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0203Y1 - 액상형 물질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액상형 물질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203Y1
KR200290203Y1 KR2020020016963U KR20020016963U KR200290203Y1 KR 200290203 Y1 KR200290203 Y1 KR 200290203Y1 KR 2020020016963 U KR2020020016963 U KR 2020020016963U KR 20020016963 U KR20020016963 U KR 20020016963U KR 200290203 Y1 KR200290203 Y1 KR 2002902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table
frame
spray assembly
longitudinal direction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69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형대
Original Assignee
(주)브레인유니온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브레인유니온시스템 filed Critical (주)브레인유니온시스템
Priority to KR20200200169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2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2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203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피도포체의 규격 및 형상에 구애됨이 없이 다양한 형상의 피도포체에 액상형 도포물질을 도포시킬 수 있도록 스프레이 어셈블리에 대해 피도포체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액상형 물질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 상면에 소정 피도포체가 안착되며,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송 테이블; 상기 이송 테이블에 안착된 피도포체의 표면에 액상형 도포물질을 분사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프레이 어셈블리; 상기 이송 테이블을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이송 테이블이 안치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컨베이어부재; 및 상기 피도포체의 소정 규격 및 형상에 따라 피도포체의 표면과 스프레이 어셈블리와의 이격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이송 테이블의 높낮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 테이블에 설치된 높낮이 조절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액상형 물질 도포장치{Apparatus for spraying fluid-material}
본 고안은 액상형 물질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피도포체의 규격 및 형상에 구애됨이 없이 다양한 형상의 피도포체에 액상형 도포물질을 도포시킬 수 있도록 스프레이 어셈블리에 대해 피도포체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액상형 물질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정 형상을 가진 피도포체의 표면에 액상형 도포물질 특히, 인쇄용 잉크제를 도포시킬 수 있는 장치로는 잉크젯 프린터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잉크젯 프린터는 열역학적, 전기적, 기계적인 힘을 이용하여 소정 피도포체의 표면에 잉크를 직접 분사하는 방식으로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도트 프린터와 달리, 카트리지의 사용에 따라 다양한 컬러의 구현이 가능하고, 소음이 적으며, 인자 품질이 미려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어 점차 그 사용 영역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종래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는 대략 장방형으로 이루어진 프레임과,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이송부와, 이송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이송부의 대략 중앙부에 대해 프레임의 길이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잉크가 담겨져 있고 그 잉크를 피도포체에 분사시킬 수 있는 노즐이마련된 스프레이 어셈블리와, 이송부에 안치되어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스프레이 어셈블리 측으로 이송되며, 인쇄 하고자 하는 피도포체가 안착되는 평판 이송테이블을 구비한다. 따라서,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이송부가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스프레이 어셈블리에 의해 잉크가 분사됨으로써 평판 이송테이블 위에 안착된 피도포체의 표면에 소정 화상을 형성시키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는 스프레이 어셈블리와 평판 이송테이블 간의 이격 거리가 최적의 인쇄 작업에 요구되는 거리로서 기설정 되어 있는 바, 하나의 프린터장치로서 일정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진 피도포체 만을 인쇄할 수 밖에 없어 피도포체의 규격에 제한이 따른다. 최근 들어서는 인테리어 및 제품의 광고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잉크젯 프린터를 이용하여 타일, 전자제품 등 다양한 규격과 형상을 가진 피도포체의 표면에 다양한 색상의 문양을 인쇄하게 되는데, 상기한 피도포체의 규격에 대한 제약으로 인해 각각의 규격 및 형상을 가진 피도포체에 대응되는 프린터 기기를 별도로 제조하거나 구입하는데 따른 경제적인 부담감이 가중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착상된 것으로서, 피도포체의 규격 및 형상에 대응되는 도포 기기를 별도로 제조하거나 구입하는데 따른 경제적인 부담감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피도포체의 규격 및 형상에 구애됨이 없이 다양한 형상의 피도포체에 액상형 도포물질을 도포시킬 수 있도록 스프레이 어셈블리에 대해 피도포체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액상형 물질 도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형 물질 도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송 테이블에 설치되는 유동 방지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송 테이블에 설치되는 유동 방지부재의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높낮이 조절수단을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5은 도 1에 도시된 높낮이 조절수단을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형 물질 도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도 6에 도시된 높낮이 조절수단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 피도포체 10... 프레임
