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9417Y1 - 결합식 가로등제어기 보호대 - Google Patents

결합식 가로등제어기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9417Y1
KR200289417Y1 KR2020020017599U KR20020017599U KR200289417Y1 KR 200289417 Y1 KR200289417 Y1 KR 200289417Y1 KR 2020020017599 U KR2020020017599 U KR 2020020017599U KR 20020017599 U KR20020017599 U KR 20020017599U KR 200289417 Y1 KR200289417 Y1 KR 2002894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street
combined
roof
gu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5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동욱
Original Assignee
임동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동욱 filed Critical 임동욱
Priority to KR20200200175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94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94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9417Y1/ko

Links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결합식 가로등제어기 보호대는, 도로변에 설치되는 가로등제어기를 보호하기 위해 지표면이나 기단 등에 세우고 여기에 위치시킨 가로등제어기의 상부에 먼지 등이 잘 타지 않도록 표면을 처리한 보호대지붕을 결합시킨 보호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한 형태는 먼지등이 잘 타지 않도록 외부를 처리하여 형성하며, 경사에 따른 설치각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가로등 제어설비의 상부에 위치시키는 보호대지붕을 씌우는 것을 특징이 있으며, 다른 형태는 제어설비를 받치는 하부기단 구조물을 감싸기 위해 서로 끼워져 조립형성되는 조립기단을 설치하고 여기에 세워지는 가로등제어기의 상부에 보호대지붕을 세운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보호설비로서의 보호 및 통풍의 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은 물론 도시의 환경과 미관을 살림과 동시에, 필요한 색상이나 문안의 교체가 가능하여 설치장소에 맞는 이미지를 구축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결합식 가로등제어기 보호대{A prefabricated guard for a road[street] lamp}
본 고안은 보호설비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도로변에 설치되는 가로등제어기를 보호하기 위해 지표면이나 기단 등에 세우고 여기에 위치시킨 가로등제어기의 상부에 먼지 등이 잘 타지 않도록 표면을 처리한 보호대지붕을 결합시킴으로써, 행사나 축제 등과 관련된 문양으로 조립설치가 가능하여 전시의 효과가 뛰어난, 결합식 가로등제어기 보호대를 제시한 것이다.
가로등은 고속도로, 시가지의 주요도로, 상업지구 도로, 주택지구 도로 등 가로를 따라서 설치하여 가로교통의 안전과 보안을 위해 밤거리를 환하게 밝혀준다.
이러한 가로등은 전주의 끝부분을 구부려서 그 끝에 등을 다는 하이웨이형(型), 전주의 끝부분에 가로로 가지를 뻗게 하여 거기에 등을 다는 브래킷형(型), 전주의 꼭대기에 등을 다는 주두형(柱頭型) 등 다양하며, 내부의 등은 고압수은등, 형광등, 나트륨등 그리고 일반 전구(電球)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가로등의 제어기는 자동화회로에 의해 자동적으로 작동시켜 가로에 어둠이 깔리면 점등시키게 된다. 가로등제어기의 내부에는 각종 전자소자들이 하나의 제어시스템을 구성하고 있으므로 습기나 먼지 등으로부터 잘 보호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즉 이러한 전자제어시스템에 물기나 습기가 흘러 들어가거나 충격 등이 가해질 경우에는 내부회로나 시스템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때문에 이러한 가로등제어기는 그 주변에 일정한 보호설비를 설치하여 주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보호설비는 공공적, 공익적으로 주의를 요하는 시설이기 때문에, 그 외부는 주의나 경고를 나타내는 노랑색(황색) 등을 많이 사용한다. 하지만 황색은 명도가 높아 작은 흠이나 때가 잘 타게 되며, 이는 거리의 미관을 헤치는요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이러한 가로등제어기는 장마철에 흐르는 물이나 겨울철에 쌓이는 눈 등의 물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일반 지면보다 한 두뼘 높게 기단을 세우고, 이 기단위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종래 가로등제어기의 보호설비는 기단이나 지면에 고정시켜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한번 설치한 경우에는 거의 교체를 하지 않아 부서지거나 파손되지 않는 한 거의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따라서 거리의 미관을 헤치는 문제점을 야기하기도 한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도로변에 설치되는 가로등제어기를 보호하기 위해 지표면이나 기단 등에 세우고 여기에 위치시킨 가로등제어기의 상부에 먼지 등이 잘 타지 않도록 표면을 처리한 보호대지붕을 결합시킴으로써, 행사나 축제 등과 관련된 문양으로 조립설치가 가능하여 전시의 효과가 뛰어난, 결합식 가로등제어기 보호대에 대한 기술을 제공함에 있다.
도 1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식 가로등제어기 보호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가로등제어기 보호대를 설치용 기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는 본 고안의 또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식 가로등제어기 보호대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결합식 가로등제어기 보호대
110 : 조립기단
112 : 조립결합편 114 : 조립판
120 : 보호대지붕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결합식 가로등제어기 보호대는 가로등 제어설비를 보호하기 위한 시설물에 있어서,
먼지등이 잘 타지 않도록 외부를 처리하여 형성하며, 경사에 따른 설치각의조절이 가능하도록 가로등 제어설비의 상부에 위치시키는 보호대지붕을 씌우는 것을 특징이 있다.
아울러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결합식 가로등제어기 보호대는,
