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1393Y1 - 이동식 경량 칸막이의 상.하 밀착부재 출몰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경량 칸막이의 상.하 밀착부재 출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393Y1
KR200291393Y1 KR2019990005795U KR19990005795U KR200291393Y1 KR 200291393 Y1 KR200291393 Y1 KR 200291393Y1 KR 2019990005795 U KR2019990005795 U KR 2019990005795U KR 19990005795 U KR19990005795 U KR 19990005795U KR 200291393 Y1 KR200291393 Y1 KR 2002913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ontact member
partition
coupled
lightweight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57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2717U (ko
Inventor
주봉재
Original Assignee
김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현 filed Critical 김주현
Priority to KR20199900057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1393Y1/ko
Publication of KR199900227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7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3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393Y1/ko

Links

Landscapes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식 링크기구를 이용하여 칸막이의 상ㆍ하부 밀착부재를 힘 안들이고 신속 간편히 출몰시킬 수 있도록 한 이동식 경량 칸막이의 상ㆍ하 밀착부재 출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ㆍ하 롤러의 축봉을 상부골조의 양측에 설치한 다음 이동홈을 갖는 현수레일에 결합하고, 상ㆍ하부 골조에 러버가 설치된 밀착부재를 스프링으로 설치하여 경량 칸막이의 바깥으로 탄력 지지되게 하고, 좌ㆍ우측 골조에 핸들로 회전되는 연결간을 축 설치하고, 연결간의 양측에 회전판을 각각 끼워 연결간과 연동되게 하고, 회전판의 양단에 한 쌍의 링크를 대칭구조로 축 결합하고, 링크의 단부에 슬라이드과 연결로드와 밀착부재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 결합구를 차례로 각각 연결하고, 좌ㆍ우측 골조의 바깥부분에 연질판과 파형 절곡된 마구리판을 체결시켜 고정하고, 마구리판에 삽입공을 형성하여 핸들과 연결간을 결합한 것이다.또한, 링크의 안쪽에 연결간이 일부 삽입되는 요입부를 형성하여 링크가 완전히 절첩되는 경우 축핀을 연결하는 중심선이 수직선보다 안쪽에 위치하여 밀착부재가 상ㆍ하 골조로 몰입되도록 하고, 연결간의 회전에 의해 축핀을 연결하는 중심선이 축핀을 연결하는 수직선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는 경우 스프링에 의해 밀착부재가 상ㆍ하 골조로부터 신속히 돌출 되게하고, 링크의 절첩각도는 -5°~ + 194°범위로 하되 비평행 구조로 출몰되게 하여 천정면과 바닥면이 평행하지 않더라도 밀착부재가 천정면과 바닥면에 접촉되게 하고, 현수레일의 일측에 복수 개의 칸막이를 한 켠으로 이동시켜 보관하는 라운드형 격납레일 또는 크로스형 격납레일을 설치하여 경량식 칸막이의 상ㆍ하부 밀착부재를 힘 안들이고 신속 간편하게 출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식 경량 칸막이의 상.하 밀착부재 출몰장치{Appearing and disappearing device for upper/lower tight member of movable lightweight partition}
본 고안은 이동식 경량 칸막이의 상ㆍ하부에 설치되는 밀착부재 출몰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회전식 링크기구를 이용하여 칸막이의 상ㆍ하부 밀착부재를 힘 안들이고 신속 간편히 출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식 칸막이(sliding wall)는 건물내의 공간활용을 필요로 할 때 간단한 조작으로 공간의 변형을 달성할 수 있으며, 이 때 변형된 공간은 완벽한 방음 및 밀폐 성능으로 기존의 고정된 공간 구조물(예컨데 벽)이 가진 불편함을 말끔히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미려한 외부색상과 오랜기간 사용하더라도 변형이나 탈색되지 않고 소음과 화재를 차단하여 사용자의 안전이 확보되므로, 주로 대형 건축물이나 호텔, 오피스텔, 학교, 병원의 사무실, 회의실, 전시실, 연회장의 칸막이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식 경량 칸막이의 내부구조를 살펴보면 상ㆍ하ㆍ좌ㆍ우로 1.6㎜ 전ㆍ후 두께의 금속 골조로 칸막이 틀이 구성되고, 골조의 연결 부분은 용접으로 접합되며, 용접이 완료된 골조는 1차 도장작업을 하여 산화(녹)를 방지하게 된다.
도장작업이 완료되면 도장 출하검사를 하고, 도장 출하검사에서 합격된 골조는 평면도 검사와 용접부위 검사, 직진도 검사를 받게되며, 합격된 골조는 2차 공정으로, 불합격 골조는 수정단계를 거치게 된다.
한편, 2차 공정은 골조에 필요한 인슈레이션 삽입 및 부가 동작장치를 조립하는 공정으로, 골조의 일측면에 난연성 석고보드를 접착제(공업용 본드)로 접합하고, 석고보드의 접합이 완료되면 골조와 보강철판 사이 사이에 방음과 단열을 위한 그라스울을 빈틈없이 채워 넣게되며, 칸막이의 사용 용도나 사용 장소에 따라 그라스울 대신 하니컴이나 기타의 재질로 채워 넣을 수 있다.
그라스울을 채워 넣는 공정이 완료되면 골조의 타측면에도 난연성 석고보드를 접착제(공업용 본드)로 접합시키며, 접착력의 향상 및 변형을 막기 위하여 칸막이 크기와 같은 지그(JIG)를 사용하여 접착제가 완전히 건조될 때까지 난연성 석고보드를 가압하게 된다.
골조의 양측면에 석고보드 접착이 완료된 칸막이는 평면도 검사를 거쳐 부가 동작장치를 취부하거나 조립하게 되며, 동작검사에 합격한 제품은 3차 공정으로 이동하게 된다.
3차 공정에서는 칸막이의 마무리 작업으로 2차 전체 공정에서 합격된 제품의 바깥 표면에 약 1.2㎜ 전ㆍ후 두께의 마감용 철판을 접합한 다음 그 표면에 지정색상의 분체도장을 하게 된다.
또한, 마감용 철판을 사용하지 않고 불소 코팅 칼라시트를 사용하는 경우 약 0.8㎜ 전ㆍ후 두께의 칼라시트 철판을 사용하게 된다.
