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8475Y1 - 완구용 눈구조 - Google Patents

완구용 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475Y1
KR200288475Y1 KR2020020016542U KR20020016542U KR200288475Y1 KR 200288475 Y1 KR200288475 Y1 KR 200288475Y1 KR 2020020016542 U KR2020020016542 U KR 2020020016542U KR 20020016542 U KR20020016542 U KR 20020016542U KR 200288475 Y1 KR200288475 Y1 KR 2002884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y
disc
eye structure
pupil
e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65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효만
Original Assignee
배효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효만 filed Critical 배효만
Priority to KR20200200165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475Y1/ko
Priority to US10/183,427 priority patent/US678679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4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475Y1/ko
Priority to EP03251032A priority patent/EP1366788A1/en
Priority to PCT/KR2003/001004 priority patent/WO2003101565A1/en
Priority to AU2003232643A priority patent/AU2003232643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38Dolls' eyes
    • A63H3/40Dolls' eyes mov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38Dolls' ey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완구용 눈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원판부(20a)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직경이 커지는 형태로 측벽부(20b)가 형성된 몸체부(20)를 구비하되, 상기 원판부(20a)의 내측면에는 눈동자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20b)의 내측면에는 흰자위부(24)가 형성되는 구성을 가지며,
사용자가 눈을 보는 각도가 바뀌더라도 그 시선을 따라 눈동자가 움직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완구용 눈구조{Eye structure for toy}
본 고안은 완구용 눈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봉제 인형을 포함하는 각종 인형, 마네킹, 광고용 입체 간판, 의류 또는 가방용 액세서리 등에 사용되는 완구용 눈구조로서, 특히 사용자가 눈을 보는 각도가 바뀌더라도 그 시선을 따라 눈동자가 움직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완구용 눈구조에 관한 것이다.
봉제 인형을 포함하는 각종 인형, 마네킹, 광고용 입체 간판, 의류 또는 가방용 액세서리 등에는 다양한 형태의 완구용 눈이 사용된다.
도 1a는 종래의 완구용 눈구조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구성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완구용 눈의 정면도로서, 도시된 완구용 눈구조를 설명한다.
도시된 완구용 눈은 봉제 인형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눈의 흰자위를 구성하는 원판부(120)와, 눈대(124)를 통해 상기 원판부(120)와 체결 고정되는 와셔(30)를 구비한다.
상기 원판부(120)는 눈의 흰자위를 구성하는데, 그 중심부에는 볼록렌즈와 유사하게 볼록한 형상을 갖는 흑색의 눈동자부(122)가 형성되고, 눈동자부(122)의 외측으로는 마찬가지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 투명부(110)가 일체로 형성된다.
원판부(120)는 흰자위의 기능을 하기 위하여 백색 또는 이와 유사한 연한 색이 채색처리되며, 눈동자부(122)는 상기한 바와 같이 흑색 또는 이와 유사한 짙은 색이 채색처리된다.
상기 투명부(110)는 볼록한 형상으로 제작되어 동물의 안구와 유사한 효과를 주는데, 그 재질은 통상 투명한 폴리스티렌(PS: Poly Styrene) 또는 이와 유사한 물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상기 원판부(120)는 그 후면에 완구 외피(1)를 관통하여 눈을 완구에 고정시키는 눈대(124)가 형성되는데, 상기 눈대(124)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24a)가 형성되어 돌기부(124a)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갖는 관통구(132)가 형성된 와셔(130)와 고정 체결된다.
상기 와셔(130)는 약간의 탄성변형이 가능한 나일론 재질 등으로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124a)가 가압력에 의해 억지 압입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상기 원판부(120)는 완구 외피(1)의 외측에 부착되고, 완구 외피(1)의 내측에서 눈대(124)와 와셔(130)가 고정 체결되어 완구용 눈이 완구 외피에 부착 고정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완구용 눈구조는 사용자가 정면에서 눈을 바라볼 때는 인형이 사용자를 바라보는 것과 같은 시각 효과를 제공하였으나, 사용자가 정면이 아닌 다른 각도에서 바라볼 때는 이러한 시각 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즉, 사용자가 약간 경사진 각도에서 인형을 바라볼 때에 인형은 여전히 인형의 정면을 주시하는 것과 같은 시선을 가지며, 이러한 현상 때문에 인형을 갖고 노는 아이들이 인형에 친근감을 느끼는 심리적 효과를 크게 얻을 수 없었다.
