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1315Y1 - 광학장치의 유동 미러유닛 - Google Patents

광학장치의 유동 미러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315Y1
KR200291315Y1 KR2020020019825U KR20020019825U KR200291315Y1 KR 200291315 Y1 KR200291315 Y1 KR 200291315Y1 KR 2020020019825 U KR2020020019825 U KR 2020020019825U KR 20020019825 U KR20020019825 U KR 20020019825U KR 200291315 Y1 KR200291315 Y1 KR 2002913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direction
bracket
mirror
support fram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98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관흥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198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13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3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315Y1/ko

Links

Landscapes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에 의한 광학장치의 유동 미러유닛은, 광학장치의 본체에 설치되는 고정블록(110); 고정블록(110)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프레임(120); 지지프레임(120)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미러조립체(130); 미러조립체(130)의 조명 반사각을 X축 방향으로 조정하는 X축 방향 조정수단; 미러조립체(130)의 조명 반사각을 Y축 방향으로 조정하는 Y축 방향 조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미러조립체(130)에 의해 투사면으로 반사된 조명과 광이미지의 이탈을 X축 방향 조정수단과 Y축 방향 조정수단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보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학장치의 유동 미러유닛 { Movable mirror unit for optical apparatus }
본 고안은 광학장치의 미러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의 반사각을 용이하게 변화시켜 스크린에 투사된 광이미지의 밝기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조명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광학장치의 유동 미러유닛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 조명을 광이미지에 덮어 씌어 화면(이미지)이 밝게 보이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이미지를 투사시켜 스크린 등의 투사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광학장치는 광학엔진에서 출사된 광이미지를 반사시켜 투사면으로 투사시키기 위한 반사 미러를 구비한다.
도 1은 상기와 같은 반사 미러를 갖는 광학장치의 일 예로서 프로젝션 텔레비젼(Projection television)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션 텔레비젼은 스크린(2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 본체 케이스(10)와, 본체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된 광학엔진(30)과, 제 1 및 제 2 반사 미러(40)(50)를 포함한다.
상기 광학엔진(30)과, 제 1 및 제 2 반사 미러(40)(50)는 본체 케이스(10)의 내부에 유동이 없도록 고정되며, 광학엔진(30)에서 생성되고 출사된 광이미지는 제 1 반사 미러(40)에서 반사되어 제 2 반사 미러(50)로 투사된다. 그리고, 제 2 반사 미러(50)에 투사된 광이미지는 스크린(20)으로 반사되어 스크린(20)에는 반사 광이미지가 결상된다. 이때, 광학엔진(30) 내에 설치된 조명 조정 장치를 통해 광원에서 출사된 조명을 광이미지와 동일한 경로인 제 1 반사 미러(40)와 제 2 반사 미러(50)를 통해 스크린(20)에 동시에 투사시킨다.
이러한 프로젝션 텔레비젼은 광학엔진(30) 내의 조명 조정 장치에서 출사된 조명이 스크린(30)에 투사된 광이미지와 서로 이탈되지 않고 스크린(30) 전면에 일정하게 결상되도록 하기 위해 조명과 광이미지의 출사경로가 일정하게 서로 유기적으로 유지되어야 하며, 따라서, 광학엔진(30), 제 1 및 제 2 반사 미러(40)(50)가 출사경로 상의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어야 하며 조명계 또한 그렇다.
한편, 프로젝션 텔레비젼 조립 혹은 사용 중에 진동 또는 외력에 의하여 광원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광학 부품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20) 상에는 반사 광이미지(I)가 이탈되어 결상된다. 이러한, 반사 광이미지(I)의 이탈 현상은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제조시에도 조립공차의 발생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이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광학엔진(30) 내에 있는 조명 조정 미러의 위치를 재조정해 주거나 혹은 제 1 반사 미러(40) 또는 제 2 반사 미러(50)의 위치를 재조정해 주어야한다.