20... 컨트롤유니트 30... 이송 테이블
40... 스프레이 어셈블리 50... 컨베이어부재
60... 유동 방지부재 70... 높낮이 조절수단
90... 감지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프레임; 상면에 소정 피도포체가 안착되며,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송 테이블; 상기 이송 테이블에 안착된 피도포체의 표면에 액상형 도포물질을 분사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프레이 어셈블리; 상기 이송 테이블을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이송 테이블이 안치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컨베이어부재; 및 상기 피도포체의 소정 규격 및 형상에 따라 피도포체의 표면과 스프레이 어셈블리와의 이격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이송 테이블의 높낮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 테이블에 설치된 높낮이 조절수단을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액상형 물질 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상형 도포물질은 인쇄용 잉크제 또는 UV 코팅제 또는 나노 코팅제 또는 산화 방지제 또는 변색 방지제 또는 방습제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액상형 물질 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평행하게 설치되며, 소정 구동원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무한궤도 상으로 주행 가능한 한 쌍의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액상형 물질 도포장치는, 상기 컨베이어부재의 구동에 의해 이송 테이블이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될 때, 그 이송 테이블의 상면에대해 피도포체가 유동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이송 테이블에 설치된 유동 방지부재를 더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액상형 물질 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동 방지부재는: 상기 피도포체의 규격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이송 테이블의 상면에 소정 깊이 형성된 형합홈을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액상형 물질 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동 방지부재는: 상기 피도포체의 가장자리 부분을 밀착시킬 수 있도록 소정 자력에 의해 상기 이송 테이블의 상면에 부착 가능한 다수의 자성체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액상형 물질 도포장치는, 최적의 액상물질 도포 요건에 대응되는 스프레이 어셈블리와 이송 테이블 간의 기설정된 기준 이격거리에 대해 피도포체의 표면과 스프레이 어셈블리 간의 가변 이격거리를 감지하여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에 의해 상기 기준 이격거리와 가변 이격거리의 오차 범위 만큼 상기 이송 테이블을 업-다운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프레이 어셈블리에 설치된 감지부재를 더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액상형 물질 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은: 상기 컨베이어부재에 안치되며, 상기 이송 테이블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길이 방향의 센터점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되는 나사 방향을 가진 제1 및 제2스크류부가 각각 형성된 리드스크류; 상기 리드스크류에 소정 구동력을 전달하여 그 리드스크류를 선택적으로 정,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된구동부재; 상기 리드스크류의 센터점에 대해 제1 및 제2스크류부를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스크류부에 각각 나사 결합된 이송블록; 상기 이송블록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해, 상기 이송블록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리드스크류의 외측에 각각 배치된 가이드 바아; 및 각각의 단위 링크가 서로 교차되어 링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블록에 각각 힌지 결합되며, 링크 운동에 의해 상기 이송 테이블을 선택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송 테이블의 저면에 힌지 결합된 한 쌍의 크로스 링크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액상형 물질 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구동풀리;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일정한 속도로 감속시킬 수 있도록 상기 리드스크류의 일단부에 설치된 감속풀리; 및 상기 구동풀리와 감속풀리에 각각 연결된 전동벨트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액상형 물질 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은: 상기 이송 테이블의 높낮이를 수조작에 의해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리드스크류의 타단부에 설치된 조절레버를 더 구비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스프레이 어셈블리에 대해 피도포체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하나의 도포장치로서 