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1077Y1 - 폐수처리용 오존 및 음이온 가스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폐수처리용 오존 및 음이온 가스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077Y1
KR200291077Y1 KR20020017962U KR20020017962U KR200291077Y1 KR 200291077 Y1 KR200291077 Y1 KR 200291077Y1 KR 20020017962 U KR20020017962 U KR 20020017962U KR 20020017962 U KR20020017962 U KR 20020017962U KR 200291077 Y1 KR200291077 Y1 KR 2002910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anion
gas
tube
anion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200179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열
Original Assignee
동아정밀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정밀공업(주) filed Critical 동아정밀공업(주)
Priority to KR200200179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10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0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077Y1/ko

Links

Landscapes

  • Oxygen, Ozone, And Oxides In General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수의 분해작용이 빨리 일어나도록 혼합되는 오존 및 음이온가스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 유입구를 갖고 타측에 오존과 음이온화 가스 배출구가 형성된 함체형 케이스와, 상기 공기 유입구에 설치되어 공기 여과와 생성된 가스 역유출을 방지토록 하는 필터와, 상기 함체형 케이스 내부 상하부 격벽에 다수 형성된 통공과, 상기 격벽 통공에 다수 설치되어 고전압 무성방전에 의하여 음이온 가스를 생성시키는 음이온 가스 발생관과, 상기 음이온 가스 발생관이 설치되는 함체형 케이스의 내부가 다수의 공간부로 이루어진 오존 및 음이온 발생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렇게 된 본 고안은 폐수를 분해 촉진시킬 수 있도록 고농도의 오존과 음이온가스를 발생시켜 폐수를 짧은 시간에 정화할 수 있도록 하고, 폐수정화시 발생되는 2차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안된 폐수처리용 프리즈마 발생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폐수처리용 오존 및 음이온 가스 발생장치{The equipment occurrence aniongas and ozone use disposal wastewater}
본 고안은 폐수처리시 오존 및 음이온가스를 혼합하여 폐수의 분해작용이 빨리 일어나도록 하는 오존 및 음이온 가스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유리관 또는 버려지는 폐형관등에 스텐레스관을 7∼13㎜ 격되도록 권선한 후 +,- 전원을 인가시켜 고농도의 오존과 음이온이 발생되도록 하여 폐수를 짧은 시간에 정화할 수 있도록 하고, 폐수정화시 발생되는 2차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안된 고 전압 방전을 이용한 폐수처리용 오존 및 음이온가스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폐수처리 장치는 배출수가 유입 담수되도록 된 저장조와 저장조에 담수된 배출수와 응집제를 혼합하는 홀딩조와 상기 홀딩조에서 응집제와 혼합된 후 응집된 슬러지는 침전시켜 바닥 일측에 설치된 배수구를 통하여 슬러지를 배출시켜 별도의 처리장치에서 케이크화 처리하고 침전조의 상등수는 담은 탱크로 보내져 약품 처리된 후 방류시키는 방법으로 폐수가 처리되고 있다. 이렇게 처리되는 폐수장치는 여려단계를 거쳐 폐수를 정화하고 있으나 이러한 처리장치는 그 설비가 방대하여 설비 투자가 막대하게 지출될 뿐만 아니라 폐수를 분해시키지 못하고 폐수내의 슬러지를 응고시켜 케익화 처리하여 매립 또는 소각하게 되는데 이때 매립시에는 토양의 황폐화와 침출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소각을 할 경우에는 대기오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기존에도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1 및 도2a,도2b와 같은 "고전압 방전을 이용한 이온화가스 발생장치" 있었으나, 이는 유리관(160)내부에 스텐레스봉(180a)단자를 삽입하고 상단부가 유리관 상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제1 전극부를 이룬다. 