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9143Y1 - 광고판용 형광등 조립구 - Google Patents

광고판용 형광등 조립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9143Y1
KR200289143Y1 KR2020020016965U KR20020016965U KR200289143Y1 KR 200289143 Y1 KR200289143 Y1 KR 200289143Y1 KR 2020020016965 U KR2020020016965 U KR 2020020016965U KR 20020016965 U KR20020016965 U KR 20020016965U KR 200289143 Y1 KR200289143 Y1 KR 2002891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escent lamp
billboard
fluorescent
connectors
lamp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69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국
Original Assignee
안병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병국 filed Critical 안병국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91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9143Y1/ko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고판에 사용되는 형광등 조립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고판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형광등에 연결되는 전선들 각각을 간단하고 안전하게 연결되도록 하고, 형광등의 양측에 형성된 핀단자들과도 간단하게 결합될 수 있는 광고판에 사용되는 광고판용 형광등 조립구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광고판 내부에 다수개의 형광등을 각각 고정하여 형광등과 스타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형광등 고정구가 구비된 광고판용 형광등 조립구에 있어서, 형광등 고정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형광등의 제1 및 제3핀단자가 접속될 수 있도록 각각 소켓이 형성된 한 쌍의 커넥터와, 한 쌍의 커넥터에 형성되어 일단부는 형광등의 제2 및 제4핀단자를 접속하도록 개방되고 타단부는 외부 전원을 연결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전원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관고판용 형광등 조립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광고판 내부에 다수개의 형광등을 각각 고정하여 상기 형광등과 스타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형광등 고정구가 구비된 광고판용 형광등 조립구에 있어서, 상기 형광등 고정구 및 외부 전원이 전선에 의하여 상/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형광등의 제1,2,3,4핀단자를 선택적으로 중간부위에 삽착되는 접속단자와, 상기 접속단자를 내장하는 한 쌍의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광고판용 형광등 조립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광고판용 형광등 조립구 {A fluorescent Lamp connecting assembly for a notice board}
본 고안은 광고판에 사용되는 형광등 조립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고판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형광등에 연결되는 전선들 각각을 간단하고 안전하게 연결되도록 하고, 형광등의 양측에 형성된 핀단자들과도 간단하게 결합될 수 있는 광고판에 사용되는 형광등 조립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상회에서는 상품 및 상호 등을 널리 외부에 알리기 위해 옥외광고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옥외광고 수단으로는 네온 또는 아르곤 가스를 봉입한 유리관을 사용하는방식의 네온싸인, 기초 콘크리트에 여러가지 모양의 조형물을 세우는 방식의 사인탑, 건물옥상에 설치된 대형 광고간판인 빌보드, 대부분의 광고판인 플렉스 사인이 있다.
특히, 플렉스 사인(이하, 광고판으로 약칭함)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으로 된 프레임(1) 내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형광등(2)을 설치한다.
광고판 내부에 설치된 형광등(2)을 프레임(1) 내부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광고판의 프레임(1) 일면에 다수개의 형광등 고정대(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고, 형광등 고정대에 형광등(2)을 삽입 고정시키는 구조이다.
