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100Y1 - 무전극램프의 전극고정대 - Google Patents

무전극램프의 전극고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100Y1
KR200344100Y1 KR20-2003-0036757U KR20030036757U KR200344100Y1 KR 200344100 Y1 KR200344100 Y1 KR 200344100Y1 KR 20030036757 U KR20030036757 U KR 20030036757U KR 200344100 Y1 KR200344100 Y1 KR 2003441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xing part
electrode
lamp
electrodeless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67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행관
Original Assignee
이행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행관 filed Critical 이행관
Priority to KR20-2003-00367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1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1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1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6Seals between parts of vessels; Seals for leading-in conductors; Leading-in conductors

Landscapes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전극램프의 전극고정대에 관한 것으로, 소정 두께를 갖는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 형태의 지지대와, 무전극램프의 단부에 형성된 전극을 삽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 상부 면에 일체형으로 부착 고정되는 상부가 개방된 고리 형태의 고정부와, 피스를 삽입하여 상기 지지대를 원하는 장소에 고정 설치하도록 상기 지지대의 고정부와 고정부 사이에 형성되는 피스홈과, 각각의 고정부에 삽지된 무전극램프가 인버터 및 외부전원에 연결되도록 상기 지지대 일측에 소정 돌출 형성되는 전기 단자; 부도체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의 상면 및 일측면을 커버하기 위해 상기 고정부의 너비와 일치하여 상기 고정부 상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커버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다수 개의 무전극램프가 한 개의 배선을 통해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설치시 편의성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제작상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전극램프의 전극고정대{Fixing plate for non-electrode lamp}
본 고안은 무전극램프가 적용되는 전극고정대의 구조를 개선하여 하나의 배선으로 다수 개의 무전극램프가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설치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제작상의 비용이 절감되도록 한 무전극램프의 전극고정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램프는 대부분 내부에 필라멘트 형태의 전극을 삽입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램프의 대표적인 예로는 전극램프인 백열등 혹은 형광등이 있다. 상기 전극램프는 사용시 내부에 설치된 전극에 의해 상당량의 열이 발생하게 되고, 수명 또한 사용자의 기대치를 충족시키기엔 부족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 들어 기존의 전극램프의 문제점을 타개하고자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선된 형태의 무전극램프(플라즈마 램프)가 개시되어있는 바, 상기 무전극램프는 램프(1) 내부에 방전가스(3)를 충전하고, 좌우 외측면에는 전극(2)을 설치하여 상기 전극(2)에 의해 램프 내에 플라즈마가 유도되어 발광하는 형태의 램프로서, 기존의 전극램프와 비교할 때 열의 발생이 없으며, 일반 형광등에 비해 통상 5배 이상 긴 수명을 갖는 장점이 있다.
특히, 램프의 관경이 얇아 협소한 공간 등 기존의 램프의 설치가 곤란한 장소에도 쉽게 설치가 가능하고, 무게가 가벼워 네온사인 등의 다양한 형태로도 활용이 가능한 점 등 활용도가 매우 높다.
