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8379Y1 - 건축용 틀배관 - Google Patents

건축용 틀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379Y1
KR200288379Y1 KR2020020017854U KR20020017854U KR200288379Y1 KR 200288379 Y1 KR200288379 Y1 KR 200288379Y1 KR 2020020017854 U KR2020020017854 U KR 2020020017854U KR 20020017854 U KR20020017854 U KR 20020017854U KR 200288379 Y1 KR200288379 Y1 KR 2002883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air
fixed
connection pipes
fix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8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근
Original Assignee
이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근 filed Critical 이영근
Priority to KR20200200178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3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3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379Y1/ko

Links

Landscapes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속관을 콘크리트 벽체로부터 뜬 시공되어 관로의 열팽창에 따른 벽체의 크랙현상 및 부식의 염려가 없고, 배관시공이 간편한 건축용 틀배관에 관한 것으로, 거푸집(2,3)의 사이에 매설되어 콘크리트 벽체에 뜬 시공되는 틀배관(10)으로서, 상기 틀배관(10)은 일단에 입수구(21)와 타단에 출수구(22)로 연통되어 있는 유로를 각기 갖고 나란하게 입설된 한쌍의 접속관(20,30)과, 상기 한쌍의 접속관(20,30)측 하단부를 슬래브용 거푸집(4)에 연결 고정시켜 놓기 위해 접속관(20, 30)의 하단부에 고정된 제1고정브래킷(40)과, 상기 한쌍의 접속관(20,30)측 상단부를 거푸집(2,3)에 지지시켜 놓기 위해 한쌍의 접속관(20,30)의 상단부에 고정된 제2고정브래킷(5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용 틀배관{Frame piping device for building}
본 고안은 콘크리트 건물의 벽체에 매설되는 냉온수관로, 수도관로 및 배수관로 등에 적용할 수 있는 건축용 틀배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속관을 콘크리트벽체로부터 뜬 시공되어 관로의 열팽창에 따른 벽체의 크랙현상 및 부식의 염려가 없고, 배관시공이 간편한 건축용 틀배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물의 화장실, 샤워실, 주방, 세탁실 등에는 각종 관로가 벽체에 매설되어 있다. 예로, 화장실의 세면대나 주방에 설치된 수도꼭지는 냉,온수 2개를 가지고 있고, 이중 하나의 온수용 수도꼭지는 난방장치(예로, 보일러)와 온수관로로 연결되어 있고, 다른 하나의 냉수용 수도꼭지는 수도관로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수도관로와 온수관로 및 각종 배수관로(예로, 싱크대 배수관, 세면대 배수관 등)는 통상 벽체의 콘크리트에 접촉되어 매설된다. 따라서 알카리성 콘크리트와의 접촉에 의한 배수관로의 부식 진행 속도가 가속화되어 수명이 단축되고, 온수관로 경우 열팽창에 따른 벽체의 크랙현상이 발생될 소지가 크고, 만일 크랙이 발생되면 벽체의 구조적 약화는 물론 벽체의 방수에 문제를 일으킨다.
또한 관로를 거푸집내에서 고정하기 위해 단순히 철사등으로 철배근에 고정시키는 방법이므로 콘크리트의 타설시 관로의 자세가 틀어질 가능성이 높아 시공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종 관로를 콘크리트 벽체로부터 뜬 시공되어 관로의 열팽창에 따른 벽체의 크랙현상 및 부식의 염려가 없고, 슬리브와 함께 배관시공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건축용 틀배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틀배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틀배관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건축용 틀배관의 설치 측면도.
도 4는 도 2의 건축용 틀배관의 설치 평면도.
도 5는 도 2의 건축용 틀배관에 구비된 고정날개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틀배관 20,30 : 접속관
23 : 에어챔버 40 : 제1고정브래킷
50 : 제2고정브래킷 54 : 간격조절대
60 : 보온재 142 : 플랜지
