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9727Y1 - 이동형 간이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형 간이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9727Y1
KR200289727Y1 KR2020020018601U KR20020018601U KR200289727Y1 KR 200289727 Y1 KR200289727 Y1 KR 200289727Y1 KR 2020020018601 U KR2020020018601 U KR 2020020018601U KR 20020018601 U KR20020018601 U KR 20020018601U KR 200289727 Y1 KR200289727 Y1 KR 2002897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fixed
base frame
support
load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86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선
Original Assignee
이봉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선 filed Critical 이봉선
Priority to KR20200200186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97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97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9727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공사현장이나 기타의 적하물을 상·하강 하고자할 때 대형의 리프트 장비사용이 불가능하거나 경제적인 부담으로 인하여 인력으로만 운반이 가능한 곳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자재를 운반할 수 있는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베이스프레임(33)의 하측으로 리프트 장치를 고정시켜주는 고정수단(38)과 사용자가 원하는 곳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39)가 배치되며, 'ㄷ'형태의 가이드레일(200)이 일정각도를 이루어 베이스프레임(33)에 고정되어 적재함의 상·하강운송을 지원하며, 이때의 하중과 높낮이 조절을 위해 지지프레임(35)이 베이스프레임(33)에 고정되어 가이드레일(200)과 연결되고 상기 적재함(100)은 외부의 전원과 연결된 동력수단(41)에 의해 가이드레일(200)을 타고 상·하강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형 간이 리프트 장치{A simple lifting device of a traveling model}
본 고안은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이 가능하고 각 프레임별 분리 및 결합이 수월하여 좁은 골목길 또는 장소가 협소한 건설현장 등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리프트 장치는 고층건물이나 건설, 공사 현장 등지에서 차량에 설치되어 건축자재 또는 이삿짐 등을 운반해주는 장비로 사용되고 있는데, 상기와 같은 리프트 장치는 대형화로 인하여 고층건물에 극한 되어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장소가 협소한 곳이거나 저층의 공사현장에서 높은(낮은) 곳으로 짐을 운반할 때 작업자들이 직접 운반을 하고 있는데, 건자재의 낙하로 인해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으며, 건자재의 낙하시 자재가 손상되어 폐기를 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또, 저층에 필요한 장비를 활용해야함에도 불구하고 고가의 대형장비를 투입해야 했으므로 이에 따른 경비의 상승을 초래하게 되었고 이러한 불합리한 요소를 감소시키기 위해 인력을 활용하고 있지만 안전사고의 위험 등으로 여러 가지 악순환이 계속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서, 건자재 또는 기타의 물품을 저층 건물의 상·하간 운반함에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리프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가이드레일부분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적재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이동수단이 가이드레일부 안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주요부호의 설명 ■
10: 제 1 가이드레일부 20: 제 2 가이드레일
30: 제 가이드레일부 31a,31b: 연결구
32: 지지바 33: 베이스프레임