일정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진 피도포체의 표면에 소정 도포막을 형성시킬 수 밖에 없어 피도포체의 규격에 제한이 따른 종래와 달리, 하나의 도포장치로서 피도포체의 규격 및 형상에 구애됨이 없이 다양한 형상의 피도포체에 액상형 도포물질을 도포시킬 수 있으며, 피도포체의 규격 및 형상에 대응되는 도포 기기를 별도로 제조하거나 구입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인 부담감이 저감될 뿐만 아니라, 액상형 물질의 도포 제품의 제조 단가가 저렴하여 상대적으로 한층 더 높은 경쟁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형 물질 도포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형 물질 도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액상형 물질 도포장치(100)는 하나의 도포 기기에 대해 일정 규격과 형상을 가진 소정 피도포체에 액상형 도포물질을 도포시킬 수 밖에 없었던 종래와 달리, 하나의 도포 기기로서 피도포체(P)의 규격 및 형상에 구애됨이 없이 다양한 형상의 피도포체(P)에 액상형 도포물질을 도포시킬 수 있도록 스프레이 어셈블리(40)에 대해 피도포체(P)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를 위한 상기 액상형 물질 도포장치(100)는, 프레임(10)과, 상면에 소정 피도포체(P)가 안착되며 프레임(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송 테이블(30)과, 이송 테이블(30)에 안착된 피도포체(P)의 표면에 액상형 도포물질을 분사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프레이 어셈블리(40)와, 이송 테이블(30)을 프레임(10)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해 프레임(10)에 설치된 컨베이어부재(50)와, 컨베이어부재(50)의 구동에 의해 이송 테이블(30)이 프레임(10)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될 때, 이송 테이블(30)의 상면에 대해 피도포체(P)가 유동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는 유동 방지부재(60)와, 피도포체(P)의 소정 규격 및 형상에 따라 피도포체(P)의 표면과 스프레이 어셈블리(40)와의 이격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이송 테이블(30)을 선택적으로 업-다운시키기 위한 높낮이 조절수단(70)과, 스프레이 어셈블리(40)와 피도포체(P) 간의 이격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재(90)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도포장치(100)는 소정 도포물질 예컨대, 인쇄용 잉크제, UV 코팅제, 나노 코팅제, 산화 방지제, 변색 방지제, 방습제 등과 같은 액상형 도포물질을 임의적으로 선택하여 소정 피도포체(P)에 도포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것으로, 이하에서는 피도포체(P)의 표면에 인쇄용 잉크제를 도포시켜 소정 화상을 형성시키기 위한 프린터 기기를 예로 들어 제반 구조 및 인쇄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 있는 피도포체(P)는 소정 규격 및 형상을 가진 인쇄 대상물 예컨대, 일반적인 인쇄용지, 광고용 천막, 스카프나 손수건 등의 섬유 제품, 목재, 플라스틱 또는 가죽 등을 이용한 팬시 용품, 장식품, 포스터, 타일, 노트북과 같은 전자제품 등 변화가 빠르고 유행에 민감한 분야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되는 것들이다.
상기 프레임(10)은 실질적으로 도포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이 안착되는 것으로서, 대략 장방형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지며, 소정 지면에 수평을 유지하도록 안정되게 배치되고, 소정 높이를 가진 다수의 지지대(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들은 모두 프레임(10)에 설비되는 것으로서, 각종 브라켓, 블록, 바아, 플레이트, 하우징, 커버, 칼라 등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프레임(10)에 설비하기 위한 부속 요소들이므로,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프레임(10)으로 통칭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에 설비된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컨트롤유니트(20)에 의해 그 작동이 서보 제어된다.
상기 이송 테이블(30)은 실질적으로 소정 피도포체(P)를 스프레이 어셈블리(40) 측으로 이동시켜 스프레이 어셈블리(40)에 의해 그 피도포체(P)의 표면에 다양한 문양을 형성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송 테이블(30)은 소정 피도포체(P)가 안착 가능한 평면 형상의 플레이트 구조로서, 후술할 컨베이어부재(50)에 의해 프레임(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스프레이 어셈블리(40) 측으로 이동되면서 스프레이 어셈블리(40)에 의해 피도포체(P)의 표면에 소정 화상을 형성시킨 후,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상기 스프레이 어셈블리(40)는 일반적으로 잉크젯 프린터장치에 널리 알려져 있는 구조로서, 소정량의 인쇄용 잉크제가 저장되며 피도포체(P)의 표면에 그 잉크제를 분사시키기 위한 인쇄 헤드(미도시)를 가진 카트리지(42)와, 카트리지(42)가 장착되며 무한궤도로 주행하는 타이밍 벨트(45)에 의해 프레임(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캐리지(43)와, 캐리지(43)를 프레임(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도록 양단부가 프레임(10)에 각각 고정 설치된 샤프트(44)를 구비한다. 따라서, 피도포체(P)가 안착된 이송 테이블(30)이 프레임(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도중 스프레이어셈블리(40)의 하측에 도달되면, 캐리지(43)가 샤프트(44)를 따라 왕복 이동됨과 동시에 카트리지(42)로부터 잉크제를 분사시킴에 따라 피도포체(P)의 표면에 소정 화상을 형성시키게 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카트리지(4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쇄용 잉크제 만을 저장 분사시킬 수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UV 코팅제, 나노 코팅제, 산화 방지제, 변색 방지제, 방습제와 같은 액상형 도포물질들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저장 분사시킬 수도 있다.
