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0315Y1 - 기초 공사용 강관의 철근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기초 공사용 강관의 철근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315Y1
KR200290315Y1 KR2020020018130U KR20020018130U KR200290315Y1 KR 200290315 Y1 KR200290315 Y1 KR 200290315Y1 KR 2020020018130 U KR2020020018130 U KR 2020020018130U KR 20020018130 U KR20020018130 U KR 20020018130U KR 200290315 Y1 KR200290315 Y1 KR 2002903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reinforcing bar
vertical connecting
vertical
suppor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81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구
Original Assignee
조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구 filed Critical 조영구
Priority to KR20200200181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3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3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315Y1/ko

Links

Landscapes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초 공사용 강관의 철근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타설되는 강관(10)의 내측으로 돌출된 각각의 스톱퍼(12) 상에 복수개의 수직 연결철근(51)이 각각 관통하는 통공(112)을 갖는 지지편(110)이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링 형상의 철근 고정용 스페이서(100)가 안착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초 공사용 강관의 철근 지지구조{REINFORCING BAR SUPPORT STRUCTURE OF STEEL PIPE FOR BASE CONSTRUCTION}
본 고안은 기초 공사용 강관의 철근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이나 교량을 축조할 때 지면에 타설된 각 강관의 상부에 설치되는 수직 연결철근을 간단한 구조로서 접촉 면적을 넓혀 수직 연결철근이 쓰러지는 현상이 발생됨이 없이 견고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이나 교량을 축조할 때는 지면에 해머 등으로 강관을 타설한 후 각 강관의 상부에 수직 연결철근을 설치하고 확대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는 데, 이때 하단부가 지하의 암반에 지지되는 강관의 상단부에는 강관의 상단부 및 외주면에 작용하는 수직 하중 및 측토압에 의해 강관의 상단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관의 상단부에 보강 부재를 설치하게 된다.
종래의 강관 상단 내부에 수직 연결철근과 함께 기초 확대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관(300)의 상단 내부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다수의 지지 로드(360)로부터 일체화되는 원형링(340)과 원판(350)으로 구성되는 강관 보강부재(330)를 결합시켜 확대 기초 콘크리트(53)가 삽입되도록 하되, 강관(300)의 내측 상단부 둘레면에 형성된 볼트 체결공(310)에 체결 볼트(320)가 수평으로 관통되게 체결되며, 상기 원형링(340)의 직경은 원판(350)의 직경보다 크게 하여 강관(300)의 상단부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 평면상에는 수직 연결철근(51)이 삽입되도록 다수의 삽입공(341)이 형성되며, 상기 원형링(340)과 원판(350)은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면서 강관(300)의 상단 내부로 삽입되어 내측면과 밀접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결합되고, 강관 보강부재(330)의 원형링(340)과 원판(350) 사이에는 확대 기초 콘크리트(53)가 채워지게 하여 강관의 상단부를 보강하는 구조가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 212743 호로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는 강관(300)의 상단 내부에 강관 보강부재(330)를 결합시킨 다음, 강관 보강부재(330)의 원형링(340)과 원판(350) 사이에 콘크리트를 충진하게 되는 데, 강관(300)에 결합된 강관 보강부재(330)에 콘크리트를 충진시 강관 보강부재(330) 상부의 원형링(340)에 의해 강관 보강부재(330) 내부의 모서리 부분에 콘크리트가 충진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강관 보강부재(330)의 내부, 즉 원형링(340) 하단의 모서리 부분에 빈공간이 발생하게 되므로 인해 안정감이 떨어지게 되며, 이는 부실 공사의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강관(300) 내의 상단부 둘레면에 형성된 볼트 체결공(310)으로 체결 볼트(320)를 체결했을 때 이 체결 볼트(320)가 강관(300) 내의 상단부에 삽입된 원형링(340)과 원판(350) 사이를 관통하게 되는 데, 이런 경우 원형링(340) 표면의 삽입공(341)에 수직 연결철근(51)이 설치된 상태에서 원형링(340)의 회전폭이 작아지게 되어 수직 연결철근(51)의 위치 교정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한편, 본 출원인이 한국특허출원 