그러나, 광학엔진(30), 제 1 및 제 2 반사 미러(40)(50)는 본체 케이스(10) 내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리고 광학엔진(30), 제 1 및 제 2 반사 미러(40)(50)를 조정할 경우 광이미지 전체가 흐트러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광이미지 출사경로 상의 구성부품의 위치를 재조정하여 반사 조명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명과 광이미지가 서로 투사면에서 이탈되지 않고 정확한 위치에 결상되어 화면(이미지)의 밝기를 최적화 할 수 있도록 조명광의 출사경로 상의 미러의 반사각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광학장치의 유동 미러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광학장치의 일 예로서의 프로젝션 텔레비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 투사면에 대한 조명의 이탈이 발생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광학장치의 유동 미러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리 사시도, 그리고,
도 4는 도 3의 조립 상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유동 미러유닛 110;고정블록
111;고정레버 112;고정축
120;지지프레임 121;제 1 브라켓
122;제 2 브라켓 123;제 3 브라켓
124;제 4 브라켓 125,126;제 1, 2 나사공
128,129; 제 1, 2 결합홀 130;미러조립체
140;X축 방향 조정축 141,161;수나사부
142,162;다이얼부 150;유동레버
151;결합축 160;Y축 방향 조정축
170;제 1 스프링 180;제 2 스프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광학장치의 유동 미러유닛은, 광학장치의 본체에 설치되는 고정블록; 상기 고정블록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미러조립체; 상기 미러조립체의 광이미지 반사각을 X축 방향으로 조정하는 X축 방향 조정수단; 상기 미러조립체의 광이미지 반사각을 Y축 방향으로 조정하는 Y축 방향 조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X축 방향 조정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 제 1 및 제 2 브라켓; 상기 제 1 및 제 2 브라켓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고정블록에서 돌출된 고정레버; 상기 제 1 브라켓에 형성된 제 1 나사공; 그 일단이 상기 고정레버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나사공을 통해 상기 제 1 브라켓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X축 방향 조정축; 및 상기 제 2 브라켓과 상기 고정레버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미러조립체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형성된 결합홀에 삽입되는 회전축을 구비하며, 상기 Y축 방향 조정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 제 3 및 제 4 브라켓;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는 결합축을 구비하며, 일단이 상기 제 3 및 제 4 브라켓 사이에 위치되는 유동레버; 상기 제 3 브라켓에 형성된 제 2 나사공; 그 일단이 상기 유동레버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나사공을 통해 상기 제 3 브라켓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Y축 방향 조정축; 및 상기 제 4 브라켓과 상기 유동레버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미러조립체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된 결합공에 삽입되는 회전축이 설치된 미러홀더와, 이 미러홀더에 설치되는 반사미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광학장치의 유동 미러유닛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본 고안에 의한 유동 미러유닛은 앞에서 도시되고 설명된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광학엔진(30) 내에 설치된 것으로 한다.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광학장치의 유동 미러유닛(100)은, 고정블록(110)과, 지지프레임(120)과, 미러조립체(130)와, X축 방향 조정축(140)과, 유동레버(150) 및 Y축 방향 조정축(16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블록(110)은 본체 케이스(10;도 1참조)에 고정되며, 고정레버(111) 및 고정축(112)을 구비한다. 고정레버(111)의 일측에는 고정돌기(113)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20)은 상기 고정축(113)에 Y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결합된다. 지지프레임(120)의 일측에는 제 1 브라켓(121) 및 제 2 브라켓(122)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제 1 브라켓(121)과 제 2 브라켓(122) 사이에는 고정레버(111)가 위치된다. 또한, 지지프레임(120)의 다른 일측에는 제 3 브라켓(123) 및 제 4 브라켓(124)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 1 및 제 3 브라켓(121)(123)에는 제 1 및 제 2 나사공(125)(126)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2 및 제 4 브라켓(122)(124)에는 각각 고정돌기(127)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20)이 고정블록(110)에 결합되면, 고정레버(111)에 구비된 고정돌기(113)와 제 2 브라켓(122)에 구비된 고정돌기(127)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가 된다. 그리고, 이 두 고정돌기(114)(127) 사이에는 제 1 스프링(170)이 개재되어 고정레버(111)와 제 2 브라켓(122) 사이에 반발력이 작용되도록 한다.