마감용 철판이나 칼라시트를 석고보드에 접합시키는 방법은 2차 공정과 같으며, 검사항목은 전체적인 외형검사에서 각종 동작검사를 전부 행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칸막이의 측면에 측면 프로파일(profile)과 연질 합성수지로 되고 기밀유지되는 차음판을 함께 취부하게 되며, 이와 같은 공정을 거쳐 이동식 경량 칸막이가 완성된다.
한편, 도 1, 도 2는 휠(1)이 현수레일(2)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식 경량 칸막이(4)의 종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핸들(6)에 의해 회전하는 턴버클(8)과, 턴버클(8)에 나사 결합되는 대칭구조의 다관절 링크(10)(12)(14)(10a)(12b)(14c)가 상ㆍ하 수평간(16)(18)에 핀으로 연결되고, 수평간(16)(18)의 양측 단부에는 로드(20)(20a)(22)(22a)의 일측단부가 각각 체결되고, 로드(20)(20a)(22)(22a)의 타측단부에는 상ㆍ하 밀착부재(24)(26)가 출몰할 수 있도록 고정한 구성으로, 도 2와 같이 턴버클(8)과 동축인 연결간(28)에 핸들(6)을 끼워 결합시킨 다음 7~8회 정도 회전시키면 밀착부재(24)(26)가 상ㆍ하로 돌출되므로 핸들(6)을 회전시킬 때 많은 힘과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ㆍ하부 밀착부재(24)(26)는 상ㆍ하 수평간(16)(18)과 로드(20)(20a) (22)(22a)에 의해 평행구조로 출몰하는 구성이므로 바닥면에 물구배가 형성되거나 시공불량 등의 원인으로 천정면과 바닥면이 평행하지 않는 경우 밀착부재(24)(26)의 일측이 천정면이나 바닥면에 접촉되지 않고 들리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기밀이 유지되지 않고 소음이 차단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동식 경량 칸막이의 양측에 연동구조의 링크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링크기구에 의해 칸막이의 상ㆍ하부에 설치되는 밀착부재를 힘 안들이고 간편하면서 신속히 출몰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ㆍ하 롤러의 축봉을 상부골조의 양측에 설치한 다음 이동홈을 갖는 현수레일에 결합하고, 상ㆍ하부 골조에 러버가 설치된 밀착부재를 스프링으로 설치하여 경량 칸막이의 바깥 방향으로 탄력 지지되게 하고, 좌ㆍ우측 골조에 핸들로 회전되는 연결간을 축 설치하고, 연결간의 양측에 회전판을 각각 끼워 연결간과 연동되게 하고, 회전판의 양단에 한 쌍의 링크를 대칭구조로 축 결합하고, 링크의 단부에 슬라이드과 연결로드와 밀착부재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 결합구를 차례로 연결하고, 좌ㆍ우측 골조의 바깥부분에 연질판과 파형 절곡된 마구리판을 체결시켜 고정하고, 마구리판에 삽입공을 형성하여 핸들과 연결간을 결합한 것이다.
또한, 현수레일의 내부에 롤러실을 형성하고, 롤러실의 안쪽 상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상부 지지부를 형성하여 상부롤러의 하부 모서리 부분이 면 접촉으로 구름 운동하도록 하고, 롤러실의 안쪽 하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하부 지지부를 형성하여 하부롤러의 하부 모서리 부분이 면 접촉으로 구름 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링크의 안쪽에 연결간이 일부 삽입되는 요입부를 형성하여 링크가 완전히 절첩되는 경우 축핀을 연결하는 중심선이 수직선보다 안쪽에 위치하여 밀착부재가 상ㆍ하 골조로 몰입되도록 하고, 연결간의 회전에 의해 축핀을 연결하는 중심선이 축핀을 연결하는 수직선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는 경우 스프링에 의해 밀착부재가 상ㆍ하 골조로부터 신속히 돌출 되게한다.
또한, 링크의 절첩각도는 -5°~ + 194°범위로 하되 비평행 구조로 출몰되게 하여 천정면과 바닥면이 평행하지 않더라도 밀착부재가 천정면과 바닥면에 접촉되게 하고, 현수레일의 일측에 복수 개의 칸막이를 한 켠으로 이동시켜 보관하는 라운드형 격납레일 또는 크로스형 격납레일을 설치하여 경량식 칸막이의 상ㆍ하부 밀착부재를 힘 안들이고 신속 간편하게 출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 : 종래 이동식 경량 칸막이의 구성도.
도 2 : 종래 이동식 경량 칸막이의 작동 상태도.
도 3 : 본 고안 경량 칸막이의 골조 부분 정면도.
도 4 : 본 고안 경량 칸막이의 종 단면구성도.
도 5 : 본 고안 현수레일 부분 단면도로, 밀착부재가 몰입된 상태도.
도 6 : 본 고안 현수레일 부분 단면도로, 밀착부재가 돌출된 상태도.
도 7 : 본 고안 현수레일 부분 종 단면도.
도 8 : 본 고안 경량 칸막이의 상부 골조 단면도.
도 9 : 본 고안 밀착부재 출몰장치 및 스프링 탄지 부분 구성도.
도 10 : 본 고안 경량칸막이의 하부골조 단면도.
도 11 : 본 고안 경량 칸막이의 하부 단면도로, 밀착부재가 몰입된 상태도.
도 12 : 본 고안 경량 칸막이의 하부 단면도로, 밀착부재가 돌출된 상태도.
도 13 : 경량 칸막이의 좌측 골조 단면도.
도 14 : 경량 칸막이의 우측 골조 단면도.
도 15 : 본 고안에서 밀착부재가 몰입되는 경우 링크의 상태도.
도 16 : 본 고안에서 밀착부재의 출몰을 위하여 링크가 회전하는 상태도.
도 17 : 본 고안 핸들의 외관 사시도.
도 18 : 본 고안 링크의 회전 각도별로 펼쳐지는 상태의 도면.
도 19 : 본 고안 도 18에서 중심선을 도시한 상태의 도면.
도 20 : 본 고안에서 경량 칸막이 끼리 결합하기 직전의 단면도.