상기 컨베이어부재(50)는 피도포체(P)가 안착된 이송 테이블(30)을 스프레이 어셈블리(40) 측으로 이동시켜 스프레이 어셈블리(40)에 의해 피도포체(P)의 표면에 소정 화상을 형성시키게 한 후,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구조를 가진다. 이를 위한 상기 컨베이어부재(50)는 컨트롤유니트(20)에 의해 제어되며 이송 테이블(30)이 안정되게 거치될 수 있도록 프레임(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평행하게 마련되고, 소정 구동원(51)에 의해 프레임(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무한궤도 상으로 주행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컨베이어 벨트(52)를 구비한다. 상기 각각의 컨베이어 벨트(52)는 프레임(10)의 선단측에 설치된 지지편(55)에 구동원(5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동 회전축(53)과 프레임(10)의 후단측에 설치된 지지편(5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종동 회전축(54)에 감겨 진다. 대안적으로, 상기 컨베이어부재(50)는 컨베이어 벨트(52)가 이송 테이블(30) 및 후술할 높낮이 조절수단(70)의 자중에 의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처짐 방지부재(미도시)가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 방지부재(60)는컨베이어부재(50)의 구동에 의해 이송 테이블(30)이 프레임(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될 때, 이송 테이블(30)의 관성력에 의해 그 이송 테이블(30)의 상면에 대해 피도포체(P)가 유동되는 것을 억제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유동 방지부재(60)는 피도포체(P)의 규격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이송 테이블(30)의 상면에 소정 깊이 형성된 형합홈(61)을 구비한다. 따라서, 피도포체(P)는 형합홈(61)에 형합되어 고정되는 바, 컨베이어부재(50)에 의해 이송 테이블(30)이 왕복 이동 된다 해도 관성력에 의해 피도포체(P)가 유동되지 않게 된다.
대안적으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 방지부재(60)는 상술한 바와 같은 형합홈(61)을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현예로서 소정 자력에 의해 이송 테이블(30)의 상면에 부착 가능하게 마련되며, 피도포체(P)의 가장자리 부분에 밀착 가능한 다수의 자성체(65)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부재(90)는 최적의 액상형 도포물질 도포 요건 즉, 실질적인 최적의 인쇄 요건에 대응되는 스프레이 어셈블리(40)와 이송 테이블(30) 간의 기설정된 기준 이격거리에 대해 규격 및 형상이 각기 다른 소정 피도포체(P)의 표면과 스프레이 어셈블리(40) 간의 가변 이격거리를 감지할 수 있도록 스프레이 어셈블리(40)에 설치된다. 상기 감지부재(90)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가진 일반적인 적외선 감지센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부재(90)는 컨트롤유니트(20)와 신호체계로 연결된다. 즉, 상기 컨트롤유니트(20)는 감지부재(90)에 의해 감지된 피도포체(P)의 표면과 스프레이 어셈블리(40) 간의 가변 이격거리와, 스프레이 어셈블리(40)와 이송 테이블(30) 간의 기준 이격거리를 비교 판단하여 상기 기준 이격거리와 가변 이격거리와의 오차 범위 만큼 이송 테이블(30)을 업-다운시킬 수 있도록 후술할 높낮이 조절수단(7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도 1과 함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70)은 컨트롤유니트(20)에 의해 제어되어 피도포체(P)의 표면과 스프레이 어셈블리(40) 간의 적정 이격거리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피도포체(P)의 규격 및 형상에 구애됨 없이 다양한 형상의 피도포체(P)에 소정 화상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스프레이 어셈블리(40)에 대해 이송 테이블(30)을 선택적으로 업-다운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70)은 이송 테이블(30)과 소정 간격 이격되며 컨베이어부재(50)의 컨베이어 벨트(52) 상에 안착 가능한 베이스 플레이트(71)와, 베이스 플레이트(7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리드스크류(72)와, 리드스크류(72)에 소정 구동력을 전달하여 그 리드스크류(72)를 선택적으로 정,역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부재(73)와, 리드스크류(72)의 회전시 그 리드스크류(72)의 길이 방향측 센터점을 기준으로 양측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리드스크류(72)에 나사 결합된 이송블록(78)과, 이송블록(78)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해 리드스크류(72)의 외측에 각각 배치된 가이드 바아(79)와, 각각의 단위 링크(82)가 서로 교차되어 링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이송블록(78)에 각각 힌지 결합되며, 링크 운동에 의해 이송 테이블(30)을 선택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이송 테이블(30)의 저면에 각각 힌지 결합된 한 쌍의 크로스 링크(81)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는 대략 이송 테이블(30)과 동일한 넓이를 가진 플레이트로서, 길이 방향측 가장자리 부분이 컨베이어부재(50)의 컨베이어 벨트(52) 상에 안치된다.
