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9708Y1 - 호이스트에 형성된 연결부재의 회전완화장치 - Google Patents

호이스트에 형성된 연결부재의 회전완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9708Y1
KR200289708Y1 KR2020020017884U KR20020017884U KR200289708Y1 KR 200289708 Y1 KR200289708 Y1 KR 200289708Y1 KR 2020020017884 U KR2020020017884 U KR 2020020017884U KR 20020017884 U KR20020017884 U KR 20020017884U KR 200289708 Y1 KR200289708 Y1 KR 2002897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hoist
post
main body
horizontal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8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기종
Original Assignee
유기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종 filed Critical 유기종
Priority to KR20200200178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97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97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9708Y1/ko

Links

Landscapes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호이스트의 작업반경을 크게 하기 위해 포스트와 본체 사이 또는 상호 수평아암 사이에 형성되어 360°회전이 가능한 연결부재의 회전축 상에 소정의 마찰력을 부여하여 지면이 수평이 되지 않아도 기울어진 방향으로 수평아암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회전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포스트; 바퀴와 지지수단을 형성한 받침대; 상기 포스트 상부에 형성된 수평아암을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본체;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있는 수평아암; 상기 포스트와 본체 사이 또는 수평아암 상호간에 베어링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연결부재; 수직아암; 상기 수직아암 하단에 형성된 부착수단; 및 핸들;로 이루어지는 호이스트에 있어서, 상기 수평아암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중공부와 고정간을 갖는 브래킷을 구비하고, 상기 브래킷의 중공부에는 플레이트, 탄성부재, 플레이트, 마찰부재를 차례로 각각 삽입되도록 하고, 한편 상기 연결부재의 커버에는 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브래킷의 중공부에 끼워진 마찰부재가 회전축에 닿도록 연결부재의 커버에 브래킷의 고정간을 고정하고, 상기 마찰부재는 조절부재의 조절에 의해 회전축의 공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호이스트에 형성된 연결부재의 회전완화장치{Turning alleviator of connection members that is formed on hoist}
본 고안은 호이스트에 형성된 연결부재의 회전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압 또는 공압방식에 의해 중량 평형상태를 유지하여 중량물을 사용자의 자유자재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호이스트에 있어서, 포스트와 본체 사이 또는 상호 수평아암 사이의 베어링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연결부재의 회전운동을 하는 회전축인 샤프트에 일정한 마찰력을 제공하여 소정의 물품을 부착하거나 적재한 상태에서 임의로 유동되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호이스트에 형성된 연결부재의 회전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이스트장치는 자동차 생산라인, 기계 조립라인 등의 각종 산업현장 등지에서 작업자가 운반하기 어려운 중량물품을 소정 높이로 리프팅시킨 상태에서 소정 위치에 조립, 장착 및 운반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각 산업현장 등지에서는 작동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호이스트를 사용하고 있는데, 체인 호이스트, 공기 호이스트, 유압 호이스트, 전기 호이스트 등이 있다.
상기 체인 호이스트는 기어 등을 조합해서 체인을 감아 걸은 것으로, 작은 힘으로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릴 수 있으며, 상기 공기 호이스트는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공기 기관을 회전시키고, 공기 기관의 회전에 의해서 드럼에 로프를 감아 올려 중량물품을 들어올릴 수 있으며, 상기 유압 호이스트는 주로 수압이나 유압 실린더를 써서 중량물품을 들어올리며, 전기 호이스트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여 작업자가 운반하기 어려운 중량물품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종래 호이스트는 자동차 및 기계 등을 조립할 수 있는 생산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장소에 지지 가이드레일을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항상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장소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호이스트장치를 분해해야만 하고, 설치하는 경우에도 많은 시간과 설치작업으로 인해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고, 상기 호이스트의 전체적인 구성이 복잡해 작동의 어려움으로 