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7795Y1 - 예초기 - Google Patents
예초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87795Y1 KR200287795Y1 KR2020020015206U KR20020015206U KR200287795Y1 KR 200287795 Y1 KR200287795 Y1 KR 200287795Y1 KR 2020020015206 U KR2020020015206 U KR 2020020015206U KR 20020015206 U KR20020015206 U KR 20020015206U KR 200287795 Y1 KR200287795 Y1 KR 20028779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dy pipe
- piece
- cutter
- connecting piece
- pipe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예초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예초기의 선단에는 커터부(30)가 구비된다. 상기 커터부(30)의 상부 외관을 모터하우징(31)이 형성하고, 상기 모터하우징(31)의 내부에는 커터(37)의 구동을 위한 모터(33)가 구비된다. 상기 커터(37)는 커터하우징(36)에 의해 일부가 차폐된다. 상기 커터부(30)에서 제1 및 제2 몸체파이프(40,40')가 길게 연장된다. 상기 제1 및 제2 몸체파이프(40,40')는 커넥터(42)에 의해 서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2몸체파이프(40')에는 제1 및 제2 손잡이(50,52)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52)에 인접한 제2몸체파이프(40')의 일측에는 상기 모터(33)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위치부(55)가 설치된다. 상기 제2몸체파이프(40')에는 배터리부(60)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예초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박단소화되어 사용하기에 편리한 예초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예초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지지프레임(1)에는 예초기의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엔진(3)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의 일측에는 상기 엔진(3)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통(5)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에는 멜빵(2)이 구비되어 상기 엔진(3)과 연료통(5)을 작업자가 등에 질 수 있도록 된다.
상기 엔진(3)의 구동축에는 엔진축(4)이 연결되어 있어 아래에서 설명될 커터(16)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엔진축(4)은 튜브(10) 내에 구비된다. 상기 튜브(10)에는 상기 엔진(3)의 동력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레버(1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튜브(10)의 일측에는 작업자가 예초기를 잡아 조작할 수 있는 손잡이(14)가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오른손으로는 상기 스위치레버(12) 근처를 잡고 왼손으로는 상기 손잡이(14)를 잡게 된다. 여기서 상기 튜브(10)는 상기 손잡이(14)와 스위치레버(12)가 있는 부분은 소정의 경도를 가지는 재질로 만들고, 상기 스위치레버(12)에서 엔진(3) 사이의 부분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제작되는게 바람직하다.
상기 튜브(10)의 선단에는 커터(16)가 구비된다. 상기 커터(16)는 지지판(17)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판(17)은 상기 튜브(10)에 고정간(18)으로 연결된다. 상기 고정간(18)은 상기 튜브(10)에도 지지된다.
상기 튜브(10)의 선단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돌출된 엔진축(4)에는 삼각캠판(19)이 유니버설조인트(20)로 연결된다. 상기 삼각캠판(19)은 상기 커터(16)를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삼각캠판(19)은 상기 지지판(17)에 형성된 구동박스(21) 내에 안착되고, 상기 구동박스(21)는 커버(22)에 의해 차폐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예초기가 사용되는 것을 설명한다.
종래의 예초기는 작업자가 지지프레임(1)에 구비된 엔진(3)과 연료통(5)을 멜빵(7)으로 메고, 상기 손잡이(14)를 왼손으로 잡고 상기 스위치레버(12)를 오른손으로 잡은 상태로 상기 스위치레버(12)로 상기 엔진(3)의 구동을 제어하면서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엔진(3)은 연료통(5)에서 제공되는 연료를 연소하여 구동되면서 동력을 발생하고, 상기 동력은 상기 엔진축(4)을 통해 상기 삼각캠판(19)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삼각캠판(19)에 의해 상기 커터(16)가 동작되면서 풀을 잘라내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예초기는 연료통(5)으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연료를 연소하여 구동되는 엔진(3)을 사용하므로, 그 크기가 큰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프레임(1)에 엔진(3)과 연료통(5)을 장착하고 작업자가 멜빵(7)으로 등에 진 상태로 작업을 하여야 했고, 승용차의 트렁크 등에 예초기를 적재하기가 어려워 도시민들이 벌초를 위해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았다.