상기 리드스크류(72)는 길이 방향의 센터 지점을 기준으로 양측에 서로 반대되는 나사 방향을 가진 제1 및 제2스크류부(72a,72b)가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스크류부(72a)는 리드스크류(72)의 센터점을 중심으로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제2스크류부(72b)는 리드스크류(72)의 센터점을 중심으로 타측에 형성되며 제1스크류부(72a)의 나사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부재(73)는 실질적으로 리드스크류(72)에 소정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 플레이트(71)의 상면에 설치된 구동모터(74)와, 구동모터(74)의 회전축(74a)에 설치된 구동풀리(75)와, 구동모터(74)의 회전속도를 일정한 속도로 감속시킬 수 있도록 리드스크류(72)의 일단부에 설치된 감속풀리(76)와, 구동풀리(75)와 감속풀리(76)에 각각 연결된 전동벨트(77)를 구비한다.
상기 이송블록(78)은 베이스 플레이트(71)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리드스크류(72)의 센터점을 기준으로 제1 및 제2스크류부(72a,72b)를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스크류부(72a,72b)에 각각 나사 결합된다. 상기 이송블록(78)은 대략 중앙 부분에 리드스크류(72)가 나사 결합 가능한 나사공(78a)이 형성되며, 나사공(78a)의 외측에 후술할 가이드 바아(79)가 삽입 가능한 관통공(78b)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바아(79)는 베이스 플레이트(7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리드스크류(72)의 외측에 각각 배치되고, 이송블록(78)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이송블록(78)에 형성된 관통공(78b)에 각각 삽입된다. 따라서, 이송블록(78)은 가이드 바아(79)에 가이드되면서 리드스크류(72)의 센터점을 기준으로 제1 및 제2스크류부(72a,72b)를 따라 왕복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한 쌍의 크로스 링크(81)는 소정 길이의 막대 형상을 가진 한 쌍의 단위 링크(82)를 "X"자 형태로 상호 교차시키고, 그 교차점을 힌지로 고정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크로스 링크(81)는 단위 링크(82) 각각의 일단부가 이송블록(78)의 일측과 타측에 힌지 결합되고, 단위 링크(82) 각각의 타단부가 이송 테이블(30)의 저면에 각각 힌지 결합된다. 상기 크로스 링크(81)는 단위 링크(82) 각각의 일단부에 이송블록(78)의 일측과 타측에 힌지 결합되는 제1결합부(82a)가 마련되고, 단위 링크(82) 각각의 타단부에 베이스 플레이트(71)의 저면에 힌지 결합됨과 동시에 그 베이스 플레이트(71)의 저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제2결합부(82b)가 마련된다. 상기 제1결합부(82a)는 이송블록(78)의 일측과 타측에 단순히 힌지 결합된 구조를 가지며, 제2결합부(82b)는 베이스 플레이트(71)의 저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레일(85)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레일(85)은 제2결합부(82b)의 슬라이딩 거리 만큼 크로스 링크(81)의 링크 운동에 따른 이송 테이블(30)의 승강 거리를 제어하게 된다. 대안적으로, 단위 링크(82) 각각의 타단부에 대응되는 제2결합부(82b)는 가이드레일(85)에 대해 둘 모두가 슬라이딩되는 구조를 가지는 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둘 중의 어느 하나 만이 가이드레일(85)를 따라 선택적으로 슬라이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70)은 이송 테이블(30)의 높낮이를 수조작에 의해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리드스크류(72)의 타단부에 설치된 조절레버(83)를 구비한다. 즉, 상기 조절레버(83)를 조작함에 따라 이송 테이블(30)의 업-다운 동작 거리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형 물질 도포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포장치(100)의 정지 모드 상태에서, 높낮이 조절수단(70)의 베이스 플레이트(71)를 액상형 물질 도포 모드시의 초기 동작 위치 즉, 프레임(10)의 선단측 컨베이어 벨트(52) 상에 올려 놓는다.