또한, 이러한 구조의 눈을 광고용 입체 간판, 의류 또는 가방용 액세서리 등에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에도 눈의 시선이 정면으로만 고정되어 소비자의 호기심이 반감됨으로써 광고 효과나 구매 효과를 크게 얻을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눈을 보는 각도가 바뀌더라도 그 시선을 따라 눈동자가 움직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완구용 눈구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a는 종래의 완구용 눈구조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구성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완구용 눈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완구용 눈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구성도,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의한 눈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사용자가 보는 각도에 따라 도 2의 실시예에 의한 눈이 보이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도 2의 실시예에 의한 눈구조의 눈동자의 크기 및 깊이가 설정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완구용 눈구조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단면구성도,
도 7은 본 고안의 완구용 눈구조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피부착물 10: 투명부
20: 몸체부 20a: 원판부
20b: 측벽부 22: 눈동자부
24: 흰자위부 26: 눈대
30: 와셔 40: 외피층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원판부(20a)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직경이 커지는 형태로 측벽부(20b)가 형성된 몸체부(20)를 구비하되, 상기 원판부(20a)의 내측면에는 눈동자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20b)의 내측면에는 흰자위부(24)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판부(20a)와 상기 측벽부(20b)의 내측면이 형성하는 몸체부(20)의 공간 내에 투명부(10)가 형성되되, 상기 투명부(10)는 상기 원판부(20a)의 반대측인 개구면측이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는 구면으로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명부(10)의 외측면에는 사람 눈모양의 개구부(40a)를 갖는 외피층(40)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눈동자부(22)는 상기 원판부(20a) 내측면의 전체 면적에 걸쳐 형성되며,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는 구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판부(20a)의 외측면에는 상기 몸체부(20)를 피부착물(1)에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수단이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판부(20a)의 외측면에는 대략 봉형상의 눈대(26)가 부착수단으로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눈대(26)가 삽입 체결되는 와셔(30)가 구비되어, 피부착물(1)에 상기 눈대(26)가 관통된 상태로 상기 와셔(30)가 반대측에서 체결되어, 상기 몸체부(20)가 피부착물(1)에 부착된다.
한편 본 고안은, 내측면에 눈동자부(22)가 형성된 원판부(20a)를 구비한 몸체부(20)와, 상기 원판부(20a)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외측으로 직경이 커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원판부(20a)의 반대측 면이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는 구면으로 형성된 투명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명부(10)는 그 측면부에 흰자위부(24)가 형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완구용 눈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구성도,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의한 눈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완구용 눈구조에는 몸체부(20)가 구비되며, 이를 완구 외피 등의 피부착물(1)에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몸체부(20)는 원판부(20a)와 그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직경이 커지는 형태로 형성된 측벽부(20b)로 구성되는데, 상기 원판부(20a)의 내측면에는 눈동자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20b)의 내측면에는 흰자위부(24)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20)는 폴리스티렌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데, 상기 눈동자부(22)나 흰자위부(24)는 합성수지재 또는 기타 재질로 별도로 형성되어 부착되거나, 원판부(20a) 또는 측벽부(20b)의 내측면에 도료를 칠하는 식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눈동자부(22)는 흑색 또는 눈동자색(봉제 인형의 사용 지역에 따라 적절한 눈동자색이 다를 수도 있음)으로 형성되며, 상기 흰자위부(24)는 백색 또는 이와 유사한 연한 색으로 형성된다.
상기 원판부(20a)와 상기 측벽부(20b)의 내측면이 형성하는 몸체부(20)의 공간 내에는 투명부(10)가 형성되는데, 상기 투명부(10)는 상기 원판부(20a)의 반대측인 개구면측이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는 구면으로 형성된다.
투명부(10)가 이러한 구면체가 아닌 평면체로 형성되면, 보는 사람의 각도에 따라 빛이 정반사되어 내부의 눈동자부(22)가 제대로 보이지 않을 수 있으므로, 구면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눈동자부(22)는 상기 원판부(20a) 내측면의 전체 면적에 걸쳐 형성되고, 평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보다 입체감있는 효과를 주기 위하여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는 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투명부(10)와 동심을 갖는 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원판부(20a)의 외측면에는 상기 몸체부(20)를 완구 외피와 같은 피부착물(1)에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수단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부착수단으로서는 상기 원판부(20a)의 외측면에 대략 봉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눈대(26)와, 이눈대(26)가 삽입 체결되는 와셔(30)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부착수단은 상술한 종래의 부착수단과 유사한 형태로서, 피부착물(1)을 관통하는 눈대(26)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26a)가 형성되어 돌기부(26a)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갖는 관통구(32)가 형성된 와셔(30)와 고정 체결된다.
