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1952B1 - 전기분해 및 프라즈마를 이용한 폐수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분해 및 프라즈마를 이용한 폐수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1952B1
KR100481952B1 KR10-2002-0047062A KR20020047062A KR100481952B1 KR 100481952 B1 KR100481952 B1 KR 100481952B1 KR 20020047062 A KR20020047062 A KR 20020047062A KR 100481952 B1 KR100481952 B1 KR 100481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stewater
plasma
decomposition
electroly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7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3920A (ko
Inventor
김홍열
Original Assignee
동아정밀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정밀공업(주) filed Critical 동아정밀공업(주)
Priority to KR10-2002-0047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1952B1/ko
Publication of KR20040013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3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1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19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oag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0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using electrical dischar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1/00Generating plasma; Handling plasma
    • H05H1/24Generating plasma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3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5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 C02F2001/46171Cylindrical or tubular shap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하수, 공장폐수, 축산 오, 폐수 등을 정화 처리하는 폐수 및 하수(이하"폐수"라칭한다)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입되는 폐수를 담수하는 집수조와, 상기 집수조 또는 예비조로부터 유입되는 폐수를 전극에 의하여 전기분해 하는 전처리조와, 상기 전처리조에서 분해된 폐수의 슬러지가 응집되도록 하는 응집조와, 상기 응집조에서 1차 응집된 폐수 슬러지가 재차 응집되면서 침전되는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의 상등수가 방류되어 일정시간 안정화를 이루는 안정화조와, 상기 안정화조에서 유입되는 폐수를 일측에서 유입되는 프라즈마와 일정한 간격으로 벤츄리관을 연결시킨 분해호스를 수용하는 1차 및 2차 분해조와, 상기 2차 분해조를 통과한 처리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유량조와, 상기 유량조에서 조절된 처리수를 여과기를 거쳐 방류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폐수를 처리함에 있어서 분해호스의 벤츄리관과 프라즈마를 이용하여 폐수를 분해, 탈색, 탈취하게 되므로 그 처리효율을 증진할 수 있으며, 폐수처리장치의 설치비용과 처리장치의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분해 및 프라즈마를 이용한 폐수처리 장치{The system wastewater disposal use plasma and Electrolysis}
본 발명은 가정하수, 공장폐수, 축산 오, 폐수 등을 정화 처리하는 폐수 및 하수(이하"폐수"라칭한다)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수처리 장치의 구성을 간단히하여 이동과 설치가 간편 용이토록 하고, 폐수의 처리를 전기분해 하여 전처리하고, 프라즈마를 이용하여 후처리함으로 폐수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2차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질오염 및 토양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중수로 만들어 방류토록 함으로 처리효율을 증대시키고 관리가 간편하도록 발명된 전기분해 및 프라즈마를 이용한 폐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산업이 고도화됨에 따라 수질오염, 대기오염 등의 환경 오염이 그 정도를 넘어서 인간의 생존을 위협할 정도에 이르렀으며, 특히 가정하수, 공장폐수 축산폐수 등으로 인한 지하수, 하천 및 바다의 오염은 물론, 토양오염이 날로 심각해져가고 있어 사화문제화 되고 있으며,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만은 연구개발과 투자가 이루어지고 잇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 실시되고 있는 하수 폐수처리 시스템은 집수조 →폭기조 →반응조 →화학약품 투입 교반조 →응집조 →안정화조 →방류조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하수의 처리를 약품에 의존하여 처리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약품처리는 폐수의 농도와 양에 따라서 처리기간이 장기화될 뿐만 아니라 생물학적처리에 따라서 약품의 투입량을 늘리게되므로 2차 수질오염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경우에는 폐수처리시설을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산업현장에서는 법적인 규정 때문에 처리시설을 설치한 후 가동에 따른 관리비용이 엄청나게 소요되므로 폐수처리 시설을 가동하지 않고 단속을 피해 그대로 하천으로 방류하는 경우가 발생되어 하천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하수 및 폐수처리 장치를 간단한 구조로 만들어 이동과 신규 설치 및 용량증대 설치가 간편 용이토록 하여 폐수의 처리를 전기분해 하여 전처리하고, 프라즈마를 이용하여 후처리 함으로서, 폐수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2차오염을 방지하여 수질오염 및 토양오염을 예방 할 수 있는 중수로 만들어 방류토록 함으로 처리효율을 증대시키고 관리가 간편하고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유입되는 폐수를 담수하고 일측 농축조에서 유입되는 환원수를 담는 집수조와, 상기 집수조의 잉여 폐수를 별도로 집수시키는 예비조와, 집수조 또는 예비조로부터 유입되는 폐수를 전극에 의하여 전기분해 하는 전처리조와, 상기 전처리조에서 분해된 폐수의 슬러지가 응집되도록 하는 응집조와, 상기 응집조에서 1차 응집된 폐수 슬러지가 재차 응집되면서 침전되는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의 상등수가 방류되어 일정시간 안정화를 이루는 안정화조와, 상기 안정화조에서 유입되는 폐수를 일측에서 유입되는 프라즈마와 일정한 간격으로 밴츄리관을 연결시킨 분해호스를 수용하는 1차 및 2차 분해조와, 상기 2차 분해조를 통과한 처리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유량조와, 상기 유량조에서 조절된 처리수를 여과기를 거쳐 방류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전기분해 및 프라즈마를 이용한 폐수처리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유입되는 폐수를 담수하고 일측 농축조에서 유입되는 환원수를 담는 집수조와;
상기 집수조의 잉여 폐수를 별도로 집수시키는 예비조와;
집수조 또는 예비조로부터 유입되는 폐수를 전극에 의하여 전기분해 하는 전처리조와;
상기 전처리조에서 분해된 폐수의 슬러지가 응집되도록 하는 응집조와;
상기 응집조에서 1차 응집된 폐수 슬러지가 재차 응집되면서 침전되는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의 상등수가 방류되어 일정시간 안정화를 이루는 안정화조와;
상기 안정화조에서 유입되는 폐수를 일측에서 유입되는 프라즈마와 일정한 간격으로 밴츄리관을 연결시킨 분해호스를 수용하는 1차 및 2차 분해조와;
상기 2차 분해조를 통과한 처리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유량조와;
상기 유량조에서 조절된 처리수를 여과기를 거쳐 방류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전기분해 및 프라즈마를 이용한 폐수처리 장치를 구성한 것이다.
상기 전처리조는 함체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는 다수의 +, - 전극봉(15a)(15b)(15c)이 설치되어 집수조(2)에서 유입되는 폐수가 통과시 전극봉에서 방전되는 전자들과 접촉되어 폐수가 분해되도록 된 구성된다.
상기 전처리조에 설치된 전극봉(15a)(15b)(15c)은 외면이 부전도체(16)로 포삽되어 하단부가 돌출 되도록 하고 마모시 처리조 상단에 설치된 전극봉 길이 조절장치(17)에 의하여 하향으로 밀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극봉은 철로된 + 극봉(15a), 서스(SUS)로된 - 극봉(15b), 알루미늄으로된 + 극봉(15c)으로 이루어져 전자의 방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1차 및 2차 분해조(8)(9)는 내부에는 분해호스(10)가 코일스프링과 같이 서려지고 분해호스에는 등간격으로 벤츄리관(11)이 다수 설치되어 폐수의 유속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분해호스(10)는 중공형으로 이루어져 내충격성이 우수한 프라스틱재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비중과 경도가 우수한 금속재로 구성된다.
상기 분해 호스(10)는 배출관(11)과 흡입펌프(19) 사이에 그 양단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안정화조(7)와 연결된 배출관(18) 일측에는 플라즈마 발생기의 토출관과 연결되어 프라즈마가 분해호스 내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라즈마 발생기는, 일측에 공기 유입구(20)를 갖고 타측에 프라즈마 배출구(21)가 형성된 함체형 케이스(22)와;
상기 함체형 케이스(22)의 내부에 상중하로 구비된 공간부(23a)(23b)(23c)와;
상기 중간의 공간부(23b)는 고전압 무성방전에 의하여 프라즈마를 생성시키는 프라즈마 발생관(28)이 설치된 구성이다.
상기 프라즈마 발생관(28)은 유리관 외면에 두께 7∼13㎜의 부전도체 스틱(27)을 대응하고 - 전원이 연결된 스텐레스 관(24)으로 권선하여 무성방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처리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정의 하수, 유흥업소, 공장 등에서 발생되는 폐수 또는 하수를 집수조로 모아 저장한다.