2002-제 5376 호로 출원한 종래의 다른 구조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에 타설되는 강관(10)의 외주면 상단에 복수개의 핀공(11)이 형성되어 이 핀공(11)에 스톱퍼(12)가 억지끼움되어 결합되고, 상기 강관(10)의 내측으로는 외주연에 복수개의 결합공이 천공된 원형의 막음판(13)을 일정 깊이 위치되게 걸이봉(15)을 이용하여 강관(10) 내의 상기 스톱퍼(12)에 걸리도록 고정시키며, 상기 걸이봉(15)의 하부에는 나사부(15b)가 형성되어 이 나사부(15b)를 막음판(13)의 외주연에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공에 관통되는 상태로 삽입하여 저면에서 너트(20a)로 고정시키고, 상기 걸이봉(15)의 상부에는 걸고리(15a)를 밴딩 형성하여 이 걸고리(15a)를 강관(10)의 핀공(11)에 삽입된 스톱퍼(12)에 걸림 고정하여 막음판(13)이 강관(10) 내부의 일정 깊이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막음판(13) 상측의 중앙에는 복수개의 수직 연결철근을 삽입하여 지지하기 위한 철근 지지수단이 설치되는 데, 이 철근 지지수단은 상기 막음판(13) 중앙에 통공을 형성하고, 이 통공에는 너트(20c)에 의해 축볼트(19)를 고정시키고, 이 축볼트(19)에 고정되는 막음판(13)의 상측으로는 너트(20b)에 의해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지구(16)를 설치하되, 이 지지구(16)의 외주면으로는 끝단에 고정공이 형성된 수직 철근 지지로드(17)를 상,하 한쌍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복수개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축볼트(19)에 결합되는 지지구(16)와 막음판(13)의 저면과 상면에 고정되는 너트(20b)(20c)는 서로 일정 간격된 상태를 유지하여 이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시공시에는 먼저 지면에 강관(10)을 타설시키게 되는 데, 이때 강관(10)의 타설은 땅속 깊은 곳의 지반이 있는 곳까지 타설되는 것이고, 타설이 완료되면 지반의 높낮이에 따라 불규칙하게 상측으로 돌출된 강관(10)을 균일한 높이로 유지되게 상측을 절단하는 것이다.
그리고, 타설된 강관(10)의 외주연 상단에는 십자형(+) 방향으로 수평선상에 핀공(11)을 천공한 후, 상기 강관(10)의 내부에는 일정 깊이 위치에 강관(10)의 내경과 동일한 지름을 갖고, 외주연에 복수개의 결합공이 천공된 막음판(13)을 삽입하여 고정 설치하되, 상기 막음판(13)의 외주연에 복수개 천공된 결합공에는 상측에 걸고리(15a)가 일체로 형성된 걸이봉(15)을 끼워 너트로 고정하여 강관(10) 구부에 걸어 1차적으로 설치한다.
이어, 상기 강관(10)의 외주연 상단에 천공된 핀공(11)에는 각 방향에서 스톱퍼(12)를 삽입하여 결합시키고, 상기 각각의 스톱퍼(12) 내측에는 강관(10)의 구부에 1차적으로 걸어 설치한 걸이봉(15)을 해체하여 걸이봉(15) 상측에 벤딩 형성된 걸고리(15a)를 걸어 고정시킴에 따라 막음판(13)을 설치하게 되며, 그 막음판(13)의 원주 방향에 복수개 연결조립된 수직 철근 지지로드(17)에 수직 연결철근(51)을 위치시킨 다음, 콘크리트를 충진하여 양생하면 시공이 완료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는 수직 연결철근(51)을 지지하기 위해 지지구(16), 축볼트(19), 수직 철근 지지로드(17), 걸이봉(15) 등과 같은 많은 부품이 필요하므로 인해 부품 제작비용의 상승에 의한 시공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그 구조가 복잡하여 작업 능률이 저하됨과 아울러, 시공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건물이나 교량을 축조할 때 지면에 타설된 각 강관의 상부에 설치되는 수직 연결철근을 간단한 구조로서 접촉 면적을 넓혀 수직 연결철근이 쓰러지는 현상이 발생됨이 없이 견고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부품의 감소에 따른 시공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의 단순화에 따른 작업 능률을 향상시켜 시공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기초 공사용 강관의 철근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수직 연결철근의 위치를 임의로 이동하여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어서 시공시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기초 공사용 강관의 철근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강관 상단 내부에 수직 연결철근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이 결합되어 확대 기초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다른 강관 상단 내부에 수직 연결철근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강관의 상단 내부에 수직 연결철근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4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수직 연결철근 고정용 스페이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강관 12; 스톱퍼
51; 수직 연결철근 100; 철근 고정용 스페이서
110; 지지편 112; 통공