이어서, 컨트롤유니트(20)를 조작하여 도포장치(100)를 액상형 물질 도포 모드로 변환시킨다. 그러면, 컨트롤유니트(20)는 이송 테이블(30)의 상면이 스프레이 어셈블리(40) 간의 기설정된 거리 만큼 이격될 수 있도록 높낮이 조절수단(70)을 가동시켜 최저 높이에 위치된 이송 테이블(30)의 높이를 조정한다. 이 때, 이송 테이블(30)의 업-다운 동작 거리를 임의적으로 조절하기 위해서는 조절레버(83)를 손으로 돌려 미세하게 조정한다. 이와 같은 높낮이 조절수단(70)의 동작은 하기에 후술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 이송 테이블(30)의 상면에 소정 피도포체(P)를 로딩시킨다.
이어서, 컨베이어부재(50)의 구동원(51)을 구동시켜 구동 회전축(53)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컨베이어 벨트(52)는 구동 회전축(53)과 종동 회전축(54)에 감겨 있으므로, 구동 회전축(53)이 회전됨에 따라 프레임(10)의 길이 방향으로 주행하게 되고, 이송 테이블(30)은 컨베이어 벨트(52)가 주행됨에 따라 스프레이어셈블리(40) 측으로 이동된다.
다음, 이송 테이블(30)이 스프레이 어셈블리(40) 측에 도달되는 순간, 감지부재(90)는 소정 두께를 가진 피도포체(P)의 표면과 스프레이 어셈블리(40) 간의 이격거리를 감지하게 된다.
이어서, 컨트롤유니트(20)는 감지부재(90)에 의해 감지된 피도포체(P)의 표면과 스프레이 어셈블리(40) 간의 가변 이격거리와, 스프레이 어셈블리(40)와 이송 테이블(30) 간의 기준 이격거리를 비교 판단하여 상기 기준 이격거리와 가변 이격거리와의 오차 범위 만큼 높낮이 조절수단(70)을 가동시켜 이송 테이블(30)을 업-다운시킨다.
부연 설명하면, 도 6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테이블(30)이 스프레이 어셈블리(40)에 도달되는 시점에 이송 테이블(30)에 안착된 피도포체(P)의 표면이 그 피도포체(P)의 두께에 의해 이송 테이블(30)의 상면과 스프레이 어셈블리(40) 간의 기준 이격거리 내에 위치되는 경우, 감지부재(90)는 피도포체(P)의 표면과 스프레이 어셈블리(40) 간의 가변 이격거리를 감지한다. 이어서, 컨트롤유니트(20)는 감지부재(90)의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소정 제어신호로 변환시킨 다음, 이송 테이블(30)의 상면과 스프레이 어셈블리(40) 간의 기준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제어신호와 비교 판단한 후, 컨베이어부재(50)의 구동원(51)을 오프시킴과 동시에, 높낮이 조절수단(70)의 구동모터(74)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1 및 제2스크류부(72a,72b)에 각각 나사 결합된 이송블록(78)은 리드스크류(72)의 센터점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도면에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송 테이블(30)은 크로스 링크(81)의 링크 운동에 의해 소정 거리 만큼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피도포체(P)의 표면과 스프레이 어셈블리(40)와의 이격거리는 이송 테이블(30)과 스프레이 어셈블리(40)와의 기준 이격거리와 일치하게 된다.