도 21 : 본 고안에서 경량 칸막이 끼리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22 : 본 고안의 현수레일 및 격납레일 부분 평면도.
도 23 : 본 고안 분기레일의 평면도.
도 24 : 본 고안에서 현수레일과 라운드 레일격납 레일을 연결하는 평면도.
도 25 : 본 고안에서 현수레일과 크로스 격납레일을 연결하는 평면도.
도 26 : 본 고안 라운드 격납레일의 직각격납 상태 사시도.
도 27 : 본 고안 도 26의 단면도.
도 28 : 본 고안 라운드 격납레일의 평행격납 상태 사시도.
도 29 : 본 고안 도 28의 단면도.
도 30 : 본 고안 크로스 격납레일의 직각격납 상태 사시도.
도 31 : 본 고안 도 30의 단면도.
도 32 : 본 고안 크로스 격납레일의 평행격납 상태 사시도.
도 33 : 본 고안 도 32의 단면도.
도 34 : 본 고안에서 경량 칸막이를 펼친 상태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이동식 경량 칸막이 (32)(32a)(34)(34a)--현수롤러
(35)--롤러실 (36)--현수레일
(38)(40)--밀착부재 (42)--밀착부재 출몰장치
(44)--격납레일(stacking rail) (46b)(48a)(50a)(52a)--개방홈
(46)(48)(50)(52)--금속골조 (46a)(38a)(134)(136)(150)--통공
(54)--보강골조 (56)--코너철판
(58)(60)--축봉 (62)--현수레일의 상부면
(64)--현수레일 지지부 (66)(82)--너트
(68)--볼트 (70)--현수 구조물
(72)(76)--경사면 (74)(78)--지지부
(80)--지지봉 (84)--보강편
(86)--머리부 (88)--이동홈
(90)(92)--연장부 (94)(96)--수평부
(98)(100)--요입부 (102)--천정재
(104)--개방부 (106)--연결홈
(108)--연결봉 (110)--인슈레이트
(112)(118)(216)(218)(220)(222)--삽입홈 (114)(120)--압착부
(116)(122)--러버(rubber) (124)--바닥면
(126)(128)--연결부 (130)(132)--수평부
(138)--단턱부 (140)--작동봉
(142)(144)--C 링 (146)--스프링
(148)--스프링 하우징 (152)--연결간
(154)--핸들 (156)(158)--회전판
(160)(162)(164)(166)--링크
(168)(170)(172)(174)(184)(186)(188)(190)(200)(202)(204)(206)--핀
(176)(178)(180)(182)--슬라이드 (192)(194)(196)(198)--연결로드
(208)(210)(212)(214)--결합구 (224)--요입홈
(226)(228)--마구리판 (230)(232)--연질판
(234)(236)--삽입공 (238)(240)--요입부
(248)(250)--마감재 (252)--분기레일
(254)--라운드 레일 (254a)--곡면부
(256)--크로스 레일 (256a)--직각부
(258)--벽 (260)--격납실
(262)--출입문 (F1)(F2)--롤러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 3은 본 고안의 정면 구성도로, 이동식 경량 칸막이(30)는 현수식 롤러(32)(34)와 현수레일(36), 칸막이(30)의 상ㆍ하부에 설치되는 밀착부재(38) (40), 상ㆍ하 밀착부재(38)(40)를 출몰시키는 출몰장치(42), 칸막이(30)를 한 켠으로 이동시켜 격납시키는 격납레일(stacking rail:44) 등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이동식 경량 칸막이(30)는 상ㆍ하ㆍ좌ㆍ우측에 1.6㎜ 전ㆍ후 두께의 금속 골조(46)(48)(50)(52)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여 칸막이틀이 구성되며, 칸막이틀의 내부에 복수 개의 보강골조(54)를 적당한 간격으로 용접 고정하고, 골격구조에 의해 하중이 편중(집중)되는 상부골조(38)와 좌ㆍ우측 골조(50)(52)가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코너철판(56)을 용접으로 고정시켜 보강하고, 상부골조(38)의 양측에는 축봉(58)(60)을 결합한 다음 상ㆍ하로 설치되는 한 쌍의 롤러(32)(32a) (34)(34a)를 축 설치하여 현수레일(36)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롤러(32)(32a)(34)(34a)가 결합되는 현수레일(36)은 도 4 내지 도 7과 같이 현수레일(36)의 상부면(62) 양측으로 지지부(64)를 연장 돌출시킨 다음 볼트(66) 너트(68)와 같은 체결수단(또는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슬라브와 같은 구조물(70)에 현수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롤러(32)(32a)(34)(34a)가 결합되는 현수레일(36)은 칸막이(30)가 이동할 때 롤러(32)(32a)(34)(34a)의 길잡이 역활을 하는 동시에 칸막이(30)의 중량에 의한 쳐짐이 없어야 하므로 현수레일(36)과 롤러(32)(32a)(34)(34a)의 견고한 설계가 요구된다.
또한, 현수레일(36)은 시공시 직진도가 요구되며, 마감상태가 미려하여야 하고, 마감 도장상태는 나이프 경도 95/100 이상, 부착력 테이프 경도를 만족할 수 있어야 바람직하며, 롤러(32)(32a)(34)(34a)의 소재는 엔지니어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칸막이(30)의 중량과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롤러(32)(32a)(34)(34a)는 현수레일(36)과 칸막이(30)를 연결하여 이동하거나 격납시키는 수단이므로 내구성, 내마모성, 안전성이 있어야 하며, 휨이나 비틀림 및 곡면 파손이 없어야 하고 작동시 소음이 없거나 작아야 하며, 회전구름 마찰계수는 0.1 이하로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현수레일(36)의 내부에는 상ㆍ하부 롤러(32)(32a)(34)(34a)가 수납 설치되는 롤러실(35)을 형성하고, 롤러실(35)의 내상부에 경사면(72)이 형성된 상부 지지부(74)를 형성하여 상부롤러(32)(34)의 하부 모서리 부분이 면 접촉으로 구름 운동할 수 있도록 하고, 롤러실(35)의 내하부에 경사면(76)이 형성된 하부 지지부(78)를 형성하여 하부롤러(32a)(34a)의 하부 모서리 부분이 면 접촉으로 구름 운동할 수 있게 한다.