상기 미러조립체(130)는 반사미러(131)와, 반사미러(131)의 테두리를 감싸는 미러홀더(132)를 구비한다. 미러홀더(132)는 상기 지지프레임(120)에 대향되도록 형성된 제 1 및 제 2 결합홀(128)(129)에 대응되는 한 쌍의 회전축(133)을 갖는다. 이 회전축(133)이 제 1 및 제 2 결합홀(128)(129)에 삽입되어 지지됨으로써, 미러조립체(120)는 X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X축 방향 조정축(140)은 수나사부(141)를 가지며, 제 1 나사공(125)을 통해 제 1 브라켓(121)을 관통하여 고정레버(111)에 접하게 된다. 따라서, X축 방향 조정축(140)은 고정레버(111)를 제 1 브라켓(121) 측으로 가압하는 제 1 스프링(170)의 탄성 가압력에 반대되는 가압력을 고정레버(111)에 가한다. 또한,X축 방향 조정축(140)에는 조작의 편리성을 위한 다이얼부(142)가 설치된다.
상기 유동레버(150)는 삽입공(152)이 구비된 결합축(151)을 갖는다. 이 결합축(151)이 지지프레임(120)의 제 2 결합공(129)에 삽입됨으로써, 유동레버(150)는 지지프레임(120)에 X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때, 그 일단은 제 3 및 제 4 브라켓(123)(124) 사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유동레버(150)에는 상기 제 4 브라켓(124)에 구비된 고정돌기(미도시)에 대응되는 고정돌기(153)가 구비되며, 이들 고정돌기(153) 사이에는 제 2 스프링(180)이 설치되어 유동레버(150)와 제 4 브라켓(124) 사이에 반발력이 작용되도록 한다. 또한, 유동레버(150)의 결합축(151)에 형성된 삽입공(152)에는 상기 미러홀더(132)의 한 쪽 회전축(133)이 억지끼워맞춤되도록 결합됨으로써, 유동레버(150)와 미러조립체(130)는 일체로 유동된다.
상기 Y축 방향 조정축(160)은 상기 X축 방향 조정축(140)과 구성 및 작용이 유사한 것으로, 수나사부(162)를 가지며, 제 2 나사공(126)을 통해 제 3 브라켓(123)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Y축 방향 조정축(160)은 유동레버(150)를 제 3 브라켓(123) 측으로 가압하는 제 2 스프링(180)의 탄성 가압력에 반대되는 가압력을 유동레버(150)에 가한다. 또한, Y축 방향 조정축(160)에는 조작의 편리성을 위한 다이얼부(142)가 설치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광학장치의 유동 미러유닛(10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광학장치의 광이미지와 조명의 출사경로의 어긋남이 발생되어 투사면에 대한 반사 광이미지의 어두운 면이 발생된 경우, 사용자는 유동 미러유닛(100)의 X축 방향 조정축(140) 또는 Y축 방향 조정축(160)을 조작하여 반사 조명의 이탈을 바로 잡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반사 조명(I)의 이탈을 바로 잡기 위해 사용자가 X축 방향 조정축(140)의 다이얼부(142)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X축 방향 조정축(140)의 일단이 제 1 스프링(170)의 탄성 반발력을 이기고 고정레버(111)를 밀게 되며, 이때, 제 1 브라켓(121)과 고정레버(111)의 간격은 벌어지고, 반대로, 제 2 브라켓(122)과 고정레버(111)의 간격은 좁아진다. 따라서, 지지프레임(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축 상의 고정축(112)을 중심으로 A방향으로 회전되어 결과적으로, 반사 조명(I)은 도 2에서 C방향으로 이동되어 반사 조명(I)의 X축 방향 이탈이 보정된다. 또한, Y축 방향 조정축(160)의 다이얼부(162)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Y축 방향 조정축(160)이 제 3 브라켓(123)에 대해 상승되며, 이때, 제 2 스프링(190)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제 4 브라켓(124)과 유동레버(150) 사이의 간격은 벌어지고, 반대로, 제 3 브라켓(123)과 유동레버(150) 사이의 간격은 좁아진다. 따라서, 유동레버(150)는 B방향으로 회전되고, 유동레버(150)와 결합된 미러조립체(130) 역시 X축 상의 회전축(133)을 중심으로 B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투사된 반사 조명(I)은 도 2에서의 D방향으로 이동되어 투사면에 대한 반사 조명(I)의 Y축 방향 이탈이 보정된다.