상기 집수조(2)와폐수를 전기분해하는 전처리조 사이에는 예비조를 설치한다.
상기 예비조는 집수조로 유입되는 폐수량이 많을 때 또는 집수조에서 전처리조로 유입되는 폐수량을 조절할 수 있게된다.
상기 집수조(2)를 거쳐 전처리조(4)로 유입된 폐수는 다수 설치된 전극봉(15a)(15b)(15c)에 의하여 전기분해가 이루어진다.
즉, 전처리조는 함체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는 다수의 +, - 전극봉(15a)(15b)(15c)이 설치되어 집수조에서 유입되는 폐수가 통과시 전극봉에서 방전되는 전자들과 접촉되어 폐수가 분해되도록 한다.
상기 전처리조에 설치된 다수의 전극봉(15a)(15b)(15c)은 외면이 부전도체(16)로 포삽되어 상, 하단부가 돌출 되도록 하되 하단부는 전처리조의 내부에 위치하여 폐수와 접촉되도록 하고, 상단부는 전처리조 상단면으로 돌출 되도록 하여 조절장치(17)에 의하여 하향으로 밀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고압의 전류에 의하여 하단의 전극봉이 마모되면 일정길이가 돌출 되도록 한다.
도 2의 전극봉(15a)(15b)(15c)의 재질은 일측의 + 극봉을 철로하고, 중앙부에 위치하는 - 극봉은 서스(SUS)이루어지며, 타측의 +극봉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져 전자의 방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 전극과 - 전극 사이에는 밀도 높은 전자의 흐름이 조성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전극과 - 전극 사이의 간격은 전극과 전극 사이에 걸리는 전압에 따라 선택될 수 있는데, 그 사이의 전압이 약 10,000 ~ 150,000 볼트(Volt)일 경우, 두 전극들 사이의 간격은 약 30 ~ 10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 전극과 - 전극은 절연되는 부전도체에 의해 감싸져 하단부가 노출된 상태이다. 상기 부전도체는 유리, 세라믹 등의 전기적 유전체 또는절연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전극과 -전극은 각각 고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변압기를 통해 전원에 연결된다.
상기 전처리조(4) 다수 설치된 전극봉(15a)(15b)(15c)은 전기분해에 의하여 마모되어 없어지면 전처리조 상단에 설치된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각각의 전극봉을 하향으로 밀어 돌출 되도록 한다.
이렇게 집수조를 통과한 폐수가 전처리조를 지나면서 전극봉에서 방전되는 전자에 의하여 폐수가 분해된다. 상기 전처리조에서 분해된 폐수는 응집조(5)와 침전조(6)를 거치면서 슬러지는 응고되어 침전되고 상등수는 방류되어 안정화조(7)에서 일정시간 숙성된다.
상기 응집조(5)와 침전조(6)에서는 응집제를 사용하여 슬러지를 응집시켜 침전시킬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가능하면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폐수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전처리조에서 전기분해에 의하여 분해된 폐수가 자체적으로 응집된 후 침전조에서 침전되도록 하며 침전된 슬러지는 응집조와 침전조 하단에 설치된 배출관을 통하여 집수조 일측에 설치된 농축조로 반송된 다음 다시 집수조(2)로 유입되어 다시 처리과정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슬러지는 완전히 분해되어 처리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정화조(7)는 침전조(6)의 상등수가 유입되어 보관되는 과정에서 폐수가 숙성되도록 하여 차후 분해조에서 용이하게 분해 및 탈색되도록 한다.
상기 안정화조에서 1차 분해조로 유입된 폐수는 합성수지 관 또는 금속관이 코일 스프링과 같은 형태로 도 6a와 같이 서려진(감겨진 상태) 분해호스(10) 내부로 유입되어 통과되는 과정에서 분해호스(10)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설치된 벤츄리관(11 )을 통과하면서 폐수가 유압의 강약이 반복 조절되는 과정에서 폐수가 통상적인 에젝터에서 분해 및 혼합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상기 분해호스(10)는 폐수처리장치(1)의 설치장소에 따라서 그 길이를 달리 할 수 있게된다. 즉, 폐수의 농도가 진하고 양이 많을 경우에는 분해호스의 길이를 길게 하면 그 만큼 벤츄리관(11)이 많은 개수로 설치되므로 폐수 역시 벤츄리관을 통과하면서 반복적인 분해작용이 이루어지면서 미세하게 분쇄된 후 다시 2차 분해조로 이송되어 1차 분해조 분쇄된 폐수를 다시 반복하여 미세하게 분쇄하게되나 2차 분해조에서는 이미 중수가된 상태의 처리수를 다시 반복하게되는 것이다.
