케이스(20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을 제시하며, 이러한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상측 통과공(231)을 벗어나 개방되도록 하거나 혹은, 상측 통과공(231)을 가로막아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즉, 종래 슬라이딩 방식으로 통과공을 벗어나도록 구성되는 폐쇄캡은 사실상 통과공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일부는 상기 통과공의 일부를 가로막도록 위치(선행기술 3의 도면 4 참조, 이때 선행기술 3의 도면부호 155는 체결브라켓에 형성되는 체결공 임)되는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쇄캡(400)은 회전 구조로 인해 상측 통과공(231)을 완전히 개방(첨부된 도 7 및 도 8 참조)할 수 있게 됨으로써 나사 체결을 위한 작업이 더욱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방케이스(200)에 형성된 모듈 장착단(220)의 둘레 중 상기 상측 통과공(231)이 관통되는 부위 및 이 상측 통과공(231)의 둘레 부위에는 전방케이스(200)의 전면으로부터 함몰된 수용홈(250)이 형성되고, 상기 폐쇄캡(400)은 상기 수용홈(250)에 후면 일부가 수용된 상태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함께, 상기 폐쇄캡(400)은 상기 전방케이스(200)의 수용홈(250) 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410)와, 상기 노출공(310)으로 상측 통과공(231)이 노출되는 부위를 가로막는 덮개단(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폐쇄캡(400)은 힌지(410)를 기준으로 전방케이스(200)로부터 회전되면서 상기 덮개단(420)이 모듈 장착단(220)의 둘레면에 밀착되어 상측 통과공(231)을 가로막거나 혹은, 상기 모듈 장착단(220)의 둘레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상측 통과공(231)을 개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폐쇄캡(400)의 힌지(410)는 모듈 장착단(220)의 상면에 비해 더욱 상측에 위치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폐쇄캡(400)의 회전 중심이 모듈 장착단(220)에 비해 상측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덮개단(420)이 그 자중에 의해 상기 모듈 장착단(220)의 상측 둘레면에 밀착되면서 상측 통과공(231)을 가로막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수용홈(250)은 상기 폐쇄캡(400)이 90°를 초과할 수 있을 정도로 세워지게 하면서도 과도한 젖혀짐으로 인한 눕혀지지 않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수용홈(250)의 양 측 벽면 중 힌지(410)와 가까운 측의 벽면은 상기 폐쇄캡(400)의 세워짐 각도(θ)(첨부된 도 8 참조)가 모듈 장착단(220)의 상면으로부터 90°이상 120° 이하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물론, 상기 폐쇄캡(400)이 90° 이하의 각도 혹은, 상측 통과공(231)이 완전히 개방될 수 있을 정도의 각도까지만 회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의 경우 작업 공구를 이용한 나사 체결 작업 도중 상기 폐쇄캡(400)이 자중에 의해 작업공구에 얹히거나 부딪히면서 작업을 방해하는 불편함이 야기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폐쇄캡(400)이 120°를 초과하는 각도에 이르기까지 회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의 경우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폐쇄캡(400)이 과도하게 젖혀질 경우 힌지(410)가 파손될 우려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상기 폐쇄캡(400)의 세워짐 각도(θ)는 세워진 상태로의 유지만 가능할 정도인 대략 90°이상 120° 이하(바람직하게는 100°)를 이루도록 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단(420)의 저면이 모듈 장착단(220)의 상면에 밀착될 경우 상기 덮개단(420)의 상면은 해당 모듈 장착단(220)의 둘레면과 동일한 원주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덮개단(420)이 상기 모듈 장착단(220)의 둘레면 일부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면서 케이스커버(300)의 노출공(310)을 통해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모듈 장착단(220)의 상측 둘레면에 삽입 돌출부(22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덮개단(420)에는 상기 삽입 돌출부(221)가 수용되도록 장착홈(421)이 요입 형성된다.