상기 프레임(1) 내부에 고정된 형광등(2)의 제1,2,3,4핀단자(3a,4a,3b,4b)들 중 형광등(2)의 일측에 형성된 제1핀단자(3a)와 형광등(2)의 타측에 형성된 제3핀단자(3b)는 통전되도록 연결선(8)으로 연결되어 있고, 형광등(2)의 일측에 구비된 제2핀단자(4a)와 형광등(2)의 타측에 구비된 제4핀단자(4b)는 각각 전원공급선(6)으로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교류(AC)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플렉스 사인은 전선을 피복한 후 묶거나 납땜하여 결합하기 때문에 저항이 많이 발생하고 전력의 손실이 큰 문제점이 있었고, 피복된 전선들이 합선되거나 누전의 우려가 있으며, 전선들이 얽혀있기 때문에 접촉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형광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들이 간결하게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고, 조립 시공이 간편할 뿐만아니라 합선의 문제점을 줄일 수 있는 광고판용 형광등 조립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광고판 내부에 다수개의 형광등을 각각 고정하여 형광등과 스타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형광등 고정구가 구비된 광고판용 형광등 조립구에 있어서, 형광등 고정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형광등의 제1 및 제3핀단자가 접속될 수 있도록 각각 소켓이 형성된 한 쌍의 커넥터와, 한 쌍의 커넥터에 형성되어 일단부는 형광등의 제2 및 제4핀단자를 접속하도록 개방되고 타단부는 외부 전원을 연결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전원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광고판용 형광등 조립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광고판 내부에 다수개의 형광등을 각각 고정하여 상기 형광등과 스타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형광등 고정구가 구비된 광고판용 형광등 조립구에 있어서, 상기 형광등 고정구 및 외부 전원이 전선에 의하여 상/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형광등의 제1,2,3,4핀단자를 선택적으로 중간부위에 삽착되는 접속단자와, 상기 접속단자를 내장하는 한 쌍의 커넥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판용 형광등 조립구를 제공한다.
도1은 종래의 광고판에서의 형광등의 설치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광고판에 사용되는 형광등 조립구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와 단자들의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광고판 내부에 형광등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변형된 실시1예에 따른 형광등의 핀 및 전선의 접속단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변형된 실시1예에 따른 접속단자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변형된 실시1예에 따른 접속단자의 탄성편과 전선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프레임 2,20 : 형광등
3a,23a : 제1핀단자 4a,24a : 제2핀단자
3b,23b : 제3핀단자 4b,24b : 제4핀단자
6,56 : 전원공급선 8,38 : 연결선
30 : 형광등 고정구 32 : 하우징
34 : 요입 고정편 36 : 스타터
40a,40b : 커넥터 42a,42b : 소켓
44a,44b : 전원단자 50a,50b : 전원연결구
52a,52b : 절연 케이스 54a,54b : 전극단자
60 : 접속단자 61 : 저면부
62 : 수직공 63 : 수직부
64 : 탄성편 65 : 소켓공
66 : 좌측 날개 66': 우측 날개
67 : 좌측 절편 67' : 우측 절편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2, 3, 4, 5, 6,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광고판에 사용되는 형광등 조립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와 단자들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광고판내부에 형광등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변형된 실시1예에 따른 형광등의 핀 및 전선의 접속단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변형된 실시1예에 따른 접속단자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변형된 실시1예에 따른 접속단자의 탄성편과 전선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광고판에 사용되는 형광등 조립구는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형광등(20) 각각을 광고판의 프레임(10) 내부에 고정하며 형광등(20)을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형광등 고정구(30)와, 형광등 고정구(30)의 일측에 끼워 맞춤 결합된 스타터(36)와, 형광등(20)과 스타터(36)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형광등 고정구(30)의 양측에서 연장 형성된 연결선(38)과, 연결선(38) 각각의 끝단에 구비되어 형광등(20)과 스타터(36)가 외부 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커넥터(40a,40b)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형광등 고정구(30)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타터(36)와 그 스타터(36)와 연결선(38)을 포함하는 하우징(32)와, 하우징(32)의 타측에 형성되어 형광등(20)을 착탈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요입 고정편(3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선(38)의 양 끝단에 연결되는 커넥터(40a,40b)에는 내장된 소켓(42a,42b)과 일부 돌출된 전원단자(44a,44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40a,40b)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성(絶緣性)인 재질로 되어 있고, 커넥터(40a,40b)의 일측에는 전기가 잘 통하는 전도체(電導體)인 소켓(42a,42b)이 내장되고, 전원단자(44a,44b)도 전도체이며 외부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40a,40b)는 소켓(42a,42b)과 전원단자(44a,44b)에 외부로부터 교류(AC)전원이 공급되면서 발생하는 열에 견딜 수 있도록 내열성이 좋은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40a,40b)의 외형은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나,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커넥터(40a,40b)의 형상은 소켓(42a,42b)과 전원단자(44a,44b) 사이에 쇼트(short)가 발생하지 않도록 소켓(42a,42b)과 전원단자(44a,44b)가 분리된 대략 'V'자 형으로 되어 있다.