114; 수직 고정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지면에 타설되는 강관의 내측으로 돌출된 각각의 스톱퍼 상에 복수개의 수직 연결철근이 각각 관통하는 통공을 갖는 지지편이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링 형상의 철근 고정용 스페이서가 안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공사용 강관의 철근 지지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철근 고정용 스페이서의 내주면에 형성된 각각의 지지편 하부에는 통공을 관통한 수직 연결철근의 외주면을 감싸 지지하기 위해 수직 방향으로 절곡된 수직 고정편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강관의 상단 내부에 수직 연결철근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수직 연결철근 고정용 스페이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지면에 타설되는 강관(10)의 외주면 상단에 복수개의 핀공(11)이 형성되고, 이 각각의 핀공(11)에는 스톱퍼(12)가 억지끼움되어 결합되는 데, 이때 스톱퍼(12)는 상기 강관(10)의 내측으로 돌출만 되면 무방하나, 약 3~5㎝ 이내로 내향 돌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강관(10)의 내부에는 링 형상을 갖는 철근 고정용 스페이서(100)가 각각의 스톱퍼(12) 상에 안착되어 지지되며, 상기 철근 고정용 스페이서(100)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수직 연결철근(51)이 각각 관통하는 통공(112)이 형성된 지지편(110)이 형성되고, 이 각각의 지지편(110) 하부에는 상기 통공(112)을 관통한 수직 연결철근(51)의 외주면을 감싸 지지하기 위해 수직 방향으로 절곡된 수직 고정편(114)이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한 철근 고정용 스페이서(100)를 철재로 제작할 경우에는 내주면에 형성된 각각의 지지편(110)을 펀치로 천공하므로써 통공(112)과 함께 수직 고정편(114)을 일체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상기한 철근 고정용 스페이서(100)의 다른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사출물로서 일체로 성형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공시에는 먼저, 지면에 강관(10)을 타설시킨 후, 타설된 강관(10)의 외주연 상단에는 십자형(+) 방향으로 수평선상에 핀공(11)을 천공한 다음, 상기 강관(10)의 내부에는 일정 깊이 위치에 강관(10)의 내경과 동일한 지름을 갖고, 외주연에 복수개의 결합공(13')이 천공된 막음판(13)을 삽입하여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막음판(13)의 외주연에 복수개 천공된 결합공(13')에는 상측에 걸고리(15a)가 일체로 형성된 걸이봉(15)을 끼워 너트(20a)로 고정하여 강관(10) 구부에 걸어 1차적으로 설치한다.
그 후, 상기 강관(10)의 외주연 상단에 천공된 핀공(11)에는 각 방향에서 스톱퍼(12)를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하여 결합시키고, 상기 각각의 스톱퍼(12) 내측에는 강관(10)의 구부에 1차적으로 걸어 설치한 걸이봉(15)을 해체하여 이 걸이봉(15)의 상측에 밴딩 형성된 걸고리(15a)를 걸은 다음, 상기 각각의 스톱퍼(12) 단부에 너트(20e)를 체결시켜 막음판(13)을 설치한다.
그 후, 상기 강관(10) 내부에 각각의 스톱퍼(12) 상에는 링 형상을 갖는 철재 또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성형된 철근 고정용 스페이서(100)를 안착시켜 지지되도록 한 다음, 이 철근 고정용 스페이서(10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 지지편(110)에 각각 형성된 통공(112)을 관통하여 복수개의 수직 연결철근(51)을 삽입하여 위치시킨 후 콘트리트를 충진하여 양생하면 시공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 철근 고정용 스페이서(100)의 내주면에 형성된 각각의 지지편(110) 하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절곡된 수직 고정편(11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수직 고정편(114)이 상기 통공(112)을 관통한 수직 연결철근(5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접촉 면적을 넓힌 상태로 지지할 수 있어서 각각의 수직 연결철근(51)이 쓰러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건물이나 교량을 축조할 때 지면에 타설된 각 강관의 상부에 설치되는 수직 연결철근을 간단한 구조로서 접촉 면적을 넓혀 수직 연결철근이 쓰러지는 현상이 발생됨이 없이 견고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써 사용 부품의 감소에 따른 시공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으며, 구조의 단순화에 따른 작업 능률을 향상시켜 시공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수직 연결철근의 위치를 임의로 이동하여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어서 시공시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등의 많은 장점이 구비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지면에 타설되는 강관(10)의 내측으로 돌출된 각각의 스톱퍼(12) 상에 복수개의 수직 연결철근(51)이 각각 관통하는 통공(112)이 형성된 지지편(110)이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링 형상의 철근 고정용 스페이서(100)가 안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공사용 강관의 철근 지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고정용 스페이서(100)의 내주면에 형성된 각각의 지지편(110) 하부에는 통공(112)을 관통한 수직 연결철근(51)의 외주면을 감싸 지지하기 위해 수직 방향으로 절곡된 수직 고정편(114)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공사용 강관의 철근 지지구조.