34: 브라켓 35: 지지프레임
36: 연장프레임 37: 지지블럭
38: 고정수단 39: 바퀴
40: 스토퍼 41: 동력수단
42: 볼트 43: 와이어줄
44: 도르레 45:롤러부
46: 스크류 47: 가이드레일상면
48: 고정핀 49: 고정핀홀
100: 적재함 101,102: 좌·우판넬
103: 적재판넬 104: 연결핀
105: 이동수단 200: 가이드레일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에서 첨부된 각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가이드레일부분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적재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이동수단이 가이드레일부 안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이를 통하여 본 고안의 이동형 간이 리프트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지지바(32)에 의해 고정된 '??'형태의 가이드레일(200)이 서로 반대방향이 되게 하고 곡선을 이루는 제 2 가이드레일(20)의 양끝단부에 직선형의 제 1, 3가이드레일부(10,30)가 연결구(31a,31b)에 의해 연결 고정되며, 베이스프레임(33)의 브라켓(34)에 볼트(42)로 체결되어 수직으로 배치된 지지프레임(35)에 연장프레임(36)이 내설 되어져 일정각도를 형성하는 상기 가이드레일(200)을 지지해주며, 제 1 가이드레일부(10)는 일정 높이를 갖는 지지블럭(37)과 융착 되어 베이스프레임(33)의 브라켓(34)에 볼트로 체결되어지고 베이스프레임(33)의 하측에는 리프트 장치를 고정시켜주는 고정수단(38)과 사용자가 원하는 곳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39)를 배치시키고 외부의 전원과 연결된 동력수단(41)에 의해 적재함(100)이 가이드레일(200)을 타고 상·하강되는 이동형 간이 리프트 장치에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도1과 2를 참조하면 일정길이의 직선형태로 베이스프레임(33)의 브라켓(34)에 고정되는 제 1가이드레일부(10)와;
상기 제 1 가이드레일부(10)의 연결구(31a)와 결합되어져 일정 형상의 유연한 곡선을 형성하는 제 2가이드레일(20)과;
상기 제 2 가이드레일(20)의 연결구(31a)와 일정 길이로 수평을 이루는 제 3 가이드레일부(30)가 결합되어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제 1가이드레일부(10) 일측에는 적재함(100)을 이동시킬 수 있는 동력수단(41)을 배치하며 레일(10)의 끝단부에는 적재함(100)의 이탈을 방지해주는 스토퍼(40)가 구비되어지며 곡선을 형성하는 제 2가이드레일(20)에는 와이어줄(43)의 수명과 이동의 유연함을 주기 위해 상·하로 다수개의 롤러부(45)를 지지바(32)에 고정 구성되게 하고, 제 3 가이드레일부(30)의 지지바(32)에는 적재함(100)을 원하는 곳까지 이동시킬 수 있도록 탈부착이 가능한 도르레(44)가 설치되어진다.
그리고 곡선을 형성하는 제 2가이드레일(20)의 양끝단부에 수직형태의 제1,3가일드레일부(10,30) 다수개를 연결구(31a,31b)에 결합시킨 후 도르레(44)를 제 3가이드레일부(30)의 마지막 지지바(32)에 배치시켜주면 일정 높이의 원하는 층의 장소에 적재함을 도착시켜줄 수가 있으며 와이어줄(43) 또한 길이와 용도에 알맞게 구비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200)을 지지해주는 지지프레임(35)은 베이스프레임(33)에 연결되어 적재함(100)이 원하는 지점에 이동되게끔 높이조절이 가능한 스크류(46)가 구성되어지며 하중으로 인하여 연장프레임(36)이 아래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핀(48)을 구비시켜 단계별로 핀(48)을 삽입고정 가능하게 고정핀홀(49)이 형성되어진다.
상기 이동형 간이 리프트 장치에서 상·하강 운송수단인 적재함(100)은 좌·우판넬(101,102)과 적재물이 안착되어지는 적재 판넬(103)이 연결핀(104)에 의해 상호 분리 결합이 가능하며 적재함(100)의 하측에 배치된 이동수단(105)은 가이드레일부(200)에 삽입되어지는 것과, 가이드레일(200)의 상면(47)에 안착되는 것으로 이중 구성하여 이동의 용이성과 적재함(100)이 가이드레일(200)에서 이탈이 되지 않도록 안전한 운송이 되게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이동형 간이 리프트 장치는 이동과 설치가 용이하여 저층의 공사현장이나 적하물을 운반하여야하는 협소한 작업장 등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며 고가의 대형장비 사용으로 인한 경제적 인적손실을 최소화 할 수가 있으며 대형장비 마저 사용이 불가능하여 인력으로만 운반을 하여야 하는 곳에서는 안전사고 예방과 경제적 이익까지도 보장받을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바가 다대한 고안이다.