또한 스텐레스 외관(180b) 외면 상단과 하단에는 다수의 공기 유입공(203)과 공기 방출공(204)을 갖는 고정 부전도체(200)와 받침 부전도체(201)를 끼워 유리관(160)이 스텐레스 외관(180b)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이온화가스 발생관(150)을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음이온화가스 발생장치는 하우징 상부의 공기 유입구(120)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제1 공간부(101)에서 모아져 각각의 이온화 가스 발생관(150)상부의 고정부전도체(200)에 다수 형성된 공기 유입공(203)을 통하여 스텐레스 외관(180b)과 유리관(160)사이의 공간부를 지나면서 고 전압 전기의 방전에 의한 아크가 발생되면서 이온화가스가 생성되어 제3 공간부(103)로 집결한 다음 배출구(120)를 통하여 토출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제2 공간부 측벽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이온화 가스 발생관에서 고전압 방전이 이루어질 때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온화가스발생장치의 가스생성도를 간략히 살펴보면 외기의 공기가 하우징 상부의 공기유입구(203)로 들어와 제1공간부에 모아진 후 고정부전도체(200)의 공기 유입공(203) 통하여 유리관(160)과 스텐레스 외관(180b) 사이를 지나 받침 부전도체(201)의 방출공(204)으로 분출된 다음 제3 공간부에서 하우징 저부에 구비된 배출구 토출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이러한 방식의 이온화가스발생장치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유입된 공기가 고정 부전도체(200)의 작은 유입공을 통하여 인입된 후 이온화가스로 생성된 후 받침 부전도체(201)의 방출공으로 유출된 후 제3공간부에서 모아지도록 함으로 이온화가스 토출시 별도의 송풍팬(400)을 구비시켜 불어주도록 해야하며, 둘째, 유리관 내부에 스텐레스 내관을 끼우고 유리관 외면에는 스텐레스 외관을 위치시켜 아크방전을 유도함으로 열의 발생이 심하며, 셋째, 공기를 불러주기 위한 송풍팬(400)을 구동시키기 위해 별도의 에너지가 소모되며, 넷째, 이온화가스발생장치의 구조가 복잡한 반면에 가스발생이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간단한 설비로 오존과 음이온(프리즈마)을 생성시켜 폐수를 정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 폐수처리의 효율을 높이고 폐수처리시 2차 환경오염을 방지토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갖는 본 고안은 일측에 공기 유입구를 갖고 타측에 오존과 음이온화 가스 배출구가 형성된 함체형 케이스와, 상기 공기 유입구에 설치되어 공기 여과와 생성된 가스 역유출을 방지토록 하는 필터와, 상기 함체형 케이스 내부 상하부에 설치되는 격벽과, 상기 격벽 사이에 다수 설치되어 고전압 무성방전에 의하여 음이온 가스를 생성시키는 음이온 가스 발생관과, 상기 음이온 가스 발생관이설치되는 함체형 케이스의 내부가 다수의 공간부로 이루어진 오존 및 음이온 발생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음이온발생 장치 단면 구성도.
도2a는 종래의 음이온 발생장치 내에 설치되는 음이온발생관의 단면 구성도.
도2b는 종래의 음이온발생관 상부에 설치되는 부전도체 하우징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음이온 발생장치 단면 구성도.
도4는 본 고안의 음이온발생 유전관 구성도.
도5a는 본 고안의 음이온발생 유전관 일부발취 종단면 구성도.
도5b는 본 고안의 음이온 발생 유전관 횡단면 구성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음이온발생장치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오존 및 음이온 발생장치 10'케이스
11:공기 유입구 12:가스 배출기
13:필터 14,14':요홈
15:오존 및 음이온가스 발생관 16:유리관
17:부전도체 스틱 18:스텐레스관
19:고정캡 20,20a,20b:공간부
21:트랜스 22:지지캡
23:통공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측에 공기 유입구(11)를 갖고 타측에 오존과 음이온화 가스 배출구(12)가 형성된 함체형 케이스(10')와;
상기 함체형 케이스(10')의 내부에 상중하로 구비된 공간부(20)(20a)(20b)와;
상기 공기 유입구(11)에 설치되어 공기 여과와 생성된 가스 역유출을 방지토록 하는 필터(13)와;
상기 공간부(20)(20a)(20b)을 구획하는 격벽(14)(14')에 다수 형성된 통공(23)과;
상기 통공(23)에 설치되어 고전압 무성방전에 의하여 오존 및 음이온 가스를 생성시키는 음이온 가스 발생관(1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을 한다.