한편, 도 6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테이블(30)이 스프레이 어셈블리(40)에 도달되는 시점에 이송 테이블(30)에 안착된 피도포체(P)의 표면이 그 피도포체(P)의 두께에 의해 이송 테이블(30)의 상면과 스프레이 어셈블리(40) 간의 기준 이격거리를 벗어나는 경우, 감지부재(90)는 피도포체(P)의 표면과 스프레이 어셈블리(40) 간의 가변 이격거리를 감지한다. 이어서, 컨트롤유니트(20)는 감지부재(90)의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소정 제어신호로 변환시킨 다음, 이송 테이블(30)의 상면과 스프레이 어셈블리(40) 간의 기준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제어신호와 비교 판단한 후, 컨베이어부재(50)의 구동원(51)을 오프시킴과 동시에, 높낮이 조절수단(70)의 구동모터(74)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1 및 제2스크류부(72a,72b)에 각각 나사 결합된 이송블록(78)은 리드스크류(72)의 센터점을 향해 도면에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송 테이블(30)은 크로스 링크(81)의 링크 운동에 의해 소정 거리 만큼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피도포체(P)의 표면과 스프레이 어셈블리(40)와의 이격거리는 이송 테이블(30)과 스프레이 어셈블리(40)와의 기준 이격거리와 일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피도포체(P)의 표면과 스프레이 어셈블리(40) 간의 이격 거리가 이송 테이블(30)의 상면과 스프레이 어셈블리(40)와의 기준 이격거리와 일치하게 되면, 컨트롤유니트(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부재(50)의구동원(51)을 가동시킨다. 그러면, 이송 테이블(30)은 스프레이 어셈블리(40)와 기설정된 이격 거리를 유지하면서 스프레이 어셈블리(40)의 하측을 경유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스프레이 어셈블리(40)의 캐리지(43)는 샤프트(44)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프레임(10)의 길이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고, 헤드(미도시)를 통해 피도포체(P)의 표면에 잉크제를 분사시켜 소정 화상을 형성시키게 된다.
마지막으로, 컨트롤유니트(20)는 높낮이 조절수단(70)을 가동시켜 이송 테이블(30)이 최저 높이에 위치되도록 이송 테이블(30)의 높이를 조정한 후, 컨베이어부재(50)의 구동원(51)을 역회전시킴으로써, 이송 테이블(30)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그리고 나서, 다시 높낮이 조절수단(70)을 가동시켜 이송 테이블(30)의 상면이 스프레이 어셈블리(40) 간의 기설정된 거리 만큼 이격될 수 있도록 이송 테이블(30)의 높이를 조정한 후, 소정 화상이 형성된 피도포체(P)를 형합홈(61)으로부터 이탈시키게 되면, 일련의 액상형 물질 도포 작업이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형 물질 도포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스프레이 어셈블리에 대해 피도포체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하나의 도포 장치로서 일정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진 피도포체의 표면에 소정 도포막을 형성시킬 수 밖에 없어 피도포체의 규격에 제한이 따르던 종래와 달리, 하나의 도포장 치로서 피도포체의 규격 및 형상에 구애됨이 없이 다양한 형상의 피도포체에 액상형 도포물질을 도포시킬 수 있다.
둘째, 피도포체의 규격 및 형상에 대응되는 도포 기기를 별도로 제조하거나 구입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인 부담감이 저감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액상형 물질 도포 제품의 제조 단가가 저렴하여 상대적으로 한층 더 높은 경쟁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Claims (10)

  1. 프레임;
    상면에 소정 피도포체가 안착되며,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송 테이블;
    상기 이송 테이블에 안착된 피도포체의 표면에 액상형 도포물질을 분사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프레이 어셈블리;
    상기 이송 테이블을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이송 테이블이 안치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컨베이어부재; 및
    상기 피도포체의 소정 규격 및 형상에 따라 피도포체의 표면과 스프레이 어셈블리와의 이격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이송 테이블의 높낮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 테이블에 설치된 높낮이 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형 물질 도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형 도포물질은 인쇄용 잉크제 또는 UV 코팅제 또는 나노 코팅제 또는 산화 방지제 또는 변색 방지제 또는 방습제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형 물질 도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평행하게 설치되며, 소정 구동원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무한궤도 상으로 주행 가능한 한 쌍의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형 물질 도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부재의 구동에 의해 이송 테이블이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될 때, 그 이송 테이블의 상면에 대해 피도포체가 유동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이송 테이블에 설치된 유동 방지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형 물질 도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방지부재는:
    상기 피도포체의 규격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이송 테이블의 상면에 소정 깊이 형성된 형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형 물질 도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방지부재는:
