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9596Y1 - 절삭부의 일측이 커팅된 핀커터 - Google Patents

절삭부의 일측이 커팅된 핀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9596Y1
KR200289596Y1 KR2020020016969U KR20020016969U KR200289596Y1 KR 200289596 Y1 KR200289596 Y1 KR 200289596Y1 KR 2020020016969 U KR2020020016969 U KR 2020020016969U KR 20020016969 U KR20020016969 U KR 20020016969U KR 200289596 Y1 KR200289596 Y1 KR 2002895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uver
pin cutter
cutting
pin
cooling f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69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계열
Original Assignee
김계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계열 filed Critical 김계열
Priority to KR20200200169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95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95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9596Y1/ko

Links

Landscapes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절삭부의 일측이 커팅된 핀커터는 복수개의 핀커터(1)가 조합을 이루는 폼롤(7)에서 하프루버(20)를 형성하는 핀커터의 절삭부(4)를 특정한 형태로 커팅함으로써 커팅부(140)를 형성하여, 상기 커팅부(140)에 의해 냉각핀(100)의 절곡부(130)가 미리 꺽여지게 되고, 이후에 핀커터(1)가 회전하면서 돌기부(141)에 의해 상기 절곡부(130)가 편평한 구조로 가공성형됨으로써, 종래에 냉각핀(100)을 제조한 후 별도의 프레스 작업(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다시 절곡부(130)를 편평하게 처리하는 후처리 작업을 생략하여 냉각핀(100)의 가공성형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절삭부의 일측이 커팅된 핀커터{FIN CUTTER THAT IS CUTTED A PART OF CUTTING AREA}
본 고안은 냉각핀의 제조에 사용되는 핀커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개의 핀커터가 조합을 이루는 폼롤에서 하프루버를 형성하는 핀커터의 절삭부를 특정한 형태로 커팅함으로써 상기 핀커터를 사용하여 생산되는 냉각핀의 절곡부를 사각형 구조물로 제작가능하도록 한 절삭부의 일측이 커팅된 핀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난방용 공기조화기 및 라디에이터 등에는 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킬 목적으로 냉각핀(cooling-fin)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냉각핀은 통상적으로 가벼우면서 가공이 용이한 알루미늄박판을 가늘고 긴 벤드와 같은 띠로 절단하고, 그 표면에 핀커터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절취되는 다수개의 절취부를 형성하여 절취부가 형성된 띠를 파형으로 절곡 성형하여 공기와 접촉되는 접촉면 즉, 방열면적을 크게 하여 방열효과를 높일 수 있는 냉각핀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절삭부의 일측이 커팅된 핀커터와 종래의 핀커터를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해 종래의 기술에 대한 내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핀커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다수개의 핀커터가 하우징을 비롯한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폼롤 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핀커터를 사용하여 가공된 냉각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4는 일반적인 냉각핀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5는 종래의 핀커터에 의해 제작된 냉각핀이 튜브에 결합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핀커터(1)란 냉각핀(도시되지 않음)에 일정한 간격으로 절취되는 다수개의 절취부를 가공하기 위한 부품으로서, 외주면에 냉각핀을 절취할 수 있도록 톱니 모양으로 예리한 핀커터 절삭부(4)가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개의 핀커터(1)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위치고정구(2)와,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핀커터(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샤프트가 삽입되는 샤프트삽입구(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핀커터(1)는 냉각핀 가공작업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핀커터(1)를 상하로 포개서 폼롤(7)을 형성한 후 하우징(6)을 체결하고, 위치고정구(2)에 체결부재(도시되지 않음)를 관통되게 끼워 각각의 핀커터(1)를 체결 조립한 폼롤 하우징을 형성하여 사용하거나, 별도의 폼롤 스탠드(도시되지 않음)에 부착가능한 폼롤 어셈블리(도시되지 않음)를 형성하여 사용한다.
한편, 복수개의 핀커터(1)로 구성된 폼롤(7)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이 상·하에서 치합한 상태로 냉각핀 제조장치(200)에 설치됨으로써 냉각핀(100)을 가공하게 된다.
상기 냉각핀 제조장치(200)는 박판 재료가 띠 모양으로 감겨져 있는 인코일러(210)와, 상기 인코일러(210)에서 공급된 박판 재료에 소정의 장력을 주는 텐션장치(220)와, 상기 텐션장치(220)를 통해 공급된 박판재료를 가공하는 냉각핀 성형장치(230)로 구성된다.