상기 와셔(30)는 약간의 탄성변형이 가능한 나일론 재질 등으로 대략 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26a)가 가압력에 의해 억지 압입될 수 있게 되며, 도시된 것처럼 다수개의 돌기부(26a)가 형성되어 피부착물(1)인 완구 외피 등의 두께에 대응하여 적절한 간극을 두고 체결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부(20)의 부착수단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눈대(26)와 와셔(30)의 체결구조를 예시하였는데, 도시된 돌기부(26a)의 형상이나 갯수 등은 조립 조건 등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몸체부(20)는 원판부(20a)의 후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피부착물(1)의 외면에 접착시키는 형태로 부착될 수도 있으며, 금속제의 스냅을 사용하여 부착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부착수단에 의하여 피부착물에 부착될 수 있다.
도 4는 사용자가 보는 각도에 따라 도 2의 실시예에 의한 눈이 보이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한 눈을 정면에서 바라보면, 부호 A와 같이 보이지만, 좌측 또는 우측에서 바라보면 부호 B나 C에 도시된 것처럼 눈동자가 보는사람의 시선을 좇아가는 것과 같은 시각효과를 발생시키므로, 눈을 바라보는 사람의 호기심이나 친근감을 유발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2의 실시예에 의한 눈구조의 눈동자의 크기 및 깊이가 설정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몸체부(20)의 원판부(20a)와 개구부가 소정의 중심점(O)을 기준으로 소정의 중심각도(D)선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는데, 이러한 중심각도(D)는 변경가능한 값이며, 요구되는 눈동자의 크기 및 눈동자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
도시된 중심각도(D)인 45도는 자연스러운 눈동자의 크기 및 움직임을 얻을 수 있는 각도이며, 대략 이 각도값을 중심으로 조절하면 된다.
몸체부(20)의 원판부(20a)와 개구부의 거리(E)는 눈동자의 깊이 및 이동정도를 결정하는 값으로서, 상기의 중심각도(D)값을 결정한 후에 결정하면 되며, 그 값이 커질수록 눈동자의 이동정도가 커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판부(20a)의 중심선과 원판부(20a)의 중심점과 개구부의 외주부를 연결하는 선이 이루는 각도가 45도가 되도록 거리(E)값이 설정되며, 대략 이 값으로 설정될 때에 눈동자의 이동정도가 자연스럽게 인식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중심각도(D)값과 원판부(20a)와 개구부의 거리(E)는 본 실시예에 의한 눈이 사용되는 구체적인 용도 및 피부착물의 크기 등에 의해 변경 가능한 값이다.
한편, 눈동자부(22)의 곡면의 굴곡은 도시된 G의 시선과 G'점을 연결한 선을초과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이 선을 초과하여 눈동자부(22)가 형성되는 경우, 즉, 곡률반경이 과도하게 작은 경우에는 눈동자의 모양과 이동이 각도에 따라 균일하게 인식되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완구용 눈구조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단면구성도이다.
상기 투명부(10)의 외측면에는 사람 눈모양의 개구부(40a)를 갖는 외피층(40)이 형성된다. 이것은 본 실시예에 의한 눈을 상측 또는 하측에서 보았을 때 흰자위부(24)가 과도하게 노출되어 보는 사람에게 불쾌감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외피층(40)은 본 실시예에 의한 눈이 동물 인형이나 광고 간판 등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굳이 필요없으며, 마네킹이나 사람 형상의 인형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고안의 완구용 눈구조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구성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몸체부(20)에 형성된 측벽부(20b)가 구비되지 않는다.
즉, 몸체부(20)는 기본적으로 내측면에 눈동자부(22)가 형성된 원판부(20a)를 구비하는데, 상기 원판부(20a)의 내측면에는 외측으로 직경이 커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원판부(20a)의 반대측 면이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는 구면으로 형성된 투명부(10)가 부착된다.