그리고, 상기 엔진(3)은 연료를 연소하여 동력을 얻으므로 연료의 불완전연소에 따른 환경오염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대적으로 크기와 무게가 줄어들고 조작하기에 편리한 예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승용차 등의 트렁크에 적재하기에 적합한 예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구동을 위한 배터리의 착탈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예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예초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예초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터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배터리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배터리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6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도.
도 6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커터부 31: 모터하우징
32: 연결파이프 33: 모터
36: 커터하우징 37: 커터
40: 제1몸체파이프 40': 제2몸체파이프
42: 커넥터 50: 제1손잡이
52: 제2손잡이 55: 스위치부
60: 배터리부 61: 배터리케이스
62: 배터리 63: 파이프연결부
64: 고정연결편 65: 걸이턱
67: 스페이서 68,68': 체결편
69: 걸이채널 80:클립
82: 걸이밴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커터를 구비하여 풀을 잘라주는 커터부와, 상기 커터부에 연결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몸체파이프와, 상기 몸체파이프의 중간 일측과 커터부의 반대쪽 단부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 인접한 몸체파이프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파이프는 적어도 2개가 커넥터로 연결된다.
상기 몸체파이프는 적어도 2개가 구비되는데,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커넥터는, 개구부 양단에 소정 간격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접촉편과, 상기 일측 접촉편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측 접촉편을 통과하여 타측 접촉편이 자유롭게 이동되게 하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의 단부에 연결되는 회전부의 회전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설치되는 고정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레버의 회전부와 접촉편의 사이에는 마찰재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파이프중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것에는 선단에 절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부는 배터리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된 파이프연결부를 통해 상기 몸체파이프에 장착되는데, 상기 파이프연결부는, 상기 배터리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연결편과, 상기 고정연결편과 대응되고 서로 결합하여 상기 몸체파이프가 관통하는 통공을 형성하는 분리연결편과, 상기 고정연결편과 분리연결편의 양단에 끼워져 이들을 동시에 체결하는 체결편과, 상기 통공의 내면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파이프의 외면에 밀착되는 스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연결편과 분리연결편의 양단에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각각 걸이턱이 폭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편에는 상기 걸이턱과 대응되게 걸이채널이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걸이채널에 걸이턱이 걸어져 고정연결편과 분리연결편이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예초기의 크기와 무게가 줄어들어 조작이 편리해지고, 다수개의 부품으로 분해 또는 축소하여 보관을 위해 필요한 공간이 최소화되며, 구동을 위한 배터리의 착탈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등의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예초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의 예초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부분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터부의 상세도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배터리부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배터리부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예초기의 선단에는 커터부(30)가 구비된다. 상기 커터부(30)의 일측 외관을 모터하우징(31)이 형성하고, 상기 모터하우징(31)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커터(37)의 구동을 위한 모터(33)가 구비된다. 상기 모터하우징(31)의 일측에 경사지게 연장되어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몸체파이프(40)의 연결을 위한 연결파이프(32)가 형성된다.
상기 모터하우징(31)의 내부와 모터(33)의 사이에는 모터러버(34)가 구비되어 모터(33)에서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이 모터하우징(31)을 통해 외부로 전달되지않도록 한다. 상기 모터러버(34)는 모터(33)의 원통형의 외주면과 모터하우징(31)의 내면 사이 뿐만 아니라 모터(33)의 전면과 아래에서 설명될 커터하우징(36)의 사이에도 구비된다.
상기 모터하우징(31)의 선단에는 커터하우징(36)이 장착된다. 상기 커터하우징(36)은 아래에서 설명될 커터(37)의 일부를 차폐하는 것으로, 특히 작업자 쪽을 향하는 커터(37)부분을 차폐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33)의 구동축(33')에는 커터(37)가 설치된다. 상기 커터(37)는 상기 모터(33)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것으로, 커터(37)가 회전하면서 풀을 잘라주게 된다. 도면부호 38은 커터브라켓이다.
상기 모터하우징(31)의 연결파이프(32)에는 제1몸체파이프(40)의 일단부가 연결된다. 상기 제1몸체파이프(40)와 커넥터(42)로 제2몸체파이프(40')가 연결된다. 상기 커넥터(42)는 상기 제1 및 제2 몸체파이프(40,40')를 체결나사로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제2몸체파이프(40')의 일측에는 제1손잡이(5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몸체파이프(40')의 후단에는 제2손잡이(52)가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오른손잡이의 경우 제1손잡이(50)를 왼손으로 제2손잡이(52)를 오른손으로 잡게 된다.