상기 인코일러(210)는 냉각핀(100)의 재료가 되는 일정한 크기의 알루미늄 박판 또는 동 박판(이하, 박판 재료라 함)(201)이 감겨져 있으므로, 텐션장치(220)의 당김에 의해 냉각핀 성형장치(230)로 상기 박판 재료(201)를 공급하게 되며, 상기 텐션장치(220)는 다수개의 회전롤이 조합됨으로써 냉각핀 성형장치(230)로 공급되는 박판 재료(201)에 항상 일정한 텐션(장력)을 유지시킨다.
상기 박판 재료(201)에 일정한 장력을 주는 것은 냉각핀 성형장치(230)에 의해 절곡되고 성형되는 냉각핀(100)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냉각핀 성형장치(230)는 한쌍의 기어 모양으로 상·하에 두개의 폼롤(7)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인코일러(210) 및 텐션장치(220)에서 이송된 박판재료(201)는 그 길이방향으로 보내지면서 폼롤(7) 사이를 통과하게 되고, 따라서 접어지고 구부러짐에 따라 절곡부(130)와 평면부(120) 및 루버(110)가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핀커터(1)를 사용하여 제작된 냉각핀(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부(130)의 형태가 타원형을 형성하거나, 절곡부(130)가 수평하지 못하고 소정의 각도를 형성함으로써 냉각핀(100)의 냉각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냉각핀(100)과 튜브(101)가 접촉하는 면적이 충분하지 못해서 양자(100, 101)를 서로 납땜하기에도 많은 문제점이 있었으므로, 냉각핀(100)의 가공성형후 별도의 프레스 작업을 통해 상기 냉각핀의 절곡부(130)를 편평하게 2차 가공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폼롤을 이루는 핀커터 중에서 하프루버를 형성하는 핀커터의 절삭부를 특정한 형태로 커팅함으로써 상기 핀커터를 사용하여 생산되는 냉각핀의 절곡부가 사각형 구조물로 제작가능하도록 한 절곡부의 일측이 커팅된 핀커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핀커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다수개의 핀커터가 하우징을 비롯한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폼롤 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핀커터를 사용하여 가공된 냉각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
도 4는 일반적인 냉각핀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
도 5는 종래의 핀커터에 의해 제작된 냉각핀이 튜브에 결합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6a ∼ 6c는 핀커터의 종류를 대별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절삭부에 형성된 절삭날의 여부에 따라 구분되는 폼부와 하프루버 및 온루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확대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커팅된 하프루버 핀커터의 절삭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확대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핀커터 및 복수개의 다른 핀커터들을 조합한 폼롤에 의해 가공성형되는 박판재료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가공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커팅된 핀커터에 의해 제작된 냉각핀이 튜브에 결합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절삭부의 일측이 커팅된 핀커터에 의해 생산되는 냉각핀으로 제작되는 열교환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핀커터 2: 위치고정구
4: 핀커터 절삭부 5: 샤프트삽입구
6: 하우징 7: 폼롤
8: 절삭날
10: 폼부 20: 하프루버
30: 온루버
100: 냉각핀 101: 튜브
102: 헤더탱크
110: 루버 120: 평면부
130: 절곡부 140: 커팅부
141: 돌기부
200: 냉각핀 제조장치 201: 박판 재료
210: 인코일러 220: 텐션장치
230: 핀성형장치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a ∼ 6c 는 핀커터의 종류를 대별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절삭부에 형성된절삭날의 여부에 따라 구분되는 폼부와 하프루버 및 온루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커팅된 핀커터의 절삭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핀커터 및 복수개의 핀커터를 결합한 폼롤에 의해 가공성형되는 박판재료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가공상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커팅된 핀커터에 의해 제작된 냉각핀이 튜브에 결합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절삭부의 일측이 커팅된 핀커터에 의해 생산되는 냉각핀으로 제작되는 열교환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폼롤은 도 6a 내지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폼부(form)(10)와 하프루버(half-louver)(20) 및 온루버(louver)(30)의 3종류로 구성된 복수개의 핀커터가 냉각핀의 사용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조합하여 폼롤(7)을 형성하는데, 상기 폼부(10)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커터 절삭부(4)에 절삭날(8)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의 핀커터(1)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폼부(10)의 두께는 냉각핀(100)의 사용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가능하다.