인해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 호이스트의 문제점으로 인해 구조 및 조작이 간단하며, 사용하고자 하는 장소로 이동이 용이한 호이스트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어 유압방식 및 공압방식의 호이스트가 많이 상용화되고 있는데, 호이스트에 대한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이스트(20)는 지주대역활을 하는 포스트(21)와 상기 포스트(21)와 일체로 형성되어 바퀴(31)와 지지수단(32)을 형성한 받침대(30)와 상기 포스트(21) 상부에는 유압 또는 공압방식으로 수평아암(50)을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본체(40)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40)에는 수평아암(50)이 연결되어 있는데, 작업반경을 크게 하기 위해 상기 수평아암(50)은 다단으로 형성되게 하고, 상기 포스트(21)와 본체(40) 사이 또는 상호 수평아암(50) 사이에 360°회전이 가능하도록 베어링(64)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연결부재(6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아암(50)과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아암(70)의 하단에는 소정의 중량물품을 운반시킬 수 있는 부착수단(80) 및 핸들(9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호이스트(20)는 받침대(30) 하부에 바퀴(31)가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가 원하는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고, 작업 시에는 지지수단(32)을 이용하여 바닥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한 후, 작업을 할 수 있어 용이하며, 포스트(21)와 본체(40) 사이 또는 다단으로 형성된 상호 수평아암(50) 사이에 베어링(64)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연결부재(60)로 인해 360°회전이 가능해 작업반경이 크기 때문에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연결부재(60)가 베어링(64) 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호이스트(20)가 정확하게 수평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중량물품을 부착수단(80)에 고정시킨 후, 핸들(90)을 놓게 되면, 베어링(64) 구조로 형성된 연결부재(60)에 의해 수평아암(50)이 자유자재로 회전하게 되어 제품이 파손되거나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호이스트의 작업반경을 크게 하기 위해서 베어링구조로 이루어져 회전축인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는 연결부재상에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 완화장치를 형성하여 작업장소의 지면이 수평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작업자가 핸들을 놓아도 상기 회전완화장치에 의해 회전축인 샤프트에 소정의 마찰력을 부여하여 임의로 유동되지 않아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작업자가 중량물품을 운반하기 위한 작업은 용이하도록 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주대역활을 하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와 일체로 형성되어 바퀴와 지지수단을 형성한 받침대; 상기 포스트 상부에 형성된 유압 또는 공압방식으로 수평아암을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본체;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작업반경을 크게 하기 위해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평아암; 상기 포스트와 본체 사이 또는 수평아암 상호간에 360°회전이 가능하도록 베어링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연결부재; 상기 수평아암과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아암; 상기 수직아암 하단에 소정의 중량물품을 운반시킬 수 있는 부착수단; 및 핸들;로 이루어지는 호이스트에 있어서, 상기 수평아암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중공부와 고정간을 갖는 브래킷을 구비하고, 상기 브래킷의 중공부에는 플레이트, 탄성부재, 플레이트, 마찰부재를 차례로 각각 삽입되도록 하고, 한편 상기 연결부재의 커버에는 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브래킷의 중공부에 끼워진 마찰부재가 회전축에 닿도록 연결부재의 커버에 브래킷의 고정간을 고정하고, 상기 마찰부재는 조절부재의 조절에 의해 회전축의 공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호이스트에 형성된 연결부재의 회전완화장치를 구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호이스트장치에 대한 예시도
도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회전완화장치의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회전완화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회전완화장치가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회전완화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회전완화장치 10. 브래킷
10a. 중공부 11. 플레이트
12. 탄성부재 13. 마찰부재
14. 고정간 15. 고정부재
15a. 고정부재 수용홈 16. 조절부재
16a. 조절부재 수용홈 50. 수평아암
60. 연결부재 61. 커버
62. 통공 63. 샤프트