Claims (4)

  1. 지지바(32)에 의해 고정된 '??'형태의 가이드레일(200)이 서로 반대방향이 되게 하고 곡선을 이루는 제 2 가이드레일(20)의 양끝단부에 직선형의 제 1, 3가이드레일부(10,30)가 연결구(31a,31b)에 의해 연결 고정되는 것과;
    베이스프레임(33)의 브라켓(34)에 볼트(42)로 체결되어 수직으로 배치된 지지프레임(35)에 연장프레임(36)이 내설 되어져 일정 각도를 형성하는 상기 가이드레일(200)을 지지해주는 것과;
    제 1 가이드레일부(10)는 일정 높이를 갖는 지지블럭(37)과 융착 되어 베이스프레임(33)의 브라켓(34)에 볼트로 체결되어지고 베이스프레임(33)의 하측에는 리프트 장치를 고정시켜주는 고정수단(38)과 사용자가 원하는 곳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39)가 배치되는 것과;
    제 1 가이드레일(10)의 하측에 동력수단(41)이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200)의 상측으로 적재함(100)이 구비되어지며 상기 적재함(100)은 동력수단(41)과 연결된 와이어줄(43)에 의해 가이드레일(200)을 타고 상·하강되는 이동형 간이 리프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가이드레일(10)의 끝단부에 적재함(100)의 이탈을 방지해주는 스토퍼(40)가 구비되어지는 것과;
    제 2가이드레일(20)에는 와이어줄(43)의 수명과 이동의 유연함을 주기 위해 상·하로 다수개의 롤러부(45)가 지지바(32)에 고정 구성되는 것과;
    제 3 가이드레일부(30)에는 적재함(100)을 원하는 곳까지 이동시킬 수 있도록 탈부착이 가능한 도르레(44)가 지지바(32)에 설치되어지는 것과;
    각 가이드레일(200)이 연결구(31a,31b)에 의해 다수개 연장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간이 리프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가이드레일(200)을 지지해주는 지지프레임(35)은 베이스프레임(33)에 연결되어 높이조절이 가능한 스크류(46)가 구성되어지며 하중으로 인하여 연장프레임(36)이 아래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핀(48)을 구비시켜 단계별로 핀(48)을 삽입고정 가능하게 고정핀홀(49)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간이 리프트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하강 운송수단인 적재함(100)은 좌·우판넬(101,102)과 적재물이 안착되어지는 적재 판넬(103)이 연결핀(104)에 의해 상호 분리 결합되어지는 것과;
    적재함(100)의 하측에 배치된 이동수단(105)은 가이드레일부(200)에 삽입되어지는 것과, 가이드레일(200)의 상면(47)에 안착되는 것으로 이중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간이 리프트 장치.
KR2020020018601U 2002-06-19 2002-06-19 이동형 간이 리프트 장치 KR2002897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601U KR200289727Y1 (ko) 2002-06-19 2002-06-19 이동형 간이 리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601U KR200289727Y1 (ko) 2002-06-19 2002-06-19 이동형 간이 리프트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4074A Division KR100458096B1 (ko) 2002-06-18 2002-06-18 이동형 간이 리프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9727Y1 true KR200289727Y1 (ko) 2002-09-16

Family

ID=73124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601U KR200289727Y1 (ko) 2002-06-19 2002-06-19 이동형 간이 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972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1275B2 (en) Drywall panel carrier attachable to lift platform
US20120031036A1 (en) Method for mountaing façade elements on a multi-storey building
CA2567141A1 (en) Modular multilevel access platform and method for erecting the same
US20100122872A1 (en) Scaffold elevator
US5645395A (en) Building crane apparatus climbable on building walls
CA2310866C (en) Non-personnel lifting device
CA2080079A1 (en) Self-raising work platform assembly
US4117939A (en) Moveable building board hoist
KR102426503B1 (ko)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KR102378774B1 (ko) 사다리 및 이것을 구비한 수납 선반용의 유지보수 설비
CN110562856B (zh) 重物的起重装置以及起重搬运方法
KR101224416B1 (ko) 특장차용 고소작업대
JP6271975B2 (ja) パネル状物品用リフト装置
JP2015101440A (ja) 重量物の階段揚重装置及び階段揚重方法
KR100458096B1 (ko) 이동형 간이 리프트 장치
US6739819B2 (en) Drywall / paneling lift
KR200289727Y1 (ko) 이동형 간이 리프트 장치
KR20090099182A (ko) 조립식틀비계의 일체형 안전난간대
TW552236B (en) Light weight work platform with crane
CN110304562A (zh) 多功能阳光房安装提升机
KR200378217Y1 (ko) 고소작업용 틀비계
AU2014274656B2 (en) A method for mounting facade elements on a multi-storey building
KR200395239Y1 (ko)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인양장치
JP3347283B2 (ja) 斜行移動搬送装置用組立足場装置
JP2004143677A (ja) 建築機材の搬出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