상기에서 높이 차이를 두고 대향 형성되는 경사면(70)(76)은 롤러(32)(32a) (34)(34a)의 하부 평면부가 닿지 않는 정도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하되 같은 기울기의 경사도를 갖게 함으로써 도 5와 같이 상부롤러(32)(34)에 작용되는 힘(F1)과 하부롤러(32a)(34a)에 작용되는 힘(F2)의 합력(F=0)에 의해 축봉(58)(60)이 현수레일(36)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ㆍ하부 롤러(32)(32a)(34)(34a)의 바깥 외주면이 현수레일(36)의 내측면에 닿지 않게 되므로 상ㆍ하부 롤러(32)(32a)(34)(34a)가 큰 저항없이 원할한 구름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상ㆍ하부 롤러(32)(32a)(34)(34a)가 결합되는 축봉(58)(60)은 도 8과 같이 상향 개방홈(46b)이 형성된 상부골조(46)의 양측 통공(46a)과 상부 밀착부재(38)의 통공(38a)에 도 9와 같이 수직으로 끼워진 지지봉(80)에 나사 결합하여 축봉(58)(60)의 높낮이를 조절한 다음 너트(82)로 체결시켜 이완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봉(80)은 상부골조(38)에 고정된 보강편(84)에 끼워 지지봉의 머리부(86)가 걸림되게 함으로써 이동식 경량 칸막이(30)의 견고한 지지를 달성하도록 한다.
현수레일(36)의 하부 중앙에는 롤러실(35)의 크기보다 작고 축봉(58)(60)의 외경보다 크기가 큰 이동홈(88)을 현수레일(36)의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축봉(58) (60)이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이동홈(88)의 양측에 하향 연장부(90) (92)와 절곡 수평부(94)(96) 및 요입부(98)(100)를 대칭구조로 형성하여, 도 5, 도 6과 같이 천정재(102) 또는 반자를 상기 요입부(98)(100)에 삽입시킨 다음 수평부 (94)(96)에 얹어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현수레일(36)의 상부 좌ㆍ우측과 하부 좌ㆍ우측 바깥 부분에 도 5, 도 6과 같이 개방부(104)를 갖는 연결홈(106)을 현수레일(36)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함으로써 2개 이상의 현수레일(36)이 연결되는 경우 연결봉(108)을 연결홈(106)에 억지 끼움식으로 삽입하여 서로 연결되는 현수레일(36)의 직진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상기에서 연결홈(106)의 일측으로 개방부(104)가 형성되어 연결봉(108)을 억지 끼움식으로 삽입할 수 있으며, 현수레일(36)의 상부면(62)과 현수 구조물(70) 사이의 공간부에 인슈레이트(110)를 설치하여 방음과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부골조(46)의 개방홈(46b)에는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상부 밀착부재(38)를 다소 헐겁게 삽입하여 개방홈(46b)을 자유로이 드나들 수 있도록 하고, 상부 밀착부재(38)의 양측 돌출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삽입홈(112)을 각각 형성한 다음 도 5, 도 6과 같이 한 쌍의 압착부(114)가 벌어지게 형성된 연질의 합성수지재 러버(rubber)(116)를 억지 끼움식으로 끼워 고정한다.
도 10과 같이 하향 개방홈(48a)이 형성된 하부골조(48)의 개방홈(48a)에도 도 11, 도 12와 같이 하부 밀착부재(40)를 다소 헐겁게 삽입하여 개방홈(48a)을 자유로이 드나들 수 있도록 하고, 하부 밀착부재(40)의 양측 돌출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삽입홈(118)을 각각 형성한 다음 한 쌍의 압착부(120)가 벌어지게 형성된 연질의 합성수지재 러버(122)를 억지 끼움식으로 끼워 고정하여 바닥면(124)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9는 상ㆍ하 밀착부재(38)(40)를 출몰시키는 출몰장치와 스프링 탄지부분 단면도로, 상ㆍ하 밀착부재(38)(40)의 연결부(126)(128)와 상ㆍ하 골조(46) (48)의 수평부(130)(132)에 통공(134)(136)을 각각 형성한 다음 단턱부(138)가 형성된 작동봉(140)을 끼우되, 작동봉(140)의 단턱부(138)는 상ㆍ하 밀착부재(38) (40)의 연결부(126)(128)에 끼운 다음 C링(142)을 결합시켜 작동봉(140)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작동봉(140)의 중간 부분에는 또 다른 C링(144)을 끼워 고정하고, 작동봉(140)의 후단 외면에 스프링(146)이 삽입되는 스프링 하우징(148)을 끼워 작동봉 (140)이 스프링 하우징(148)의 통공(150)으로 드나들 수 있게 함으로써 작동봉 (140)이 스프링(146)의 작용으로 탄지되게 하고, 스프링 하우징(148)은 상ㆍ하부 골조(46)(48)의 수평부(130)(132)에 체결수단으로 고정하도록 한다.따라서, 출몰장치의 작용과 스프링(146)의 탄발작용에 의해 상ㆍ하 밀착부재(38)가 돌출하는 경우 상부 밀착부재(38)는 도 6과 같이 러버(116)의 압착부(114)가 벌어지면서 수평부(94)(96) 또는 천정재(102)에 밀착되어 칸막이(30) 양측의 방음과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되며, 하부 밀착부재(40)는 도 12와 같이 러버(122)의 압착부(120)가 벌어지면서 바닥면(124)에 밀착되어 칸막이(30) 양측의 방음과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출몰장치의 작용과 스프링(146)의 탄발작용에 의해 상ㆍ하 밀착부재(38)가 몰입되는 경우 상부 밀착부재(38)는 도 5와 같이 러버(116)가 하강하면서 수평부(94)(96) 또는 천정재(102)로부터 이격되며, 하부 밀착부재(40)는 도 11과 같이 러버(122)가 상승하면서 바닥면(124)과 이격되므로 경량칸막이(3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좌ㆍ우측 골조(50)(52)는 도 13, 도 14와 같이 좌향 개방홈(50a)과 우향 개방홈(52a)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개방홈(50a)(52a)에 출몰장치가 설치된다.