64. 베어링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호이스트에 형성된 연결부재의 회전완화장치(1)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회전완화장치(1)의 단면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회전완화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회전완화장치(1)가 연결부재(60)에 결합되는 단면도이고, 도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회전완화장치(1)의 사용 상태도이고, 미도시 부호 20은 호이스트, 21은 포스트, 30은 받침대, 31은 바퀴, 32는 지지수단, 40은 본체, 70은 수직아암, 80은 부착수단, 90은 핸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작업반경을 크게 하기 위해 호이스트(20)의 포스트(21)와 본체(40) 사이 또는 상호 수평아암(50) 사이에 형성된 연결부재(60)의 커버(61)상에 통공(62)을 형성하여 끼워서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중공부(10a)를 형성하여 플레이트(11), 탄성부재(12), 플레이트(11), 마찰부재(13)를 차례로 각각 내장하고, 상부에는 조절부재(16)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브래킷(10)과 상기 브래킷(10)과 일체로 형성하여 호이스트(20)의 연결부재(60)와 결합되는 고정간(14)과 마찰부재(13)의 마찰력을 조절하는 조절부재(16)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래킷(10)은 호이스트(20)의 수평아암(50)을 회전시키는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중공부(10a)와 고정간(14)을 구비하되, 상기 중공부(10a)는 플레이트(11), 탄성부재(12), 플레이트(11) 및 마찰부재(13)를 차례로 각각 삽입되도록 하고, 상부에는 조절부재(16)를 수용하여 상기 플레이트(11)와 맞닿도록 하는 조절부재 수용홈(16a)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간(14)은 브래킷(10)과 일체로 형성해 고정부재(15)를 수용하여 연결부재(60)의 커버(61)상에 결착되도록 하되, 상기 브래킷(10) 중 고정간(14) 하부에 해당하는 부분은 연결부재(60)의 커버(61)상에 형성된 통공(62)에 삽입되어 중공부(10a)에 수용된 마찰부재(13)가 회전축인 샤프트(63)에 맞닿아서 마찰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브래킷(10)의 하단부는 회전축인 사프트(63)와 맞닿지않도록 소정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플레이트(11)는 브래킷(10) 내에 형성된 중공부(10a)에 내장되는 것으로, 조절부재(16)와 탄성부재(12) 및 탄성부재(12)와 마찰부재(13)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조절부재(16)에서 제공되는 힘을 탄성부재(12)를 통해 마찰부재(13)로 제공하도록 하며, 상기 탄성부재(12)는 브래킷(10) 내에 형성된 중공부(10a)에 내장되는 것으로, 상기 플레이트(11)와 플레이트(11) 사이에 형성되어 조절부재(16)에서 제공되는 힘을 탄성력을 지닌 스프링 등을 이용하여 완화시킨 후 마찰부재(13)에 부여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마찰부재(13)는 연결부재(60)에 내장된 회전축인 샤프트(63)에 직접 접촉이 되는 부위로 비금속재료의 마찰력을 부여하는 소재로 형성해 상기 조절부재(16)에서 부여된 힘에 의해 샤프트(63)에 접촉되어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재(15)는 고정간(14)에 형성된 고정부재 수용홈(15a)을 통해 연결부재(60)와 브래킷(10)이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되, 견고한 결합 및 용이한 해체를 위해 나사산이 형성된 보울트의 조임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상기 조절부재(16)는 브래킷(10)의 상부에 형성하여 조절부재 수용홈(16a)을 통해 상기 브래킷(10) 중공부(10a)에 내장된 플레이트(11)와 맞닿아 탄성부재(12)의 탄성력을 통해 회전축인 샤프트(63)에 접촉되는 마찰부재(13)의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제품의 효율성 및 조작의 용이성을 위해 나사산이 형성된 보울트와 너트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조절부재(16)의 회전에 의해 마찰부재(13)의 돌출정도를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호이스트(20)에 형성된 연결부재(60)의 회전완화장치(1)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회전완화장치(1)의 브래킷(10) 내에 형성된 중공부(10a)에 플레이트(11), 탄성부재(12), 플레이트(11) 및 마찰부재(13)를 차례로 각각 내장한 후, 브래킷(10) 중 고정간(14) 하부에 형성된 부분을 연결부재(60)의 커버(61)상에 형성된 통공(62)에 삽입하여 브래킷(10) 하단부가 베어링(64)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인 샤프트(63)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하고, 보울트 등의 고정부재(15)를 이용하여 고정간(14)에 형성된 고정부재 수용홈(15a)에 삽입하여 조임 방식으로 견고하게 결합시킨다.
상기 회전완화장치(1)의 브래킷(10)이 연결부재(60)에 견고하게 결합되면, 조절부재(16)를 상기 브래킷(10) 상부에 형성된 조절부재 수용홈(16a)에 삽입하여 회전하게 되면, 상기 조절부재(16)의 하단부가 브래킷(10) 중공부(10a)에 내장된 플레이트(11)와 맞닿게 되고, 계속 회전하게 되면 상기 플레이트(11)가 탄성부재(12)에 일정한 힘을 부여하게 되고, 상기 탄성부재(12)는 탄성력에 의해 마찰부재(13)에 일정한 힘을 부여하며, 상기 탄성부재(12)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마찰부재(13)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회전축인 샤프트(63)와 접촉하게 되어 마찰력을 부여하게 된다.
