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8335Y1 - 철탑에 안테나봉을 지지하는 브라켓트 - Google Patents
철탑에 안테나봉을 지지하는 브라켓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88335Y1 KR200288335Y1 KR20020016830U KR20020016830U KR200288335Y1 KR 200288335 Y1 KR200288335 Y1 KR 200288335Y1 KR 20020016830 U KR20020016830 U KR 20020016830U KR 20020016830 U KR20020016830 U KR 20020016830U KR 200288335 Y1 KR200288335 Y1 KR 20028833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antenna
- bracket
- hole
- antenna ro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5—Means for positioning
- H01Q1/1264—Adjusting different parts or elements of an aerial uni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42—Rigid mas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n aerial
Landscapes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탑에 안테나봉을 지지하는 브라켓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해 철탑봉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며, 볼트와 너트로 상호 체결 조립되게 양단에 각각 체결공이 형성된 한 쌍의 반원형 제1,2밴드몸체(10)(14); 상기 제1밴드몸체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받침대(11); 상기 받침대의 상단에 구비되며, 받침대 보다 길이 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되는 동시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체결공이 한 쌍씩 형성된 지지대(15); 상기 지지대의 각 체결공에는 U볼트와 너트로 안테나가 설치된 안테나봉(21)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다수의 안테나봉을 간편 신속하게 고정 설치함은 물론 안테나의 각도도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절하여 사용하므로 그에 따른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철탑에 안테나봉을 지지하는 브라켓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안테나봉을 간편 신속하게 고정 설치함은 물론 안테나의 각도도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절하여 사용하므로 그에 따른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로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종래의 철탑(철탑봉 또는 철탑플레이트)에 안테나봉을 고정 설치하기 위해서는 철탑에 구멍을 뚫고 U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안테나봉을 고정 설치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필히 철탑에 구멍을 뚫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됨은 물론 철탑과 같이 높은 곳에 위치한 앵글 플레이트에 구멍을 뚫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직접 철탑에 올라가서 앵글 플레이트에 구멍을 뚫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상에도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기존에 조립된 철탑에 구멍을 뚫어야 하기 때문에 구멍을 뚫을 때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다른 앵글 플레이트가 흔들리게 되는 문제점과 이 외에도 진동에 따른 철탑에 악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철탑에 구멍을 뚫을 때 폭이 좁기 때문에 많은 제약을 받음으로 안테나봉을 어느 각도에서나 다양한 각도로 조립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철탑에 다른 구조물을 설치할 때 제약이 따름으로 작업성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종래에는 또한 한 곳에 다수의 안테나를 집중적으로 설치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더 나아가서 종래의 기술은 철탑에 구멍을 뚫음으로 인해 구멍 주위에는 공기와의 접촉으로 쉽게 부식되어 장시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 또한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다수의 안테나봉을 간편 신속하게 고정 설치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제2목적은 기존 철탑(철탑봉 또는 철탑플레이트)에 안테나봉을 고정시킬 때 철탑에 구멍을 뚫지 않고도 브라켓트를 이용하여 안테나봉을 견고히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3목적은 필요에 따라 안테나봉을 다양한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4목적은 철탑에 구멍을 뚫지 않음으로 인해 브라켓트와 안테나봉의 설치 작업도 간편하도록 한 것임은 물론 부식을 방지하여 장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5목적은 높은 철탑에서 작업자가 앵글 플레이트에 구멍을 뚫지 않음으로 작업자의 안전을 미연에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6목적은 이로 인해 작업성과 작업능률의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철탑에 안테나봉을 지지하는 브라켓트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철탑에 안테나봉을 지지하는 브라켓트에 있어서, 철탑봉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며, 