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7846Y1 - 도로 경계구분 시설물에 부착하는 이동식 발광장치. - Google Patents

도로 경계구분 시설물에 부착하는 이동식 발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7846Y1
KR200287846Y1 KR2020020016178U KR20020016178U KR200287846Y1 KR 200287846 Y1 KR200287846 Y1 KR 200287846Y1 KR 2020020016178 U KR2020020016178 U KR 2020020016178U KR 20020016178 U KR20020016178 U KR 20020016178U KR 200287846 Y1 KR200287846 Y1 KR 2002878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light emitting
power
night
dru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61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인재
Original Assignee
전인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인재 filed Critical 전인재
Priority to KR20200200161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78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78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7846Y1/ko

Links

Landscapes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의 경계구분을 위한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도로의 경계구분을 위하여 설치되는 종래의 로드 콘(road cone), 드럼 따위는 야간에 식별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를 감안하여 야간에 도로의 경계구분으로 쓰이는 로드 콘, 드럼(drum) 등의 식별력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탈 부착이 용이하고 이동이 가능한 점등점멸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10)가 내장된 원형의 외장튜브(11)와; 점등점멸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박스(20)를 연결하는 결합체로,
이 것을 로드 콘(30)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동이 가능한 설치물로, 야간에 공사장, 교통통제지역, 행사장 등등 도로의 경계구분을 요하는 로드 콘, 드럼 등의 식별력을 높이는데 큰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로 경계구분 시설물에 부착하는 이동식 발광장치.{omitted}
본 고안은 도로의 경계구분을 위한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도로의 경계구분을 위하여 종래는 다수의 로드 콘, 드럼 따위를 설치하였으나, 이 시설물들이 눈비 또는 먼지 등에 의해 야간에는 식별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야간에 도로를 경계구분하기 위한 시설물들의 효율이 저하됨은 물론이고, 이로 인하여 교통사고의 위험이 크다.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수의 발광다이오드가 내장된 원형의 외장튜브와, 주기적으로 점등점멸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박스를 결합하여, 야간에 외장튜브를 발광시키는 장치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도로의 경계구분을 위한 로드 콘, 드럼 등의 시설물에 부착하는 것으로써, 야간에 이 시설물들의 식별력을 높이기 위한 발광장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제 1도 : 본 고안의 사시도 및 일부분 절개도.
제 2도 :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외장튜브의 사시도 및 일부분 절개도.
제 3도 :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제어박스의 사시도 및 내부조립도.
제 4도 : 본 고안의 전기회로도.
제 5도 : 본 고안에 따른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 6도 : 본 고안에 따른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11 : 외장튜브(tube)
20 : 제어박스(controller) 21 : 작동스위치 돌출구
22 : 건전지(battery) 23 : 작동스위치(switch)
24 : 외부전원 연결구(connector) 25 광센서(sensor)
26 : 광센서 돌출구
30 : 로드 콘(road cone) 31 : 드럼(drum)
상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고안의 구성은 다수의 발광다이오드(10)가 내장된 원형의 외장튜브(11)와; 이를 주기적으로 점등점멸(가칭:깜박임)되게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박스(20)를 연결 결합하는 발광장치를 특징으로 하고,
본 고안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외장튜브(11)를 도시한 것으로, 이 외장튜브(11)는 내부에서 발광하는 빛을 외부로 발산하는 원형의 관이며, 수지로성형된 원형의 튜브형태이다.
상기 외장튜브(11)는 빛을 발광하기 위한,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10)를 내장하고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제어박스(20)를 도시한 것으로, 외장튜브(11)를 지지하는 본체이며, 전원인 건전지(22)와; 전원을 on,off할 수 있는 작동스위치(23)를 구비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전기회로를 갖은 구성이다.
상기 제어박스(20)는 도 4와 같이 야간이나 어두운 조도에서 작동하는 광센서(25)를 구비하여, 주기적으로 점등점멸(가칭:깜박임)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기회로를 내장하고 있으며, 이 회로는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10)에 연결되어 있다.
[실시예 1]
도 5는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결합체를 도로의 경계구분하기 위한 로드 콘(30)에 장착한 것을 도시한 것으로,
건전지(22)가 삽입된 제어박스(20)의 작동스위치(23)를 열면, 야간에 광센서(25)에 의해 전기회로는 개회로(開回路)되어, 발광다이오드(10)가 주기적으로 발광하여, 외장튜브(11)에서 빛이 발산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구분 시설물에 부착하는 이동식 발광장치.
[실시예 2]
도 6은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결합체를 도로의 경계구분하기 위한 드럼(31)에 장착한 것을 도시한 것으로,
건전지(22)가 삽입된 제어박스(20)의 작동스위치(23)를 열면, 어두운 조도에서 광센서(25)에 의해 전기회로는 개회로(開回路)되어, 발광다이오드(10)가 주기적으로 발광하여, 외장튜브(11)에서 빛이 발산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구분 시설물에 부착하는 이동식 발광장치.
도로의 경계구분을 위하여 설치되는 종래의 로드 콘, 드럼 등의 시설물은 눈비 또는 먼지 등에 의해, 야간이나 어두운 조도에서 식별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본 고안을 도로의 경계구분으로 설치되는 로드 콘, 드럼 등에 장착하면, 야간이나 어두운 조도에서도 뚜렷하게 식별력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야간에 도로의 경계구분을 정확히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교통사고 예방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으며, 통제지역의 구분을 정확히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야간에만 작동하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작으며, 탈 부착이 용이하여 이동이 가능하고, 외부 전원의 도움 없이 작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수지로 성형된 원형 튜브형태의 외장튜브(11)에,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10)를 내장하고; 건전지(22)와 전원을 on,off하는 작동스위치(23)를 구비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박스(20)를 연결 결합하는 도로 경계구분 시설물에 부착하는 이동식 발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박스(20)에는 주기적으로 점등점멸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기회로를 내장하고 있으며, 이 전기회로에는 어두운 조도에서 작동하는 광센서(2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구분 시설물에 부착하는 이동식 발광장치.
KR2020020016178U 2002-05-27 2002-05-27 도로 경계구분 시설물에 부착하는 이동식 발광장치. KR2002878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178U KR200287846Y1 (ko) 2002-05-27 2002-05-27 도로 경계구분 시설물에 부착하는 이동식 발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178U KR200287846Y1 (ko) 2002-05-27 2002-05-27 도로 경계구분 시설물에 부착하는 이동식 발광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3080A Division KR20020034110A (ko) 2002-03-08 2002-03-11 도로 경계구분 시설물에 부착하는 이동식 발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7846Y1 true KR200287846Y1 (ko) 2002-09-05