그러나, 이 같은 무전극램프의 경우 통상 램프 양쪽 단부에 금속 재질의 캡을 씌워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전극에는 외부전원과 연결되도록 전선이 연결되어 상기 전선을 통해 외부의 인버터 등 각종 장치와 램프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 무전극램프는 통상 복수 개가 한꺼번에 설치되는 경향이 잦아 이 경우 각각의 램프의 전극에 일일이 단자를 형성하여 외부전원과 연결해야 함으로, 전선연결 작업시 전체적인 배선구조 자체가 매우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램프를 고정시키는 고정대는 통상 평평한 형태로 제작됨으로 일부 구부러진 능선 등의 장소에는 별도로 고정대를 추가 설치해야 하는 등 제작 및 설치 상의 비용과 시간증가에 따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무전극램프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하나의 배선을 통해 다수 개의 무전극램프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무전극램프의 전극고정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무전극램프의 전극고정대는, 무전극램프의 양쪽 단부에 구비된 전극을 지지하여 원하는 장소에 설치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전극고정대에 있어서, 소정 두께를 갖는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 형태의 지지대; 무전극램프의 단부에 형성된 전극을 삽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 상부 면에 일체형으로 부착 고정되는 상부가 개방된 고리 형태의 고정부; 피스를 삽입하여 상기 지지대를 원하는 장소에 고정 설치하도록 상기 지지대의 고정부와 고정부 사이에 형성되는 피스홈; 각각의 고정부에 삽지된 무전극램프가 인버터 및 외부전원에 연결되도록 상기 지지대 일측에 소정 돌출 형성되는 전기 단자; 부도체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의 상면 및 일측면을 커버하기 위해 상기 고정부의 너비와 일치하여 상기 고정부 상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무전극램프의 기본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무전극램프가 전극고정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무전극램프의 전극고정대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전극고정대의 측면을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무전극램프 2 ; 전극
10 ; 지지대 11 ; 고정부
12 ; 커버 13 ; 단자
14 ; 피스홈 30 ; 인버터
31 ; 전선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무전극램프의 전극고정대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무전극램프가 전극고정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무전극램프의 전극고정대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전극고정대의 측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무전극램프의 전극고정대는 구리 등의 전도체로 된 동판을 이용하여 대체로 납작한 직사각형 형태의 지지대(10)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대(10)의 상부 면에는 무전극램프(1)의 양쪽 단부에 구비된 금속으로 된 전극(2)을 내삽하여 지지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고리 형태의 고정부(11) 다수 개가 일렬로 나란히 부착되어 지지대(10)와 고정부(11)의 결합체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11) 또한 지지대(10)와 동일한 재질로 전도체인 구리 등의 동판을 이용하여 제작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11)의 상부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1)의 상부 및 일측면을 완전 커버하되 고정부(11)의 양측면과 동일한 너비를 갖도록 제작되어 고정부(11)에 장착시 인의적인 힘을 가하지 않는 한 탈기되지 않도록 커버(12)가 재치된다. 상기 커버(12)는 전극(2)을 외부로부터 격리하여 정전사고 등을 예방하도록 부도체인 실리콘 등으로 제작한다. 상기 커버(12)는 무전극램프(1)의 교환 등 필요시 용이하게 분리/조립하도록 사용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10)는 무전극램프(1)의 양측 전극(2)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10)의 일측 단부에는 전선(31)을 통해 별도의 인버터(30) 및 외부전원에 연결되도록 단자(1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10)는 각각의 고정부(11) 사이마다 설치장소 또는 별도로 구비된 프레임(도시생략) 등에 고정하도록 피스(도시생략)가 삽입되는 피스홈(14)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지지대(10)는 바람직하게는 일부 굽은 장소에도 설치가 가능하도록 두께를 적절히 조정하여 탄성을 가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무전극램프의 전극고정대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정부(11)가 부착된 지지대(10)를 피스 및 피스홈(14)을 통해 원하는 장소에 단단히 고정 설치한 후, 상기 고정부(11)에 무전극램프(1)의 전극(2)을 끼워 삽지한 후, 상기 전극(2) 위에 커버(12)를 덮어 외부와 전극(2)을 격리시켜 전극(2) 부분이 보호되도록 한다.