상기 음이온 가스 발생관(15)은 유리관(16)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아르곤가스가 충입 밀봉되며 일측에 +(플러스) 전원단자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이온 가스 발생관(15)은 유리관 외면에 두께 7∼13㎜의 부전도체 스틱(17)을 대응하고 -전원이 연결된 스텐레스 관(18)으로 권선하여 무성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이온 가스 발생관(15)상하단에 고정캡(19)을 구비시켜 함체형 케이스(10') 내부 상하면의 격벽(14)(14') 통공(23)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서, 음이온 가스 발생관(15)의 유리관(16)을 폐형광등으로 하고 외면에 스텐레스관(18)을 권선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트랜스(21)일측단자에 전원 220V를 연결하고 대응되는 타측 +,- 단자에는 상기 음이온 가스 발생관(15) 상단의 +단자와 스텐레스관의 -단자를 트렌스(21)에 연결되도록 도3과 같이 전선을 접속한 것이다.
즉, 상기 음이온 가스 발생관(15)의 유리관 일측단에 형성된 +단자는 트랜스(21) +전원과 연결하고, 권선된 스텐레스관(18)의 -단자는 트랜스(21)의 -단자에 연결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음이온 가스 발생관(15)의 유리관 외면에 권선 되는 스텐레스 관(18)의 이격거리를 7㎜∼13㎜로 한정하는 것은 + 전원과 - 전원의 무성방전이 이루어지는 최적 거리로서 7㎜이하로 이격되면 스텐레스관의 열발생이 심하게 이루어지고 13㎜이상 이격될 경우에는 무성방전이 극히 미약하거나 발생되므로 오존과 음이온이 혼성된 가스를 생성이 미약하게 이루어지므로 부전도체 스틱(17)을 7㎜∼13㎜의 두께가 되도록 하여 스텐레스관(18)을 권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텐레스관(18)의 직경은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3∼7㎜의 직경관을 사용한 것이며, 스프링과 같이 약간의 탄성을 갖는다.
상기 무성방전이란 트랜스를 통하여 인가되는 +, -전원이 아크에 의하여 방전이 되는 것이 아니라 형광등 빛과 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방전에 의하여 오존을 함유한 음이온가스가 생성된다.
즉, 무성방전식은 통상의 방식으로서, 고전압 전극과 접지전극 사이에 유리나 세라믹 재질의 절연체를 끼워 교류고전압(6,000-18,000V)을 인가하면서 이 간극 사이에 산소를 함유한 기체를 통과시켜 오존이 함유된 음이온 가스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에너지 소비가 가장 적고 대용량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오존 및 음이온가스의 생성은 함체형 케이스(10') 일측면에 다수 형성된 공기 유입구(11)를 통하여 외기의 공기가 격벽(14)의 통공(23)으로 유입되어 공간부(20a)에 위치한 음이온가스발생관(15)과 접촉함으로 유리관과 스텐레스관(18)사이에서 온존을 함유한 고농도의 음이온 가스가 발생된다.