밀착부재(38)(40)를 승강시키는 출몰장치는 도 3과 같이 경량 칸막이(30)의 좌ㆍ우측 골조(50)(52)에 연결간(152)을 축 설치하여 골조(54)와 평행하도록 하고,연결간(152)의 일측에 절곡된 핸들(154)을 끼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간(152)의 양측 단부에는 한 쌍의 회전판(156)(158)을 끼우고, 회전판(156)(158)의 상ㆍ하부에는 링크(160)(162)(164)(166)의 일측 단부를 핀(168) (170)(172)(174)으로 축 결합하고, 링크(160)(162)(164)(166)의 타측 단부에는 슬라이드(176)(178)(180)(182)의 일측 단부를 핀(184)(186)(188)(190)으로 축 결합하고, 슬라이드(176)(178)(180)(182)의 타측 단부에는 연결로드(192)(194)(196) (198)의 일측 단부를 핀(200)(202)(204)(206)으로 축 결합하도ㅗㄺ 한다.또한, 연결로드(192) (194)(196)(198)의 타측 단부에는 결합구(208)(210)(212)(214)를 고정하고, 상기 결합구(208)(210)(212)(214)는 밀착부재(38)(40)의 양측에 형성된 삽입홈(216) (218)(220)(222)에 각각 끼워 핸들(154)에 의해 연결간(152)이 회전하는 경우 링크(160)(162)(164)(166)의 짝힘 작용에 의해 연결로드(192)(194)(196)(198)가 승강하도록 함으로써 밀착부재(38)(40)를 출몰시킬 수 있게된다.
상기에서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회전판(156)(158)과, 링크(160)(162)(164) (166)와, 슬라이드(176)(178)(180)(182)와, 연결로드(192)(194)(196)(198)와, 결합구(208)(210)(212)(214)는 도 20, 도 21과 같이 좌ㆍ우측 골조(50)(52)의 개방홈 (50a)(52a)에 각각 삽입 설치하되, 링크(160)(162)(164)(166)와 연결로드(192) (194)(196)(198) 사이에 위치하는 슬라이드(176)(178)(180)(182)는 도 15, 도 16과 같이 개방홈(50a)(52a) 내에서 좌.우로 유동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연결간(152)의 단면 형상은 사각봉(또는 육각봉)으로 형성하여 결합되는 핸들(154)의 요입홈(224) 및 회전판(156)(158)이 헛돌지 않도록 하고, 좌ㆍ우측골조(50)(52)의 바깥부분에는 도 20, 도 21과 같이 파형 절곡된 마구리판(226) (228)을 체결시켜 고정하되 좌ㆍ우측 골조(50)(52)와 마구리판(226)(228) 사이에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연질판(230)(232)을 세로로 끼워 고정함으로써 도 21과 같이 경량 칸막이(30) 끼리 접촉하는 경우 상기 연질판(230)(232)에 의해 경량 칸막이(30) 끼리의 기밀과 방음이 유지되도록 하고, 마구리판(226)(228)에는 삽입공(234)(236)을 형성하여 핸들(154)과 연결간(152)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8은 핸들(154)과 연결간(152)의 회전작용에 의해 본 고안 링크(160) (162)(164)(166)가 각도별로 작동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열한 도면이고, 도 19는 상기 도 18에 중심선을 도시하여 작동관계를 보다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한 참고도이다.
상기 링크(160)(162)(164)(166)는 도 16과 같이 연결간(152)이 일부 삽입될 수 있는 요입부(238)(240)가 각각 형성된다.따라서, 링크(160)(162)(164)(166)가 완전히 절첩되는 경우 도 15, 도 18, 도 19와 같이 축핀(168)(170)을 연결하는 중심선(C2)이 축핀(200)(202)을 연결하는 중심선(C1)보다 안쪽에 위치하는 동작전 상태의 경우 도 5, 도 11과 같이 밀착부재(38)(40)가 상ㆍ하 골조(46)(48)의 개방홈(46a)(48a)으로 몰입되어 경량 칸막이(3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핸들(154)을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16과 같이 축핀(168)(170)을 연결하는 중심선(C2)이 축핀(200)(202)을 연결하는 중심선(C1)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는 경우 스프링(146)의 탄지력에 의해 밀착부재(38)(40)가 상ㆍ하 골조(46) (48)로부터 돌출되어 도 6 및 도 12와 같이 수평부(94)(96) 또는 천정재(102) 및 바닥면(124)에 각각 접촉되므로 기밀과 방음이 달성되며, 경량 칸막이(30)의 양측면은 파형 절곡된 마구리판(226)(228)에 의해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며, 동시에 도 21과 같이 연질판(230)(232)에 의해 기밀과 방음이 달성된다.
상기에서 도 18, 도 19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링크(160)(162)(164)(166)의 절첩각도가 -5°~ + 194°까지 가능하고, 또한 비평행 출몰구조이므로 바닥면에 물구배가 형성되거나 시공불량 등의 원인으로 천정면과 바닥면이 평행하지 않는 경우에도 밀착부재(38)(40)의 일측이 천정면이나 바닥면에 접촉되지 않고 들리는 현상이 방지되므로 기밀유지와 소음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 이동식 경량 칸막이(4)의 밀착부재 출몰장치가 턴버클(8)과, 턴버클(8)에 나사 결합되는 다관절 링크(10)(12)(14)(10a)(12b)(14c) 및 상ㆍ하 수평간(16)(18)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핸들(6)을 7 ~ 8회 정도 회전시켜야 비로소 출몰을 달성할 수 있었으나, 본 고안에서는 핸들(154)을 약 15°정도로만 회전시켜도 스프링(146)에 의해 밀착부재(38)(40)가 쉽게 돌출되므로 큰 힘 들이지 않고 1회전 미만으로도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이 쉽고 간편하다.
본 고안에서 경량식 칸막이(30)의 양측에는 내열성 석고보드 등을 접합하고, 그 외면에 접합되는 마감재(248)(250)는 내열성 철판으로 마감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그리고, 판넬(242)(244)은 그 크기와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1.6㎜ 전ㆍ후의 두께로 하고, 보강골조(54)와 코너철판(56)은 2.3㎜ 전ㆍ후의 두께로 함이 바람직하다.
