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7584Y1 - 롤러식 방충망 - Google Patents

롤러식 방충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7584Y1
KR200287584Y1 KR2020020016604U KR20020016604U KR200287584Y1 KR 200287584 Y1 KR200287584 Y1 KR 200287584Y1 KR 2020020016604 U KR2020020016604 U KR 2020020016604U KR 20020016604 U KR20020016604 U KR 20020016604U KR 200287584 Y1 KR200287584 Y1 KR 2002875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portion
mesh
rubber magnet
rail body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66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완
정용재
Original Assignee
정용재
신용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재, 신용완 filed Critical 정용재
Priority to KR20200200166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75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75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7584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롤러식 방충망에 관한 것으로, 양측 끝단부에 상, 하로 길게 밀착되도록 하나 이상의 고정핀(40)으로 고정된 가이드편(30)을 형성하고, 하측 끝단부에 저면으로 고무자석(21)이 결합되어 있는 손잡이부(20)가 일체로 형성된 그물망(10)을 형성하여, 상기 그물망(10)의 가이드편(20)을 레일몸체(50)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부(51)에 삽입하여서, 상기 손잡이부(20)의 고무자석(21)이 레일몸체(50) 하측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그물망(10)에 결합되어 있는 손잡이부(20)를 상측 손잡이부(20a)와 하측 손잡이부(20b)로 형성하고, 상, 하측 손잡이부(20a)(20b)가 서로 맞닿는 면에 고무자석(21)을 형성하여 개폐가 용이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그물망이 펼쳐진 상태에서 바람의 영향으로 늘어짐 없이 팽팽함을 유지하며, 이탈을 방지하여 그물망과 레일몸체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여 해충의 침투를 방지하며, 개폐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롤러식 방충망{Roller mosquito net}
본 고안은 롤러식 방충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물망 양측 끝단부에 형성된 가이드편을 레일몸체의 결합부에 삽입 결합되어 그물망이 외부로 빠지는 일이 전혀 없고, 해충이나 벌레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 하 슬라이드 작동이 용이하며, 손잡이부 저면에 고무자석을 형성하여 그물망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각종 해충을 차단하기 위해 출입문이나 창문 등의 각종 도어에 설치되는 방충망은 도어에 완전히 고정시키는 고정식과 필요에 따라 방충망을 치고 걷을 수 있도록 하는 개폐식이 있으며, 후자의 개폐식으로는 방충망을 도어에 대하여 미닫는미닫이식이 보편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도어의 상단에 그물망이 감겨져 수용되는 몸체를 장착하고 해충이 실내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을 때(예, 취침시간)에만 몸체로부터 롤러식으로 인출하여 가이드를 따라 그물망을 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몸체 내로 그물망을 말아 올려 걷는, 롤러식 방충망이 그 편리성을 이유로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은 롤러식 방충망은,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1), 상기 하우징(1) 내에 탄성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롤러(2), 상기 회전롤러(2)에 풀리고 감기는 그물망(3), 및 도어의 양측에 설치되어 그물망(3)이 도어를 따라 펼쳐지도록 안내하는 가이드(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초기의 롤러식 방충망(9)은 그물망(3)의 양측단이 양측 가이드(4) 내에 자연스럽게 삽입되어 있는 구조가 주로 사용되었는바,
이와 같은 롤러식 방충망은 그물망(3)을 칠 때 그물망(3)이 가이드(4)로 부터 이탈되는 경우가 많고, 그물망(3)이 쳐 있는 상태에서도 바람이 불거나 작은 충격만 가해져도 그물망(3)의 양측단이 가이드(4)로부터 늘어지거나 이탈되어 그 순간 해충들이 실내로 침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이드로부터의 그물망이 이탈하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그물망의 양측단이 가이드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으나, 이 경우 그물망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그물망의 양측단이 가이드로부터 이탈되지 못하여 그물망의 파손은 물론 사용자가 부상을 입게 되고, 그물망의 감고 펴는 작동이 유연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그물망이 일반적으로 상측에만 형성되어 있어 그물망이 파손시나 고장시에는 방충망 전체를 교체해야하므로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그물망 양측 끝단부에 형성된 가이드편을 레일몸체의 결합부에 삽입되어 있어 그물망이 외부로 빠지는 일이 전혀 없고, 해충이나 벌레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 하 슬라이드 작동이 용이하며, 손잡이부 저면에 고무자석을 형성하여 그물망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그물망에 형성되어 있는 상측 손잡이부와 하측 손잡이부를 서로 맞닿도록 밀착시켜 상, 하로 자유롭게 이동하여 유지, 보수 및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도록 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그물망 20: 손잡이부
21: 고무자석
30: 가이드편 40: 고정핀
50: 레일몸체 51: 결합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롤러식 방충망의 구성을 나타낸 전체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롤러식 방충망의 가이드편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롤러식 방충망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이다.
이의 도면 도 2 내지 도 3과 같이 상기 그물망(10) 양측 끝단부에 상, 하로 길게 가이드편(30) 밀착시킨다.
상기 가이드편(30)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핀(40)을 이용하여 가이드편(30)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한다.
상기 그물망(10) 하측 끝단부에는 저면에 고무자석(21)이 형성된 손잡이부(20)를 체결한다.
상기와 같은 그물망(10)의 가이드편(20)을 레일몸체(50)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부(51)에 삽입한다.
또한, 첨부 도면 도 4와 같이 상기 그물망(10)에 결합되어 있는 손잡이부(20)를 상측 손잡이부(20a)와 하측 손잡이부(20b)로 각각 분리하여 형성한다.
상기 상측 손잡이부(20a)의 저면과 하측 손잡이부(20b)의 상면에 고무자석(21)을 형성하여 그물망(10)의 개폐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롤러식 방충망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그물망(10)을 사용하고자 할 때는 손잡이부(20)를 하측으로 잡아 당겨 손잡이부(20)의 고무자석(21)을 하측단의 레일몸체(50) 상면에 부착하면 된다.
상기 레일몸체(50)는 철판 등으로 형성하여 고무자석(21)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되어 있는 그물망(10)을 개방하고자 할 때는 손잡이부(20)에 일정한 힘을 가하여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고무자석(21)이 레일몸체(50)에서 분리되면서 상측으로 올라가게 된다.
또한, 상측 손잡이부(20a)와 하측 손잡이부(20b)를 서로 밀착시켜 사용중인 그물망(10)을 개방하고자 할 때는 서로 맞닿아 있는 상측 손잡이부(20a)와 하측 손잡이부(20b)를 반대방향으로 잡아 당겨 고무자석(21)으로 결합되어 있는 손잡이부(20a)(20b)를 개방하면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 또는 치환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물망 양측 끝단부에 형성된 가이드편을 레일몸체의 결합부에 삽입되어 있어 그물망이 외부로 빠지는 일이 전혀 없고, 해충이나 벌레등이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 하 슬라이드 작동이 용이하며, 손잡이부 저면에 고무자석을 형성하여 그물망의 개폐가 용이하며, 그물망에 형성되어 있는 상측 손잡이부와 하측 손잡이부를 서로 맞닿도록 밀착시켜 상, 하로 자유롭게 이동 및 개폐가 용이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회전롤러(1)가 탄성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하우징(2)과, 상기 하우징(2) 내부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그물망(3)과, 상기 그물망(3)의 양측 끝단부가 상, 하로 그물망(3)이 펼쳐지거나 감겨지도록 가이드(4)로 구성되는 롤러식 방충망에 있어서,
    양측 끝단부에 상, 하로 길게 밀착되도록 하나 이상의 고정핀(40)으로 고정된 가이드편(30)을 형성하고, 하측 끝단부에 저면으로 고무자석(21)이 결합되어 있는 손잡이부(20)가 일체로 형성된 그물망(10)을 형성하여,
    상기 그물망(10)의 가이드편(20)을 레일몸체(50)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부(51)에 삽입하여서,
    상기 손잡이부(20)의 고무자석(21)이 레일몸체(50) 하측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롤러식 방충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10)에 결합되어 있는 손잡이부(20)를 상측 손잡이부(20a)와 하측 손잡이부(20b)로 형성하고, 상, 하측 손잡이부(20a)(20b)가 서로 맞닿는 면에 고무자석(21)을 형성하여 개폐가 용이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롤러식 방충망.
KR2020020016604U 2002-05-30 2002-05-30 롤러식 방충망 KR2002875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604U KR200287584Y1 (ko) 2002-05-30 2002-05-30 롤러식 방충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604U KR200287584Y1 (ko) 2002-05-30 2002-05-30 롤러식 방충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7584Y1 true KR200287584Y1 (ko) 2002-08-30