상기 1차 분해조와 2차 분해조는 기존의 폐수처리장치에서 폭기조에 해당하나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방식과 같이 공기를 주입시켜 폭기를 하는 것이 아니라 분해호스(10)와 벤츄리관(11)을 이용하여 이를 폐수가 지나면서 자체의 압력이 빨라졌다 느려졌다 하는 과정에서 폐수가 유속에 의하여 미세하게 분해된다.
상기 1차 분해조와 2차 분해조는 일측에 프라즈마 발생기(12)가 설치되어 폐수의 분해를 증진시키도록 한다.
프라즈마는 음이온가스와 오존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들은 탈취, 탈색, 분해능력이 탁원한 것으로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안정화조(7)와 1차분해조 사이의 관에 플라즈마 발생기에서 생성된 프라즈마가 유입되도록 연결하고 또다른 프라즈마 발생기(12)는 1차 분해조(8)와 2차 분해조(9) 사이의 연결관에 연결시켜 생성된 프라즈마가 2차분해조의 분해호스내로 유입되도록 설치된 것이다.
상기 프라즈마와 폐수는 처리시스템 배관라인에 설치된 펌프에 의하여 유속을 증가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프라즈마 발생기를 도 4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측에 공기 유입구(20)를 갖고 타측에 프라즈마 배출구(21)가 형성된 함체형 케이스(22)를 구비하고,
상기 함체형 케이스(22)의 내부 상중하에 공간부(15a)(15b)(15c)가 형성되도록 하되 중의 공간부에는 프라즈마 발생관(28)을 설치할 수 있도록 공간 부를 구성한다.
상기 프라즈마 발생관(28)은 유리관(29)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아르곤가스가 충입 밀봉되며 일측에 +(플러스) 전원단자가 설치된다.
상기 프라즈마 발생관(28)은 도 와 같이 유리관 외면에 두께 7∼13㎜의 부전도체 스틱(27)을 대응하고 - 전원이 연결된 스텐레스 관(24)으로 권선 하여 무성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음이온 가스 발생관(28)은 상하단에 고정캡을 구비시켜 함체형 케이스(22) 내부 상하면의 격벽(25)(26) 통공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프라즈마 발생기의 전원연결은 트랜스(도시없음) 일측단자에 전원 220V를 연결하고 대응되는 타측 +,- 단자에는 상기 프라즈마 발생관(28) 상단의 +단자와 스텐레스관의 -단자를 트렌스(30)에 연결되도록 전선을 접속한 것이다.
즉, 상기 설치된 프라즈마 발생관(28)의 유리관(29) 일측단에 형성된 +단자는 트랜스 +전원과 연결하고, 권선된 스텐레스관(24)의 -단자는 트랜스의 - 단자에 연결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프라즈마 발생관(28)의 유리관 외면에 권선 되는 스텐레스 관(24)의 이격거리를 7㎜∼13㎜로 한정하는 것은 + 전원과 - 전원의 무성방전이 이루어지는 최적 거리로서 7㎜이하로 이격되면 스텐레스관의 열발생이 심하게 이루어지고 13㎜이상 이격될 경우에는 무성방전이 극히 미약하거나 발생되므로 오존과 음이온이 혼성된 프라즈마의 생성이 미약하게 이루어지므로 부전도체 스틱(27)을 7㎜∼13㎜의 두께가 되도록 하여 스텐레스 관(24)을 권선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성방전식은 통상의 방식으로서, 고전압 전극과 접지전극 사이에 유리나 세라믹 재질의 절연체를 끼워 교류고전압(6,000-18,000V)을 인가하면서 이 간극 사이에 산소를 함유한 기체를 통과시켜 프라즈마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에너지 소비가 가장 적고 대용량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프라즈마(오존 및 음이온가스)의 생성은 함체형 케이스(22) 일측면에 다수 형성된 공기 유입구(20)를 통하여 외기의 공기가 격벽(25)의 통공으로 유입되어 공간부(23b)에 위치한 프라즈마 발생관(28)과 접촉함으로 유리관과 스텐레스관(24)사이에서 온존을 함유한 고농도의 음이온 가스가 발생된다.