즉, 상기한 삽입 돌출부(221) 및 장착홈(421)의 구조로 인해 조립시 폐쇄캡(400)이 원치않게 유동됨을 방지한 것이다. 이로써 상기 폐쇄캡(400)은 정확히 닫힌 상태(통과공을 가로막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케이스커버(300)의 결합을 방해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덮개단(420)의 저면과 이에 대향되는 모듈 장착단(220)의 상면은 평면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덮개단(420)과 모듈 장착단(220) 간의 대향면이 단순히 평면 구조로만 이루어진다면 폐쇄캡(400)이 특정 위치에 놓은 상태로 유지되지 못하고 흔들릴 우려가 있으며, 이로 인해 보관시 파손의 우려나 분실의 우려가 발생될 수 있음을 고려한다면 상기 삽입 돌출부(221) 및 장착홈(421)을 덮개단(420)과 모듈 장착단(220) 간의 대향면에 형성함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매립형 콘센트에 대한 설치 과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몸체하우징(100)과 전방케이스(200)는 서로 결합된 상태로 제공된다.
상기 몸체하우징(100)과 전방케이스(200)는 서로의 체결리브(101,201)를 나사 체결함으로써 결합한다.
이때, 체결브라켓(110)은 상기 몸체하우징(100)의 배면에 밀착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고, 폐쇄캡(400)은 전방케이스(200)의 전면에 결합된 상태로 제공된다.
그리고, 전술된 바와 같이 제공되는 몸체하우징(100) 및 전방케이스(200)가 결합된 조립체를 벽면 내에 매립 부위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몸체하우징(100)과 상기 벽면 내에 구비된 각종 전원 케이블 및 통신 케이블(전화 케이블 및 인터넷 케이블 등)을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몸체하우징(100)에 각종 케이블이 연결된 이후에는 해당 벽면 내에 고정된 고정브라켓(10)에 상기 몸체하우징(100)의 체결브라켓(110)을 서로 일치시킨다.
계속해서, 전방케이스(200)에 결합된 폐쇄캡(400)을 회전 조작하여 상기 전방케이스(200)의 모듈 장착단(220)에 형성된 상측 통과공(231)을 개방시킨다.
이때, 상기 폐쇄캡(400)은 90°를 초과하는 각도에 이르기까지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이렇게 폐쇄캡(400)을 세운 상태로 나사 체결을 위한 작업을 진행하더라도 상기 폐쇄캡(400)이 자중에 의해 원치않게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나사 체결을 방해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폐쇄캡(400)은 그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상측 통과공(231)을 완전히 벗어나기 때문에 상기 상측 통과공(231)은 전 부위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의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개방된 상측 통과공(231)을 통해 나사를 삽입하여 상기 체결브라켓(110)과 고정브라켓(10)의 상측 끝단 일치 부위에 각각 형성된 나사 체결공(11,111)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작업 공구를 이용하여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과정에 의해 체결브라켓(110)과 고정브라켓(10) 간의 상측 끝단간 체결이 완료되면 폐쇄캡(400)을 원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폐쇄캡(400)은 작은 복귀 힘으로도 그 자중에 의해 최초의 위치로 복귀된다.
특히, 상기 폐쇄캡(400)이 최초의 위치로 복귀된 상태에서는 모듈 장착단(220)의 상측 둘레면에 돌출된 삽입 돌출부(221)가 상기 폐쇄캡(400)의 덮개단(420)에 형성된 장착홈(421) 내로 요입됨으로써 상기 폐쇄캡(400)이 원치않게 유동되는 등의 문제점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듈 장착단(220)에 형성된 상측 통과공(231)을 통한 고정브라켓(10)과 체결브라켓(110)의 상측 끝단간 체결이 완료되면 플러그홈(210)에 형성된 하측 통과공(232)을 통한 고정브라켓(10)과 체결브라켓(110)의 하측 끝단간 나사 체결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플러그홈(210)에 형성되는 하측 통과공(232)에는 폐쇄캡(400)이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는 단순히 나사를 해당 하측 통과공(232)에 통과시켜 고정브라켓(10)과 체결브라켓(110)의 하측 끝단 일치 부위에 각각 형성된 나사 체결공(11,111)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작업 공구를 이용하여 체결하면 된다.
전술된 과정에 의해 전방케이스(200)와 몸체하우징(100)은 고정브라켓(10)에 고정된 상태를 이루며, 이후 작업자는 상기 전방케이스(200)의 전면에 케이스커버(300)를 결합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커버(300)는 그의 배면에 돌출된 걸림후크(도시는 생략됨)가 상기 전방케이스(200)의 전면에 형성된 걸림공(240)에 삽입되면서 결합 고정된다.
