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9441Y1 - 도장 - Google Patents

도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9441Y1
KR200289441Y1 KR2020020018017U KR20020018017U KR200289441Y1 KR 200289441 Y1 KR200289441 Y1 KR 200289441Y1 KR 2020020018017 U KR2020020018017 U KR 2020020018017U KR 20020018017 U KR20020018017 U KR 20020018017U KR 200289441 Y1 KR200289441 Y1 KR 2002894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lid
elastic member
pain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80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아
Original Assignee
이영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아 filed Critical 이영아
Priority to KR20200200180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94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94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9441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장에 관한 것으로서, 도장뚜껑의 내부에 원주방향으로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는 도장본체가 도장뚜껑 내부로 끼워질 때 상기 홈 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눌려지도록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재를 삽입하여 주위의 온도나 습도의 변화 등으로 인하여 도장본체의 팽창율이나 수축율이 도장뚜껑의 팽창율이나 수축율과 같지 않게 되는 경우에 도장뚜껑을 도장본체에서 분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간단하게 해결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도장{Stamp}
본 고안은 도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장본체에 삽입되어 있는 도장뚜껑을 쉽게 빼낼 수 있도록 하는 도장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도장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장본체(1)에 도장뚜껑(2)을 씌워서 사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도장은 그 재질이 나무로 되어있을 경우에는도장본체(1)가 팽창하는 비율이나 수축하는 비율이 주위의 온도나 습도의 변화 등으로 인하여 도장뚜껑(2)이 팽창하는 비율이나 수축하는 비율과 같지 않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즉, 도장뚜껑(2)이 수축하는 비율보다 도장본체(1)가 수축하는 비율이 작거나 또는 도장뚜껑(2)이 팽창하는 비율보다 도장본체(1)가 확대하는 비율이 크게 되는 경우에는 도장뚜껑(2)이 도장본체(1)에 마치 억지끼워 맞춘 것 같은 상태로 되어 도장뚜껑(2)을 도장본체(1)에서 분리하기가 매우 어려워지게 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도장뚜껑(2)을 깨뜨려야 하는 경우까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도장본체에 삽입되어 있는 도장뚜껑을 쉽게 빼낼 수 있도록 하는 도장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도장은 도장본체와, 상기 도장본체의 일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씌워지는 도장뚜껑으로 구성되는 도장에 있어서, 상기 도장뚜껑은 그 내부에 원주방향으로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는 도장본체가 도장뚜껑 내부로 끼워질 때 상기 홈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눌려지도록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재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도장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장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장에 있어서, 도장본체가 도장뚜껑에 삽입되기전의 상태에서 도장뚜껑에 삽입된 탄성부재의 작용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장에 있어서, 도장본체가 도장뚜껑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장뚜껑에 삽입된 탄성부재의 작용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도장본체 2 : 도장뚜껑
3 : 홈 4 : 탄성부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장의 분해 사시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도장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장본체(1)와, 상기 도장본체(1)의 일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씌워지는 도장뚜껑(2)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장본체(1)는 통상적으로 원형이나 타원형의 단면을 가지면서,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어 있고, 그 일단부에 성명 등이 각인되는 부분을 가진다.
상기 도장뚜껑(2)은 상기 도장본체(1)의 일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씌워지며, 그 내부에는 원주방향으로 홈(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3)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탄성부재(4)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4)는 도장본체(1)를 도장뚜껑(2) 내부로 끼울 때, 상기 탄성부재(4)의 적어도 일부분은 삽입되는 도장본체(1)의 외주와 접촉되어 상기 홈(3)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변형을 하면서 도장본체(1)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이때, 상기 도장본체(1)는 도장뚜껑(2) 내부에서 탄성부재(4)의 탄성력에 의해서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도장뚜껑(2)을 도장본체(1)에서 빼내기 위하여 도장의 길이 방향을 외력을 가하면 상기 탄성력을 이기고 쉽게 도장본체(1)를 분리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4)는 그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얇은 금속판이나, 합성수지와 같은 재질로서 대략 그 중앙부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볼록한 링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도장뚜껑의 작용에 대하여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장본체가 도장뚜껑에 삽입되기 전의 상태에서 도장뚜껑에 삽입된 탄성부재의 작용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장본체가 도장뚜껑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장뚜껑에 삽입된 탄성부재의 작용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장뚜껑(2)의 내부에 형성한 홈(3)에는 중앙부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링형상의 탄성부재(4)가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장본체(1)를 도장뚜껑(2) 내부로 끼우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형상의 볼록한 부분은 삽입되는 도장본체(1)의 외주와 접촉되어 상기 흠(3)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변형을 하게 되며, 이때, 삽입된 도장본체(1)는 링형상의 볼록한 부분이 탄성력을 가지면서 접촉하고 있으므로 도장뚜껑(2) 내에 견고하게 끼워지게 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도장본체(1)는 도장뚜껑(2) 내부에서 탄성부재(4)의 탄성력에 의해서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도장뚜껑(2)을 도장본체(1)에서 빼내기 위하여 도장의 길이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상기 탄성력을 이기고 쉽게 도장본체(1)를 분리할 수가 있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장은 주위의 온도나 습도의 변화 등으로 인하여 도장본체의 팽창율이나 수축율이 도장뚜껑의 팽창율이나 수축율과 같지 않게 되는 경우에 도장뚜껑을 도장본체에서 분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간단하게 해결할 수가 있다.

