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0004Y1 - 앵커용 보강재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앵커용 보강재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004Y1
KR200290004Y1 KR2020020018954U KR20020018954U KR200290004Y1 KR 200290004 Y1 KR200290004 Y1 KR 200290004Y1 KR 2020020018954 U KR2020020018954 U KR 2020020018954U KR 20020018954 U KR20020018954 U KR 20020018954U KR 200290004 Y1 KR200290004 Y1 KR 2002900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connection
anchor
reinforcement
shaped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89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아이에이
이준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아이에이, 이준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아이에이
Priority to KR20200200189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0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0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004Y1/ko

Links

Landscapes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앵커용 보강재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두 보강재를 손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예컨대 보강토 축조 옹벽에 사용되는 옹벽블럭이나 철근콘크리트 옹벽에 사용되는 철근콘크리트 패널들을 지지하기 위한 앵커를 저가로 제공할 수 있고, 옹벽을 손쉽게 축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옹벽의 지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제1보강재(20a) 및 제2보강재(20b)의 일단을 서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지는 앵커용 보강재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재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연결플레이트(32),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의 일면에 수직으로 돌출형성되는 T자형 결합리브(34) 및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제1결합공(36)을 가지는 제1연결헤드(30)와; 그리고, 상기 제2보강재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2연결플레이트(42), 상기 T자형 결합리브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에 형성되는 T자형 결합홈(44) 및 상기 T자형 결합리브가 T자형 결합홈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결합공과 그 중심이 일치하도록 제2연결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제2결합공(46)을 가지는 제2연결헤드(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앵커용 보강재 연결구조{STRUCTURE FOR CONNECTING REINFORCING MEMBER OF ANCHOR}
본 고안은 앵커용 보강재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철근, 강봉 또는 FRP봉 등과 같은 보강재를 손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예컨대 보강토 축조 옹벽에 사용되는 옹벽블럭이나 철근콘크리트 옹벽에 사용되는 철근콘크리트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앵커로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앵커용 보강재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옹벽은 토목공사에 의하여 형성되는 절개지의 다양한 경사면이나 법면에 시공되어 배면의 토사를 지탱함으로써 그 붕괴를 방지하는 구조물로서, 지형적 요인과 옹벽시공후 옹벽에 가해지는 요인 등을 고려하여 시공되며, 철근콘크리트 옹벽과, 옹벽블럭들을 조립식으로 쌓아 축조되는 형태의 보강토 축조 옹벽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옹벽중 옹벽블럭들을 이용한 보강토 축조 옹벽의 경우 축조되는 옹벽블럭들간의 결속력이 약하여 토압을 견디기 어렵기 때문에 옹벽블럭들을 지지하는 시공이 옹벽축조과정에서 함께 이루어져야만 하며, 이러한 일반적인 옹벽블럭 지지구조로는 크게 지오그리드 앵커구조와 저항체 앵커구조를 들 수 있다.
상기한 앵커구조중 저항체 앵커구조는 예컨대 철근, 강봉 또는 FRP봉 등과 같은 보강재의 선단부를 기역자형으로 구부리고, 이 굴곡부를 옹벽블럭의 전방벽면 또는 후방벽면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걸어 지지(그 대표적인 것이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1998-1273호에 개시되어 있음)하거나, 보강재의 선단을 옹벽블럭의 후방벽면으로 관통시키고 이 보강재의 선단에 후방벽면에 걸릴 수 있는 앵커헤드로 결합한 다음 보강재의 후단부를 콘크리트 저항체에 고정(매립하거나 보강재의 선단을 고정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고정)하여 보강토에 대한 콘크리트 저항체의 수동저항에 의하여 옹벽을 지지하는 방식이다. 이 저항체 앵커구조에 있어서 보강재으로 외주면에 철근과 같이 돌출비드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경우에는 돌출비드들의 보강토에 대한 마찰저항도 옹벽에 대한 지지력을 일부 담당한다.
