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0914Y1 - 김치냉장고 - Google Patents

김치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914Y1
KR200290914Y1 KR2020020019728U KR20020019728U KR200290914Y1 KR 200290914 Y1 KR200290914 Y1 KR 200290914Y1 KR 2020020019728 U KR2020020019728 U KR 2020020019728U KR 20020019728 U KR20020019728 U KR 20020019728U KR 200290914 Y1 KR200290914 Y1 KR 2002909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kimchi refrigerator
main body
adjustment member
kimch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97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197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9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9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914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김치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저장실을 개폐하는 복수의 덮개 사이에 단차가 생길 때 이를 손쉽게 보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일면이 개방된 복수의 저장실을 구비한 본체와, 상기 각 저장실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복수의 덮개를 포함하는 김치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각 덮개의 단차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와 상기 본체가 상호 대면하는 적어도 1개소에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나사결합 되는 단차조절부재가 마련된 것이다.

Description

김치냉장고{REFRIGERATOR FOR KIMCHI}
본 고안은 김치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단차조절이 가능한 김치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치냉장고는 김치를 숙성시켜 냉장보관하기 위한 장치로, 저장실을 갖춘 본체의 내부에 김치의 숙성을 위한 숙성수단과 김치의 냉장보관을 위한 냉각수단이 마련된 것이다. 이때 숙성수단은 저장실의 주위를 순회하도록 설치되는 통상의 전열선으로 이루어지고, 냉각수단은 저장실 주위에 설치되는 증발기와 기계실 내에 설치되는 압축기, 응축기, 냉매팽창수단을 포함하는 통상의 냉각장치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김치냉장고의 본체는 내부의 저장실이 외부와 단열될 수 있도록 단열벽체로 이루어지고, 내부의 저장실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며 중앙이 구획벽(4)을 통해 양측으로 구획된 복수의 저장실(2,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체(1)의 상부에는 양측의 두 저장실(2,3)을 각각 개폐하기 위한 복수의 덮개(5,6)가 마련되는데, 두 덮개(5,6)는 후방단부가 본체(1)의 후방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상하방향으로 회동하여 열리거나 닫히도록 구성된다. 또한 각 덮개(5,6)의 내면 둘레에는 덮개(5,6)를 닫을 때 본체(1)의 상면과 덮개(5,6)의 내면사이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탄성재질로 된 가스켓(5a,6a)이 설치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김치냉장고는 김치냉장고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양측 덮개(5,6)의 내면에 장착되는 가스켓(5a,6a)의 결합오차가 발생하거나, 사용자가 김치냉장고를 장기간 사용하여 가스켓(5a,6a)의 탄성력에 변화가 생길경우 미소하나마 양측 덮개(5,6)의 단차(t)가 생기는 문제가 있었고, 이러한 단차(t)는 김치냉장고의 외관품질을 저하시켜 소비자의 불만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김치냉장고를 제조하는 과정 또는 추후 사용과정에서 덮개에 단차가 생길 때 이를 손쉽게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김치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김치냉장고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덮개에 설치되는 단차조절부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덮개에 설치되는 단차조절부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덮개에 설치되는 단차조절부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1,12: 저장실,
14,15: 덮개, 14a,15a: 가스켓,
30: 단차조절부재, 31: 수나사부,
32: 완충부, 33: 너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면이 개방된 복수의 저장실을 구비한 본체와, 상기 각 저장실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복수의 덮개를 포함하는 김치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각 덮개의 단차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와 상기 본체가 상호 대면하는 적어도 1개소에 높이조절이 가능한 단차조절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차조절부재는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 중 어느 하나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와, 상기 수나사부의 일단에 결합되며 탄성재질로 마련된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차조절부재의 수나사부가 체결되는 부분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너트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저장실은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각 덮개는 일단이 상기 본체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단차조절부재는 상기 각 덮개의 자유단쪽 내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차조절부재는 상기 각 덮개의 상호 인접하는 모서리부 내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김치냉장고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벽체로 구성되며 내부에 상부가 개방되는 두 저장실(11,12)이 형성된 본체(10)와, 두 저장실(11,12)의 상부를 각각 개폐할 수 있도록 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두개의 덮개(14,15)를 구비한다.
본체(10)의 저장실(11,12)은 중앙의 구획부(13)를 통해 좌우 양측공간으로 분할된다. 또 각 저장실(11,12)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상(11a)의 외면에 저장실(11)을 냉각시키기 위해 통상적인 냉매관(16)으로 된 증발기와, 김치의 숙성을 위해 통상의 전열선(17)으로 된 히터가 설치된다. 그리고 본체(10)의 일측 하부에는 압축기(18)와 응축기(미도시) 등이 설치될 수 있도록 각 저장실(11,12)과 구획된 기계실(19)이 마련된다.
본체(10) 상부의 두 덮개(14,15)는 상하방향으로 회동하여 개폐될 수 있도록 후방 단부가 힌지장치(20)를 통해 본체(10)와 후방 상부에 연결된다. 그리고 각 덮개(14,15)의 내면 둘레에는 덮개(14,15)를 닫을 때 본체(10)의 상면과 덮개(14,15)의 내면 사이에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된 가스켓(14a,15a)이 설치된다. 또한 본체(10)의 상단과 대면하는 각 덮개(14,15)의 자유단 쪽 내면에는 각 덮개(14,15)의 자유단 측 높이조절을 통해 각 덮개(14,15) 사이의 단차를 조절하기 위한 단차조절부재(30)가 설치된다.
이러한 단차조절부재(30)는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덮개(14,15)의 자유단 쪽 상호 인접하는 모서리부 내면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31)와, 이 수나사부(31)의 일단에 결합되며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완충부(3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단차조절부재(30)의 수나사부(31)가 결합되는 덮개(14,15)에는 수나사부(31)가 체결될 수 있도록 암나사가 형성된 너트(33)가 내장된다.
이러한 구성들은 단차조절부재(30)를 조이거나 풀어서 단차조절부재(3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상호 인접하는 각 덮개(14,15) 사이의 상부 단차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덮개(14,15)를 닫을 때 본체(10)의 상면과 접하는 완충부(32)를 통해 덮개(14,15)가 닫힐 때의 충격이 완화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단차조절부재(30)를 통해 각 덮개(14,15)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면서 덮개(14,15)가 닫힐 때 저장실(11,12) 개구부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단차조절부재(30)의 완충부(32) 높이(h1)가 덮개(14,15)가 닫혀 가스켓(14a,15a)이 수축된 상태의 높이(h2)보다 높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각 덮개(14,15)의 단차조절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각 덮개(14,15)에 설치되는 단차조절부재(30)를 가능한 상호 근접하는 각 덮개(14,15)의 모서리부에에 배치하는 것이 좋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술한 단차조절부재(30)가 각 덮개(14,15)의 내면과 대면하는 본체(10)의 상단에 장착된 한 것이다. 이는 단차조절부재(30)의 체결을 위한 너트(33)가 본체(10)의 상부에 내장되고, 이 너트(33)에 단차조절부재(30)의 수나사부(31)가 체결되는 점에 차이가 있을 뿐 그 밖에 구성 및 작용효과는 상술한 경우와 같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김치냉장고는 가스켓의 변형 및 오결합 등으로 각 덮개 사이에 단차가 생길 경우, 단차조절부재를 조이거나 풀어서 덮개가 닫힌 상태에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각 덮개의 단차를 손쉽게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일면이 개방된 복수의 저장실을 구비한 본체와, 상기 각 저장실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복수의 덮개를 포함하는 김치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각 덮개의 단차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와 상기 본체가 상호 대면하는 적어도 1개소에 높이조절이 가능한 단차조절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조절부재는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 중 어느 하나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와, 상기 수나사부의 일단에 결합되며 탄성재질로 마련된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조절부재의 수나사부가 체결되는 부분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너트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김치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저장실은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각 덮개는 일단이 상기 본체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단차조절부재는 상기 각 덮개의 자유단 쪽 내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조절부재는 상기 각 덮개의 상호 인접하는 모서리부 내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
KR2020020019728U 2002-06-29 2002-06-29 김치냉장고 KR2002909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728U KR200290914Y1 (ko) 2002-06-29 2002-06-29 김치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728U KR200290914Y1 (ko) 2002-06-29 2002-06-29 김치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0914Y1 true KR200290914Y1 (ko) 2002-10-04