이와 같이 발생된 가스는 케이스(22) 내의 공간부(23b)에서 발생되어 하단 공간부(23c)에 충만된 후 일측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어 1차 분해조로 유입되는 폐수 유입관에 연결되어 분해호스로 인입되어 폐수와 혼합된다.
프라즈마는 폐수 유입관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사이폰 현상에 의해 분해호스로 유입되어 폐수를 분해 및 탈색 할 수 있게된다.
상기 폐수에 혼합된 프라즈마는 서서히 물에 녹아 분해되는 과정에서 폐수를 극히 미분자까지 분해하고 탈색시키게 되므로 깨끗한 물로 정화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격벽(25)(26)에 다수 형성된 통공은 중앙부에 프라즈마 발생관(28)이 설치되고 나머지 통공은 공기 유입 통로 또는 생성된 가스 배출 통로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프라즈마 발생기(12)는 케이스(22) 내부의 공간부가 모두 연결되도록 하나의 공간부 만을 형성함으로 별도의 송풍 팬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폐수 배관의 유속에 의하여 사이폰현상에 의하여 빨려 들어가게 폐수를 분해 및 탈색시킬 수 있게된다.
상기 프라즈마 발생관(28)에 유입된 프라즈마는 분해호스 내에서 폐수와 혼합되어 폐수를 분해, 탈색하게된다.
이때 1차 및 2차 분해조에 서려있는 분해호스(10) 내의 폐수는 분해호스(10)에 다수 설치된 벤츄리관(11)에 의하여 폐수가 미세하게 분해되는 동시에 프라즈마가 혼합되어 분해, 탈색, 탈취를 하게되므로 별도의 폭기장치와 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폐수는 완전히 처리할 수 있게된다.
상기 1차 및 2차 분해조에서 중수로 처리된 처리수는 유량조(13)를 거쳐 여과조에서 최종적으로 여과된 후 방류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프라즈마를 생성하여 분해호스에 침투시켜 폐수의 고분자 화합물이 분해 및 탈색되도록 함으로서 폐수의 정화 효과를 향상시키고, 장치의 제조 비용 및 폐수의 처리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게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폐수 처리시스템을 간단히 요약하여 살펴보면, 폐수를 집수하는 집수조 →전기분해를 이용한 전처리조 →응집조 →침전조 →안정화조 →제1분해조 →제2 분해조 →유량조 →여과조 →방류의 과정으로 폐수를 처리할 수 있게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처리공정을 하나의 박스내에서 각각 구획 설치시켜 유니트화하고 저부에는 이동바퀴를 부착함으로서 식당 , 호텔, 아파트단지, 학교, 병원, 관공서, 간이 폐수처리장등의 어느 곳이라 하더라도 이동이 간편하고 설치가 간단 용이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이 처리장에 구조물로 설치하거나, 하나의 박스로 이루어진 유니트로 폐수처리장치를 형성함으로 아파트의 동별 또는 아파트마다 설치할 수 있으며, 음식점, 호텔, 학교, 산업현장등에 각각 선택설치하여 폐수 및 하수를 처리하게 되며 또한 하수종말처리장에서 유입되는 폐수 및 하수를 처리할 수도 있게 된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은 폐수를 처리함에 있어서 전처리과정을 전기분해에 의하여 폐수를 처리하고 후처리에 있어서 분해호스의 벤츄리관과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폐수를 분해, 탈색, 탈취하게 되므로 처리효율을 증진할 수 있으며,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 냄새 등의 2차오염을 방지하며, 특히 각 처리 시스템을 하나로 유니트화 함으로 운반 및 설치 시간이 간단 용이하며, 폐수의 오염농도에 따라서 분해호스의 길이를 조절설치 함으로 폐수처리장치 설치비용과 처리장치의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폐수처리 장치 처리 공정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처리조의 단면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프라즈마 발생기와 1차 및 2차 분해조와의 연결구성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라즈마 발생기 상세 단면 구성도.
도5a는 본 발명에 따른 프라즈마 발생관의 인부 확대 단면 구성도.