양측 판넬(242)(244)의 내부에 충진되는 단열 및 방음재(246)는 칸막이(30)의 사용 목적이나 사용 장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그라스울, 우레탄, 하니컴, 발포우레탄 본드 등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칸막이(30)의 상ㆍ하부 및 양측면에 설치하는 러버(116)(122)와 연질판(230)(232)은 탄성이 뛰어나고 내후성 및 내 오존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하고, 설치할 때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하여 소음을 차단하고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칸막이(30)는 휨, 비틀림, 곡면이 없어야 하며, 마감 시 유광, 무광을 선택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마감 상태가 미려하여야 하고, 칸막이(30)를 고정시키고 회전시키는 장치는 칸막이(30)의 중량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하고, 칸막이(30)의 중량 분포에 따른 축방향 및 축직각 방향에 대한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구조로 하고, 동작시 소음이 없도록 하며 빈번한 사용에도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밀착부재(38)(40)는 출몰장치를 이용하여 25㎜~50㎜ 정도로 움직일 수 있게 함으로써 방음 러버(116)가 돌출되면서 천정재(102)와 바닥면(124)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22은 본 고안에서 공간을 넓게 활용하고자 할 때 복수 개의 경량 칸막이(30)를 한 쪽으로 이동시켜 격납시키는 격납레일(stacking rail)(44)의 평면도이며, 도 23과 같은 다양한 형상의 분기레일(252)을 이용하여 도 25와 같은 형상의 라운드 레일(254)과 도 25와 같은 형상의 크로스 레일(256)로 제작하도록 하고, 꺽임 부분이 곡선적으로 처리되는 라운드 레일(254)은 도 26, 도 27과 같이 현수레일(36)의 일측에 곡면부(254a)를 갖는 라운드 레일(254)을 연결하여 복수 개의 경량 칸막이(30)를 직각구조로 격납하거나, 도 28, 도 29와 같이 현수레일(36)의 일측에 곡면부(254a)를 갖는 라운드 레일(254)을 평행으로 연결하여 벽(258)으로 구획된 격납실(260)에 복수 개의 경량 칸막이(30)를 평행구조로 격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꺽임 부분이 직선적으로 처리되는 크로스 레일(256)은 도 30, 도 31과 같이 현수레일(36)의 일측에 직각부(256a)를 갖는 크로스 레일(256)을 직각구조로 연결하여 복수 개의 경량 칸막이(30)를 직각구조로 격납하거나, 도 32, 도 33과 같이 현수레일(30)의 일측에 직각부(256a)를 갖는 크로스 레일(256)을 연결하여 벽(258)으로 구획된 격납실(260)에 복수 개의 경량 칸막이(30)를 평행구조로 격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칸막이(30)를 격납시킬 때 사용 하중이 크게 작용하므로 격납레일 (44)을 설치할 때 보강구조가 필요하며, 제작 및 시공할 때의 휨, 비틀림 곡면이 없도록 하고, 마감재료를 미려하게 가공하도록 한다.
또한, 사양에 따라 일측 칸막이(30)에 출입문(262)을 설치하여 출입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도 34는 그 사용 상태 정면도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서 된 본 고안은 링크(160)(162)(164)(166)가 완전히 절첩되는 경우 도 15, 도 18, 도 19와 같이 축핀(168)(170)을 연결하는 중심선(C2)이 축핀(200)(202)을 연결하는 중심선(C1)보다 안쪽에 위치하는 동작전 상태이므로, 도 5, 도 11과 같이 밀착부재(38)(40)가 상ㆍ하 골조(46)(48)의 개방홈(46a)(48a)으로 몰입되어 경량 칸막이(3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현수 상태의 경량 칸막이(30)를 밀어 이동시키면 롤러(32)(32a) (34)(34a)가 결합된 현수레일(36)을 따라 면 접촉으로 구름 운동하게 되므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경량 칸막이(30)의 측면 마구리판(226)(228)에 형성된 삽입공(234)(236)으로 핸들(154)을 삽입시켜 연결간(152)의 일측 단부와 핸들(154)의 요입홈(224)을 결합시킨 다음 핸들(154)을 도 16 처럼 반 시계방향으로 1회전 미만으로 회전시키더라도 도 15와 같이 축핀(168)(170)을 연결하는 중심선(C2)이 축핀(200)(202)을 연결하는 중심선(C1)보다 바깥쪽으로 이동하면서 스프링(146)의 탄지력에 의해 밀착부재(38)(40)가 상ㆍ하 골조(46)(48)로부터 쉽게 돌출된다.
따라서, 대칭구조로 설치된 링크(160)(162)(164)(166)에 짝힘이 작용되어 상부 슬라이드(176)와 상부 연결로드(192)는 상승하게 되고, 하부 슬라이더(178)와 하부 연결로드(194)는 하강하게 되며, 상부 밀착부재(38)는 상부골조(46)로부터 돌출하므로 도 6과 같이 러버(116)의 압착부(114)가 벌어지면서 수평부(94)(96) 또는 천정재(102)에 밀착되며, 하부 밀착부재(40)는 하부골조(48)로부터 돌출하므로 도 12와 같이 러버(122)의 압착부(120)가 벌어지면서 바닥면(124)에 밀착되므로 방음과 기밀이 달성되며, 이웃하는 경량 칸막이(30)의 양측면은 도 21과 같이 파형 절곡된 마구리판(226)(228)에 의해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연질판(230) (232)에 의해 기밀과 방음이 달성된다.
또한, 경량 칸막이(30)를 이동시키거나 접을 필요가 있어서 밀착부재(38) (40)를 몰입시키는 경우 상기 과정의 반대로 작동시키면 되며, 링크(160)(162) (164)(166)의 절첩각도가 -5°~ + 194°까지 가능하나, 밀착부재(38)(40)와 바닥면 또는 천정면과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 수°내지 수 십°에서도 밀착이 완료되며, 비 평행 출몰구조이므로 바닥면에 물구배가 형성되거나 시공불량 등의 원인으로 천정면과 바닥면이 평행하지 않더라도 밀착부재(38)(40)의 일측이 천정면이나 바닥면에 접촉되지 않고 들리는 현상이 방지되므로 기밀유지와 소음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으며, 밀착부재(38)(40)에 고정되는 러버(rubber)와 칸막이(30)의 측면에 고정되는 연질판(230)(232)은 비 금속재이고 연질이므로 바닥면과 천정면에 접촉할 때 소음이나 충격이 방지된다.