상기 제2손잡이(52)의 근처인 제2몸체파이프(40')에는 스위치부(55)가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부(55)는 상기 모터(33)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손잡이(52)를 잡은 손의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몸체파이프(40')에는 배터리부(60)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배터리부(60)는 상기 제2몸체파이프(40')에 장착되는 배터리케이스(61)와 상기 배터리케이스(61)에 착탈되는 배터리(62)를 구비한다. 상기 배터리(62)는 충전가능한 것으로, 상기 모터(33)의 순간가속이 가능한 특성을 가지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 부호 61'는 전원의 공급을 위한 연결선이다.
상기 배터리케이스(61)를 상기 제2몸체파이프(40')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케이스(61)에는 파이프연결부(63)가 구비된다. 상기 파이프연결부(63)는 상기 배터리케이스(61)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연결편(64)과 상기 고정연결편(64)과 대칭인 형상이고 별도로 형성되는 분리연결편(64')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연결편(64)과 분리연결편(64')은 양단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부분에 각각 걸이턱(65)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65)은 상기 고정연결편(64)과 분리연결편(64')의 폭방향으로 길게 각각 형성된다.
상기 고정연결편(64)과 분리연결편(64')이 서로 정확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연결편(64)과 분리연결편(64')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가이드공(65h)과 가이드핀(65p)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연결편(64)의 가이공(65h)에 분리연결편(64')의 가이드핀(65p)이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가이드공(65h)과 가이드핀(65p)은 다수개가 고정연결편(64)과 분리연결편(64')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연결편(64)과 분리연결편(64')에는 서로 마주보는 부분이 반원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고정연결편(64)과 분리연결편(64')이 결합됨에 의해통공(66)을 형성한다. 상기 통공(66)에는 상기 제2몸체파이프(40')가 관통한다. 상기 통공(66)의 내면에는 스페이서(67)가 구비된다. 상기 스페이서(67)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면 고무가 있다. 상기 스페이서(67)는 상기 고정연결편(64)과 분리연결편(64')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2몸체파이프(40')의 외면에 밀착되어 상기 파이프연결부(63)와 제2몸체파이프(40')의 체결이 견고하게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스페이서(67)는 상기 고정연결편(64)과 분리연결편(64')에 각각 별도로 분리되어 설치된다.
상기 고정연결편(64)과 분리연결편(64')을 결합을 위해 체결편(68,68')이 사용된다. 상기 체결편(68,68')에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하단에 내측에 각각 폭방향으로 길게 걸이채널(69)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채널(69)에는 상기 걸이턱(65)이 안착된다. 상기 체결편(68,68')의 내면은 상기 고정연결편(64) 및 분리연결편(64')과 형합되는 형상으로 되는데, 각각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6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 몸체파이프(40,40')의 전체 길이를 신축가능하게 하는 길이조절부(70)를 구비한다.
상기 길이조절부(70)는 제1몸체파이프(40)가 제2몸체파이프(40')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몸체파이프(40)는 그 외경이 상기 제2몸체파이프(40')의 내경에 비해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몸체파이프(40')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결부(41)가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2몸체파이프(40')의 외주면에는 커넥터(72)가 장착된다. 상기 커넥터(72)는 일측이 개구되어 있고 그 내부를 상기 제2몸체파이프(40')가 통과하도록 된다. 상기 개구된 부분은 양갈래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접촉편(72') 사이의 간격(c)이 조절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접촉편(72')을 고정핀(74)이 관통하여 설치되고, 일측 접촉편(72')에 상기 고정핀(74)이 고정되고 타측 접촉편(72')은 상기 고정핀(74)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된다. 상기 고정핀(74)의 일단부에는 고정레버(75)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레버(75)는 상기 고정핀(74)에 대해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이동되는 접촉편(72')측에 구비된다. 상기 고정레버(75)의 일단부에는 상기 고정핀(74) 측과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부(76)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레버(75)는 상기 회전부(76)에 대해 편심되게 연결되어 회전부(76)가 회전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접촉편(72,72') 사이의 간격(c)을 조절하게 한다. 상기 고정레버(75)가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부(76)와 상기 접촉편(72')의 사이에는 마찰재(76)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커넥터(72)가 상기 제1 및 제2 몸체파이프(40,40')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도록, 상기 커넥터(72)에는 위치설정핀(78)이 구비된다. 상기 위치설정핀(78)은 상기 제1 또는 제2 몸체파이프(40,40')에 형성된 통공(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되어 커넥터(72)의 위치를 고정한다.