도5b는 본 발명에 따른 프라즈마 발생관의 평면 단면구성도.
도6a는 본 발명에 따른 1차 및 2차 분해조의 분해호스 설치 및 단면 구성도.
도6b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호스에 설치된 벤츄리관의 배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폐수처리 장치 2:집수조
3:예비조 4:전처리조
5:응집조 6:침전조
7:안정화조 8:1차 분해조
9:2차 분해조 10:분해호스
11:베츄리관 12:프라즈마 발생기
13:유량조 14:여과기
15a,15b,15c:전극봉 16:부전도체
17:조절장치 18:배출관
19:흡입펌프 20:공기유입구
21:배출구 22:함체형 케이스
23a,23b,23c:공간부 24:스텐레스
25,26:격벽 27:부전도체 스틱
28:프라즈마 발생관 29유리관
30:트랜스

Claims (8)

  1. 유입되는 폐수를 담수하고 일측 농축조에서 유입되는 환원수를 담는 집수조와;
    상기 집수조의 잉여 폐수를 별도로 집수시키는 예비조와;
    집수조 및 예비조로부터 유입되는 폐수를 전극에 의하여 전기분해 하는 전처리조와;
    상기 전처리조에서 분해된 폐수의 슬러지가 응집되도록 하는 응집조와;
    상기 응집조에서 1차 응집된 폐수 슬러지가 재차 응집되면서 침전되는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의 상등수가 방류되어 일정시간 안정화를 이루는 안정화조와;
    상기 안정화조에서 유입되는 폐수를 일측에서 유입되는 프라즈마와 일정한 간격으로 밴츄리관을 연결시킨 분해호스를 수용하는 1차 및 2차 분해조와;
    상기 2차 분해조를 통과한 처리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유량조와;
    상기 유량조에서 조절된 처리수를 여과기를 거쳐 방류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분해 및 프라즈마를 이용한 폐수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조는, 함체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는 다수의 +, - 전극봉(15a)(15b)(15c)이 설치되어 집수조(2)에서 유입되는 폐수가 통과시 전극봉에서 방전되는 전자들과 접촉되어 폐수가 분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분해 및 프라즈마를 이용한 폐수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 분해조는, 내부에 분해호스(10)가 코일 스프링과 같이 서려지고 분해호스(10)에는 등간격으로 벤츄리관(11)이 다수 설치되어 폐수의 유속을 증가감 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분해 및 프라즈마를 이용한 폐수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즈마 발생기는, 일측에 공기 유입구(20)를 갖고 타측에 프라즈마 배출구(21)가 형성된 함체형 케이스(22)와;
    상기 함체형 케이스(22)의 내부에 상중하로 구비된 공간부(23a)(23b)(23c)와;
    상기 중간의 공간부(23b)는 고전압 무성방전에 의하여 프라즈마를 생성시키는 프라즈마 발생관(28)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분해 및 프라즈마를 이용한 폐수처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조에 설치된 전극봉(15a)(15b)(15c)은, 외면이 부전도체(16)로 포삽되어 하단부가 돌출 되도록 하고 마모시 전처리조 상단에 설치된 전극봉 길이 조절장치(17)를 이용하여 하향으로 밀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분해 및 프라즈마를 이용한 폐수처리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해 호스(10)는, 배출관(11)과 흡입펌프(19) 사이에 그 양단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안정화조(7)와 연결된 배출관(18) 일측에는 플라즈마 발생기(12)의 토출관과 연결되어 프라즈마가 분해호스 내로 유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분해 및 프라즈마를 이용한 폐수처리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즈마 발생관(28)은 유리관 외면에 두께 7∼13㎜의 부전도체 스틱(27)을 대응하고 - 전원이 연결된 스텐레스 관(24)으로 권선하여 무성방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분해 및 프라즈마를 이용한 폐수처리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봉은, 철로된 + 극봉(15a), 서스(SUS)로된 - 극봉(15b), 알루미늄으로된 + 극봉(15c)으로 이루어져 전자의 방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분해 및 프라즈마를 이용한 폐수처리 장치.