또한, 현수레일(36)의 상ㆍ하부에는 경사면(72)(76)이 형성된 지지부(74) (78)에 상ㆍ하부 롤러(32)(34)의 하부 모서리 부분이 면 접촉으로 구름 운동하게 되므로 현수레일(36)과 롤러(32)(32a)(34)(34a)의 견고한 결합력이 유지되고, 마찰저항이 자연 감소되어 경량 칸막이(30)의 원할한 이송이 달성된다.
또한, 현수레일(36)의 일측에 도 23과 같이 다양한 형상의 분기레일(252)을 이용하여 도 25와 같은 형상의 라운드 레일(254)이나 도 25와 같은 형상의 크로스 레일(256)을 주변여건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어서 복수 개의 경량 칸막이(30)를 벽(258)으로 구획된 격납실(260)이나 벽 쪽으로 이동시켜 보관할 수 있으므로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꺽임 부분이 곡선적으로 처리되는 라운드 레일(254)의 경우 도 26, 도 27과 같이 현수레일(36)의 일측에 곡면부(254a)를 갖는 라운드 레일(254)로 하거나, 도 28, 도 29와 같이 현수레일(36)의 일측에 곡면부(254a)를 갖는 라운드 레일(254)을 평행 연결하여 벽(258)으로 구획되는 격납실(260)에 복수 개의 경량 칸막이(30)를 평행하도록 격납시킬 수 있다.
또한, 꺽임 부분이 직선적으로 처리되는 크로스 레일(256)의 경우 도 30, 도 31과 같이 현수레일(36)의 일측에 직각부(256a)를 갖는 크로스 레일(256)을 직각구조로 연결하거나, 도 32, 도 33과 같이 현수레일(30)의 일측에 직각부(256a)를 갖는 크로스 레일(256)을 연결하여 벽(258)으로 구획되는 격납실(260)에 복수 개의 경량 칸막이(30)를 평행구조로 격납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회전식 링크기구를 이용하여 칸막이(30)의 상ㆍ하부 밀착부재(38)(40)를 힘 안들이고 신속 간편히 출몰시킬 수 있으며, 상ㆍ하 밀착부재(38)(40)에 고정된 러버(116)(122)에 의해 방음과 기밀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좌ㆍ우측 골조(50)(52)에 고정된 연질판(230)(232)에 의해 인접하는 경량 칸막이(30) 끼리의 방음과 기밀이 달성되며, 또한 파형 절곡된 마구리판 (226)(228)에 의해 인접하는 경량 칸막이(30) 끼리의 견고한 결합이 달성되며, 마구리판(226)(228)에 형성된 삽입공(234)(236)을 통하여 핸들(154)과 연결간(152)을 결합할 수 있으므로 연결간(152)을 1회전 미만으로 회전시켜 상ㆍ하부 밀착부재 (38)(40)를 출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현수레일(36)의 상ㆍ하부에는 경사면(72)(76)이 형성된 지지부(74) (78)에 상ㆍ하부 롤러(32)(34)의 하부 모서리 부분이 면 접촉으로 구름 운동하게 되므로 현수레일(36)과 롤러(32)(32a)(34)(34a)의 견고한 결합력이 유지되면서 마찰저항은 감소되어 원할한 이송이 달성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링크(160)(162)(164)(166)의 안쪽에 연결간(152)이 일부 삽입되는 요입부(238)(240)를 형성하여 링크(160)(162)(164)(166)가 완전히 절첩되는 경우 축핀(168)(170)을 연결하는 중심선(C2)이 축핀(200)(202)을 연결하는 중심선(C1)보다 안쪽에 위치하여 밀착부재(38)(40)가 상ㆍ하 골조(46)(48)로 몰입되고, 연결간 (152)의 회전에 의해 축핀(168)(170)을 연결하는 중심선(C2)이 축핀(200)(202)을 연결하는 중심선(C1)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는 경우 스프링(146)에 의해 밀착부재 (38)(40)가 상ㆍ하 골조(46)(48)로부터 신속히 돌출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링크(160)(162)(164)(166)의 절첩각도는 -5°~ + 194°범위로 하되 비평행구조로 출몰되므로 천정면과 바닥면이 평행하지 않더라도 밀착부재(38)(40)가 천정면과 바닥면에 밀착 접촉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밀착부재(38)(40)에 고정되는 러버(rubber)와 칸막이(30)의 측면에 고정되는 연질판(230)(232)은 연질이면서 비 금속재질이므로 접촉성 소음이나 충격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현수레일(36)의 일측에 라운드형 격납레일 또는 크로스형 격납레일이 설치되므로 복수 개의 칸막이(30)를 한 켠으로 이동시켜 보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6)

  1. 삭제
  2. 롤러(32)(34)가 결합되는 현수레일(36)과, 칸막이(30)의 상ㆍ하부에 설치된 상ㆍ하 밀착부재(38)(40)를 출몰시키는 출몰장치(42)로 구성하여서 된 이동식 경량 칸막이에 있어서; 현수레일(36)의 일측에 설치되는 격납레일은 분기레일(252)을 갖는 라운드 레일(254)이나 분기레일(252)을 갖는 크로스레일(256)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경량 칸막이의 상ㆍ하 밀착부재 출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ㆍ하 롤러(32)(32a)(34)(34a)의 축봉을 상부골조(46)의 양측에 설치한 다음 이동홈(88)을 갖는 현수레일(36)에 결합하고, 상ㆍ하부 골조(46)(50)에 러버(116)(122)가 설치된 밀착부재(38)(40)를 스프링(146)으로 설치하여 경량 칸막이(30)의 바깥 방향으로 탄력 지지되게 하고, 좌ㆍ우측 골조(50)(52)에 핸들(154)로 회전되는 연결간(152)을 축 설치하고, 연결간(152)의 양측에 회전판(156)(158)을 각각 끼워 연결간(152)과 연동되게 하고, 회전판(156) (158)의 양단에 한 쌍의 링크(160)(162)(164)(166)를 대칭구조로 축 결합하고, 링크(160)(162)(164)(166)의 단부에 슬라이드(176)(178)(180)(182)와 연결로드(192) (194)(196)(198)와 밀착부재(38)(4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 결합구(208)(210) (212)(214)를 차례로 연결하고, 좌ㆍ우측 골조(50)(52)의 바깥부분에 연질판 (230)(232)과 파형 절곡된 마구리판(226)(228)을 체결시켜 고정하고, 마구리판 (226)(228)에 삽입공(234)(236)을 형성하여 핸들(154)과 연결간(152)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경량 칸막이의 상ㆍ하 밀착부재 출몰장치.