상기 저항체 앵커구조의 경우, 지오그리드 앵커구조에 비해서는 저가로 또한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저항체 앵커구조에 있어서는 통상적으로 보강재의 길이가 규격화(예컨대 철근 보강재의 경우 8m)되어 있기 때문에 12m 길이로 앵커시공이 이루어진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보강재를 2개 사용하여 이들을 서로 연결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 보강재들을 서로 연결할 경우 특수한 구조로 이루어진 고가의 커플러를 이용하여야만 하므로 옹벽시공비용의 절감에 한계가 있고, 또한 커플러에 의한 연결작업도 많은 공수가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철근, 강봉또는 FRP봉 등과 같은 보강재를 손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예컨대 보강토 축조 옹벽에 사용되는 옹벽블럭이나 철근콘크리트 옹벽에 사용되는 철근콘크리트 패널들을 지지하기 위한 앵커를 저가로 제공할 수 있는 앵커용 보강재 연결구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취급이 편리하여 옹벽을 손쉽게 축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옹벽의 지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앵커용 보강재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조에 의하여 두 보강재를 서로 연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조에 의하여 두 보강재가 서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 및 일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조에 적용되는 두 보강재중 어느 한 보강재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조에 의하여 연결된 보강재들로 이루어지는 앵커에 의해 옹벽을 구성하는 옹벽블럭이 지지되는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조에 의하여 연결된 보강재들로 이루어지는 앵커에 의해 옹벽을 구성하는 철근콘크리트 패널이 지지되는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앵커, 20a, 20b : 보강재,
22, 24 : 돌출비드, 26 : 고리.
30, 40 : 연결헤드, 32, 42 : 연결플레이트,
34 : T자형 결합리브, 36, 46 : 결합공,
44 : T자형 결합홈, 50 : 볼트,
52 : 너트, 60 : 옹벽블럭,
70 : 옹벽용 철근콘크리트 패널, 72 : 철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제1보강재 및 제2보강재의 일단을 서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지는 앵커용 보강재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재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연결플레이트,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의 일면에 수직으로 돌출형성되는 T자형 결합리브 및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제1결합공을 가지는 제1연결헤드와; 상기 제1보강재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2연결플레이트, 상기 T자형 결합리브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에 형성되는 T자형 결합홈 및 상기 T자형 결합리브가 T자형 결합홈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결합공과 그 중심이 일치하도록 제2연결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제2결합공을 가지는 제2연결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재들은 철근, 강봉 또는 FRP봉에서 어느 하나가 채용될 수 있으며, 그 외주면에 길이방향 돌출비드가 양쪽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다수 개의 원주방향 돌출비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재들중 어느 하나의 보강재의 타단에는 옹벽블럭의 벽면이나 옹벽용 철근콘크리트 패널의 철근을 걸어 지지할 수 있는 고리가 절곡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앵커용 보강재 연결구조에 따르면, 두 보강재를 서로 연결할 경우, 제2보강재를 구성하는 제2연결헤드에 형성된 T자형 결합홈에, 제1보강재를 구성하는 제1연결헤드에 형성된 T자형 결합리브를 간단하게 끼워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연결헤드 및 제2연결헤드를 서로 연결한 상태에서는 제1보강재의 제2연결헤드에 형성된 제1결합공과 제2보강재의 제2연결헤드에 형성된 제2결합공이 서로 일치하므로, 이 결합공들을 통해 예컨대 볼트를 끼워 상기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면 두 보강재가 연결상태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두 보강재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앵커를 옹벽축조과정에서 고리를 옹벽블럭의 벽면에 걸거나 옹벽용 철근콘크리트 패널에 걸고 이것들의 후방에 보강토를 채우면 옹벽블럭이나 옹벽용 철근콘크리트 패널이 간단하게 지지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상기 T자형 결합리브가 보강재들에 대하여 수직으로 돌출되어 돌출비드들과 더불어 보강토에 대한 마찰력을 증진시킬 수 있으므로 옹벽지지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앵커용 보강재 연결구조는, 두 보강재, 즉 제1보강재(20a) 및 제2보강재(20b)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보강재(20a)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1연결헤드(30)와, 상기 제2보강재(20b)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2연결헤드(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재들(20a, 20b)은 철근, 강봉 또는 FRP봉에서 어느 하나가 채용될 수 있다. 