상기 형광등(20)의 일단에는 제1,2핀단자(23a,24a)가 형성되어 있고, 형광등(20)의 타단에는 제3,4핀단자(23b,24b)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나의 커넥터(40a)에 형성된 소켓(42a)의 개방된 일단부에는 형광등(20)의 일단에 형성된 제1핀단자(23a)가 삽입되게 되고, 그 커넥터(40a)의 소켓(42a)과 연결선(38)으로 연결된 다른 커넥터(40b)의 소켓(42b)의 개방된 일단부에는 형광등(20)의 타단에 형성된 제3핀단자(23b)가 삽입되게 된다.
따라서, 한 쌍의 커넥터(40a,40b)에 각각 형성된 소켓(42a,42b)이 형광등(20)의 제1 및 제3핀단자(23a,23b)와 접촉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AC) 전원에 의해 전류가 흐르게 되고 형광등(20)은 점등하게 된다.
이때, 각 커넥터(40a,40b)의 소켓(42a,42b)은 대응되는 위치가 아닌 서로 엇갈리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형광등 고정구(30)는 연결선(38)의 임의의 중간 위치에 놓여져 요입 고정편(34)에 의해 형광등(20)을 삽입 고정하고 하우징(32)에 결합되어 형광등(20)을 점등시키는 스타터(36)에는 후술하는 전원공급선(56)으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연결선(38)을 따라서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하나의 커넥터(40a)에 형성된 전원단자(44a)의 개방된 일단부에는 형광등(20)의 제2핀단자(24a)가 삽입되고 다른 커넥터(40b)의 전원단자(44b)의 개방된 일단부에는 형광등(20)의 제4핀단자(24b)가 삽입되게 된다.
이때, 형광등(20)의 제1핀단자(23a)는 어느 하나의 커넥터(40a)에 형성된 소켓(42a)에 삽입되고 형광등(20)의 제3핀단자(23b)는 다른 커넥터(40b)에 형성된 소켓(42b)에 삽입된 것으로 한다.
상기 전원단자(44a,44b)의 타단부는 돌출되어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끝단은 폐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단자(44a,44b)의 돌출된 타단부는 전원공급선(56)에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또한, 상기 전원단자(44a,44b)의 형상은 개방된 일단부의 직경이 폐쇄되어 돌출된 타단부의 직경보다 크고, 중앙부에 단턱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형광등(20)의 제2 및 제4핀단자(24a,24b)는 전원단자(44a,44b)에서 직경이 보다 큰 부분까지만 삽입되게 된다.
상기 커넥터(40a,40b)에서 전원단자(44a,44b)의 위치는 소켓(42a,42b)과 마찬가지로 엇갈리게 형성하여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원단자(44a,44b)의 돌출된 타단부가 삽입되어 설치가 쉽도록 전원공급선(56)에는 일정간격으로 전원연결구(50a,50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2가닥의 전원공급선(56)은 외부로 부터 교류(AC) 전원을 공급받도록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 2, 4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형광등(20)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고판의 프레임(10) 내부에 설치된 형광등 고정구(30)에 장착한다.
이때, 상기 형광등(20)의 양측에 형성된 제1,2,3,4핀단자(23a,24a,23b,24b)는 형광등 고정구(30)의 양 끝단에 형성된 커넥터(40a,40b)의 소켓(42a,42b)과 전원단자(44a,44b)에 삽입되어 외부 로부터 교류(AC)전원의 공급으로 다수의 형광등은 동시에 점등하게 된다(도 2참조).