KR2020020018130U 2002-06-14 2002-06-14 기초 공사용 강관의 철근 지지구조 KR2002903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130U KR200290315Y1 (ko) 2002-06-14 2002-06-14 기초 공사용 강관의 철근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130U KR200290315Y1 (ko) 2002-06-14 2002-06-14 기초 공사용 강관의 철근 지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0315Y1 true KR200290315Y1 (ko) 2002-09-26

Family

ID=73124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130U KR200290315Y1 (ko) 2002-06-14 2002-06-14 기초 공사용 강관의 철근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31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0018B1 (ko) * 2002-12-11 2005-03-31 (주) 대호바콘텍 콘크리트 말뚝용 헤드커버 및 그를 이용한 말뚝 기초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0815602B1 (ko) 2006-09-30 2008-03-24 홍원철 기초공사용 강관말뚝의 두부 보강장치
KR101273375B1 (ko) * 2011-05-06 2013-06-11 유호토건(주) 가시설 강재 연결을 위한 피에이치씨 파일의 두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0018B1 (ko) * 2002-12-11 2005-03-31 (주) 대호바콘텍 콘크리트 말뚝용 헤드커버 및 그를 이용한 말뚝 기초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0815602B1 (ko) 2006-09-30 2008-03-24 홍원철 기초공사용 강관말뚝의 두부 보강장치
KR101273375B1 (ko) * 2011-05-06 2013-06-11 유호토건(주) 가시설 강재 연결을 위한 피에이치씨 파일의 두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9006B2 (ja) 免震装置の取付構造、その施工方法、および免震装置取付用ベースプレート
JP4693299B2 (ja) 柱脚連結構造
KR100689702B1 (ko) 기초공사용 플라스틱 조립체
KR100796976B1 (ko) 강관 파일의 두부 보강 장치
KR200212743Y1 (ko) 기초공사용 강관의 상단부 보강구조
KR200290315Y1 (ko) 기초 공사용 강관의 철근 지지구조
JP5077865B2 (ja) 既製杭及び基礎杭構造
KR200282684Y1 (ko) 조립식 덮개판으로 보강되는 강관말뚝용 머리 보강장치
KR100461914B1 (ko) 강관말뚝용 철근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강관말뚝 머리부와철근콘크리트 기초의 결합구조
KR101281067B1 (ko) 거치식 말뚝 두부 보강장치
KR100323112B1 (ko) 기초공사용 강관의 상단부 보강구조
KR100458323B1 (ko) 기초공사용 강관의 상단부 보강구조
KR102453703B1 (ko) 확대마디 수직근 및 분산 나선근이 구성되는 강관말뚝의 두부 보강구조
KR100580931B1 (ko) 기초공사용 강관의 상단부 보강구조
KR200414866Y1 (ko) 기초공사용 강관말뚝의 두부 보강장치
KR200455415Y1 (ko) 기초공사용 콘크리트 파일의 두부 보강조립체
KR100779582B1 (ko)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 및 두부보강방법
KR100815602B1 (ko) 기초공사용 강관말뚝의 두부 보강장치
KR100819521B1 (ko) 기초공사용 콘크리트관말뚝의 두부 보강장치
KR200292840Y1 (ko) 기초공사용 강관의 상단부 보강구조
KR101803767B1 (ko) 강관 파일의 두부 보강용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강관 파일 어셈블리
JP7083285B2 (ja) 免震上部基礎構造及びその作製方法
KR200267053Y1 (ko) 강관파일의 두부를 보강하면서 기초콘크리트와 연결하기위한 철근조립체
KR102064733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장치 시공방법
KR200453395Y1 (ko) 파일용 두부 보강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1017

Effective date: 2006112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