다음으로, 도 7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작업자가 오랜 시간 동안 작업할 경우, 팔의 피로를 줄여주기 위해 예초기를 어께에 걸 수 있는 걸이밴드(82)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걸이밴드(82)는 작업자의 일측 어께에서 반대쪽 옆구리를 향하도록 걸치면 된다. 상기 걸이밴드(82)는 상기 제2몸체파이프(40')에 클립(80)에 의해 걸어진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예초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예초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제2손잡이(52)를 잡고, 왼손으로 제1손잡이(50)를 잡은 상태로 예초작업을 한다. 즉, 상기 제2손잡이(52)를 잡은 손의 손가락으로 상기 스위치부(55)를 구동하면 상기 배터리(62)의 전원이 상기 연결선(61')을 통해 상기 모터(33)로 전달되어 모터(33)가 작동한다.
상기 모터(33)의 작동에 의해 상기 커터(37)가 회전하고, 상기 커터(37)의 회전에 의해 풀이 잘라지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상기 제1손잡이(50)를 잡은 손을 좌우로 이동시키면 선 자세에서 일정 범위 내의 풀을 자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62)는 종래의 엔진과는 달리 상기 모터(33)를 순간가속시킬 수 있어 커터(37)가 보다 신속하게 최고회전속도에 도달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확실하게 풀을 절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케이스(61)는 상기 제2몸체파이프(40')에 착탈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케이스(61)를 분리하여 충전하거나, 상기 배터리(62)만을 분리하여 충전할 수 있다. 즉, 체결편(68,68')을 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고정연결편(64)과 분리연결편(64')에 대해 이동시켜, 상기 체결편(68,68')을 분리하면, 상기 고정연결편(64)과 분리연결편(64')사이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분리연결편(64')은 고정연결편(64)에서 분리(서로 대응되는 위치의 가이드공(65h)과 가이드핀(65p)의 분리)되고, 상기 통공(66)에 있던 제2몸체파이프(40')가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부(60)가 상기 제2몸체파이프(40')에서 분리된다. 배터리부(60)를 제2몸체파이프(40')에 장착하는 것은 분해의 역순으로 하면 된다.
한편, 상기 제1몸체파이프(40)와 제2몸체파이프(40')는 커넥터(42)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커넥터(42)를 분해하면 상기 제1몸체파이프(40)와 제2몸체파이프(40')가 서로 분리되어 예초기의 전체 길이를 절반정도로 줄일 수 있다. 물론 상기 배터리(62)이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리드선이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나, 상기 커넥터(42)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리드선을 서로 대응되는 별도의 커넥터로 연결하면 분리가 가능하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레버(75)를 도 6b의 점선 위치에 오게 하면 상기 제1몸체파이프(40)를 제2몸체파이프(40')에 대해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몸체파이프(40)가 제2몸체파이프(40')에 대해 적절한 위치에 있게 하여 전체 길이를 조정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레버(75)를 회전시켜 도 6b의 실선 위치에 있게 하면 상기 접촉편(72')사이의 간격(c)이 상대적으로 좁아지면서 상기 제2몸체파이프(40')의 절결부(41)가 좁아져 제1몸체파이프(40)의 외면에 제2몸체파이프(40')의 내면이 밀착되어 이들 사이가 서로 체결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걸이밴드(82)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걸이밴드(82)를 사용함에 의해 예초기의 하중을 적절하게 분리하여 지지할 수 있어 보다 오랜 시간 동안 작업을 연속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예초기는 충전가능한 배터리를 몸체파이프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하였으므로 전체적으로 그 무게가 줄어들게 되어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예초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구동원인 모터를 회전시키기 위해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기를 사용하므로 대기오염의 가능성이 없고 모터의 순간가속이 가능하여 커터가 보다 신속하게 최고속도에 도달할 수 있게 되어 풀을 절단하는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예초기는 제1몸체파이프와 제2몸체파이프가 분리가능하거나 신축가능하고 배터리 또한 분리가능하여 전체를 다수개의 부분으로 분리 보관할 수 있게 되어 예를 들면 승용차의 트렁크 등에 쉽게 적재하여 다닐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의 예초기에는 걸이밴드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어께로 예초기의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오랜 시간 동안 작업자가 연속으로 예초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커터를 구비하여 풀을 잘라주는 커터부와,상기 커터부에 연결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몸체파이프와,상기 몸체파이프의 중간 일측과 커터부의 반대쪽 단부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손잡이와,상기 손잡이에 인접한 몸체파이프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파이프는 적어도 2개가 