즉, 형광등(20)의 제1 및 제3핀단자(23a,23b)와 접속되는 소켓(42a,42b)은 연결선(38)으로 연결되고 스타터(36)에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형광등(20)의 제2 및 제4핀단자(24a,24b)와 접속되는 전원단자(44a,44b)의 돌출된 타단부는 외부의 전원과 연결된다.
상기 전원단자(44a,44b)의 돌출된 부분이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연결구(50a,50b))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전원연결구(50a,50b)를 전원공급선(56)에 연결된 절연 케이스(52a,52b)와 절연 케이스(52a,52b)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원공급선(56)과 접촉되며 돌출된 전원단자(44a,44b)를 삽입되게 하는 전극단자(54a,54b))로 구성된 것을 사용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소켓(42a,42b)과 전원단자(44a,44b)의 용도를 겸용하는 도체성금속재질의 접속단자(60)를 구비하므로써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변형된 실시1예를 첨부된 도 5, 6, 7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변형된 실시1예에 따른 접속단자(6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직공(62)이 형성된 저면부(61)과, 상기 저면부(61)의 일측에 연속되어 입설된 수직부(63)와, 상기 저면부(61)의 타측에 연속되어 그 선단이 수직부(63)의 후면에 근접되게 절곡한 탄성편(64)과, 상기 수직부(63)의 중앙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소켓공(65) 및 상기 소켓공(65)의 후측으로 돌설된 좌/우측 날개(66,66')와, 상기 수직부(63)의 상단 후측으로 돌설한 좌/우측 절편(67,67')으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접속단자(60)의 작용을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접속단자(6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호간에 접촉되지 않도록 커넥터(40a,40b)의 내부 양측에 각각 내장하되, 그 전에 상기 접속단자(60)는 저면부(61)의 탄성편(64)에 일단의 전선을 연결하고, 상단의 좌/우측 절편(67,67')을 오무려서 별도의 전선을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40a,40b)에 내장한 후, 소켓공(65) 및 좌/우측 날개(66,66')에 형광등(20)의 핀단자를 삽착한다.
이때, 상기 접속단자(60)의 탄성편(64)을 통한 전선(70)의 일단을 연결하는 과정을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지된 방식으로 피복을 벗껴진 전선(70)의 일단은 트위스트로 꼬아준 다음 그 표면에 땜납을 입힌 상태에서 저면부(61)의 하측에서 수직공(62)을 통하여 상측으로 밀어준다.
이때, 상기 전선(70)의 일단에 의하여 탄성편(64)의 선부가 화살표"E"와같이 저면부(61)의 상측으로 휘게 되면서 상기 탄성편(64)의 선단과 수직부(63)의 후면 사이에 전선의 일단이 끼인상태로 그 선부가 돌출된다.
이후, 상기 전선(70)을 저면부(61)의 하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전선(70)의 선부와 같이 탄성편(64)의 선부가 화살표"F"와 같이 상기 저면부(61)쪽으로 휘어지게된다.
이와같이 탄성편(64)의 선부가 화살표"F"방향으로 휘어지는 과정상에 상기 탄성편(64)의 선단이 수직부(63)의 후면에 근접되면서 그 사이에 전선(70)의 일단이 압착된 상태로 끼어있게되고 이후, 상기 전선(70)은 더이상 저면부(61)의 하방향으로 잡아당져지지 않게된다.