142a : 안내장공 144 : 고정볼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틀배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틀배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건축용 틀배관의 설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건축용 틀배관의 설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건축용 틀배관에 구비된 고정날개의 작동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틀배관(10)의 전체적인 사시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틀배관(10)은 제1접속관(20)과, 이 제1접속관(20)에 이웃하게 배치된 제2접속관(30), 이들 제1접속관(20)과 제2접속관(30)을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에 지지시켜놓기 위한 제1고정브래킷(40) 및 제2고정브래킷(5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접속관(20)과 제2접속관(30)은 금속재로 제작되고 바람직하게는 부식에 강한 스테인레스강이 좋다. 그러나 이들 접속관(20 또는 30)은 하수관로로 사용될 경우 PVC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관(20)과 제2접속관(30)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다른 점이 있다면 관로를 흐르는 유체의 물리적 특성이 다를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제1접속관(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접속관(20)은 일단에 입수구(21)와 타단에 입수구(21)와 연통된 출수구(22)를 갖고, 각 입수구(21)와 출수구(22)는 나사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입수구(21)는 주관로 예로, 냉온수관로에 연결되는 부분이고, 출수구(22)는 예로, 수도꼭지나 세면대의 배수트랩과 연결되는 부분이 된다.
상기 제1접속관(20)에는 출수구(22)보다 높은 위치에 입수구(21) 또는 출수구(22)와 연통된 에어챔버(23)를 더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에어챔버(23)의 상면은 접속관(20)에 일체화되어 밀폐식으로 구성되거나 별도의 마개(25)로 나사결합되어 밀폐될 수 있다.
상기 에어챔버(23)는 수격현상(워터해머; water hammer)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주관로로부터 급격한 수압이 발생하거나 또한 출수구(22)측에 연결되는 수도꼭지를 급작이 닫을 경우 발생되는 수압변동을 흡수하여 수격소음을 없애고 관로의 파손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1고정브래킷(40)은 대략 H자 형으로 구성된 것으로, 횡대(41)와 횡대(41)의 양단에 용접으로 연결된 종대(42,4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종대(42,42)의 양단에는 거푸집에 못(1)으로 제1고정브래킷(40)을 고정하기 위해 복수개의 고정구멍(42a)을 갖고 있다.
이때 용접은 횡대(41) 또는 종대(42,42)가 접속관(20,30)에 접촉하는 부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제1고정브래킷(40)은 횡대(41) 또는 종래(42,42)를 제1접속관(20)에 용접되어 연결되거나 또는 U볼트(45)와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될 있다. 즉 U볼트(45)를 이용할 경우는 U볼트(45)로 접속관(20,30)을 각기 감싼후 종대(42)에 걸어서 너트로 체결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브래킷(50)은 ㄷ형태로서, 횡대(51)와 횡대(51)의 양단에 출수구(22)의 방향과 반대방향인 직각 방향으로 연장된 종대(52)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종대(52)에는 길이방향에 일정 간격으로 연결구멍(52a)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종대(52)의 연결구멍(52a)에는 간격조절대(54)가 볼트(B)와 너트(N)의 결수단으로 연결되어 있고, 간격조절대(54)에는 길이를 가변하기 위한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구멍(54a)이 배열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2고정브래킷(50)도 횡대(51)를 제1,2접속관(20,30)에 용접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U볼트(46)와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U볼트(46)를 이용할 경우에는 U볼트(46)를 접속관(20,30)의 상단측에 삽입한 후 U볼트(46)의 단부를 제2고정브래킷(50)의 횡대(51)에 관통 노출시켜 너트로 체결하여 제2고정브래킷(50)을 접속관(20,30)에 연결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접속관(20)와 제2접속관(30)에는 콘크리트와의 접촉을 피하고 각기 열팽창에 따른 벽체에 악영향을 주지 않음과 동시에 단열 및 보온 효과를 갖기 위해 단열재(예로, 스티로폼)나 또는 보온재(60)가 도 2와 같이 제1접속관(20)과 