볼트와 너트로 상호 체결 조립되게 양단에 각각 체결공이 형성된 한 쌍의 반원형 제1,2밴드몸체; 상기 제1밴드몸체의일측에 연장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상단에 구비되며, 받침대 보다 길이 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되는 동시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체결공이 한 쌍씩 형성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각 체결공에는 U볼트와 너트로 안테나가 설치된 안테나봉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에 안테나봉을 지지하는 브라켓트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 철탑에 안테나봉을 지지하는 브라켓트의 요부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 는 상기 도 1 의 사용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 은 상기 도 1 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인 철탑에 안테나봉을 지지하는 브라켓트의
요부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 는 상기 도 4 의 사용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6 의 (a)(b)(c)는 상기 도 4, 5 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30: 브라켓트 10, 14: 제1, 2 밴드몸체
11: 받침대 15, 60: 지지대
20: 철탑봉 22, 36: U볼트
40: 외부몸체 41, 41a: 날개부
42, 42a: 각도조절공 45: 경사받침간
50: 내부몸체 51: 걸림편
본 고안에 적용된 철탑에 안테나봉을 지지하는 브라켓트는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고안은 철탑봉(20)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며, 볼트(25)와 너트(26)로 상호 체결 조립되게 양단에 각각 체결공(13)이 형성된 한 쌍의 반원형 제1,2밴드몸체(10)(14)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제1밴드몸체(10)의 일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 받침대(1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받침대(11)의 상단에는 받침대(11) 보다 길이 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되는 동시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체결공(16)이 한 쌍씩 형성된 지지대(15)가 구비된다.
본 고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받침대(11)와 지지대(15)가 용접으로 고정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국한하지 않고 도면상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받침대(11)와 지지대(15)에 구멍을 뚫고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일체로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지지대(15)의 각 체결공(16)에는 U볼트(22)와 너트(23)로 안테나(24)가 설치된 안테나봉(21)을 고정 설치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철탑에 안테나봉을 지지하는 브라켓트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은 반원형의 제1, 2 밴드몸체(10)(14)를 철탑봉(20)의 외주면에 밀착 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체결공(13)에 볼트(25)를 끼운 후 너트(26)와 함께 체결하게 되면 브라켓트(1)를 철탑봉(20)의 외주면 적소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안테나(24)가 설치된 안테나봉(21)을 지지대(15)에 밀착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때 U볼트(22)는 안테나봉(21)을 감싸면서 체결공(16)에 끼워지게 되는 동시에 너트(26)로 조이게 되면 간편 신속하게 안테나봉(21)을 지지대(15)에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다른 다수의 나머지 체결공(16)에도 많은 안테나봉(21)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테나봉(21)을 분리시킬 때에는 전술한 동작의 역순으로 작동하게 되면 간단히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 철탑에 안테나봉을 지지하는 브라켓트는 도 4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르게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철탑플레이트(31)의 외측면에 맞닿아 설치되며, 일측에는 걸림공(43)과 타측에는 체결공(44)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부에는 양쪽으로 나뉘어진 날개부(41)(41a)에 각각 각도조절공(42)(42a)이 형성된 외부몸체(40)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각도조절공(33)(33a)은 후술하는 지지대(60)의 각도를 조절하게 곡선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철탑플레이트(31)의 내측면에는 일측에 걸림편(51)과 타측에 체결공(52)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각 체결공(44)(52)을 일치시킨 후 볼트(32)와 너트(33)를 이용하여 외부몸체(40)와 상호 고정 설치되는 내부몸체(5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날개부(41)(41a)의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양 각도조절공(42)(42a)의 거리에 맞게 구멍(62)이 각각 형성되는 동시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체결공(61)이 한 쌍씩 형성된 지지대(60)가 구비된다.