제어설비를 받치는 하부기단 구조물을 감싸기 위해 서로 끼워져 조립형성되는 조립기단과, 먼지등이 잘 타지 않도록 외부를 처리하여 형성하며 경사에 따른 설치각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가로등 제어설비의 상부에 위치시키는 보호대지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결합식 가로등제어기 보호대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식 가로등제어기 보호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로등제어기 보호대를 설치용 기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의 또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식 가로등제어기 보호대의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결합식 가로등제어기 보호대(10)는 조립기단(110)과 보호대지붕(120)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는 가로등제어기를 설치할 위치가 평평하고 양호한 상태라면 가로등제어기 상부에 보호대지붕(120)을 조립결합하여 형성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의 조립기단(110)은 조립결합편(112)과 조립판(114)에 의해 결합조립되는 기단이다.
보통 가로등제어기 보호대는 지표면 또는 지면에서 일정높이로 올라오도록 만든 기단에 세워진다. 아울러 기단은 시멘트 등에 의한 콘트리트 구조물로 형성되지만 깨끗하지 못한 것이 많아 거리미관을 해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파손되거나 미관상 불결한 콘크리트기단의 외면을 감싸기 위해 결합조립하는 조립기단(110)을 채택하고 있다.
조립결합편(112)은 도 2에 부분상세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단면이 "ㄱ"자 혹은 "ㄴ"자 형상의 직각절편 모양으로 형성되고 각 끝단부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양끝단부의 결합홈에 조립판(114)들이 결합되어 조립기단(110)이 형성된다. 또한 견고한 결합을 위해 볼트너트, 혹은 리벳등에 의해 결합시킬 수도 있다.
아울러 조립기단(110)은 측면의 조립판(114)들을 필요에 따라 아래 방향으로 길거나 짧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여, 본 보호대(10)의 설치장소가 평지가 아닌 경사가 진 경우에 조립결합됨으로써 평평하게 놓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조립기단(110)에는 그 상면에 가로등제어기(20)가 놓여진다.
이 가로등제어기(20)에는 다시 그 상부에 보호대지붕(120)이 설치된다. 이러한 보호대지붕(120)은 대기중의 먼지가 잘 붙지 않도록 각각의 구성부들을 먼지가 잘 타지 않는 물질로 표면을 처리하므로써, 도시의 매연이나 먼지 등에 의해 때가 타는 문제점을 일정부분 해결하였다. 아울러 폴리 카보네트 등과 같은 특수 계열의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표면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결합식 가로등제어기 보호대(10)는, 안쪽에는 조명시설을 장착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야간에도 식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종래에는 가로등제어기 보호설비에 전등이나 기타 야간식별이 가능한 표시가 없어 충돌사고 등이 발생되곤 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에 전등을 장착했기 때문에 이러한 충돌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뿐만아니라 보호지붕을 제작함에 있어서 야광도료나 물질을 첨가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밤에도 전기 등의 사용없이 자체적으로 형광의 효과를 발하고 따라서 야간통행자들에게 식별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더욱이 본 고안의 보호대지붕(120)은 깊이가 얇은 라운드 형태를 띠기 때문에 가로등제어기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겨울이나 늦가을 등의 추운 날씨에는 가로등제어기에서 큰 열이 발생되지 않지만, 한 여름에는 복잡한 전자회로로 구성된 가로등제어기 내부 그리고 지면으로부터도 많은 열이 나기 때문에 이러한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시키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가로등제어기 보호설비는 높이 솟은 지붕과 그로 인해 발생된 열이 상부에 갖히는 상태가 되며 따라서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시키는 것에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제어기 보호대의 보호대지붕(120)은 도시한 바와 같이 깊이가 판형 혹은 라운드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열을 가두는 경우가 없으며 비스듬한 각으로 인해 하부로부터 발생된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하게 된다. 아울러 이러한 보호대지붕(120)은 환기 및 통풍을 방해하지 않기 때문에 열의 방출과 같은 맥락에 많은 이로움을 주게 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로등제어기를 설치할 위치가 평평하고 양호한 상태라면 가로등제어기 상부에 보호대지붕(120)을 조립결합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또 다른 실시예의 결합식 가로등제어기 보호대(10)의 보호대지붕(120)도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를 먼지 등이 잘 타지 않는 물질로 처리하고, 내부에 조명시설 설치 및 야광도표에 의한 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결합식 가로등제어기 보호대(10)는 설치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우리나라 고유 전통의 한옥형상을 띠고 있다. 이 외에도 본 보호대(10)는 서양의 지붕 형상으로 만들 수도 있고 기타 동물의 문양이나 꽂무늬 등 필요한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본 고안의 결합식 가로등제어기 보호대(10)는 종래의 보호대가 그냥 미관 등을 고려하지 않은 형상이었음에 반해, 각종 행사나 축제 등의 테마에- 맞도록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여 거리의 미관을 살리고 도시를 아름답게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결국 본 고안은 한국적 미를 상징한 전통한옥형으로 우리 고유의 한옥의 미의 장점을 최대한 살려 기존의 단순하고 무의미한 구조물에서 도시의 미관과, 도시의 이미지 구축에 기여하였고, 대기중의 먼지, 비, 눈과 같은 기후의 영양으로부터 탈피할 수 있도록 표면을 처리하였다. 특히 설치지역의 높낮이와 경사에 다른 지형지물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도록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종하는 장치를 마련해 높이와 경사에 유동적으로 대비하게 하였다. 아울러 조립기단에 의해 하부의 외형을 교체가능하게 고안하였을뿐만 아니라, 전후좌우의 약간의 길이의 변화에 유동성을 주어 지형적 경사나 높이에 따른 변수로부터의 영향을 없애는 등, 본 고안의 기술개념을 바탕으로 보다 다양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가로등제어기 보호설비로서의 신호제어의 기능적인 측면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보호 및 통풍의 효과를 증대시키고 도시의 환경과 미관을 살리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각종 안내 및 행사 등을 알릴 수 있도록 필요한 색상이나 문안의 교체가 가능하여 설치장소에 맞는 이미지를 구축하여 통행인의 정서함양에도 일익을 담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Claims (5)