이와 같이 발생된 가스는 케이스(10') 내의 공간부(20a)에서 발생되어 하단 공간부(20b)에 충만된 후 일측 배출구(12)를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 함체형의 케이스(10') 하단에 구비된 배출구(12)는 폐수처리장치의 후처리단계인 폐수분해처리조(30)의 폐수유입 배관(31)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생성된 오존과 음이온 가스(프리즈마)는 배출구(12)를 통하여 폐수처리 시스템에서 전 처리 과정을 거친 폐수가 후처리공정을 거치기 위해 이동되는 배관과 연결된 상태이므로 폐수가 이동되는 유속에 의하여 일측에 연결된 음이온가스발생기(10)에서 나오는 가스가 사이폰 현상에 의해 폐수이동 배관(31)으로 흡입되어 폐수분해조로 유입되어 폐수를 분해 및 탈색 할 수 있게된다.
상기 음이온가스가 폐수를 분해 및 탈색시 폐수처리조(30)는 폐수가 담수된 상태가 아니고 스프링과 같이 관이 서려진 상태로서, 이의 관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분사노즐이 설치되어 폐수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분해가 신속하게 이루어져 처리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즉, 폐수는 오존 및 음이온가스(프리즈마)와 혼합된 상태에서 다수의 분사노즐을 반복적으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폐수가 미세하게 분해되므로 프리즈마 효능를 더욱 촉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폐수에 혼합된 오존과 음이온가스는 서서히 물에 녹아 분해되는 과정에서 폐수를 극히 미분자까지 분해하고 탈색시키게 되므로 깨끗한 물로 정화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서, 음이온 가스 발생관(15)의 유리관을 폐형광등으로 하고 외면에 부전도체 스틱(17) 대응한 후 외면을 스텐레스관(18)으로 권선 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로 사용되는 형광등은 새것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사용후 버려지는 폐 형광등을 수거하여 설치하는 것이 재활용 차원에서 바람직하다.
따라서 통상의 형광등을 살펴보면, 유리관의 내벽에 형광물질을 칠하고, 양쪽에 텅스텐의 이중 또는 삼중 전극을 넣고 그 속에 열전자를 방출하는 이미터(emitter)를 충전한다.
이때 이미터는 전자방사를 왕성하게 하기 위하여 바륨 등의 산화물(酸化物)이 사용된다.
상기 형광등의 유리관 내는 진공으로 한 후, 소량의 수은과 아르곤 가스를 봉입한다.
또한 점등을 자동적으로 쉽게 하기 위하여 점등관(點燈管:glow lamp)을 사용한다.
형광등은 방전등의 성격상, 방전이 시작되면 관전류(管電流)가 점점 증가하여 전극을 파괴하여 버리므로, 전류를 어느 값 이하로 제한하기 위하여 초크코일 등의 안정기를 사용한다. 점등에 있어서는 먼저 점등관의 바이메탈 전극이 발열하여 쌍전극에 접촉한다.
이때 형광등에는 정상의 2배 가까운 전류가 흘러 코일이 예열(豫熱)된다. 예열에 의하여 이미터로부터 열전자가 방출되고, 방전에 의하여 포화증기가 된 수은증기에 작용하여 자외선을 발생한다. 자외선은 관벽의 형광물질에 의해 가시광선이 된다. 본 고안은 형광등의 이러한 구조에 착안하여 형광등 일측 단자에 + 전원을 인가하면 양쪽 내부에 텅스텐의 이중 또는 삼중 전극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속에서 열전자를 방출하는 이미터(emitter)를 충전하게 된다.
따라서 형광등은 방전등의 성격상, 방전이 시작되면 관전류(管電流)가 점점 증가하게 되고 이의 전류가 흘러 코일이 예열(豫熱)되므로 이미터로부터 열전자가 방출된다.
상기 형광등은 폐형광등을 사용하더라도 조명효과만 없을 뿐 무성방전이 이루어지도록하는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또한 본 고안의 오존 및 음이온가스발생장치(10)의 공간부(20a)의격벽(14)(14')사이에 설치되는 음이온가스 발생관(15) 상하단에는 부전도체로 이루어진 고정캡(19)이 씌워지고 이의 고정캡(19)은 격벽(14)(14')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23)일부분에 끼워져 볼트로 고정된다.