본 고안은 이때 상기 외부몸체(40)의 외측면과 각 날개부(41)(41a)의 저면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받침간(45)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구멍(62)과 각도조절공(42)(42a)에 볼트(38)와 너트(39)를 이용하여 지지대(60)를 날개부(41)(41a)에 고정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지지대(60)의 각 체결공(61)에는 U볼트(36)와 너트(37)로 안테나(35)가 설치된 안테나봉(34)을 설치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인 철탑에 안테나봉을 지지하는 브라켓트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내부몸체(50)와 외부몸체(40)를 철탑플레이트(31)의 사이에 두고 내외부에 각기 맞닿게 설치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내부몸체(50)를 외부몸체(40)에 결합시킬 때 내부몸체(50)를 약간 틀어 걸림편(51)을 걸림공(43)에 넣은 후 다시 원상태로 위치시키면서 당기면 걸림편(51)이 걸림공(43)에 걸려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내외부몸체(50)(40)의 체결공(52)(44)에 볼트(32)를 끼운 후 너트(33)를 조이게 되면 철탑플레이트(31)에 구멍을 뚫지 않고도 내부몸체(50)와 외부몸체(40)를 견고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양 날개부의 상부에 지지대를 고정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지지대의 2개의 구멍은 2개의 각도조절공과 거리가 같기 때문에 볼트를 끼운 후 너트로 조여 지지대를 날개부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후 작업자는 안테나(35)가 설치된 안테나봉(34)을 지지대(60)에 밀착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때 U볼트(36)는 안테나봉(34)을 감싸면서 체결공(61)에 끼워지게 되는 동시에 너트(37)로 조이게 되면 간편 신속하게 안테나봉(34)을 지지대(60)에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다른 다수의 나머지 체결공(61)에도 많은 안테나봉(34)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도 6 의 (a)(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41)(41a)에 설치된지지대(60)의 각도를 임의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다.
즉, 지지대(60)의 구멍(62)과 날개부(41)(41a)의 각도조절공(420(42a)에 볼트(38)를 느슨하게 체결하게 되면 작업자는 필요한 방향으로 지지대(60)를 옮길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작업자가 필요한 각도로 지지대(60)를 옳긴 후에는 다시 볼트(38)와 너트(39)를 긴밀하게 조이게 되면 지지대(60)를 날개부(41)(41a)에 견고히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안테나봉(34)을 분리시킬 때에는 전술한 동작의 역순으로 작동하게 되면 간단히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수의 안테나봉을 간편 신속하게 고정 설치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제2목적은 기존 철탑(철탑봉 또는 철탑플레이트)에 안테나봉을 고정시킬 때 철탑에 구멍을 뚫지 않고도 브라켓트를 이용하여 안테나봉을 견고히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3목적은 필요에 따라 안테나봉을 다양한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4목적은 철탑에 구멍을 뚫지 않음으로 인해 브라켓트와 안테나봉의 설치 작업도 간편하도록 한 것임은 물론 부식을 방지하여 장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5목적은 높은 철탑에서 작업자가 앵글 플레이트에 구멍을 뚫지 않음으로 작업자의 안전을 미연에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6목적은 이로 인해 작업성과 작업능률의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5)
- 철탑에 안테나봉을 지지하는 브라켓트에 있어서,철탑봉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며, 볼트와 너트로 상호 체결 조립되게 양단에 각각 체결공이 형성된 한 쌍의 반원형 제1,2밴드몸체(10)(14);상기 제1밴드몸체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받침대(11);상기 받침대의 상단에 구비되며, 받침대 보다 길이 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되는 동시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체결공이 한 쌍씩 형성된 지지대(15);상기 지지대의 각 체결공에는 U볼트와 너트로 안테나가 설치된 안테나봉(21)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에 안테나봉을 지지하는 브라켓트.
- 청구항 1 에 있어서,상기 받침대와 지지대에 구멍을 뚫고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일체로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에 안테나봉을 지지하는 브라켓트.
- 철탑에 안테나봉을 지지하는 브라켓트에 있어서,철탑플레이트의 외측면에 맞닿아 설치되며, 일측에는 걸림공과 타측에는 체결공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부에는 양쪽으로 나뉘어진 날개부에 각각 각도조절공이 형성된 외부몸체(40);상기 철탑플레이트의 내측면에 맞닿아 설치되며, 일측에 걸림편과 타측에 체결공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각 체결공을 일치시킨 후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외부몸체와 상호 고정 설치되는 내부몸체(50);상기 날개부의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양 각도조절공의 거리에 맞게 구멍이 각각 형성되는 동시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체결공이 한 쌍씩 형성된 지지대(60);상기 구멍과 각도조절공에는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지지대를 날개부에 고정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지지대의 각 체결공에는 U볼트와 너트로 안테나가 설치된 안테나봉(34)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에 안테나봉을 지지하는 브라켓트.