  1. 가로등 제어설비를 보호하기 위한 시설물에 있어서,
    먼지등이 잘 타지 않도록 외부를 처리하여 형성하며, 경사에 따른 설치각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가로등 제어설비의 상부에 위치시키는 보호대지붕을 씌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식 가로등제어기 보호대.
  2. 가로등 제어설비를 보호하기 위한 시설물에 있어서,
    상기 제어설비를 받치는 하부기단 구조물을 감싸기 위해 서로 끼워져 조립형성되는 조립기단과,
    먼지등이 잘 타지 않도록 외부를 처리하여 형성하며 경사에 따른 설치각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가로등 제어설비의 상부에 위치시키는 보호대지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식 가로등제어기 보호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기단은
    일정폭을 갖는 'ㄱ'자 형상의 직각절편 모양으로 형성되고 각 끝단부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조립결합편들과,
    상기 조립결합편 각 절편단부 결합홈에 결합되는 평평한 조립판들에 의해 조립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식 가로등제어기 보호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지붕은
    내부 안쪽에 조명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식 가로등제어기 보호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지붕은
    야간의 식별력을 높이기 위해 야광도료로 처리하여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식 가로등제어기 보호대.
KR2020020017599U 2002-06-10 2002-06-10 결합식 가로등제어기 보호대 KR2002894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599U KR200289417Y1 (ko) 2002-06-10 2002-06-10 결합식 가로등제어기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599U KR200289417Y1 (ko) 2002-06-10 2002-06-10 결합식 가로등제어기 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9417Y1 true KR200289417Y1 (ko) 2002-09-16

Family

ID=73124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599U KR200289417Y1 (ko) 2002-06-10 2002-06-10 결합식 가로등제어기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941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1144A (en) Low voltage lighting system
KR100739447B1 (ko) 횡단보도 조명장치
US20100214129A1 (en) Device for the lighting and/or demarcation of pedestrian crossings
WO2011142505A1 (ko) 열발산 구조를 갖춘 엘이디 가로등장치
JP2007280735A (ja) 照明装置並びに照明システム
WO2017094955A1 (ko) 빛공해 방지를 위한 조명등 조사범위 조절장치
KR200289417Y1 (ko) 결합식 가로등제어기 보호대
KR200413200Y1 (ko) 가로등의 베이스 커버
KR20070060050A (ko) 횡단보도용 가로등
KR101760116B1 (ko) 등기구용 빛가림 장치
KR200289183Y1 (ko) 결합식 교통신호제어기 보호대
KR200385011Y1 (ko) 현수식 가로등
CN203115664U (zh) 一种低灯位多维照明路灯
JP2003257212A (ja) 照明付き擬木支柱および擬木柵
KR101045914B1 (ko) 가로등의 등구조
KR200293123Y1 (ko) 쏠라발광볼라드
KR200409292Y1 (ko) 가로등주
KR200361624Y1 (ko)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KR102307386B1 (ko) 경관조명 펜스 지주
EP2803911B1 (en) Led lighting device with improved light distribution
KR101322786B1 (ko) 엘이디 가로등
KR200351455Y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조명 보도블록
KR200348578Y1 (ko) 방향지시등이 설치된 도로 경계석
KR200450799Y1 (ko) 고조도반사판과 방수기능을 갖는 가로등용 조명기구
KR200455949Y1 (ko) 가로등 차광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