상기 격벽(14)(14')에 다수 형성된 통공(23)은 중앙부에 음이온가스 발생관(15)이 설치되고 나머지 통공은 공기 유입 통로 또는 샐성된 가스 배출 통로로 사용된다.
상기 음이온가스 발생관(15)의 밀봉된 유리관(16) 또는 폐형광등 상단에 형성된 +단자와 접속된 전선과 스텐레스관(15)의 -단자와 접속된 전선은 함체형 케이스(10') 천장부 속에 형성된 홀에 배선되어 트랜스(21)전원과 연결된 상태이다.
본 고안의 케이스(10') 일측에 구비된 공기 유입구(11)에는 공기를 여과할 수 있도록 된 필터(13)가 중앙부가 공간으로 형성된 뚜껑형태의 지지부재(22)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필터(13)는 공간부(20)에 충만된 오존 및 음이온가스가 공기 유입구(11)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병행하게 된다.
상기 음이온가스 발생관(15)의 유리관내의 + 전원과 스텐레스의 - 전원에는 6,000-18,000V의 고전압이 인가되며, 이과정에서 유리관과 스텐레스관 사이에서는 무성방전이 이루어져 음이온가스가 발생된다.
상기 케이스(10')내의 음이온가스 발생관(15)의 무성방전에 의하여 오존 및 음이온 가스를 생성시 발생되는 스텐레스관(18)의 열은 음이온가스와 함께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된다.
또한 본 고안의 케이스(10')상단에 구비된 공기 유입구(11)는 다수의 유입구를 형성하되 그 형태는 독립적으로 다수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오존 및 음이온발생기(10)는 케이스(10') 내부에 하나의 공간부(20)만을 형성함으로 별도의 송풍 팬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폐수 배관의 유속에 의하여 공간부의 오존 및 음이온가스가 사이폰현상에 의하여 빨려 들어가게 폐수를 분해 및 탈색시킬 수 있게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오존과 음이온가스를 생성시켜 폐수에 침투시켜서 폐수의 고분자 화합물이 분해 및 탈색되도록 함으로서 폐수의 정화 효과를 향상시키고, 장치의 제조 비용 및 폐수의 처리비용을 크게 절감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폐 형광등을 사용함으로서 산업사회가 발달함과 함께 엄청나게 발생되는 폐형광등을 재활용함으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오존과 음이온을 발생시켜 폐수를 정화하게 됨으로 폐수처리시 발생되는 2차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동시에 저렴하고 간단한 설비로 많은 양의 폐수를 처리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5)

  1. 전기 방전을 이용하여 이온화 가스를 발생시켜 폐수를 처리할 수 있도록 된 폐수처리용 오존 및 음이온가스 발생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공기 유입구(11)를 갖고 타측에 오존과 음이온화 가스 배출구(12)가 형성된 함체형 케이스(10')와;
    상기 함체형 케이스(10')의 내부에 상중하로 구비된 공간부(20)(20a)(20b)와;
    상기 공기 유입구(11)에 설치되어 공기 여과와 생성된 가스 역유출을 방지토록 하는 필터(13)와;
    상기 공간부(20)(20a)(20b)을 구획하는 격벽(14)(14')에 다수 형성된 통공(23)과;
    상기 통공(23)에 설치되어 고전압 무성방전에 의하여 오존 및 음이온 가스를 생성시키는 음이온 가스 발생관(1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 하는 폐수처리용 오존 및 음이온가스 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가스 발생관(15)은, 유리관(16)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아르곤가스가 충입 밀봉되어 일측에 +(플러스) 전원단자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용 오존 및 음이온가스 발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가스 발생관(15)은, 유리관 외면에 두께 7∼13㎜의 부전도체 스틱(17)을 대응하고 -전원이 연결된 스텐레스 관(18)으로 권선하여 무성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용 오존 및 음이온가스 발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가스 발생관(15)은, 상하단에 고정캡(19)을 구비시켜 함체형 케이스(10) 내부 상하면의 격벽(14)(14') 통공(23)에 고정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용 오존 및 음이온가스 발생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가스 발생관(15)은, 유리관(16)을 폐형광등으로 하고 외면에 스텐레스관(18)을 권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용 오존 및 음이온가스 발생장치.