따라서, 상기 전선(70)의 일단은 탄성편(64)에 의한 압착력으로 접속단자(60)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접속단자(60)을 본고안인 형광등 조립구의 소켓(44a,44b)과 전원단자(42a,42b)를 대체하여 사용 할 경우, 상기 접속단자(60)와 각 전선(38),(56)의 배선방식은 상기 본 고안인 형광등 조립구에서 설명한 상기 소켓(44a,44b) 및 전원단자(42a,42b)와 전선(38,56)의 배선방식(도 2,4참조)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냑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광고판에 사용되는 형광등 조립구는 형광등을 광고판의 프레임 내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사용된 전선들이 복잡하게 꼬이지 않도록 커넥터와 전원연결구 등을 사용함으로써 미관상 수려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전선들을 서로 납땜하는 것이 아니고, 간편하게 암·수가 서로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접촉불량 및 누전의 문제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광고판 내부에 다수개의 형광등을 각각 고정하여 상기 형광등과 스타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형광등 고정구가 구비된 형광등 조립구에 있어서,
    상기 형광등 고정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형광등의 제1 및 제3핀단자가 접속될 수 있도록 각각 소켓이 형성된 한 쌍의 커넥터와;
    상기 한 쌍의 커넥터에 형성되어 일단부는 상기 형광등의 제2 및 제4핀단자를 접속하도록 개방되고 타단부는 외부 전원을 연결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전원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판에 사용되는 형광등 조립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단자의 형상은 개방된 일단부의 직경이 폐쇄된 타단부의 직경보다 크고, 중앙위치에 단턱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판에 사용되는 형광등 조립구.
  3. 광고판 내부에 다수개의 형광등을 각각 고정하여 상기 형광등과 스타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형광등 고정구가 구비된 형광등 조립구에 있어서,
    상기 형광등 고정구 및 외부 전원이 전선에 의하여 상/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형광등의 제1,2,3,4핀단자를 선택적으로 중간부위에 삽착되는 접속단자와,
    상기 접속단자를 내장하는 한 쌍의 커넥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 조립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수직공이 형성된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의 일측에 연속되어 입설된 수직부와,
    상기 저면부의 타측에 연속되어 그 선단이 수직부의 후면에 근접되게 절곡한 탄성편과,
    상기 수직부의 중앙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소켓공 및 상기 소켓공의 후측으로 돌설된 좌/우측 날개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 후측으로 돌설한 좌/우측 절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 조립구.
KR2020020016965U 2002-02-23 2002-06-03 광고판용 형광등 조립구 KR20028914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417 2002-02-23
KR2020020005417U KR200276179Y1 (ko) 2002-02-23 2002-02-23 광고판에 사용되는 형광등 조립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9143Y1 true KR200289143Y1 (ko) 2002-09-13

Family

ID=7308354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417U KR200276179Y1 (ko) 2002-02-23 2002-02-23 광고판에 사용되는 형광등 조립구
KR2020020016965U KR200289143Y1 (ko) 2002-02-23 2002-06-03 광고판용 형광등 조립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417U KR200276179Y1 (ko) 2002-02-23 2002-02-23 광고판에 사용되는 형광등 조립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7617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179Y1 (ko) 200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7190B1 (en) Lighting assembly for multiple fluorescent lamps
US7217012B2 (en) Illuminated signage employing light emitting diodes
JP4189997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07533135A (ja) 可撓性高性能led照明システム
EP3273159B1 (en) Integrated electric connection structure for led lamp
EP3260774B1 (e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CN207132142U (zh) 插头型灯具
KR200289143Y1 (ko) 광고판용 형광등 조립구
KR200448368Y1 (ko) 플러그형 led 전구 연결 접속구
US6048220A (en) Lampholder connector for multiple fluorescent lamps
CN210016058U (zh) 灯带连接器以及相应的灯带组件
CN206669656U (zh) 用于线条灯的电连接结构
CN209876733U (zh) 插接花朵灯
CN206918769U (zh) 一种线性灯
CN210979550U (zh) 背板安装结构及灯具
CN209371189U (zh) 一种灯具及应用于该灯具的供电接头
WO2019029391A1 (zh) 灯具快速通电连接结构
KR100831048B1 (ko) 엘이디 회로 기판 서포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엘이디 모듈조립체
CN206673160U (zh) 用于线性灯具的电连接器
CN220489028U (zh) 一种灯具连接机构及组合灯具
CN218119488U (zh) 灯具的接线端子安装结构及灯具
CN217816263U (zh) 一种灯丝灯
JP4295039B2 (ja) 直管ランプ用ソケット及び照明器具
CN219867775U (zh) 一种免焊线led灯条
KR19980014288U (ko) 가설용 조명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