Family

ID=73125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728U KR200290914Y1 (ko) 2002-06-29 2002-06-29 김치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91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5604B2 (en) Refrigerator
CA2971999A1 (en) Refrigerator and vacuum insulation module thereof
KR101998566B1 (ko) 냉장고
KR20140060429A (ko) 냉장고 및 그 내부 도어의 제조 방법
KR100395924B1 (ko) 김치냉장고
KR200290914Y1 (ko) 김치냉장고
JPH11211335A (ja) 冷却貯蔵庫
US11585590B2 (en) Sealing assembly for cooling device doors and cooling device having the sealing assembly
KR100398631B1 (ko) 김치저장고의 솔레노이드 밸브 구조
JP2005315547A (ja) 冷蔵庫
KR101304814B1 (ko) 냉장고 도어의 전후방 단차 방지구조
KR100376793B1 (ko) 김치저장고의 기계실 커버 체결부 구조
WO2017183645A1 (ja) 冷蔵庫
KR100512750B1 (ko) 냉장고
US20230272968A1 (en) Refrigerator
CN220689472U (zh) 一种冰箱
JP2825700B2 (ja) 冷凍冷蔵庫のヒンジ構造
JP2003021455A (ja) 冷蔵庫
KR200217539Y1 (ko) 냉장고
KR100217405B1 (ko) 냉장고용 도어의 중간힌지
KR200349084Y1 (ko) 김치저장고의 상부 개방형 도어 구조
MXPA97005338A (en) A refrigerator equipped with a board to avoid the fall of air f
KR0113217Y1 (ko) 냉장고 콘트롤 박스의 고정구조
KR200376659Y1 (ko) 냉장고의 중간앞판
JPH10148457A (ja) 冷気漏出防止用ガスケットを有する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