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9514Y1 - 광고용 형광등기구 - Google Patents

광고용 형광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9514Y1
KR200289514Y1 KR2020020019039U KR20020019039U KR200289514Y1 KR 200289514 Y1 KR200289514 Y1 KR 200289514Y1 KR 2020020019039 U KR2020020019039 U KR 2020020019039U KR 20020019039 U KR20020019039 U KR 20020019039U KR 200289514 Y1 KR200289514 Y1 KR 2002895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body
inner shell
contact
outer shell
fluorescent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90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문
Original Assignee
김희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문 filed Critical 김희문
Priority to KR20200200190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95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95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9514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국내특허공보 10-0319024의 개량고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12') 외측에서 삽입 고정된 형광등(FL')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측에 형성된 접점(14')과 연결되는 내갑체(10')와;
상부가 개방된 장방형의 형상으로 격벽(24')에 의해 장착부(22')와 삽입부(26')로 본체(20a')가 구획되고, 상기 삽입부(26')의 일측에는 도전성의 리드(28')가 돌설되어 삽입부(26')에 삽입된 상기 내갑체(10')의 접점(14')과 접촉되는 외갑체(20')와;
상기 외갑체(20')에 형성된 장착부(22')에 장착되어 전기적인 충격으로부터 상기 형광등(FL')을 보호하는 초크 트랜스포머(CT')로 구성된 광고용 형광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본체(12)의 저면에 다수의 접점돌기(14)가 형성된 내갑체(10)와; 상기 장착부(22)의 상부에 전원연결부(26)와 다수의 접점끼움부(27)가 형성되고, 내부 일측에 콘덴서(C)가 설치된 외갑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종래 내갑체에 내장되던 콘덴서를 외갑체의 장착부 내측에 설치함으로써 내갑체의 제품단가를 절감시키고, 자원낭비와 환경오염을 배제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광고용 형광등기구 { a fluorescent light for advertisement }
본 고안은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국내특허공보 10-0319024의 개량고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 내갑체에 설치되던 콘덴서를 분리시켜 외갑체에 설치함으로써 내갑체의 교체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광고용 형광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광고탑을 비롯한 간판 광고는 일반적으로 빛을 점등시켜 주위를 환하게 하여 시선을 확보함으로써 효과를 얻고, 그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해 기계적인 ON/OFF를 반복하여 주기적으로 점멸시키거나 다수개의 램프를 기계적인 ON/OFF에 의해 순차적으로 점멸시켜 시선을 끌거나 주위를 환기시킨다.
이러한 광고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램프는 네온사인 램프로서 다수개의 네온사인 램프를 기계적인 조작에 의해 ON/OFF시켜 순차적으로 네온싸인 램프를 점멸시킴으로써 간판 광고를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네온싸인 램프를 이용한 광고방법은 기계적인 ON/OFF에 의해 짧은 순간에 점멸이 반복됨으로써 기전력 발생에 의한 램프의 수명이 단축되고 광고 장치의 빈번한 보수 작업이 요청되었으며 또한 소비되는 전력이 상당히 많으므로전력비 부담이 과중하였고 특히 네온사인 램프를 이용하는 경우는 점등시킬 때마다 고전압 및 고전류가 필요하여 전력비부담 뿐만 아니라 시설비가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전압에 의해 스파크가 일어나 화재가 나거나 인체에 손상을 입힐 우려가 있었다.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국내특허공보 10-0319024에 게시된 광고용 형광등 기구를 출원한 바 있다.
