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0482Y1 - 도어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482Y1
KR200290482Y1 KR2020020020387U KR20020020387U KR200290482Y1 KR 200290482 Y1 KR200290482 Y1 KR 200290482Y1 KR 2020020020387 U KR2020020020387 U KR 2020020020387U KR 20020020387 U KR20020020387 U KR 20020020387U KR 200290482 Y1 KR200290482 Y1 KR 2002904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il
ball valve
hinge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03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제익
구교칠
Original Assignee
손제익
구교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제익, 구교칠 filed Critical 손제익
Priority to KR20200200203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4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4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482Y1/ko

Link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측이 힌지로 축설된 회전개폐식 도어에 있어서 개폐장치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 도어개폐장치는 동체의 실린더에 내장된 피스톤에 치차를 형성하여 도어 힌지에 축설된 원동기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이동되었던 피스톤이 스프링에 의하여 복귀되며 도어가 개폐될 때 회전속도를 오일 압력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동체 내부에 오일을 채우며 오일의 통과량에 따라서 도어의 회전 속도가 조절되므로 소음이 적고 부품의 마모와 고장을 줄일 수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도어 개폐 장치{Door Opening/Closing Device}
본 고안은 건물의 입구나 현관 등의 출입구에 설치되며 일측에 힌지를 기점으로 회전 동작에 의하여 양쪽 방향으로 오픈될 수 있게 하는 도어에 있어서 개폐 장치에 관한 설명이다.
본 고안은 본 출원인의 특허 출원 2000-19300호, 특허 출원 2001-40206호, 특허 출원 2001-69185호, 특허 출원 2002-1975호의 구성을 기본으로 하여 전체적인 구조를 간소화시킴으로써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하기가 쉽고 소음 발생률을 대폭 감소시켰으며 고장률을 크게 낮추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본인의 선출원 특허와 본 고안은 도어가 개폐될 때 회전 속도가 편리하게 제어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어가 열릴 때는 인위적인 외부의 힘에 의하여 열렸다가 도어가 닫힐때는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닫히게 되는 구조를 구비하며, 도어가 개폐될 때 발생되는 안전사고 등의 제반 문제점을 원활하게 해결하기 위하여 도어가 열릴 때는 작은 힘을 가하더라도 가볍게 열리도록 하고 도어가 자동적으로 닫힐 때는 천천히 닫히면서 출입하는 사람들을 다치지 않게 하는 것이 본인의 선출원 특허 및 이 고안이 구비하는 기본적인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한 본인의 선출원 특허는 비교적 고가의 제품에 적용되는 것으로 구성이 복잡한만큼 제작단가가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간단한 구조를 구비하면서도 소음과 고장률이 적으며 원활하게 동작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은 도어가 개폐될 때 동력 전달 기어에 의해 동작되는 구성과 도어의 회전력 제어 구성을 개선한 것으로 특히 유압에 의하여 회전력이 제어되므로 동작시에 소음 발생이 없게 되고 근본적으로 부품의 마모와 부식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고안의 기술적인 과제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종단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횡단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보인 횡단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동체 (h) 힌지
(1) 회전원판 (2) 도어 고정홈
(3) 원동기어 (4) 치차
(10) 도어 고정부재 (11) 로울러
(12) 로울러 고정체 (13) 코일 스프링
(100)(100') 실린더 (110)110') 원통형 피스톤
(120)(120') 도어 복귀 스프링 (130)(130') 피스톤 치차
(140)(140') 횡방향 오일 통과공 (150)(150') 종방향 오일 통과공
(s) 공간부 (160)(160') 볼밸브실
(170)(170') 볼밸브 (180)(180') 오일 출입공