상기 투명부(10)의 측면부에는 흰자위부(24)가 형성되어, 상기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측벽부(20b)에 형성된 흰자위부(24)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흰자위부(24)를 형성하는 상기 투명부(10)의 측면부는 외측으로 약간 만곡되게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는 측면부가 도시된 것처럼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중앙의 눈동자부(22)의 어두운 색채가 흰자위부(24)에 반사되어 시각적으로 깨끗하지 않은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 한편, 투명부(10)의 측면부는 상기한 흰자위부(24)가 형성되지 않고 투명한 상태 그대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흰자위부의 기능을 피부착물인 완구 외피가 하게 되며, 적절하게 피부착물의 색채를 선택함에 따라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의 각각은 상기한 실시예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고안에서 권리로서 청구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 물론 포함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 완구용 눈구조는, 사용자가 눈을 보는 각도가 바뀌더라도 그 시선을 따라 눈동자가 움직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봉제인형 등의 완구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아이들이 인형의 눈을 볼 때 보다 친근감을 느끼면서 호기심이 유발될 수 있도록 해주며, 광고용 입체 간판, 의류 또는 가방용 액세서리 등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소비자의 호기심을 유발하여 광고 효과나 구매 효과를 상승시켜준다.

Claims (8)

  1. 원판부(20a)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직경이 커지는 형태로 측벽부(20b)가 형성된 몸체부(20)를 구비하되, 상기 원판부(20a)의 내측면에는 눈동자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20b)의 내측면에는 흰자위부(24)가 형성된 완구용 눈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부(20a)와 상기 측벽부(20b)의 내측면이 형성하는 몸체부(20)의 공간 내에 투명부(10)가 형성되되, 상기 투명부(10)는 상기 원판부(20a)의 반대측인 개구면측이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는 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눈구조.
  3. 내측면에 눈동자부(22)가 형성된 원판부(20a)를 구비한 몸체부(20)와, 상기 원판부(20a)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외측으로 직경이 커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원판부(20a)의 반대측 면이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는 구면으로 형성된 투명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된 완구용 눈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10)는 그 측면부에 흰자위부(2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눈구조.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10)의 외측면에는 사람 눈모양의 개구부(40a)를 갖는 외피층(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눈구조.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눈동자부(22)는 상기 원판부(20a) 내측면의 전체 면적에 걸쳐 형성되며,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는 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눈구조.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부(20a)의 외측면에는 상기 몸체부(20)를 피부착물(1)에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눈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부(20a)의 외측면에는 대략 봉형상의 눈대(26)가 부착수단으로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눈대(26)가 삽입 체결되는 와셔(30)가 구비되어, 피부착물(1)에 상기 눈대(26)가 관통된 상태로 상기 와셔(30)가 반대측에서 체결되어, 상기 몸체부(20)가 피부착물(1)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눈구조.
KR2020020016542U 2002-05-30 2002-05-30 완구용 눈구조 KR2002884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542U KR200288475Y1 (ko) 2002-05-30 2002-05-30 완구용 눈구조
US10/183,427 US6786794B2 (en) 2002-05-30 2002-06-28 Simulated eye for toys
EP03251032A EP1366788A1 (en) 2002-05-30 2003-02-20 Simulated eye for toys
PCT/KR2003/001004 WO2003101565A1 (en) 2002-05-30 2003-05-22 Simulated eye for toys
AU2003232643A AU2003232643A1 (en) 2002-05-30 2003-05-22 Simulated eye for toy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542U KR200288475Y1 (ko) 2002-05-30 2002-05-30 완구용 눈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475Y1 true KR200288475Y1 (ko) 2002-09-10

Family

ID=32464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542U KR200288475Y1 (ko) 2002-05-30 2002-05-30 완구용 눈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86794B2 (ko)
EP (1) EP1366788A1 (ko)
KR (1) KR200288475Y1 (ko)
AU (1) AU2003232643A1 (ko)
WO (1) WO20031015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87357A1 (en) * 2006-05-23 2007-12-13 The Bear Factory, Llc Securing assembly for articles to plush
CN2877817Y (zh) * 2006-08-24 2007-03-14 余巨华 一种仿真玩具的眼睛结构