한편, X축 방향 조정축(140)과 Y축 방향 조정축(160)의 회전 방향을 조정하여 상기 C방향 또는 D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반사 조명(I)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X축 방향 조정축(140)을 이용하여 지지프레임(120)을 Y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조명의 반사각을 X축 방향으로 변화시킴으로써 투사면의 광이미지에대해 조명의 X축 방향 이탈을 보정하고, Y축 방향 조정축(160)을 이용하여 미러조립체(130)을 X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조명의 반사각을 Y축 방향으로 변화시킴으로써 투사면의 광이미지에 대한 Y축 방향 이탈을 보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미러조립체를 X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미러조립체의 반사 조명을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 방향 조정축과, 지지프레임을 Y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미러조립체의 반사 조명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 방향 조정축을 이용해서 투사면 광이미지에 대한 반사 조명의 이탈을 간단하게 보정할 수 있다. 따라서, 광학장치 제조시 광이미지 출사경로 상의 구성부품의 조립공차 발생이나, 진동 또는 외력에 의한 위치 변경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광이미지와 조명간 결상의 문제점을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광학장치의 본체에 설치되는 고정블록;
    상기 고정블록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미러조립체;
    상기 미러조립체의 조명 반사각을 X축 방향으로 조정하는 X축 방향 조정수단; 및
    상기 미러조립체의 조명 반사각을 Y축 방향으로 조정하는 Y축 방향 조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의 유동 미러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X축 방향 조정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 제 1 및 제 2 브라켓;
    상기 제 1 및 제 2 브라켓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고정블록에서 돌출된 고정레버;
    상기 제 1 브라켓에 형성된 제 1 나사공;
    그 일단이 상기 고정레버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나사공을 통해 상기 제 1 브라켓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X축 방향 조정축; 및
    상기 제 2 브라켓과 상기 고정레버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의 유동 미러유닛.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조립체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형성된 결합홀에 삽입되는 회전축을구비하며,
    상기 Y축 방향 조정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 제 3 및 제 4 브라켓;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는 결합축을 구비하며, 일단이 상기 제 3 및 제 4 브라켓 사이에 위치되는 유동레버;
    상기 제 3 브라켓에 형성된 제 2 나사공;
    그 일단이 상기 유동레버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나사공을 통해 상기 제 3 브라켓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Y축 방향 조정축; 및
    상기 제 4 브라켓과 상기 유동레버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의 유동 미러유닛.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조립체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된 결합공에 삽입되는 회전축이 설치된 미러홀더와, 이 미러홀더에 설치되는 반사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의 유동 미러유닛.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조립체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된 결합공에 삽입되는 회전축이 설치된 미러홀더와, 이 미러홀더에 설치되는 반사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광학장치의 유동 미러유닛.
KR2020020019825U 2002-07-02 2002-07-02 광학장치의 유동 미러유닛 KR2002913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825U KR200291315Y1 (ko) 2002-07-02 2002-07-02 광학장치의 유동 미러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825U KR200291315Y1 (ko) 2002-07-02 2002-07-02 광학장치의 유동 미러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1315Y1 true KR200291315Y1 (ko) 2002-10-11

Family

ID=73125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825U KR200291315Y1 (ko) 2002-07-02 2002-07-02 광학장치의 유동 미러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13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755B1 (ko) 2006-07-28 2008-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빔위치 조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젝션 티브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755B1 (ko) 2006-07-28 2008-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빔위치 조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젝션 티브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46499B2 (ja) 投射レンズ及びプロジェクタ
US6877862B2 (en) Projector
JP2011186434A (ja) 画像投写装置
USRE42270E1 (en) Lens shift mechanism and projection type video display
US6469839B2 (en) Projector apparatus
JP3538128B2 (ja) 投写装置
KR100481508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광학엔진
KR200291315Y1 (ko) 광학장치의 유동 미러유닛
JP2003315917A (ja) レンズシフト機構及び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4624449B2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3963934B2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3889764B2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KR100203858B1 (ko) 화상투사기의 투사각 조절장치
JP3889771B2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4204622B2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5609687B2 (ja) 投射型表示装置
JP2008152277A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H11282377A (ja) ヒンジ部材及び該ヒンジ部材を用いた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8129271A (ja) リアプロジェクタ
KR100219649B1 (ko) 프로젝터의 투사렌즈계 광축 조정장치
JP3963933B2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KR100236906B1 (ko) 색합성프리즘에 액정이 부착된 lcd 프로젝터
KR100252161B1 (ko) 비디오 카메라
KR100243150B1 (ko) 프로젝터의광축조정가변형투사렌즈장치
JP3529376B2 (ja) ファインダ視野枠切換え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