이 후, 지지대(10) 일측에 형성된 단자(13)와 상기 단자(13)에 연결된 전선(31)을 통해 인버터(30) 및 외부전원에 연결하면 전원이 전도체인 지지대(10)를 통해 전극(2)에 전달되어 고정부(11)에 삽지된 램프(1)들이 발광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는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즉, 본 고안에서는 5개의 무전극램프(1)가 삽지 가능한 형태로 평평한 일자형태의 전극고정대(10)을 제작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개수의 조절이 가능함은 물론, 동판을 이용하여 제작됨으로 굴곡을 주어 예를 들어 뒤로 살짝 휜 'ㄱ'자 등 일부 변형된 형태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동판으로 된 지지대(10) 일측의 단자를 생략하고 납땜 등을 이용하여 직접 전선(31)과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10)의 하부 면에는 후면에 양면 테잎 등의 접착수단이 구비된 후부커버(도시생략)를 별도로 밀접시켜 별도의 피스 없이도 원하는 장소에 설치가 가능하도록 제작하여도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무전극램프의 전극고정대에 따르면 하나의 단자로 지지대에 삽지된 모든 램프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고, 지지대는 소정 휘는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약간의 굴곡을 갖는 장소에도 쉽게 설치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무전극램프(1)의 양쪽 단부에 구비된 전극(2)을 지지하여 원하는 장소에 설치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전극고정대에 있어서,
    소정 두께를 갖는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 형태의 지지대(10);
    무전극램프(1)의 단부에 형성된 전극(2)을 삽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10) 상부 면에 일체형으로 부착 고정되는 상부가 개방된 고리 형태의 고정부(11);
    피스를 삽입하여 상기 지지대(10)를 원하는 장소에 고정 설치하도록 상기 지지대(10)의 고정부(11)와 고정부(11) 사이에 형성되는 피스홈(14);
    각각의 고정부(11)에 삽지된 무전극램프가 인버터(30) 및 외부전원에 연결되도록 상기 지지대(10) 일측에 소정 돌출 형성되는 전기 단자(13);
    부도체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11)의 상면 및 일측면을 커버하기 위해 상기 고정부(11)의 너비와 일치하여 상기 고정부 상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커버(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극램프의 전극고정대.
KR20-2003-0036757U 2003-11-25 2003-11-25 무전극램프의 전극고정대 KR2003441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757U KR200344100Y1 (ko) 2003-11-25 2003-11-25 무전극램프의 전극고정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757U KR200344100Y1 (ko) 2003-11-25 2003-11-25 무전극램프의 전극고정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100Y1 true KR200344100Y1 (ko) 2004-03-10

Family

ID=49426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6757U KR200344100Y1 (ko) 2003-11-25 2003-11-25 무전극램프의 전극고정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10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640B1 (ko) * 2006-05-26 2007-10-29 주식회사 디엔디테크 전도성 고무를 이용한 엘씨디 백라이트용 램프 점등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KR100783086B1 (ko) * 2006-11-20 2007-12-07 주식회사 디엔디테크 전도성 고무를 이용한 엘씨디 백라이트용 램프 점등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640B1 (ko) * 2006-05-26 2007-10-29 주식회사 디엔디테크 전도성 고무를 이용한 엘씨디 백라이트용 램프 점등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KR100783086B1 (ko) * 2006-11-20 2007-12-07 주식회사 디엔디테크 전도성 고무를 이용한 엘씨디 백라이트용 램프 점등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16551A1 (en) Low voltage track lighting system
KR20010020239A (ko) 발광 회로, 발광 시스템 방법 및 장치, 소켓 조립체, 램프 절연체 조립체 및 그 구성부품
US20060066191A1 (en)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lamp having an electric shield
CA2392373C (en) Dielectric-barrier discharge lamp
KR200344100Y1 (ko) 무전극램프의 전극고정대
US7573201B2 (en)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lamp having pluggable electrodes
US20060066245A1 (en) Illumination system having a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lamp and associated ballast
US6429590B2 (en) Straight fluorescent lamp with surface-mounted electrical conduit
US20060066211A1 (en)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lamp having a sleeve
JPH07211128A (ja) 照明器具
US7053553B1 (en) Starting aid for fluorescent lamp
US6149281A (en) Neon lighting fixture
KR20080034807A (ko) 플러그접속 형광램프 및 램프 홀더
CN218033053U (zh) 一种led线槽灯的电源连接结构
CN218032768U (zh) 一种用于线槽灯的led灯带
CN216131794U (zh) 灯带端盖组件及led灯带结构
KR200243855Y1 (ko) 퓨즈가 장착된 형광등용 커넥터
KR200393122Y1 (ko) 형광등기구
KR20100088475A (ko) 접지편을 구비한 점등제어장치
CN101548590B (zh) 减小电极场强的装置
US6552491B1 (en) Fluorescent lamp with integral circuitry
KR101704780B1 (ko) 탈부착형 led
US20080054805A1 (en) Gas Discharge Lamp and Socket
US20100181913A1 (en) Cold cathode illumination apparatus
CN112815242A (zh) 灯带端盖组件及led灯带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