(190)(190') 오일통로 (e)(e') 오일 조절 부재
동체(a)에 장치하는 힌지(h)를 구비한 도어(d)와, 상기 힌지(h)의 상부에 축설되며 주벽 수개소에 도어 고정홈(2)이 요설된 회전원판(1)과, 상기 힌지(h)의 하부에 축설되고 외주면 절반이 치차(4)로 형성된 원동기어(3)와, 상기 회전원판(1)의 도어 고정홈(2)으로 출입되는 로울러(11)를 구비한 로울러 고정체(12)와, 상기 로울러 고정체(12)를 밀어주는 코일스프링(13)을 구비한 도어고정부재(10)로 이루어진 공지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동체(a)의 전후방에 형성되는 실린더(100)(100')와 상기 실린더(100)(100')에 내장되며 일측단에 도어 복귀 스프링(120)(120')을 탄설한 원통형 피스톤(110)(110')과, 상기 피스톤(110)(110')의 내측 주벽에 형성되며 상기 원동기어(3)의 치차(4)와 교합되는 피스톤치차(130)(130')와 상기 피스톤(110)110') 중심부에 횡방향으로 천공되는 횡방향 오일통과공(140)(140')과, 상기 오일통과공(140)(140')에서 동체(a) 중심의 공간부(s)로 연통되는 종방향 오일통과공(150)(150')과. 상기 횡방향 오일통과공(140)(140')을 개폐하는 볼밸브(170)(170')가 내장된 볼밸브실(160)(160')과, 상기 볼밸브실(160)(160')에 볼밸브(170)(17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고정되며 오일 출입공(180)(180')을 구비한 볼밸브 이탈 방지부재(c)(c')와, 상기 동체(a)의 공간부(s)에서 상기 실린더(100)(100')로 연통되는 오일통로(190)(190')와, 상기 오일통로(190)(190')의 오일통과량을 조절하는 오일 조절 부재(e)(e')로 이루어진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200)(200')는 시린더의 양쪽 폐쇄부재를 보인 것으로 폐쇄부재(200')는 도어복귀스프링(120)(120')의 탄발력을 조절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도 2, 도 3은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4는 도어가 열려있는 상태를 보인 것으로 동체(a)에 형성된 실린더(100)(10')와 공간부(s)에는 항시 오일이 가득 차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도어(d)를 밀어서 열게 되면, 도어 힌지(h)의 회전에 의하여 힌지(h)에 축설된 원동기어(3)의 치차(4)와 교합된 피스톤(110)의 피스톤 치차(130)에 의하여 피스톤(110)이 실린더(100)를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때 실린더(100)의 우측에 차 있던 오일이 오일 통과공(140)으로 유입되고 오일의 유입되는 압력에 의하여 볼밸브실(160)의 볼밸브(170)가 열리면서 볼밸브실(160)로 유입된 오일은 볼밸브 이탈 방지 부재(c)에 천공된 오일 출입공(180)을 통해 실린더(100)의 좌측 공간으로 유입되면서 도어(d)가 가볍게 열리게 되며, 도어(d)가 90도 각도로 열리게 되면 힌지(h)에 축설된 회전원판(1)의 도어 고정홈(2)으로 로울러(11)가 안착되면서 도어(d)가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는 도어(d)가 열린 상태로 고정시킬 경우이며 일단 사람이 출입한 직후에 도어(d)가 고정되지 않고 즉시 닫힐 때는 피스톤(110)의 이동으로 수축되어 있던 스프링(120)의 탄발력에 의하여 도어(d)가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닫히게 되는 것으로 이 때 실린더(100)의 좌측에 차 있던 오일이 볼밸브 이탈 방지 부재(c)의 오일 출입공(180)으로 유입되며 그 압력에 의하여 볼밸브(170)가 횡방향 오일 통과공(140)을 막아버리게 되므로 횡방향 오일통과공(140)으로는 오일이 통과하지 못하게 되어 피스톤(110)이 서서히 이동하게 되는 것으로. 피스톤(110)이 서서리 이동하게 되는 이유는 실린더(100) 우측에 차 있던 오일이 실린더(100)과 연통되는 오일통로(190)로 유입되어 공간부(s)를 통해 종방향 오일 통과공(150)으로 유입된 다음 횡방향 오일 통과공(140)을 통해 실린더(100)이 우측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도어(d)가 닫힐 때 도어(d)의 회전 속도를 높이거나 낮추기 위해서는 피스톤(110)의 복귀 속도가 조절되어야 하는 것으로 피스톤(110)의 복귀 속도를 빠르게 하여 도어(d)가 빨리 닫히게 하기 위해서는 오일 통로(190)로 유입되는 오일 조절 부재(e)를 회전시키면 간단하게 조절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실린더(100)(100') 피스톤(110)(110')을 전후방에 구비시킨 것은 도어(d)의 열리는 방향에 따라서 피스톤(110)(110')이 선택적으로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구성 및 작용 효과를 가지게 되는 본 고안은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부품수가 적어서 제조가 손쉽고 제조단가를 크게 낮출수가 있으며 부품 전체가 오일에 잠겨 있게 되어 동작시에 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부품의 마모를 줄일 수가 있으며 고장률을 쉽게 낮출 수 있는 이점을 얻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동체(a)에 