  4. 삭제
  5. 청구항 2에 있어서: 링크(160)(162)(164)(166)의 안쪽에 연결간(152)이 일부 삽입되는 요입부(238)(240)를 형성하여 링크(160)(162)(164)(166)가 완전히 절첩되는 경우 축핀(168)(170)을 연결하는 중심선(C2)이 축핀(200)(202)을 연결하는 중심선(C1)보다 안쪽에 위치하여 밀착부재(38)(40)가 상ㆍ하 골조(46)(48)로 몰입되도록 하고, 연결간(152)의 회전에 의해 축핀(168)(170)을 연결하는 중심선(C2)이 축핀(200)(202)을 연결하는 중심선(C1)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는 경우 스프링(146)에 의해 밀착부재(38)(40)가 상ㆍ하 골조(46)(48)로부터 신속히 돌출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경량 칸막이의 상ㆍ하 밀착부재 출몰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링크(160)(162)(164)(166)의 절첩각도는 -5°~ + 194°범위로 하되 비평행 구조로 출몰되게 하여 천정면과 바닥면이 평행하지 않더라도 밀착부재(38)(40)가 천정면과 바닥면에 접촉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경량 칸막이의 상ㆍ하 밀착부재 출몰장치.
KR2019990005795U 1999-04-09 1999-04-09 이동식 경량 칸막이의 상.하 밀착부재 출몰장치 KR2002913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795U KR200291393Y1 (ko) 1999-04-09 1999-04-09 이동식 경량 칸막이의 상.하 밀착부재 출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795U KR200291393Y1 (ko) 1999-04-09 1999-04-09 이동식 경량 칸막이의 상.하 밀착부재 출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717U KR19990022717U (ko) 1999-07-05
KR200291393Y1 true KR200291393Y1 (ko) 2002-10-11

Family

ID=54755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5795U KR200291393Y1 (ko) 1999-04-09 1999-04-09 이동식 경량 칸막이의 상.하 밀착부재 출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139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5734A2 (en) * 2009-07-07 2011-01-13 Hunter Douglas Industries B.V. Front-loadable track mounting systems
KR101247572B1 (ko) 2012-01-05 2013-04-23 우성티알주식회사 자바라식 벽체 구조물
WO2022050446A1 (ko) * 2020-09-03 2022-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395058B1 (ko) * 2021-11-19 2022-05-10 주식회사 한국무빙월 측면 확장성을 구비한 무빙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7061A (ko) * 2003-01-21 2004-07-30 김헌규 파티션 조립체
KR100772149B1 (ko) * 2006-09-22 2007-10-31 주식회사 광스틸 가변 벽체 시스템
KR100950464B1 (ko) * 2007-12-17 2010-03-31 이건산업 주식회사 가변형 구조를 갖는 실내 벽체
KR101379009B1 (ko) * 2012-10-30 2014-03-27 한국과학기술원 벽체 설치 및 해체를 수행하는 로봇 시스템을 포함하는 자동화된 가변형 벽체 시스템, 그리고 벽체 설치 방법 및 해체 방법
KR102423243B1 (ko) * 2022-05-02 2022-07-19 황정연 무빙월용 구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어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5734A2 (en) * 2009-07-07 2011-01-13 Hunter Douglas Industries B.V. Front-loadable track mounting systems
WO2011005734A3 (en) * 2009-07-07 2011-04-21 Hunter Douglas Industries B.V. Front-loadable track mounting systems
KR101247572B1 (ko) 2012-01-05 2013-04-23 우성티알주식회사 자바라식 벽체 구조물
WO2022050446A1 (ko) * 2020-09-03 2022-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395058B1 (ko) * 2021-11-19 2022-05-10 주식회사 한국무빙월 측면 확장성을 구비한 무빙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717U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74741A (en) Assemblable and disassemblable partition
US3381438A (en) Reusable wall system
US8151533B2 (en) Wall panel system
JP7411740B2 (ja) モジュラ構造およびモジュラ構造建物のためのフレーム、基本フレームワーク、モジュール、プロファイル、および建造物要素のセット
US5566519A (en) Prefabricated panel for buildings and constructions and system for its coupling and assembly
KR200291393Y1 (ko) 이동식 경량 칸막이의 상.하 밀착부재 출몰장치
JP2009529108A (ja) 防火壁構造体
KR20130045993A (ko) 조립식 건축물의 벽체용 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1826888B1 (ko)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지지바 및 이를 구비한 건물구조체
US3800489A (en) Modular wall construction
US1420473A (en) Partition for buildings
KR100628879B1 (ko) 조립식 건물의 벽체구조
US3626649A (en) Prefabricated house
KR102562436B1 (ko) 내구성과 품질안정성이 개선된 내화 칸막이 벽체
CA2953192C (en) A modular building system and a method of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to construct such building system
JP2003206583A (ja) 出窓付壁面パネル体および壁面構造体
KR200459774Y1 (ko) 건축용 조립 판넬의 연결구조
JP2021193259A (ja) 仮設構造物
RU2729765C1 (ru) Способ монтажа стеновых панелей внутренней отделки помещений
JPH1072865A (ja) 面ファスナ利用建物構造
KR950009610B1 (ko) 조립식 벽체구조물용 패널과 그 시공방법
KR102012030B1 (ko) 미닫이문의 고정틀과 가동틀의 단열구조
KR20020036690A (ko) 내차판넬
KR200159613Y1 (ko) 조립식 벽체
SU1257147A1 (ru) Объемный блок здан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