KR20020017962U 2002-06-11 2002-06-12 폐수처리용 오존 및 음이온 가스 발생장치 KR2002910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17962U KR200291077Y1 (ko) 2002-06-11 2002-06-12 폐수처리용 오존 및 음이온 가스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32678A KR100470696B1 (ko) 2002-06-11 2002-06-11 폐수처리용 오존 및 음이온 가스 발생장치
KR20020017962U KR200291077Y1 (ko) 2002-06-11 2002-06-12 폐수처리용 오존 및 음이온 가스 발생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20032678A Division KR100470696B1 (ko) 2002-06-11 2002-06-11 폐수처리용 오존 및 음이온 가스 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1077Y1 true KR200291077Y1 (ko) 2002-10-09

Family

ID=3238669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20032678A KR100470696B1 (ko) 2002-06-11 2002-06-11 폐수처리용 오존 및 음이온 가스 발생장치
KR20020017962U KR200291077Y1 (ko) 2002-06-11 2002-06-12 폐수처리용 오존 및 음이온 가스 발생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20032678A KR100470696B1 (ko) 2002-06-11 2002-06-11 폐수처리용 오존 및 음이온 가스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4706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21441A1 (en) * 2003-08-28 2005-03-10 Tae Hyoung Kim An apparatus for purifying and steriliz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21441A1 (en) * 2003-08-28 2005-03-10 Tae Hyoung Kim An apparatus for purifying and steriliz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5137A (ko) 2003-12-18
KR100470696B1 (ko) 2005-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2984B2 (en) Fluid treatment using plasma technology
KR101005636B1 (ko) 수중 플라즈마 발생장치를 이용한 유해가스 및 복합악취 제거용 정화시스템
US20030108460A1 (en) Method for surface corona/ozone making, devices utilizing the same and methods for corona and ozone applications
KR100932377B1 (ko) 고밀도 수중 플라즈마 토치를 이용한 수질정화방법
CA2062772A1 (en) Ozone generator
KR20100021169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악취 제거장치
WO2015016556A1 (ko) 스컴 제거를 위한 고전압 방전 시스템
KR200291077Y1 (ko) 폐수처리용 오존 및 음이온 가스 발생장치
KR100316802B1 (ko) 고전압 방전을 이용한 이온화가스 발생장치
EP1052220A2 (en) Equipment for generating ionized gas using high-voltage discharge
JP4516251B2 (ja) 紫外線照射装置及びその運用方法
KR102443712B1 (ko) 간접형 플라즈마 반응기를 이용한 유해가스 및 악취제거장치
KR101005679B1 (ko) 수중 플라즈마 발생장치를 이용한 유해가스 및 복합악취 제거용 정화방법
KR102146200B1 (ko) 고밀도 융합 플라즈마 살균 및 탈취기
KR102268724B1 (ko) 고밀도 융합 플라즈마 살균 및 탈취기
CN210085171U (zh) 一种微波紫外污水处理装置
CN210934400U (zh) 一种多功能复合型离子除臭机
RU2142915C1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водных сред, содержащих органические примеси
KR200205852Y1 (ko) 코일전극을 내장한 관형 오존발생기
KR20090009493A (ko) 오존을 이용한 폐수 정화 장치
AU636896B2 (en) Ozone generator
KR200288954Y1 (ko) 오존발생장치
CN114314761B (zh) 非平衡正负离子净水装置
CN211216012U (zh) 一种三级过滤设备
KR100481952B1 (ko) 전기분해 및 프라즈마를 이용한 폐수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