TWM326431U (en) * 2007-07-11 2008-02-01 Foluck Internat Co Ltd Internal rocking structure applicable in eyes for doll
CN101642623B (zh) * 2008-08-04 2011-08-2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玩具眼睛
JP2010046111A (ja) * 2008-08-19 2010-03-04 Hongkong Mizutani Yugenkoshi ぬいぐるみの目玉取り付け構造
CN101721818A (zh) * 2008-10-28 2010-06-0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仿真眼睛
JP5382962B2 (ja) * 2012-08-23 2014-01-08 株式会社扇インダストリー 視線調整可能な義眼及び該義眼を固定した人形頭部
US9579580B1 (en) * 2013-07-09 2017-02-28 Joshua Campbell Simulated eye
JP6468598B2 (ja) * 2015-05-01 2019-02-1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コミュニケーション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10360859B1 (en) * 2016-03-23 2019-07-23 Valerie J. Heilbron Eye animation device and method to show eye expression in 2D and 3D lighted displays
US10497324B2 (en) * 2017-03-22 2019-12-03 Valerie J. Heilbron Eye animation device and method to show eye expression in 2D and 3D lighted displays
JP7427620B2 (ja) 2019-09-19 2024-02-05 株式会社バンダイ 模型部品、及び、模型部品の製造方法
JP7059238B2 (ja) * 2019-11-15 2022-04-25 株式会社バンダイ 人形用眼ユニット、および人形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32743A (en) * 1930-07-16 1931-11-17 Shuldiner Morris Artificial animal eye
US2394400A (en) 1942-11-09 1946-02-05 Sidney O Noles Method of making artificial eyes
US2601107A (en) * 1948-12-06 1952-06-17 Ellett Richard Evans Artificial eye for figure toys
US2991588A (en) * 1958-05-19 1961-07-11 Wendy Boston Playsafe Toys Ltd Eyes for dolls, soft toys, furs for wear and the like
DE1120334B (de) * 1959-11-25 1961-12-21 Claude Refabert Kuenstliches Auge fuer Spielzeug- und Schaufensterpuppen
JPS5036692U (ko) * 1973-07-30 1975-04-17
JPS51131380U (ko) * 1975-04-16 1976-10-22
JPS5631266Y2 (ko) * 1978-02-27 1981-07-24
JPS5940467B2 (ja) * 1978-03-03 1984-10-01 株式会社スズセイ 顔体壁布の表面に凹陥部を形成して取付けられた人形または動物おもちや用目玉
US4601673A (en) 1984-06-22 1986-07-22 Nasca Gayle L Artificial eye
US4705488A (en) * 1985-09-16 1987-11-10 Kenner Parker Toys Inc. Eye assembly for toy dolls
US4842566A (en) * 1986-09-05 1989-06-27 Kabushiki Kaisha Nagao Eye device for use in a doll
US4875888A (en) * 1988-09-23 1989-10-24 Harvey Thomas J Eye construction for toy doll
US5000714A (en) * 1989-10-17 1991-03-19 Michael Su Electronically controlled doll eyes
USD423982S (en) 1995-06-26 2000-05-02 Santa's Best Eye structure for blow molded yard figures
DE29515299U1 (de) * 1995-09-26 1995-11-30 Jen Mary Schlafaugenanordnung für eine Puppe
JPH10192555A (ja) * 1996-12-30 1998-07-28 Aiko:Kk 視線追尾瞳眼球
US5919227A (en) 1997-09-11 1999-07-06 Bello; Louis Moving artificial ey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224693A1 (en) 2003-12-04
WO2003101565A1 (en) 2003-12-11
US6786794B2 (en) 2004-09-07
EP1366788A1 (en) 2003-12-03
AU2003232643A1 (en) 200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88475Y1 (ko) 완구용 눈구조
US7495835B2 (en) Display novelty
US7914290B2 (en) Clothes for infant education
US5897416A (en) Image board with detachable and interchangeable accessories kit
US5540612A (en) Simulated eyes for toys having convex lens body
US6811461B2 (en) Artificial eye with integrally molded eyelid
US2832593A (en) Ocular toy
US72349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plush to an artificial eye
US2670569A (en) Eye for mannequins and dolls
US2699621A (en) Illuminated display device
US4875888A (en) Eye construction for toy doll
US4129963A (en) Toy article having changeable expression graphics
US7641535B2 (en) Artificial eye assemblies
US5919227A (en) Moving artificial eye
US4674985A (en) Toy with encoded identification element
US6705918B1 (en) Eye assembly for toy, stationery or ornament
US2685760A (en) Eye for dolls
US2746204A (en) Toy spectacles
US5354226A (en) Hand puppet with two eye spheroids connected by cord
US9579580B1 (en) Simulated eye
US20060090375A1 (en) Construction of vamp for patterned shoe
KR200186436Y1 (ko) 실감을 주는 가눈섭 부착구
US1718346A (en) Moving eye
EP1224961A1 (en) Eye assembly for toys
US1738192A (en) Artificial ey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