즉, 내장된 콘덴서와 본체 외측에서 삽입 고정된 형광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본체 외측에 형성된 접점과 연결되는 내갑체와;
상부가 개방된 장방형의 형상으로 격벽에 의해 장착부와 삽입부로 본체가 구획되고, 상기 삽입부의 일측에는 도전성의 리드가 돌설되어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내갑체의 접점과 접촉되는 외갑체와;
상기 외갑체에 형성된 장착부에 장착되어 전기적 충격으로부터 상기 형광등을 보호하는 초크 트랜스포머로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소비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전력비 부담이 줄어들고 고전압 및 고전류가 필요없어 시설비가 적게 소요되며 특히 고압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화재나 인체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내갑체는 소모품으로서 형광등 수명이 다하면 교환해 주어야 되는데 사용이 끝난 내갑체를 폐기하면 내장된 콘덴서까지 함께 폐기되므로 자원의 낭비와 환경오염의 우려가 있으며, 내갑체의 제품단가도 상승되므로 가격경쟁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종래 내갑체에 내장되던 콘덴서를 외갑체의 장착부 내측에 설치함으로써 내갑체의 제품단가를 절감시키고, 자원낭비와 환경오염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한 광고용 형광등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형광등 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의한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배선상태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4는 도 1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5는 종래 형광등 기구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내갑체 12 : 본체
14 : 접점돌기 20 : 외갑체
22 : 장착부 24 : 격벽
25a,25b : 수용부 26 : 전원연결부
27 : 접점끼움부 30 : 안정기
40 : 후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형광등 기구의 분해사시도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도 1에 의한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배선상태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4는 도 1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5는 종래 형광등 기구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본 출원인이 출원한 바 있는 국내특허공보 10-0319024호의 광고용 형광등기구를 기본으로 한다.
즉, 본체(12') 외측에서 삽입 고정된 형광등(FL')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측에 형성된 접점(14')과 연결되는 내갑체(10')와;
상부가 개방된 장방형의 형상으로 격벽(24')에 의해 장착부(22')와 삽입부(26')로 본체(20a')가 구획되고, 상기 삽입부(26')의 일측에는 도전성의 리드(28')가 돌설되어 삽입부(26')에 삽입된 상기 내갑체(10')의 접점(14')과 접촉되는 외갑체(20')와;
상기 외갑체(20')에 형성된 장착부(22')에 장착되어 전기적인 충격으로부터 상기 형광등(FL')을 보호하는 초크 트랜스포머(CT')로 구성된 광고용 형광등기구를 기본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외에 본 고안은 본체(12)의 저면에 다수의 접점돌기(14)가 형성된 내갑체(10)와; 상기 장착부(22)의 상부에 전원연결부(26)와 다수의 접점끼움부(27)가 형성되고, 내부 일측에 콘덴서(C)가 설치된 외갑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내갑체(10)의 본체 외측에는 소형 형광등(FL)이 설치되고, 저면에는 4개의 접점돌기(14)가 돌출 형성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상기 외갑체(20)의 본체(12)는 장방형으로 상부 일측에는 4개의 접점끼움부(27)가 형성되고 그 양측으로 전원연결부(26)가 형성되며, 사방이 밀폐된 형상으로 중간에 형성된 격벽(24)에 의해 두 개의 수용부(25a)(25b)로 본체(12)가 구획되어, 일측 수용부(25a)에는 초크 트랜스포머(CT)가 장착되고, 타측 수용부(25b)에는 콘덴서(C)가 삽입 설치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측의 전원연결부(26)와 접점끼움부(27) 1개는 초크 트랜스포머(CT)로 연결시키며, 2개의 접점끼움부(27)는 콘덴서(C)와 연결시키고, 타측의 전원연결부(26)와 접점끼움부(27) 1개를 연결시킨다.
또한 상기 전원연결부(26)는 외면에 후크(40)를 갖는 첨예한 선단부로 이루어져 외갑체(20) 본체(12)의 상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선단부에 전선(도시하지 않음)을 대고 하방으로 누르면 전선 피복이 천공되면서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후크(30)가 전선 피복내에 걸려 고정되므로 이탈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전원연결부(26)에 전선을 가압시켜 연결한 후 상기 내갑체(10)의 접점돌기(14)를 외갑체(20)의 접점끼움부(27)에 맞춰 끼워넣음으로써 결합이 완료된다.
도 4에서와 같이 내부에 트랜스포머와 트랜지스터 등이 삽입된 안정기(30)에서 상용 교류전원을 승압하거나 감압하여 출력한다.
안정기(30)에 연결된 전선에 본 고안에 따른 형광등기구(1)를 다수개 연결하면 전선에 걸린 총 로드(P(W))는 연결된 형광등기구(1) 수만큼 나뉘어져 형광등기구(1)에 로드(1/n(W))가 걸리게 되고 형광등(FL1,FL2,…FLn)은 점등된다.