따라서, 실내 벽면의 콘센트 매립 부위는 상기 케이스커버(300)에 의해 가려지게 된다.
이때, 폐쇄캡(400)은 자중에 의해 모듈 장착단I(220)의 상측 둘레면에 얹힌 상태로 유지되며, 더욱이 상기 폐쇄캡(400)은 그의 장착홈(421) 내로 모듈 장착단(220)의 삽입 돌출부(221)가 요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전방케이스(200)에 케이스커버(300)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폐쇄캡(400)에 일부 흔들림이나 충격이 제공되더라도 상기 폐쇄캡(400)이 원위치를 벗어나는 현상은 방지되며, 이로써 상기 케이스커버(300)의 결합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매립형 콘센트는 폐쇄캡(400)을 슬라이딩 이동 방식이 아닌 회전 방식으로 동작되도록 개선함에 따라 상측 통과공(231)을 완전히 개방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상측 통과공(231)으로 나사를 통과시키는 도중 상기 나사가 폐쇄캡에 걸리는 등의 간섭은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매립형 콘센트는 전방케이스(200)에 수용홈 및 힌지공(202)만 형성하면 되기 때문에 슬라이딩 방식의 폐쇄캡(400) 구조에 비해 그 구조가 극히 단순해질 수 있다.
특히, 폐쇄캡(400)에 대한 결합 구조의 단순화로 인해 전방케이스(200)의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폐쇄캡(400)의 조립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고, 폐쇄캡(400)의 조립시 폐쇄캡(400)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으며, 동작성의 향상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매립형 콘센트는 폐쇄캡(400)이 자중에 의해 모듈 장착단(220)의 상면에 얹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전방케이스(200)에 케이스커버(300)를 결합하는 도중 상기 폐쇄캡(400)이 정위치를 벗어나지 않고 항상 정위치로 유지될 수 있고, 이로써 조립이 손쉽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매립형 콘센트는 폐쇄캡(400)이 90°를 초과하는 각도에 이르기까지 세위질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폐쇄캡(400)을 회전시킨 상태에서 해당 폐쇄캡(400)을 손으로 붙잡지 않더라도 원치않게 역회전됨이 방지되며, 이로써 나사 체결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매립형 콘센트는 하나의 플러그홈(220)이 형성되는 구조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즉, 첨부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플러그홈이 형성되는 구조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쇄캡(400)이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모듈 장착단(220)이 하부에 위치되고 플러그홈(210)은 상기 모듈 장착단(220)의 상부에 위치되는 구조에도 그 적용이 가능하고, 셋 이상 다수의 플러그홈(220)이 형성되는 멀티 콘센트 구조에도 그 적용이 가능하다.
이렇듯, 본 발명의 매립형 콘센트는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이 가능할 뿐 아니라 다양한 유형의 콘센트에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100. 몸체하우징 101,201. 체결리브
110. 체결브라켓 10,111. 나사 체결공
200. 전방케이스 202. 힌지공
210. 플러그홈 220. 모듈 장착단
221. 삽입 돌출부 231,232. 통과공
240. 걸림공 250. 수용홈
300. 케이스커버 310. 노출공
400. 폐쇄캡 410. 힌지
420. 덮개단 421. 장착홈

Claims (5)

  1. 후방으로 함몰되면서 플러그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러그홈 및 대기전력 차단모듈이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 장착단이 각각 형성되고, 나사 체결을 위해 관통된 복수의 통과공이 형성됨과 더불어 적어도 어느 한 통과공은 모듈 장착단의 어느 한 둘레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전방케이스;
    상기 전방케이스의 전면을 덮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상기 플러그홈 및 모듈 장착단의 노출을 위한 노출공이 각각 형성된 케이스커버;
    상기 케이스커버를 전방케이스의 전면에 결합할 경우 상기 케이스커버의 노출공으로 상기 모듈 장착단의 둘레를 관통하는 통과공이 노출됨을 방지하도록 가로막는 폐쇄캡;을 포함하며,