KR10-2002-0047062A 2002-08-09 2002-08-09 전기분해 및 프라즈마를 이용한 폐수처리 장치 KR100481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062A KR100481952B1 (ko) 2002-08-09 2002-08-09 전기분해 및 프라즈마를 이용한 폐수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062A KR100481952B1 (ko) 2002-08-09 2002-08-09 전기분해 및 프라즈마를 이용한 폐수처리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907U Division KR200293994Y1 (ko) 2002-08-09 2002-08-09 전기분해 및 프라즈마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920A KR20040013920A (ko) 2004-02-14
KR100481952B1 true KR100481952B1 (ko) 2005-04-13

Family

ID=37321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7062A KR100481952B1 (ko) 2002-08-09 2002-08-09 전기분해 및 프라즈마를 이용한 폐수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19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751Y1 (ko) * 2009-07-17 2011-11-16 박한수 탈이온수 제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473B1 (ko) * 2014-03-13 2016-02-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전기분해 공법이 결합된 수리동력학적 캐비테이션 장치를 이용한 폐활성슬러지 가용화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6927A (ko) * 1995-11-20 1997-06-24 한문규 전기분해법을 응용한 폐수처리방법과 장치
KR19990000168A (ko) * 1997-06-03 1999-01-15 이광열 전기분해를 이용한 폐수 처리방법 및 폐수 처리 시스템
JPH1170386A (ja) * 1997-07-10 1999-03-16 Lg Ind Syst Co Ltd プラズマ反応器及びそれを利用した廃水処理装置並びにその方法
KR20000012689A (ko) * 1999-12-18 2000-03-06 김대열 폐수처리장치
KR20010020053A (ko) * 1999-08-31 2001-03-15 지영호 초음파 결합 고밀도 플라즈마 폐수처리 방법과 그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6927A (ko) * 1995-11-20 1997-06-24 한문규 전기분해법을 응용한 폐수처리방법과 장치
KR19990000168A (ko) * 1997-06-03 1999-01-15 이광열 전기분해를 이용한 폐수 처리방법 및 폐수 처리 시스템
JPH1170386A (ja) * 1997-07-10 1999-03-16 Lg Ind Syst Co Ltd プラズマ反応器及びそれを利用した廃水処理装置並びにその方法
KR20010020053A (ko) * 1999-08-31 2001-03-15 지영호 초음파 결합 고밀도 플라즈마 폐수처리 방법과 그 장치
KR20000012689A (ko) * 1999-12-18 2000-03-06 김대열 폐수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751Y1 (ko) * 2009-07-17 2011-11-16 박한수 탈이온수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920A (ko) 200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4197B2 (en) Electronic water pre-treatment equipment and methods
US5531865A (en) Electrolytic water purification process
WO2004041725A2 (en) Method and system for purification and disinfection of water
CN1209292C (zh) 水净化系统及其方法
CN101353193B (zh) 水处理方法及设备
CN208454729U (zh) 一种洗车废水处理工艺系统
CN101381131B (zh) 扫频电磁场发生器
US7011750B2 (en) Water treatment device
CN100471796C (zh) 利用低温等离子体处理工业废水的方法及处理装置
CN103754994A (zh) 辉光放电等离子体水处理方法及装置
CN101250013A (zh) 新型电解气浮污水处理装置
CN209890411U (zh) 一体化垃圾中转站渗滤液预混合电解气浮预处理装置
KR100496348B1 (ko) 전기분해와 프라즈마를 이용한 폐수처리 장치 및 폐수처리방법
KR200186341Y1 (ko) 초음파와 고주파 펄스 결합 고밀도 플라즈마 폐수처리장치
CN112979011A (zh) 一种含油废水处理工艺
KR100481952B1 (ko) 전기분해 및 프라즈마를 이용한 폐수처리 장치
KR100435002B1 (ko) 전해부상방법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그 운전방법
KR200293994Y1 (ko) 전기분해 및 프라즈마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
CN201183768Y (zh) 一种污水处理装置
CN201321397Y (zh) 水处理设备
CN204265481U (zh) 一种用于微污染水处理的紫外联合臭氧装置
KR100447039B1 (ko) 하수 재 이용 정화처리시스템과 정화처리방법
KR0167123B1 (ko) 전기분해법에 의한 폐수처리장치
CN107055949B (zh) 一种可灵活切换工艺的高效低耗橡胶废水处理方法及系统
KR101444788B1 (ko) 오폐수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