상기 마찰부재(13)에 의해 호이스트(20)가 설치된 지면이 수평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장치(20)가 기울어진 방향으로 수평아암(50)이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부재(60)의 회전축인 샤프트(63)에 적절한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마찰부재(13)는 탄성부재(12)를 통해 조절부재(16)로부터의 일정한 힘을 부여받기 때문에 작업자가 소정의 중량물품을 적재하거나 부착한 상태에서 핸들(90)을 이용하여 일정한 힘을 가하는 경우에는 별 무리없이 회전축인 샤프트(63)를 통한 회전운동이 가능하여 상기 중량물품을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에 운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호이스트(20)의 포스트(21)와 본체(40) 사이 또는 상호 수평아암(50) 사이에 작업반경을 크게 하기 위해 형성된 연결부재(60)상에 회전완화장치(1)를 구성하여 상기 호이스트(20)가 설치된 지면이 수평이 이루어지지 않아도 작업자가 중량물품을 부착수단에 부착된 상태에서 놓는 경우 기울어진 방향으로 회전이 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부재(60)의 회전축인 샤프트(63)에 적절한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례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고안은 호이스트가 설치된 지면이 수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기울어진 방향으로 수평아암이 연결부재의 회전축인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제품이 손상되거나 작업자의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재의회전축인 샤프트에 일정한 힘의 마찰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호이스트에 소정의 중량물품을 적재 또는 부착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핸들을 놓는 경우에도 임의로 유동하지 않도록 하여 작업상의 안전을 기할 수 있도록 하며,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한 제품을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지주대역활을 하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와 일체로 형성되어 바퀴와 지지수단을 형성한 받침대; 상기 포스트 상부에 형성된 유압 또는 공압방식으로 수평아암을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본체;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작업반경을 크게 하기 위해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평아암; 상기 포스트와 본체 사이 또는 수평아암 상호간에 360°회전이 가능하도록 베어링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연결부재; 상기 수평아암과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아암; 상기 수직아암 하단에 소정의 중량물품을 운반시킬 수 있는 부착수단; 및 핸들;로 이루어지는 호이스트에 있어서,
    상기 수평아암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중공부와 고정간을 갖는 브래킷을 구비하고, 상기 브래킷의 중공부에는 플레이트, 탄성부재, 플레이트, 마찰부재를 차례로 각각 삽입되도록 하고, 한편 상기 연결부재의 커버에는 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브래킷의 중공부에 끼워진 마찰부재가 회전축에 닿도록 연결부재의 커버에 브래킷의 고정간을 고정하고, 상기 마찰부재는 조절부재의 조절에 의해 회전축의 공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에 형성된 연결부재의 회전완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나사식으로 구성하여 조절부재의 회전에 의해 마찰부재의 돌출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에 형성된 연결부재의 회전완화장치.
KR2020020017884U 2002-06-12 2002-06-12 호이스트에 형성된 연결부재의 회전완화장치 KR2002897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884U KR200289708Y1 (ko) 2002-06-12 2002-06-12 호이스트에 형성된 연결부재의 회전완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884U KR200289708Y1 (ko) 2002-06-12 2002-06-12 호이스트에 형성된 연결부재의 회전완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9708Y1 true KR200289708Y1 (ko) 2002-09-19

Family

ID=73124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884U KR200289708Y1 (ko) 2002-06-12 2002-06-12 호이스트에 형성된 연결부재의 회전완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970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5392B2 (en) Universal screw-driving machine support for a plate-lifting tool, tool equipped with this support, and implementation method
EP3620268A1 (en) Suspension system and full piggy-back mobile robot
JP7317545B2 (ja) ねじ接続を締め付けるための装置
CN204235098U (zh) 三自由度变位螺栓拧紧机
CN104192729B (zh) 支腿可调节、升降单锁止、吊钩式转动型变电所机电设备安装机构
CN210103326U (zh) 试验仪器搬运专用小型吊车
US9266704B1 (en) Mechanical linkage for lifting
US20110094830A1 (en) Vehicle and object portable lift
US5143198A (en) Turnable cylinder for a conveyor system
US5452774A (en) Endless roller chain drive with interlocking traction rail
KR200289708Y1 (ko) 호이스트에 형성된 연결부재의 회전완화장치
CN108100067A (zh) 磁吸附单元及磁吸附履带
KR102271893B1 (ko) 송전 철탑 작업용 이동식 윈치 장치
CN216549305U (zh) 一种用于管道提吊安装的组合式三脚架
CN211366697U (zh) 吊具及升降机构
JP4331962B2 (ja) 作業機器用移動装置
CN113896119A (zh) 一种旋转机构用锁紧装置以及浮吊旋转机构
CN215978608U (zh) 一种用于建筑工程中的装配式建筑支撑座
CN210060991U (zh) 斗式提升机减速机专用辅助安装工具
CN104192730B (zh) 支腿可调节吊钩式升降单锁止变电所机电设备安装机构
CN220376225U (zh) 一种滑动式吊装柄
JP6983965B1 (ja) 吊り治具
CN220516824U (zh) 一种风电塔筒螺栓维护机器人的紧固机构
CN113649912B (zh) 一种焊接辊轮架配套用打磨装置
KR200482087Y1 (ko) 샤클 체결용 치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