장치하는 힌지(h)를 구비한 도어(d)와, 상기 힌지(h)의 상부에 축설되며 주벽 수개소에 도어 고정홈(2)이 요설된 회전원판(1)과, 상기 힌지(h)의 하부에 축설되고 외주면 절반이 치차(4)로 형성된 원동기어(3)와, 상기 회전원판(1)의 도어 고정홈(2)으로 출입되는 로울러(11)를 구비한 로울러 고정체(12)와, 상기 로울러 고정체(12)를 밀어주는 코일스프링(13)을 구비한 도어고정부재(10)로 이루어진 공지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동체(a)의 전후방에 형성되는 실린더(100)(100')와 상기 실린더(100)(100')에 내장되며 일측단에 도어 복귀 스프링(120)(120')을 탄설한 원통형 피스톤(110)(110')과, 상기 피스톤(110)(110')의 내측 주벽에 형성되며 상기 원동기어(3)의 치차(4)와 교합되는 피스톤치차(130)(130')와 상기 피스톤(110)110') 중심부에 횡방향으로 천공되는 횡방향 오일통과공(140)(140')과, 상기 오일통과공(140)(140')에서 동체(a) 중심의 공간부(s)로 연통되는 종방향 오일통과공(150)(150')과. 상기 횡방향 오일통과공(140)(140')을 개폐하는 볼밸브(170)(170')가 내장된 볼밸브실(160)(160')과, 상기 볼밸브실(160)(160')에 볼밸브(170)(17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고정되며 오일 출입공(180)(180')을 구비한 볼밸브 이탈 방지부재(c)(c')와, 상기 동체(a)의 공간부(s)에서 상기 실린더(100)(100')로 연통되는 오일통로(190)(190')와, 상기 오일통로(190)(190')의 오일통과량을 조절하는 오일 조절 부재(e)(e')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도어 개폐 장치.
KR2020020020387U 2002-07-08 2002-07-08 도어 개폐 장치 KR2002904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387U KR200290482Y1 (ko) 2002-07-08 2002-07-08 도어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387U KR200290482Y1 (ko) 2002-07-08 2002-07-08 도어 개폐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9303A Division KR100491079B1 (ko) 2002-07-08 2002-07-08 도어 개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0482Y1 true KR200290482Y1 (ko) 2002-09-28

Family

ID=73077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0387U KR200290482Y1 (ko) 2002-07-08 2002-07-08 도어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48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7835A (en) Door closer with rack and pinion, spring, and spring mounting plate
EP2569501B1 (en) Door closing device
US20060021189A1 (en) Door closer
CA2747421A1 (en) Hinge for cold rooms, swing gates or the like
KR20030082581A (ko) 도어 폐쇄기
GB2261914A (en) Damper and method of controlling a door.
CN103225458B (zh) 阻尼自动定心铰链机制
US4073033A (en) Door closing device
KR20060017228A (ko) 슬림형 자동복귀 힌지장치
PT757742E (pt) Mola automatica para fecho de portas e processo de montagem da mesma
RU96119787A (ru) Бесступенчатая гидростатическая трансмиссия, имеющая приводные элементы регулятора передаточных отношений, расположенные внутри выходного вала
KR200290482Y1 (ko) 도어 개폐 장치
KR100491079B1 (ko) 도어 개폐 장치
CN106481178A (zh) 阻尼铰链
CN217999284U (zh) 一种无级限位器的锁止阀
KR102094189B1 (ko) 도어 클로저
US2756563A (en) Electrohydraulic motor mechanism
EP0188436A1 (en) HYDRAULIC AND OTHER BRAKING AND / OR LOCKING DEVICE AND ITS USE AS A DIFFERENTIAL BRAKE AND / OR LOCK.
JP3894843B2 (ja) フロアヒンジ
KR100449590B1 (ko) 도어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회전력 제어구조
CN201103305Y (zh) 闭门器
KR20190089359A (ko) 도어 클로저
KR200262510Y1 (ko) 유압식 플로어 힌지의 유압조절구조
KR100831921B1 (ko) 쿠션 체크밸브
JP3281540B2 (ja) ピボット型ドアクロー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31

Year of fee payment: 4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