Family

ID=73123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178U KR200287846Y1 (ko) 2002-05-27 2002-05-27 도로 경계구분 시설물에 부착하는 이동식 발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784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34515Y1 (ko) 복합 센서가 일체로 구비된 절전형 자동 점멸 램프
KR100729910B1 (ko) 일체형 솔라 델리네이터
US8096685B2 (en) LED lamp assembly
KR101998336B1 (ko) 횡단보도용 안전유도 조명장치
KR101679673B1 (ko) 도로 조명용 등기구
KR20220121164A (ko) 조립식 도로 표지병
KR101119578B1 (ko) 볼라드용 인식장치
KR100934621B1 (ko) 발광 횡단보도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50868B1 (ko) 횡단보도 조명용 볼라드
KR101590071B1 (ko) 감시카메라 일체형 led 보안등
KR20100029959A (ko) 보행자 보호용 조명장치
KR20120050117A (ko) 조명기능이 구비된 볼라드
KR100895722B1 (ko) 솔라 시선유도봉
KR200287846Y1 (ko) 도로 경계구분 시설물에 부착하는 이동식 발광장치.
KR101158243B1 (ko) Led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
JP2007177491A (ja) 標識灯
KR101212550B1 (ko) 엘이디 경광등
KR20140022324A (ko) 보행자를 위한 횡단보도 조명 장치
KR100799585B1 (ko) 보행자 보호용 조명장치
KR20020034110A (ko) 도로 경계구분 시설물에 부착하는 이동식 발광장치.
KR101315178B1 (ko) 엘이디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654046B1 (ko) 차단봉
JP7373784B2 (ja) 照明器具及び照明システム
KR200373641Y1 (ko) 횡단보도 정지선 조명설비장치
KR101104293B1 (ko) 횡단보도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