    상기 피도포체의 가장자리 부분을 밀착시킬 수 있도록 소정 자력에 의해 상기 이송 테이블의 상면에 부착 가능한 다수의 자성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형 물질 도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최적의 액상물질 도포 요건에 대응되는 스프레이 어셈블리와 이송 테이블 간의 기설정된 기준 이격거리에 대해 피도포체의 표면과 스프레이 어셈블리 간의 가변 이격거리를 감지하여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에 의해 상기 기준 이격거리와 가변 이격거리의 오차 범위 만큼 상기 이송 테이블을 업-다운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프레이 어셈블리에 설치된 감지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형 물질 도포장치.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은:
    상기 컨베이어부재에 안치되며, 상기 이송 테이블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길이 방향의 센터점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되는 나사 방향을 가진 제1 및 제2스크류부가 각각 형성된 리드스크류;
    상기 리드스크류에 소정 구동력을 전달하여 그 리드스크류를 선택적으로 정,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된 구동부재;
    상기 리드스크류의 센터점에 대해 제1 및 제2스크류부를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스크류부에 각각 나사 결합된 이송블록;
    상기 이송블록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해, 상기 이송블록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리드스크류의 외측에 각각 배치된 가이드 바아; 및
    각각의 단위 링크가 서로 교차되어 링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블록에 각각 힌지 결합되며, 링크 운동에 의해 상기 이송 테이블을 선택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송 테이블의 저면에 힌지 결합된 한 쌍의 크로스 링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형 물질 도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구동풀리;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일정한 속도로 감속시킬 수 있도록 상기 리드스크류의 일단부에 설치된 감속풀리; 및
    상기 구동풀리와 감속풀리에 각각 연결된 전동벨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형 물질 도포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은:
    상기 이송 테이블의 높낮이를 수조작에 의해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리드스크류의 타단부에 설치된 조절레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형 물질 도포장치.
KR2020020016963U 2002-06-03 2002-06-03 액상형 물질 도포장치 KR2002902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963U KR200290203Y1 (ko) 2002-06-03 2002-06-03 액상형 물질 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963U KR200290203Y1 (ko) 2002-06-03 2002-06-03 액상형 물질 도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0203Y1 true KR200290203Y1 (ko) 2002-09-26

Family

ID=73124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963U KR200290203Y1 (ko) 2002-06-03 2002-06-03 액상형 물질 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20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441B1 (ko) * 2002-06-03 2005-02-07 (주)브레인유니온시스템 액상형 물질 도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441B1 (ko) * 2002-06-03 2005-02-07 (주)브레인유니온시스템 액상형 물질 도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95365B2 (ja) 改良型多色刷りパッド式印刷装置
US7905198B2 (en) Ascent and descent apparatus for liquid material spray printer
US6216848B1 (en) Vacuum table conveying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US8944547B2 (en) Recording apparatus
CN214928273U (zh) 适配不同曲率面板的打印模组以及打印设备
KR100470441B1 (ko) 액상형 물질 도포장치
KR200290203Y1 (ko) 액상형 물질 도포장치
US9254688B2 (en) Liquid ejecting apparatus
JP2004314605A (ja) 印刷機を通して枚葉紙を搬送するための装置
US5067436A (en) Coating apparatus
US6945171B1 (en) Method of printing
KR200292979Y1 (ko) 액상형 물질 도포장치
US20100177143A1 (en) Method for printing endless printing substrates digitally
TW201422456A (zh) 長條帶狀體之印刷方法及印刷裝置
US8939666B2 (en) Recording apparatus for detecting marks on targets
KR200300098Y1 (ko) 액상형 물질 도포장치의 모듈화 구조
JP2018043438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及びキャリッジの移動制御方法
KR20190075256A (ko) 멀티 헤드 테이블 모듈
JP2005014343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CN212173926U (zh) 输送装置及打印设备
KR100584520B1 (ko) 잉크젯 마킹장치용 핸드건 및 핸드건의 잉크분사량제어방법
US20030039502A1 (en) Multi-mode continuous printing
CN214295084U (zh) 具有同步调节打印机构功能的打印设备
CN212472839U (zh) 分步固化的Onepass打印设备
KR20030057914A (ko) 과자 인쇄용 잉크젯 프린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