또한, 보강재(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옹벽의 배면에 채워지는 보강토에 대한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외주면 양쪽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길이방향 돌출비드(22) 및 외주면에 반원형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원주방향 돌출비드(24)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제1연결헤드(30)는, 상기 제1보강재(20a)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연결플레이트(32)와,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32)의 일면에 수직으로 돌출형성되는 T자형 결합리브(34)와, 그리고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32)에 형성되는 제1결합공(36)을 구비한다. 상기 T자형 결합리브(34)는 제1연결플레이트(32)의 일면중 선단에 형성되고, 제1결합공(36)은 제1연결플레이트(32)중 T자형 결합리브(34) 안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연결헤드(40)는, 상기 제2보강재(20b)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2연결플레이트(42)와, 상기 T자형 결합리브(34)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42)에 형성된 T자형 결합홈(44)과, 그리고 상기 T자형 결합리브(34)가 T자형 결합홈(44)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결합공(36)과 그 중심이일치하도록 제2연결플레이트(42)에 형성되는 제2결합공(46)을 구비한다. 즉, 제2결합공(46)은 제2연결플레이트(42)의 선단쪽에 형성되고, T자형 결합홈(44)은, 제2연결플레이트(42)중 제2결합공(46)의 안쪽 위치에, 그 작은 폭을 가지는 영역이 제2결합공(46)쪽에 인접함과 아울러 그 큰 폭을 가지는 영역이 제2보강재(20b)쪽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면, 상기 T자형 결합리브(34)가 T자형 결합홈(44)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결합공(36)과 제2결합공(46)의 중심이 서로 일치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보강재(20a, 20b)를 서로 연결할 경우, 제2보강재(20b)에 설치된 제2연결헤드(40)의 T자형 결합홈(44)중 큰 폭을 가지는 영역을 통하여 제1보강재(20a)에 설치된 제1연결헤드(30)의 T자형 결합리브(34)를 끼운 다음 상기 T자형 결합리브(34)를 T자형 결합홈(44) 내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헤드(40)의 제2결합공(46)쪽으로 당기면 제1결합공(36)과 제2결합공(46)의 중심이 서로 일치하면서 제1연결헤드(30) 및 제2연결헤드(40)가 이탈되지 않음에 따라 두 보강재(20a, 20b)가 간단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 두 보강재(20a, 20b)의 연결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공(36) 및 제2결합공(46)을 통하여 볼트(50)를 끼운 다음 상기 볼트(50)에 너트(52)를 체결하면 두 보강재(20a, 20b)의 연결상태가 간단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참조부호 54는 와셔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보강재 연결구조에 의하여 연결되는 보강재들(20a, 20b)은 앵커(10)를 구성하게 되는데, 이 앵커(10)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옹벽블럭(60)을 지지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용 철근콘크리트패널(70)을 손쉽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 보강재 예컨대, 제1보강재(20a)의 타단에 옹벽블럭(60)의 벽면(예컨대 후방벽면)을 걸어 지지하거나 옹벽용 철근콘크리트 패널(70)의 내부에 매립되는 철근(72)을 걸어 지지할 수 있는 고리(26)가 절곡형성되며, 이 고리(26)는 디귿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블럭(60)을 지지하는 예를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 옹벽블럭(60)은 보강토 축조 옹벽에 사용되는 옹벽블럭에 대한 하나의 예로서, 상하로 관통되는 중공(62)을 가지고, 상기 옹벽블럭(60)의 후방벽면(64)중 상/하면에는 제1보강재(20a)가 삽입될 수 있는 깊이로 제1삽입슬릿(66) 및 제2삽입슬릿(68)이 적어도 하나 이상 차례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옹벽블럭(60)들을 위로 축조하면서 이 옹벽블럭(60)들을 앵커(10)에 의해 지지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옹벽블럭(60)들을 축조하는 과정에서 고리(26)가 중공(62)에 놓이도록 제1보강재(20a)를 제1삽입슬릿(66)에 끼워 제1보강재(20a)를 뒤로 당기면 디귿자형 고리(26)의 끝단이 제2삽입슬릿(68)에 삽입되므로, 후방벽면(64)이 고리(26)에 의하여 파지되는 상태에 놓인다. 