Claims (4)

  1. 도장본체(1)와, 상기 도장본체(1)의 일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씌워지는 도장뚜껑(2)으로 구성되는 도장에 있어서, 상기 도장뚜껑(2)은 그 내부에 원주방향으로 홈(3)을 형성하고, 상기 홈(3)에는 도장본체(1)가 도장뚜껑(2) 내부로 끼워질 때 상기 홈(3)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눌려지도록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재(4)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4)는 중앙부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볼록한 링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4)는 얇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4)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KR2020020018017U 2002-06-12 2002-06-12 도장 KR2002894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017U KR200289441Y1 (ko) 2002-06-12 2002-06-12 도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017U KR200289441Y1 (ko) 2002-06-12 2002-06-12 도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9441Y1 true KR200289441Y1 (ko) 2002-09-16

Family

ID=73076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017U KR200289441Y1 (ko) 2002-06-12 2002-06-12 도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944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71196A (en) Method of producing a clip action bearing portion on a male element for assembly of said male element with a female tubular element
US5348174A (en) Metal flexible finger ferrule for flanged container closure
CA2014371A1 (en) Push button particularly for a watch case
BR0209077B1 (pt) junta de vedação metálica elástica fechada.
KR200289441Y1 (ko) 도장
KR200289442Y1 (ko) 도장
ATE273737T1 (de) Filterpatrone
US5791799A (en) Lipstic with retardant device
KR200295462Y1 (ko) 도장
JP2005178499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US4077456A (en) Simplified valve for tubeless tire
KR200307253Y1 (ko) 도장
KR950023864A (ko) 판재의 연결구
KR200311170Y1 (ko) 도장
EP0331455A2 (en) Mask and masking method
JPH0530947Y2 (ko)
JP2607155Y2 (ja) 筆記具
JPH0351926Y2 (ko)
JPH0420726Y2 (ko)
JP3777555B2 (ja) 急速取付ゲートルを設けたブースタ
JPS5842134Y2 (ja) 筆記具に於けるキヤツプと軸筒との嵌合装置
KR200182828Y1 (ko) 지관으로 형성된 샤프트를 갖는 필기구 몸체
JP2005109737A (ja) アンテナ構造
JP2003145983A (ja) 筆記具用グリップ
KR0122745Y1 (ko) 판재의 홀록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