- 청구항 3 에 있어서,상기 각도조절공(33)(33a)은 지지대의 각도를 조절하게 곡선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에 안테나봉을 지지하는 브라켓트.
- 청구항 3 에 있어서,상기 외부몸체의 외측면과 각 날개부의 저면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받침간(45)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에 안테나봉을 지지하는 브라켓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20016830U KR200288335Y1 (ko) | 2002-05-31 | 2002-05-31 | 철탑에 안테나봉을 지지하는 브라켓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20016830U KR200288335Y1 (ko) | 2002-05-31 | 2002-05-31 | 철탑에 안테나봉을 지지하는 브라켓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88335Y1 true KR200288335Y1 (ko) | 2002-09-11 |
Family
ID=40524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020016830U KR200288335Y1 (ko) | 2002-05-31 | 2002-05-31 | 철탑에 안테나봉을 지지하는 브라켓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88335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9008601A1 (en) * | 2007-07-11 | 2009-01-15 | Idoit Co., Ltd. | Support bracket for satellite antenna |
KR101517016B1 (ko) * | 2013-11-08 | 2015-05-04 |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 축류팬 피치블레이드 조절 엑츄에이터 교체정비장치 |
CN108590315A (zh) * | 2018-07-10 | 2018-09-28 | 中国铁塔股份有限公司渭南市分公司 | 一种三管塔用y型支架 |
-
2002
- 2002-05-31 KR KR20020016830U patent/KR20028833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9008601A1 (en) * | 2007-07-11 | 2009-01-15 | Idoit Co., Ltd. | Support bracket for satellite antenna |
KR101517016B1 (ko) * | 2013-11-08 | 2015-05-04 |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 축류팬 피치블레이드 조절 엑츄에이터 교체정비장치 |
CN108590315A (zh) * | 2018-07-10 | 2018-09-28 | 中国铁塔股份有限公司渭南市分公司 | 一种三管塔用y型支架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44584A (en) | Angle iron and its fast pipe hanger | |
US20130071179A1 (en) | Fastening Device for Attachment to a Mounting Rail | |
US6679460B2 (en) | Pipe clamp arrangement | |
PL184290B1 (pl) | Urządzenie mocujące do mocowania co najmniej jednej rury | |
US9909692B2 (en) | Conduit spacing and mounting system and method | |
US20220290791A1 (en) | Helical Strake Attachment for Tubular Structural Members | |
KR200288335Y1 (ko) | 철탑에 안테나봉을 지지하는 브라켓트 | |
US4591229A (en) | Grounding strap | |
US4793580A (en) | Wireway suspension system with braced support leg construction | |
US7685791B2 (en) | Arm connection for a structural member | |
US7523895B1 (en) | Sway brace and method for securing a pipe or conduit against sway | |
CA1296158C (en) | Support leg joint construction with bracing | |
EP3021028B1 (en) | Pipe clamp assembly with stiffening element | |
US7516922B1 (en) | Sway brace and method for securing a pipe or conduit against sway | |
KR200197233Y1 (ko) | 파이프 행거 | |
KR200286081Y1 (ko) | 앵글 플레이트에 안테나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클램프 | |
EP1464881B1 (en) | Attachment system | |
JP7188111B2 (ja) | 架空地線用架設具および架空地線架設方法 | |
JP6250814B2 (ja) | 物体取付金具 | |
JP2008057660A (ja) | ボルトの仮固定構造および仮固定ボルト | |
US10358839B1 (en) | Cross-bracing arrangement for structures | |
KR200337027Y1 (ko) | 배수관 고정구 | |
US20200191192A1 (en) | Tension-controlled u-bolts | |
JP7237573B2 (ja) | 固定具及びそれを用いた目地幅調整治具 | |
KR101833022B1 (ko) | 유볼트형 클램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526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