이러한 방법으로 옹벽블럭(60)들을 축조하면서 앵커(10)가 매립되도록 옹벽블럭(60)들의 배면에 보강토(80)를 채우면 보강토(80)에 대한 앵커(10)의 저항에 의하여 옹벽블럭(60)이 지지될 수 있다. 물론 지지력을 높이기 위하여 제2보강재(20b)의 후단에 미도시된 저항체블럭을 결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강재 연결구조에 의하여 두 보강재(20a,20b)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이루어지는 앵커(10)에 의해 옹벽블럭(60)들을 지지하게 되면, 제1보강재(20a)의 일단에 설치된 제1연결헤드(40)를 구성하는 T자형 결합리브(34)가 보강재들(20a, 20b)에 대하여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옹벽의 배면에 채워지는 보강토(80)에 대한 T자형 결합리브(34)들의 저항력이 더 크게 상승되고, 게다가 보강재(20)들에 돌출비드들(22, 24)이 형성된 경우 보강토(80)에 대한 돌출비드들(22, 24)의 마찰력이 더 부가되므로 옹벽블럭(60)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앵커용 보강재 연결구조에 있어서는, 서로 연결하고자 하는 두 보강재(20a, 20b)를 제1연결헤드(30) 및 제2연결헤드(40)에 의해 손쉽게 연결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그 연결상태를 볼트(50) 및 너트(52)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채용하였던 특수한 구조로 형성된 고가의 커플러를 사용하지 않고도 보강재들을 손쉽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취급이 편리하며 비용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보강재 연결구조에 의해 연결된 보강재들(20a, 20b)에 의해 구성되는 앵커(10)를 이용하여 예컨대 옹벽블럭(60)이나 옹벽용 철근콘크리트 패널(70)을 지지할 경우 고리(26)에 의해 간단하게 걸어 지지할 수 있고, 전술한 것처럼 보강재들(20a, 20b)을 손쉽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옹벽시공기간의 단축 및 옹벽시공비 절감효과가 크고, T자형 결합리브(34)에 의해 옹벽의 배면에 채워지는 보강토(80)에 대한 저항력이 향상되므로 옹벽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앵커용 보강재 연결구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옹벽블럭(60)이나 옹벽용 철근콘크리트 패널(70)을 지지하는 앵커(10)를 구성하는 보강재들을 연결하는데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 보강재들이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보강재들을 연결하는 데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고, 이들 또한 본 고안에서와 같이 제1연결헤드(30) 및 제2연결헤드(4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 구조라면 모두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4)

  1. 제1보강재(20a) 및 제2보강재(20b)의 일단을 서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지는 앵커용 보강재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재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연결플레이트(32),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의 일면에 수직으로 돌출형성되는 T자형 결합리브(34) 및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제1결합공(36)을 가지는 제1연결헤드(30)와; 그리고,
    상기 제2보강재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2연결플레이트(42), 상기 T자형 결합리브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에 형성되는 T자형 결합홈(44) 및 상기 T자형 결합리브가 T자형 결합홈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결합공과 그 중심이 일치하도록 제2연결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제2결합공(46)을 가지는 제2연결헤드(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용 보강재 연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헤드(30)의 T자형 결합리브(34)를 제2연결헤드(40)의 T자형 결합홈(44)에 끼워 서로 일치하는 결합공들(36, 46)을 통해 볼트(50)를 끼워 상기 볼트에 너트(52)를 체결함으로써 제1연결헤드 및 제2연결헤드의 연결상태가 고정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용 보강재 연결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들(20a, 20b)은 철근, 강봉 또는 FRP봉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보강재의 외주면에는, 양쪽 길이방향 돌출비드(22, 22) 및 다수의 반원형 원주방향 돌출비드(2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용 보강재 연결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보강재(20a, 20b)중 어느 하나의 보강재의 타단에는 옹벽을 구성하는 옹벽블럭(60)의 벽면이나 철근콘크리트 패널(70)의 내부에 매립되는 철근(72)을 걸어 지지할 수 있는 고리가 절곡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용 보강재 연결구조.