이때 각 콘덴서(C1,C2,…Cn)는 각 형광등(FL1,FL2,…FLn)에 일정한 주파수의 교류전류를 공급하고, 각 초크 트랜스포머(CT1,CT2,…CTn)는 역전류의 흐름을 방지하여 각 형광등(FL1,FL2,…FLn)을 보호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소형의 형광등(FL1,FL2,…FLn)이 설치된 형광등기구(1)를 광고에 이용함으로써 소비되는 전력을 상당히 줄일 수 있으므로 전력비 부담이 감소되고 시설비가 적게 소요되며 고전압 및 고전류를 사용하지 않아 고전압 및 고전류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화재의 위험이나 감전에 의한 인체 손상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수 개의 형광등기구(1)를 하나의 안정기(30)로 조절할 수 있어 편리하며,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형광등기구(1)는 광고용 뿐만 아니라 독서실의 책상이나 생산라인과 같이 하나의 라인으로 형광등(FL1,FL2,…FLn)을 설치하는 장소에 전선(32)을 일렬로 배선하여 실내장식용이나 조명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 내갑체에 내장되던 콘덴서를 외갑체의 장착부 내측에 설치함으로써 내갑체의 제품단가를 절감시키고, 자원낭비와 환경오염을 배제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본체(12) 외측에서 삽입 고정된 형광등(FL)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측에 형성된 접점(14)과 연결되는 내갑체(10)와;
    상부가 개방된 장방형의 형상으로 격벽(24)에 의해 장착부(22)와 삽입부(26)로 본체(20a)가 구획되고, 상기 삽입부(26)의 일측에는 도전성의 리드(28)가 돌설되어 삽입부(26)에 삽입된 상기 내갑체(10)의 접점(14)과 접촉되는 외갑체(20)와;
    상기 외갑체(20)에 형성된 장착부(22)에 장착되어 전기적인 충격으로부터 상기 형광등(FL)을 보호하는 초크 트랜스포머(CT)로 구성된 광고용 형광등기구에 있어서,
    본체(12)의 저면에 다수의 접점돌기(14)가 형성된 내갑체(10)와; 상기 장착부(22)의 외부에 전원연결부(26)와 다수의 접점끼움부(27)가 형성되고, 내부 일측에 콘덴서(C)가 설치된 외갑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용 형광등기구.
KR2020020019039U 2002-06-24 2002-06-24 광고용 형광등기구 KR2002895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039U KR200289514Y1 (ko) 2002-06-24 2002-06-24 광고용 형광등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039U KR200289514Y1 (ko) 2002-06-24 2002-06-24 광고용 형광등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9514Y1 true KR200289514Y1 (ko) 2002-09-16

Family

ID=73125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039U KR200289514Y1 (ko) 2002-06-24 2002-06-24 광고용 형광등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951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4538B1 (ko) 안정기를 갖는 형광등 소켓에 사용할 수 있는 led조명등
US5545950A (en) Adapter, fitting into an incandescent socket, for receiving a compact flourescent lamp
US20100309652A1 (en) Led light bar with a replaceable power source
US5569981A (en) Ballast device for compact fluorescent lamp
KR200289514Y1 (ko) 광고용 형광등기구
KR101144898B1 (ko) 조명등과 등기구가 일체로 형성되는 조명유닛
KR100319024B1 (ko) 광고용 형광등기구
US6164797A (en) End mount ballast- socket bridge
US20040090778A1 (en) Fluorescent lamp frame
KR20080078519A (ko) 안정기의 점검 및 교체가 용이한 형광등
JP7440152B1 (ja) 車両室内ランプ用led化キット
US6326731B1 (en) Socket and ballast for gas discharge lamp
KR200306815Y1 (ko) 형광등 기구용 안정기
CN217928466U (zh) 一种柜内照明灯
KR200282124Y1 (ko) 조립이 간편한 형광등 소켓
US20060055333A1 (en) Ballast with integral connector
KR200344100Y1 (ko) 무전극램프의 전극고정대
KR200429959Y1 (ko) 형광램프용 등기구
KR200329719Y1 (ko) 형광등용 안정기
KR19980014538U (ko) 방전등용 안정기
JP3693379B2 (ja) 点灯装置付き放電ランプ
JPH0743861Y2 (ja) 照明器具
KR100464177B1 (ko) 형광등프레임
KR200285824Y1 (ko) 형광등기구용 안정기
KR200275635Y1 (ko) 조명용 콘덴서의 고정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