    상기 모듈 장착단의 선단은 상기 전방케이스의 전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전방케이스에 형성된 모듈 장착단의 둘레 중 상기 통과공이 관통되는 부위 및 이 통과공의 둘레측 부위에는 상기 전방케이스의 전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된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폐쇄캡은 힌지와 덮개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폐쇄캡의 힌지는 상기 수용홈 중 모듈 장착단의 상면보다 상측에 위치됨과 더불어 해당 폐쇄캡이 수용홈 내에서 90°를 초과한 각도에 이르기까지 세워질 수 있는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모듈 장착단의 선단 둘레 중 덮개단과의 대향면에는 상기 모듈 장착단의 돌출 두께보다 작은 두께의 삽입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덮개단에는 상기 삽입 돌출부가 수용되도록 상기 삽입 돌출부의 돌출 방향과는 대향되는 방향을 향해 장착홈이 요입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콘센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52644A 2020-04-29 2020-04-29 매립형 콘센트 KR102344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644A KR102344847B1 (ko) 2020-04-29 2020-04-29 매립형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644A KR102344847B1 (ko) 2020-04-29 2020-04-29 매립형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700A KR20210133700A (ko) 2021-11-08
KR102344847B1 true KR102344847B1 (ko) 2021-12-30

Family

ID=78497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2644A KR102344847B1 (ko) 2020-04-29 2020-04-29 매립형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48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799Y1 (ko) * 2004-06-03 2004-09-16 김진홍 콘센트용 안전장치
KR101732507B1 (ko) 2015-11-03 2017-05-04 (주)토즈테크 대기전력 차단용 콘센트 어셈블리
KR101912896B1 (ko) * 2018-02-28 2018-10-29 디에스이엘씨 주식회사(Dselc) 슬라이딩 구조의 프론트 커버를 구비한 매립형 콘센트
KR102222351B1 (ko) 2020-11-30 2021-03-03 주식회사 틸인스(Tilins) 절전효율을 향상시킨 대기전력차단 콘센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081B1 (ko) 2010-02-11 2011-09-28 진흥전기 주식회사 매립형 대기전력 차단용 콘센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799Y1 (ko) * 2004-06-03 2004-09-16 김진홍 콘센트용 안전장치
KR101732507B1 (ko) 2015-11-03 2017-05-04 (주)토즈테크 대기전력 차단용 콘센트 어셈블리
KR101912896B1 (ko) * 2018-02-28 2018-10-29 디에스이엘씨 주식회사(Dselc) 슬라이딩 구조의 프론트 커버를 구비한 매립형 콘센트
KR102222351B1 (ko) 2020-11-30 2021-03-03 주식회사 틸인스(Tilins) 절전효율을 향상시킨 대기전력차단 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700A (ko) 202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3531A (en) Weatherproof outlet cover
US9960524B2 (en) Slim line while in use cover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US7304238B1 (en) Horizontal and vertical in-use electrical device cover
CA2599528C (en) Universal water-resistant hinged-lid cover for an electrical outlet box
US7241952B2 (en) Hinged weatherproof electrical box cover
US7999419B2 (en) While-in-use electrical box that shuts power off to the device when cover is open
CA2688044C (en) Pivoting while-in-use electrical box and cover
US7518061B1 (en) Recessed electrical box
US6610927B2 (en) Water resistant electrical box
US7598453B1 (en) Horizontal and vertical mountable electrical device cover
US7276662B2 (en) Cover assembly for an electrical floor box
CA2592830C (en) Universal recessed while-in-use box and cover
CA2280218A1 (en) Weatherproof outlet cover
US20080179071A1 (en) Snap fit screw plug
US10079481B2 (en) Weatherproof electrical box assembly
KR102344847B1 (ko) 매립형 콘센트
KR200218451Y1 (ko) 테이블 부설용 출몰식 다기능 콘센트
JPS62107620A (ja) フロアコンセント
JP2002027630A (ja) 配線器具用防滴プレート
US20030054680A1 (en) Assemly for an outlet
US11749932B1 (en) Weather resistant electrical cover
KR200270405Y1 (ko) 콘센트
WO2001061815A1 (en) Assembly for an outlet
JPH0210731Y2 (ko)
KR200291511Y1 (ko) 개폐식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