KR2020020018954U 2002-06-22 2002-06-22 앵커용 보강재 연결구조 KR2002900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954U KR200290004Y1 (ko) 2002-06-22 2002-06-22 앵커용 보강재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954U KR200290004Y1 (ko) 2002-06-22 2002-06-22 앵커용 보강재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0004Y1 true KR200290004Y1 (ko) 2002-09-27

Family

ID=73125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954U KR200290004Y1 (ko) 2002-06-22 2002-06-22 앵커용 보강재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00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414B1 (ko) 2009-08-03 2012-06-05 ㈜송림원 야생동물 이동통로로 사용되는 시설물
KR101531602B1 (ko) * 2014-11-07 2015-06-25 (주)신명건설기술공사 절토부옹벽 축조용 금속 스트랩 보강재 연결장치
KR102606665B1 (ko) * 2023-02-08 2023-11-24 최연수 벽돌벽의 인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414B1 (ko) 2009-08-03 2012-06-05 ㈜송림원 야생동물 이동통로로 사용되는 시설물
KR101531602B1 (ko) * 2014-11-07 2015-06-25 (주)신명건설기술공사 절토부옹벽 축조용 금속 스트랩 보강재 연결장치
KR102606665B1 (ko) * 2023-02-08 2023-11-24 최연수 벽돌벽의 인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5746B2 (en) PHC pile used in permanent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of PHC pile
KR100904857B1 (ko) 강관과 세그먼트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축조방법
CN110847447B (zh) 双皮墙连接结构
KR20190123639A (ko) 흙막이 벽체용 강재 조립파일
KR200290004Y1 (ko) 앵커용 보강재 연결구조
JP2001059223A (ja) 補強土擁壁構造
KR100654964B1 (ko) 헤드 확장형 파일의 보강부재
KR101314764B1 (ko) 파형강판을 이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0467244B1 (ko) 옹벽블럭 지지용 앵커
CN205046560U (zh) 筋式托架
KR100588194B1 (ko) 콘크리트충전 강관기둥과 철근콘크리트 무량판의 접합구조및 그 시공방법
KR100439536B1 (ko) 옹벽블럭과 이를 지지하기 위한 앵커와의 연결구조
JP3798414B2 (ja) 被切削コンクリート壁用の連続繊維補強部材と、これを用いた被切削コンクリート壁の施工方法
JP6866980B2 (ja) 接合用キャップおよび杭頭接合構造
KR100216125B1 (ko) 지중앵커파일 및 그의 시공방법
JP4404263B2 (ja) コンクリート打継ぎ工法
KR100501613B1 (ko) 옹벽구조 및 옹벽의 시공방법
KR100664965B1 (ko) 카본-유리섬유 복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CN214784712U (zh) 一种即插即用预制混凝土梁柱干式连接节点
KR200285572Y1 (ko) 강관말뚝 머리보강 연결구
KR102272258B1 (ko) 강관을 이용한 h파일의 변위 저항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JP2875791B2 (ja) L形擁壁の構築方法
CN211286167U (zh) 双皮墙连接结构
CN212104518U (zh) 一种预制墙体连接结构
KR20180055035A (ko) 대형 프리캐스트 더블월을 이용한 토목 옹벽 구조와 그의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