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8794Y1 - 재밀봉이 가능한 음료용 종이팩 - Google Patents

재밀봉이 가능한 음료용 종이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794Y1
KR200288794Y1 KR2020020007538U KR20020007538U KR200288794Y1 KR 200288794 Y1 KR200288794 Y1 KR 200288794Y1 KR 2020020007538 U KR2020020007538 U KR 2020020007538U KR 20020007538 U KR20020007538 U KR 20020007538U KR 200288794 Y1 KR200288794 Y1 KR 2002887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everage
inner container
outlet
dr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75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진
Original Assignee
김경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진 filed Critical 김경진
Priority to KR20200200075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7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7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794Y1/ko

Links

Landscapes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를 개방하여 음료를 마시거나 따른 후에 용기의 유출구가 자연스럽게 폐쇄되도록 하여 용기 내부의 음료를 일부 마시고 보관하더라도 용기 내부로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한 재 밀봉이 가능한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재밀봉이 가능한 음료용 종이팩은 상단 모서리(12)에 유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밀폐된 공간을 구비하는 외용기(10)와; 상기 외용기(10)의 내측으로 밀착한 상태로 내장되고, 내측으로 음료를 저장할 수 있도록 밀폐된 공간을 구비하는 내용기(20)와; 상기 외용기(10)의 모서리(12) 내에 위치하고, 상기 내용기(20)의 상단 외측으로 연장되는 유출구(22)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종이팩을 개방하고, 음료의 일부를 마시고 나두면 자연스럽게 종이팩의 유출구가 밀봉이 될 수가 있으므로 음료의 일부가 남아있는 종이팩을 장시간 보관하더라도 남아있던 음료가 부패하거나 맛이 변질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재밀봉이 가능한 음료용 종이팩{PAPER PACK FOR A BEVERAGE SEALED UP AGAIN}
본 고안은 재 밀봉이 가능한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를 개방하여 음료를 마시거나 따른 후에 용기의 유출구가 자연스럽게 폐쇄되도록 하여 용기 내부의 음료를 일부 마시고 보관하더라도 용기 내부로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한 재 밀봉이 가능한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유, 청량음료, 알콜음료 등을 내부에 담고있는 종이팩이 음료의 포장용기로 널리 사용되고 있고, 그 용량은 200㎖, 500㎖, 1ℓ 등으로 다양하고, 종이팩 상측 모서리의 절취선을 따라 절단하여 종이팩에 담긴 음료를 따라서 마신다.
한편, 종이팩의 종류에 따라서는 종이팩의 상면에 빨대구멍을 뚫고, 그 빨대구멍에 은박지를 덮어놓아서 종이팩의 내부에 담겨있는 음료를 마시고자 할 때에는 빨대를 그 빨대구멍에 꽂아서 사용한다.
그러나, 우유 등과 같은 음료를 포장한 종이팩의 경우에는 일단 종이팩이 개방이 되고 내부의 우유 등을 마시고 난 후에는 종이팩의 유출구가 밀폐가 되지 않으므로 종이팩의 내부로 공기가 들어가 내부에 우유가 남아있는 종이팩을 보관할 경우 부패가 되기 쉽기 때문에 일단 개방이 된 종이팩의 우유 등을 다 마셔버려야 하는 부담이 있다.
또한, 탄산음료나 알콜음료의 경우에는 일단 종이팩이 개방이 되고 난 후에는 내부의 탄산가스나 알콜이 날아가 종이팩을 장시간 개방된 상태로 놓아둘 경우 그 맛이 유지되지 않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일단 개방이 된 종이팩의 탄산음료나 알콜음료 등을 빠른 시간내에 전부 마셔버려야 하는 부담이 있다.
또한, 종이팩이 경질이기 때문에 내부의 음료가 줄어드는 상태에 따라 종이팩의 용적이 줄어들 수 없으므로 음료를 따르거나 마실 때 내부의 음료가 왈칵하고 쏟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이팩이 일단 개방이 된 이후에도 종이팩의 유출구가 자연스럽게 밀봉되도록 함으로써 종이팩 내부로 공기가 들어가 내부의 음료가 부패되거나 맛이 변질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종이팩에 담겨있는 음료의 일부를 마시고 나두더라도 음료가 부패되거나 맛이 변질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따라 적당한 양을 천천히 마실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시는 양의 부담을 덜어내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종이팩 내부의 음료가 줄어감에 따라 내용기도 동시에 줄어들도록 함으로써 내부의 음료가 왈칵 쏟아지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팩의 외형도.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팩의 단면도.
도3은 도2의 A-A선 단면도로서 내부의 음료가 배출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4는 도2의 A-A선 단면도로서 내부의 음료가 배출되고 난 후 내용기가 재밀봉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외용기 12 : 모서리 20 : 내용기 22 : 유출구 30 : 접착부
본 고안에 따른 재밀봉이 가능한 음료용 종이팩은 상단 모서리가 양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내부에 밀폐된 공간을 구비하는 외용기와; 상기 외용기의 내측으로 밀착한 상태로 내장되고, 내측으로 음료를 저장할 수 있도록 밀폐된 공간을 구비하는 내용기와; 상기 외용기의 모서리 내에 위치하고, 상기 내용기의 상단 모서리 외측으로 연장되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내용기는 외용기의 내부에서 일정한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적어도 내용기의 일면이 외용기와 접착하는 접착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부는 길이방향으로 4면을 돌아가며 선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용기의 재질은 연질의 무독성 랩 필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랩 필름은 저밀도 폴리에틸렌수지(LDPE)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랩 필름의 두께는 8~30㎛의 범위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팩의 외형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팩의 단면도이고, 도3은 도2의 A-A선 단면도로서 내부의 음료가 배출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4는 도2의 A-A선 단면도로서 내부의 음료가 배출되고 난 후 내용기가 재밀봉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에 있어서, 종이팩의 외용기(10)는 통상의 직육면체의 형상을 하고 있고, 내측으로는 밀폐된 공간을 구비하고 있고, 상단의 모서리(12)는 접혀진 상태에서 측벽에 접착되어 있다가, 그 모서리(12)를 일부를 떼어내고 절단을 하면 그 모서리(12)의 내측에 있던 내용기의 유출구(22)가 개방이 되는 것이다.