커넥터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파이프는 적어도 2개가 구비되는데,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커넥터는,개구부 양단에 소정 간격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접촉편과,상기 일측 접촉편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측 접촉편을 통과하여 타측 접촉편이 자유롭게 이동되게 하는 고정핀과,상기 고정핀의 단부에 연결되는 회전부의 회전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설치되는 고정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상기 고정레버의 회전부와 접촉편의 사이에는 마찰재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파이프중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것에는 선단에 절결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부는 배터리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된 파이프연결부를 통해 상기 몸체파이프에 장착되는데, 상기 파이프연결부는,상기 배터리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연결편과,상기 고정연결편과 대응되고 서로 결합하여 상기 몸체파이프가 관통하는 통공을 형성하는 분리연결편과,상기 고정연결편과 분리연결편의 양단에 끼워져 이들을 동시에 체결하는 체결편과,상기 통공의 내면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파이프의 외면에 밀착되는 스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예초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연결편과 분리연결편의 양단에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각각 걸이턱이 폭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편에는 상기 걸이턱과 대응되게 걸이채널이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걸이채널에 걸이턱이 걸어져 고정연결편과 분리연결편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15206U KR200287795Y1 (ko) | 2002-05-18 | 2002-05-18 | 예초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15206U KR200287795Y1 (ko) | 2002-05-18 | 2002-05-18 | 예초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87795Y1 true KR200287795Y1 (ko) | 2002-09-09 |
Family
ID=73084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15206U KR200287795Y1 (ko) | 2002-05-18 | 2002-05-18 | 예초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87795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0904Y1 (ko) * | 2019-09-03 | 2020-01-20 | 김태현 | 풀 감김 방지 기능이 향상된 예초기의 헤드 |
KR20200102611A (ko) | 2019-02-21 | 2020-09-01 | 계양전기 주식회사 | 배터리 안전커버를 구비한 충전식 예초기용 전원박스 |
-
2002
- 2002-05-18 KR KR2020020015206U patent/KR20028779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02611A (ko) | 2019-02-21 | 2020-09-01 | 계양전기 주식회사 | 배터리 안전커버를 구비한 충전식 예초기용 전원박스 |
KR200490904Y1 (ko) * | 2019-09-03 | 2020-01-20 | 김태현 | 풀 감김 방지 기능이 향상된 예초기의 헤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736403B2 (en) | Back-mounted power tool systems and methods of use | |
US20200253360A1 (en) | Power tool having a backpack-housed power supply | |
US7493696B2 (en) | Bush cutting machine | |
JPH1089322A (ja) | 分割ブーム型動力機械 | |
US6701623B2 (en) | Collapsable transverse handle for elongated tool | |
US7493697B2 (en) | Lawn mower | |
US7480998B2 (en) | Bush cutter | |
JP2006311828A (ja) | 刈払機 | |
US20110220754A1 (en) | Cord storage system | |
CN101116393A (zh) | 割草机 | |
KR100648484B1 (ko) | 예초기용 핸들 홀더 | |
US4932126A (en) | Hand held trimmer for cutting vegetation such as hedges and the like | |
SE1650983A1 (en) | Portable electric tool system | |
WO2007069551A1 (ja) | 曲折用アタッチメントおよびこれを装着してなる携帯型刈払機 | |
KR200287795Y1 (ko) | 예초기 | |
CN103118529B (zh) | 用于动力工具的把手装置 | |
JPH10313681A (ja) | 手持ち式動力作業機 | |
EP0849986A1 (en) | Portable powered lawn and garden tool | |
JP4606244B2 (ja) | 刈払機 | |
US20220241952A1 (en) | Hand-Held Electrically Powered Device | |
JP2000107929A (ja) | バッテリ駆動式丸鋸工具 | |
JP2006314228A (ja) | 刈払機 | |
US4403433A (en) | Snow blower auxiliary for rotary lawn mower | |
US4926556A (en) | Hand held trimmer for cutting vegetation such as hedges and the like | |
JP2006311827A (ja) | 刈払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820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