또한, 하프루버(20)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커터 절삭부(4)의 한쪽에 절삭날(8)이 형성된 핀커터(1)를 의미하는 것이며, 온루버(30)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커터 절삭부(4)의 양쪽에 절삭날(8)이 형성된 핀커터(1)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프루버(20)의 두께는 온루버(30) 두께의 절반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냉각핀에 형성되는 루버(110)의 각도는 항상 일정하게 형성된다.
상기 루버(110)는 핀커터의 절삭날(8)에 의해 냉각핀(100)의 평면부(120)에 형성되는데, 그 숫자는 하프루버(20)와 온루버(30)의 숫자의 합과 같으며, 냉각핀(100)의 열 전달효율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절곡부(130)가 편평한 냉각핀(100)을 가공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프루버(20)의 절삭부 일측을 커팅하여 새로운 형태의 핀커터를 제안하는데, 상기 새로운 형태의 핀커터는 핀커터 절삭부(4)의 일측면에 절삭날(8)이 형성된 하프루버(20)에만 적용되는 것으로서, 하프루버(20)를 제외한 폼(10)과 온루버(20)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즉, 하프루버(20)는 핀커터 절삭부(4)의 끝부분에 중심선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함입되므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과 우측이 예리한 삼각형을 형성하고 있는데, 본 고안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날(8)이 형성된 우측의 삼각형을 커팅시켜 커팅부(140)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커팅부(140)는 핀커터의 반경을 중심으로 원호를 그리면서 커팅(Cutting)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커팅부(140)가 형성된 하프루버(20) 핀커터로 폼롤(7)을 조합하여 냉각핀(100)을 가공성형하면, 상기 커팅부(140)에 의해 냉각핀(100)의절곡부(130)가 미리 꺽여지게 되고, 이후에 핀커터(1)가 회전하면서 돌기부(141)에 의해 상기 절곡부(130)가 편평한 구조로 가공성형된다.
따라서, 폼롤(7)을 폼부(10), 하프루버(20), 온루버(30), 온루버(30), 온루버(30), 하프루버(20), 폼부(10), 하프루버(20), 온루버(20), 온루버(30), 온루버(30), 하프루버(20), 폼부(10)의 순서로 결합시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냉각핀(100)이 가공되는데, 상기 폼부(10)의 두께는 임의로 조절가능하며, 하프루버(20)의 두께는 온루버(30) 두께의 절반이 된다.
상기 폼부(10)는 냉각핀(100)을 절취하지 않으나, 상기 하프루버(20)는 소정의 경사각도로 일정한 길이만큼 냉각핀(100)을 절취하여 평면부(120)에 루버(110)를 형성하며, 상기 온루버(30)는 하프루버(20)와 동일한 경사각도를 유지하면서 하프루버(20)의 2배 길이만큼 냉각핀(100)을 절취하여 평면부(120)에 루버(110)를 형성하는데, 상기 냉각핀(100)은 하프루버(20)의 커팅부(140)에 의해 미리 꺽이고 돌기부(141)에 의해 눌려지면서 상부가 편평한 구조의 절곡부(130)를 이루게 된다.
한편, 냉각핀 가공작업에서는 상·하 두개의 폼롤(7)이 사용되는데, 상기 상·하 두개의 폼롤(7)은 하프루버(20)를 서로 엇갈리게 조합함으로써 하프루버(20)로 절취되는 냉각핀(100)이라도 마주보는 평면부(120)에는 항상 루버(110)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절삭부의 일측이 커팅된 핀커터를 사용하여 제작된 냉각핀(100)은 상기 커팅된 하프루버(20)와 돌기부(141)에 의해 편평한 구조의 절곡부(130)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편평한 구조의 절곡부(130)는 별도의 프레스작업이 없어도 튜브(101)에 용이하게 부착가능하다.
또한, 상기 냉각핀(100)의 평면부(120)에 형성되는 루버(110)는 하프루버(20) 핀커터와 온루버(30) 핀커터에 의해 차이가 나타나게 되는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자의(20, 30) 경사각도가 동일하므로 평면부(120)에 형성되는 루버(110)의 각도는 모두 평행하게 나타나지만, 양자(20, 30)의 절취되는 길이가 다르게 되므로 하프루버(20)에 의해 형성되는 루버(110) 높이는 온루버(30)에 의해 형성되는 루버(110) 높이의 절반이 된다.