도2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10)의 내측으로는 음료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을 내부에 구비한 내용기(20)가 상기 외용기(10)와 밀착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고, 그 내용기(20)의 상단 모서리에는 유출구(22)가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 내용기(20)의 유출구(22)는 외용기(10)의 유출구(12) 내측으로 밀착된 상태로 위치된다.
도2 내지 도4에 있어서, 상기 종이팩에 담겨있는 음료를 마시기 위하여 종이팩의모서리를 A-A선을 따라 절단하여 개방하면, 그 외용기(10)의 내측에 위치하여 개방된 내용기(20)의 모서리가 유출구(22)로서 기능을 하는 것이다.
상기 내용기(20)의 유출구(22)가 개방이 된 상태에서 외용기(10)를 손으로 잡고, 내부의 음료를 따르거나 마시면 그 유출구(22)로 내부의 음료가 나오는 것이고, 음료의 일부를 따르거나 마시고 외용기(10)를 바로 세우면, 상기 내용기(20) 유출구(22)의 내면에 묻어있는 음료의 표면장력에 의하여 내용기(20)의 유출구(22)가 서로 점착하여 밀봉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밀봉된 상태는 내용기(20의 유출구(22)가 완전히 붙어버리는 상태가 아니고, 공기가 침투하지 않을 정도로 점착한 상태이며, 위와 같이 공기가 침투하지 않을 정도로 점착이 되는 이유는 내용기(20) 및 유출구(22)가 연질이면서도 얇은 두께(8~30미크론)의 랩 재질로 되어 있어 서로 랩 재질간에 용이하게 들러붙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내용기(20)는 외용기(10)의 내부에서 일정한 위치를 잡아 내부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적어도 내용기(20)의 일면이 외용기(10)의 내측과 접착하는 접착부(3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착부(30)는 길이방향으로 4면을 돌아가며 선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내용기(10)의 재질은 내부에 음료를 담고 있는 것이며, 점착성이 우수해야 하므로 연질의 무독성 랩 필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랩 필름은 저밀도 폴리에틸렌수지(LDPE)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랩 필름의 두께는 8~30㎛의 범위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이팩의 음료를 일부 마시고, 나둔 다음 그 후 다시 음료를 마시거나 따르기 위하여 종이팩을 기울이면 내용기(20)의 유출구(22)가 완전히 접착된 상태가 아니고, 음료를 매개로 유출구(22)의 랩 재질이 공기가 침투하지 않을 정도로 임시적으로 점착이 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 음료의 무게에 의하여 내용기(20)의 유출구(22)가 다시 벌어져 종이팩 내부의 음료가 나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외용기(10)와 내용기(20)가 개방이 되면, 상기 외용기(10)의 모서리(12)와 내용기(20)의 유출구(22)의 사이 공간으로 공기가 유통을 할 수 있어종이팩의 내부 즉, 외용기(10)와 내용기(20)의 사이는 대기압과 동일하게 되므로 내용기(20)의 내부의 음료가 용이하게 배출이 될 수 있고, 내용기(20) 내부의 음료가 배출될수록 내용기(20)는 연질의 랩재질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잘 찌그러들 수가 있어 음료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일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종이팩을 개방하고, 음료의 일부를 마시고 나두면 자연스럽게 종이팩의 유출구가 밀봉이 될 수가 있으므로 음료의 일부가 남아있는 종이팩을 장시간 보관하더라도 남아있던 음료가 부패하거나 맛이 변질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대용량의 종이팩의 경우에도 일부를 마시고 나머지를 변질의 우려없이 장시간 보관할 수 있으므로 대용량의 종이팩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내용기의 재질을 연질의 랩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고, 내용기와 외용기의 사이에 공간으로 공기가 들어갈 수 있고, 내용기 속의 음료가 줄어드는 상태에 따라 내용기의 용적이 축소가 되므로 내용기 속의 음료를 따를 때에도 음료가 완만하게 유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상단 모서리가 양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내부에 밀폐된 공간을 구비하는 외용기와; 상기 외용기의 내측으로 밀착한 상태로 내장되고, 내측으로 음료를 저장할 수 있도록 밀폐된 공간을 구비하는 내용기와; 상기 외용기의 유출구 내에 위치하고, 상기 내용기의 상단 모서리 외측으로 연장되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재밀봉이 가능한 음료용 종이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는 외용기의 내부에서 일정한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적어도 내용기의 일면이 외용기와 접착하는 접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밀봉이 가능한 음료용 종이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길이방향으로 4면을 돌아가며 선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밀봉이 가능한 음료용 종이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의 재질은 연질의 무독성 랩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밀봉이 가능한 음료용 종이팩.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랩 필름은 저밀도 폴리에틸렌수지(LDPE) 재질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밀봉이 가능한 음료용 종이팩.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랩 필름의 두께는 8~30㎛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밀봉이 가능한 음료용 종이팩.
KR2020020007538U 2002-03-14 2002-03-14 재밀봉이 가능한 음료용 종이팩 KR2002887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538U KR200288794Y1 (ko) 2002-03-14 2002-03-14 재밀봉이 가능한 음료용 종이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538U KR200288794Y1 (ko) 2002-03-14 2002-03-14 재밀봉이 가능한 음료용 종이팩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3814A Division KR100481352B1 (ko) 2002-03-14 2002-03-14 재밀봉이 가능한 음료용 종이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794Y1 true KR200288794Y1 (ko) 2002-09-09