Family

ID=73123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604U KR200287584Y1 (ko) 2002-05-30 2002-05-30 롤러식 방충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75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402B1 (ko) 2006-06-05 2008-01-28 이덕준 개폐가 쉬운 기밀 유지용 도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402B1 (ko) 2006-06-05 2008-01-28 이덕준 개폐가 쉬운 기밀 유지용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362827B2 (en) Latch mechanism
KR102024980B1 (ko) 미세먼지 차단망이 구비된 미서기 창호용 방충망 조립체
EP2773831B1 (en) Movable mosquito screen, particularly for windows, doors and the like
KR200287584Y1 (ko) 롤러식 방충망
KR200462728Y1 (ko) 방충 및 방범용 현관문
KR200246124Y1 (ko) 출입문용 방범창
KR200340805Y1 (ko) 출입문용 권취식 방충망
KR200218129Y1 (ko) 롤러식 방충망
KR20140006475U (ko) 방충망 개폐장치
KR100671712B1 (ko) 롤러식 방충망의 권취속도 제어장치
KR20210049289A (ko)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이 구비되는 창호
KR100632994B1 (ko) 추락방지용 미닫이 창문조립체
KR100442692B1 (ko) 롤러식 방충망
KR20100036114A (ko) 이중방충망
KR20090004433U (ko) 출입문용 권취식 방충망의 손잡이 고정구조
KR20050113338A (ko) 착탈형 행거식 방충망 장치
JPH08177350A (ja) ロール式網戸
KR200419330Y1 (ko) 방충망의 현수롤러블록
KR200398812Y1 (ko) 출입문용 권취식 방충망의 열림방지구조
JP3559240B2 (ja) 巻取式網戸
JP3622077B2 (ja) 収納網戸
KR20020031854A (ko) 출입문용 절첩식 방충망
JP2005213911A (ja) 横引き網戸
AU2006220376B2 (en) Draw cord arrangement
KR200256852Y1 (ko) 출입문용 절첩식 방충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