제2접속관(30)의 둘레를 감싸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제1고정브래킷(40)을 도 2와 같이 제1고정브래킷(40')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변형된 제1고정브래킷(40')은 도 5와 같이 접동시켜 운반 및 포장시의 크기를 작게 하기 위해 횡대(141)와 횡대(141)의 양단에 고정된 플랜지(142,142)와, 상기 플랜지(142,142)에 각기 한쌍의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고정날개(143,143)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날개(143,143)는 고정볼트(144)에 의해 회동위치에서 고정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고정볼트(144)는 상기 플랜지(142,142)에 형성된 안내장공(142a)의 안내를 받아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안내장공(142a)은 고정날개(143, 143)의 힌지(145)를 중심으로 한 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건축용 틀배관(10)은 도 3, 4와 같이 거푸집(2,3)내에 위치되고 콘크리트에 타설되어 벽체에 매설된다. 본 실시예에서 매설되는 틀배관(10)은 도 2의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이를 위해 먼저, 틀배관(10)의 접속관(20,30)의 입,출수구(21,22)를 통상의 테이프로 봉하거나 삽탈이 가능한 예로, 고무재의 마개(70)로 밀폐시킴이 바람직하다. 이는 틀배관(10)의 자세 고정후 타설된 콘크리트가 접속관(20,30)의 출수구(22)로 침입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이때 마개(70)는 강제 끼움방식으로 하거나 아니면 나사결합 구조로 끼움될 수 있다.
다음, 틀배관(10)의 제1고정브래킷(40')측 고정날개(143)를 접속관(20,30)에 대해 수직상태로 회동시켜 놓고 고정볼트(144)와 너트(도시안됨)를 조여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고정날개(143)가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해 배치된 거푸집(3)측에 못(1)으로 고정된다.
다음, 간격조절대(54)를 제2고정브래킷(40)측 볼트(B)와 너트(N)를 이용하여 간격조절대(54)의 끝단이 일측 거푸집(2)벽면에 접촉되게 위치시킨다. 이때접속관(20,30)의 출수구(22)의 단면은 일측 거푸집(3)의 내면에 접촉된다. 여기서 간격조절대(54)는 거푸집(2와 3)간의 폭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접속관(20,30)의 하단부는 하부측 제1브래킷(40')의 고정날개(143, 143)를 통해 거푸집(4)에 고정되고 그의 상단부는 상부측 간격조절대(54)와 연결된 제2브래킷(50)에 의해 흔들림없이 고정된다. 이때 접속관(20,30)의 둘레에는 각기 보온재(60)가 에워싸여저 있다.
이때 틀배관(10)은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설치된 철배근(5,6)의 영향을 받지 않고 설치된다. 이는 철배근(5,6)이 틀배관(10)보다 나중에 설치되어 틀배관(10)을 피해서 배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상태에서 거푸집(2,3)의 사이로 콘크리트(9)를 타설하게 되면 틀배관(10)의 접속관(20,30)은 보온재(60)에 감싸진 상태에서 콘크리트와 접촉되지 않아 뜬 시공된다.
이후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거푸집(2,3)이 철거되고, 거푸집(2,3)이 철거되면 접속관(20,30)의 입,출수구(21,22)가 해당 실내측 벽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매설된 접속관(20,30)은 보온재(60)에 에워싸여저 콘크리트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으므로 부식의 염려가 없다.
또한 접속관(20,30)의 주위로 단열기능을 하는 보온재(60)가 채워져 열교현상 및 결로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접속관(20,30)의 출수구(22)가 벽면에 일치하므로 튀어나오거나 너무 들어가는 불편이 없는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슬래브 작업시 내부 배관이 끝나므로 공기절감과 인건비의 절감이 가능하고, 시공시 접속관(20,30)의 선택 길이에 따라 높낮이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접속관(20,30)의 온도변화에 따른 열팽창이 벽체에 미치지 못하므로 건물 크랙 및 방수층의 보호가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건축용 틀배관에 따르면, 슬래브 시공과 함께 배관 시공이 동시에 끝나므로 시공이 간편하여 공정기일이 단축되고, 접속관의 온도변화에 따른 벽체의 영향을 미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에어챔버가 추가되어 워터해머현상이 없고, 접속관이 콘크리트와 비접촉되어 부식의 염려가 적고 수명이 향상되는 이점을 갖는다.