Family

ID=73083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7538U KR200288794Y1 (ko) 2002-03-14 2002-03-14 재밀봉이 가능한 음료용 종이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79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03470A (en) Separable bag-in-box composite container
EP0790931A1 (en) Single use cereal and milk container
MX2010011865A (es) Caja de carton enfriadora con caracteristica de apertura por cremallera.
EP1711404B1 (en) A cubical beverage packaging unit that includes a pouring orifice
JP2003026215A (ja) 液状又はペースト状原料を受入する容器用の密閉要素
ES2376474T3 (es) Contenedor monodosis para l�?quidos y/o sólidos.
CN101405190B (zh) 饮料包装容器
KR200288794Y1 (ko) 재밀봉이 가능한 음료용 종이팩
KR100481352B1 (ko) 재밀봉이 가능한 음료용 종이팩
JP4482723B2 (ja) 密封容器
JP4866249B2 (ja) 飲料パッキング・ユニット
EP3253679A1 (en) Pouch for liquid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2019507712A (ja) 所定平面において動きを制限される飲用装置を備える包装容器
RU217660U1 (ru) Тара для упаковки стакана с напитком
EP0577866B1 (en) Single piece reclosable opening member for liquid packaging container
KR101161584B1 (ko)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배출대
JP2000313435A (ja) パック容器
JP2022183776A (ja) 包装体
JPH11348979A (ja) 飲料用容器
JP3109389U (ja) 飼料用包装袋
JP2836885B2 (ja) 熱可塑性樹脂製飲料容器
JPS6233708Y2 (ko)
JP3055332U (ja) みそ等の粘稠物包装体
CN201010110Y (zh) 易开合纸罐
JP2019508334A (ja) 包装容器に取り付けられる中空体及び前記中空体を作製するため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