한편, 튜브(101)에 부착된 냉각핀(1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도시되지 않음)가 유통하는 튜브(101)에 결합된 상태에서 헤더탱크(102)가 설치됨으로써 열교환기를 이루게 되며, 상기 튜브(101)에 내장된 고온의 냉매는 냉각핀(100)에 의해 효과적으로 열을 방출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절삭부의 일측이 커팅된 핀커터에 대한 일 실시례로서, 냉각핀(100)으로 구성된 열교환기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상기 실시례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에 의한 절삭부의 일측이 커팅된 핀커터는라디에이터를 비롯한 열교환부품의 가공에 사용되는 모든 핀커터(1)에 그 권리범위가 미친다.
본 고안에 의한 절삭부의 일측이 커팅된 핀커터는 복수개의 핀커터(1)가 조합을 이루는 폼롤(7)에서 하프루버(20)를 형성하는 핀커터의 절삭부(4)를 특정한 형태로 커팅함으로써 커팅부(140)를 형성하여, 상기 커팅부(140)에 의해 냉각핀(100)의 절곡부(130)가 미리 꺽여지게 되고, 이후에 핀커터(1)가 회전하면서 돌기부(141)에 의해 상기 절곡부(130)가 편평한 구조로 가공성형됨으로써, 종래에 냉각핀(100)을 제조한 후 별도의 프레스 작업(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다시 절곡부(130)를 편평하게 처리하는 후처리 작업을 생략하여 냉각핀(100)의 가공성형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폼부와 하프루버 및 온루버가 복수개 조합하여 형성되며 냉각핀 가공장치에 설치됨으로써 냉각핀을 가공성형하는 폼롤에 있어서,
    상기 폼롤을 구성하는 하프루버 핀커터는 절삭부의 끝부분에 중심선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된 좌측 및 우측의 예리한 삼각형 구조중에서 절삭날이 형성된 우측의 삼각형 구조가 핀커터의 반경을 중심으로 원호를 그리면서 커팅된 커팅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부의 일측이 커팅된 핀커터.
KR2020020016969U 2002-06-03 2002-06-03 절삭부의 일측이 커팅된 핀커터 KR2002895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969U KR200289596Y1 (ko) 2002-06-03 2002-06-03 절삭부의 일측이 커팅된 핀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969U KR200289596Y1 (ko) 2002-06-03 2002-06-03 절삭부의 일측이 커팅된 핀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9596Y1 true KR200289596Y1 (ko) 2002-09-16

Family

ID=73124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969U KR200289596Y1 (ko) 2002-06-03 2002-06-03 절삭부의 일측이 커팅된 핀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959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6923B1 (ko) 열교환기
JP5517082B2 (ja) 波板製造装置、波板製造方法および熱交換器
US7231965B2 (en) Heat exchanger and heat transferring member with symmetrical angle portions
GB2250578A (en) Bendable cooling fin
KR20110083017A (ko) 열 교환기용 핀 및 이를 갖는 열 교환기
JPH0750494A (ja) 冷却装置
KR0161368B1 (ko) 열교환기용 판형 핀, 이를 이용한 열교환기 및 열교환기 제조방법
JP2002228379A (ja) 熱交換器のルーバーフィンおよびその熱交換器並びにそのルーバーフィンの組付け方法
EP3048406B1 (en) Heat exchanger, air conditioner using said heat exchanger, and manufacturing methods of said heat exchanger
JPH09324995A (ja) 熱交換器
MY118553A (en) Heat exchanger
KR200289596Y1 (ko) 절삭부의 일측이 커팅된 핀커터
JP2004330262A (ja) 熱交換器用フィンのスタック装置
JP3979118B2 (ja) 熱交換器、熱交換器の製造方法及び空気調和機
EP1712865B1 (en) Corrugate fin for integrally assembled heat exchangers
JP4459062B2 (ja) 熱交換モジュール及び熱交換モジュールを製造する方法
JP2004116845A (ja) 熱交換器及びその製造方法
US3781960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tube and tin radiator
JPH04270892A (ja) 熱交換器
WO2015098378A1 (ja) フィン製造装置
KR20090052121A (ko) 열교환기용 방열핀
US3067994A (en) Apparatus for manufacture of tubetype radiators
KR200321720Y1 (ko) 연결식 핀커터 및 그에 의해 조합되는 폼롤
JP2001116488A (ja) 空調用熱交換器のプレートフィン
KR200365153Y1 (ko) 방열 휜 및 이를 이용한 휜앤 튜브형 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