Claims (5)

  1. 거푸집(2,3)의 사이에 매설되어 콘크리트 벽체에 뜬 시공되는 틀배관(10)으로서, 상기 틀배관(10)은
    일단에 입수구(21)와 타단에 출수구(22)로 연통되어 있는 유로를 각기 갖고 나란하게 입설된 한쌍의 접속관(20,30)과;
    상기 한쌍의 접속관(20,30)측 하단부를 슬래브용 거푸집(4)에 연결 고정시켜 놓기 위해 접속관(20,30)의 하단부에 고정된 제1고정브래킷(40)과;
    상기 한쌍의 접속관(20,30)측 상단부를 거푸집(2,3)에 지지시켜 놓기 위해 한쌍의 접속관(20,30)의 상단부에 고정된 제2고정브래킷(5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들배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접속관(20,30)에는 각기 출수구(22)의 높이보다 일정량 높게 위치한 에어챔버(23)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틀배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접속관(20,30)의 둘레에 단열기능을 갖는 보온재(6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틀배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브래킷은, 횡대(141)와 횡대(141)의 양단에 고정된 플랜지(142, 142)와, 상기 플랜지(142,142)에 각기 한쌍의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고정날개(143, 143)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날개(143,143)는 고정볼트(144)에 의해 회동위치에서 고정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고정볼트(144)는 상기 플랜지(142,142)에 형성된 안내장공(142a)의 안내를 받아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틀배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브래킷(50)에는 길이가변하기 위한 간격조절대(54)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틀배관.
KR2020020017854U 2002-06-12 2002-06-12 건축용 틀배관 KR2002883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854U KR200288379Y1 (ko) 2002-06-12 2002-06-12 건축용 틀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854U KR200288379Y1 (ko) 2002-06-12 2002-06-12 건축용 틀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379Y1 true KR200288379Y1 (ko) 2002-09-09

Family

ID=73124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854U KR200288379Y1 (ko) 2002-06-12 2002-06-12 건축용 틀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37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0679Y1 (ko)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장치
CN110552431B (zh) 一种地下室裂缝控制的诱导缝结构及施工方法
KR101683427B1 (ko) 부상방지기능과 결로방지기능을 갖는 밸브실
KR200288379Y1 (ko) 건축용 틀배관
KR100520482B1 (ko) 공동주택 지하 공동구 방수막 커버를 이용한 이음부 연결공법
KR102234349B1 (ko) 가변형 루프 드레인
KR200188474Y1 (ko) 관연결용 벽체 관통 슬리브
KR20190139578A (ko) 건축용 슬리브의 자전방지 기능이 부여된 미세 신장조절 조절테 결합구조
KR200385873Y1 (ko) 길이가변식 매립트랩의 개선구조
FI89295B (fi) Golvbrunn med genomfoeringsutrustning samt foerfarande foer installation av golvbrunnen
KR100399013B1 (ko) 2-아치형 터널내부의 누수처리 구조
KR100742403B1 (ko) 배수가 용이한 분배기
KR10193243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지수관연결장치
KR102231464B1 (ko) 난방배관슬리브
KR200346948Y1 (ko) 배수관 고정슬리브
KR200178968Y1 (ko) 조립체 맨홀
KR200292663Y1 (ko) 콘크리트 벽체에 매설되는 관로의 뜬 시공장치
KR200362351Y1 (ko) 건축용 배관 파이프의 지지장치
KR200421451Y1 (ko) 욕실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
KR200338297Y1 (ko) 배수가 용이한 분배기
KR200391116Y1 (ko) 욕실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KR100751728B1 (ko) 분배기함의 슬래브 하부 노출 수직하향배관구조
KR200352175Y1 (ko) 욕실의 저소음 배수 배관 시공법
FI78952C (fi) I en byggnads vaegg inbaeddbart element foer installationer av tvaettbaecken och wc-armatur.
CN214738887U (zh) 一种土木工程伸缩缝防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