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7427Y1 - 레져용 보트의 입수가 용이한 트레일러 - Google Patents

레져용 보트의 입수가 용이한 트레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7427Y1
KR200287427Y1 KR2020020008277U KR20020008277U KR200287427Y1 KR 200287427 Y1 KR200287427 Y1 KR 200287427Y1 KR 2020020008277 U KR2020020008277 U KR 2020020008277U KR 20020008277 U KR20020008277 U KR 20020008277U KR 200287427 Y1 KR200287427 Y1 KR 2002874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ler
boat
lifting
elevat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82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드림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드림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드림보트
Priority to KR20200200082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74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74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7427Y1/ko

Links

Landscapes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레져용 보트를 싣는 트레일러의 구조를 3단으로 개선하여 차량이 물에 빠지지 않으면서도 손쉽게 레져용 보트를 입수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레져용 보트의 입수가 용이한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차량에 연결하여 보트를 싣고 다니는 트레일러에 있어서, 트레일러 전부몸체를 전부에 구비하고 하부에는 이동용 바퀴가 설치되고 다수의 횡프레임과 종프레임이 서로 연결되며 상기 횡프레임의 전부가 완만한 라운드부가 형성되어 있고 롤러를 가이드하는 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트레일러 하부몸체와; 횡프레임과 종프레임이 서로 연결 설치되어 상기 트레일러 하부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횡프레임의 상부면에 각각의 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트레일러 승강몸체와; 상기 트레일러 승강몸체의 일측단부에 연결 설치되고 트레일러 승강몸체를 올리고 내릴 수 있도록 브이(V)형상으로 이루어진 승강바와, 상기 승강바에 수평하게 설치되고 승강바를 당기고 밀어주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승강바의 일단의 하부에 롤러가 구비된 연결부로 이루어져서 상기 트레일러 승강몸체와 트레일러 하부몸체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승강장치와; 상기 트레일러 승강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트레일러 승강몸체의 횡프레임의 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도록 다수의 롤러부를 횡프레임 내측에 구비하며 일단의 하부에는 상기 트레일러 하부몸체를 타고 이동하는 바퀴가 구비된 트레일러 이동몸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트레일러에 싣고 다니는 보트를 입수시킬 때, 차량을 물에 빠뜨리지 않고도 보트를 손쉽게 입수시킬 수 있으므로 차량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차량의 관리가 편해지고 차량의 유지 보수비가 절감되며 차량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무거운 보트를 한 사람의 작업자가 손쉽게 내리고 실을 수 있으므로 보트의 승하강 작업이 용이하여 안전사고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레져용 보트의 입수가 용이한 트레일러{A MULTISTAGE TRAILER}
본 고안은 레져용 보트의 입수가 용이한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레져용 보트를 싣는 트레일러의 구조를 3단으로 개선하여 차량이 물에 빠지지 않으면서도 손쉽게 레져용 보트를 입수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레져용 보트의 입수가 용이한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져용 보트는 차량과 연결되는 트레일러에 싣고 다니면서 필요시에는 레져용 보트를 입수시킬 수 있도록 차량을 물가로 이동시킨 후, 운전자가 트레일러에 실린 레져용 보트를 밀어서 입수시키는 방법이 일반적이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보트를 입수시키려면 차량의 후부 일부분이 물에 빠진 상태가 되므로 이후 물에서 나온 차량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는 경우, 차량이 쉽게 산화, 노후화되거나 침수된 전장계통에서 누전, 단락 등이 발생하여 차량의 손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트레일러에 실린 보트를 입수시키기 위해서는 적어도 두 세 사람 이상이 힘을 모아서 밀어주어야 하므로 보트의 입수작업이 어렵고 힘이 들며 번거로왔으며 부주의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트레일러에 실린 보트를 손쉽게 입수시키고 실을 수 있도록 3단 프레임으로 구성된 레져용 보트의 입수가 용이한 트레일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차량을 물에 입수시키지 않고도 트레일러에 실린 보트를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승강장치와 윈치가 구비된 레져용 보트의 입수가 용이한 트레일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트레일러에 실린 보트의 하강 입수시 한사람이 힘들이지 않고 손쉽게 하강시키고 승강시킴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안된 레져용 보트의 입수가 용이한 트레일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레져용 보트의 입수가 용이한 트레일러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레져용 보트의 입수가 용이한 트레일러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레져용 보트의 입수가 용이한 트레일러의 승강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레져용 보트의 입수가 용이한 트레일러의 승강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레져용 보트의 입수가 용이한 트레일러의 A-A선을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레져용 보트의 입수가 용이한 트레일러의 동작시켰을 때의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지 브라켓 11 : 힌지 브라켓
12 : 힌지축 14 : 고정 브라켓
16 : 리드스크류 18 : 너트
20 : 승강바 22 : 고정축
24 : 레일 26,28 : 롤러
30 : 롤러 고정축 32 : 레일
40,42 : 스토퍼
100 : 트레일러 하부몸체 102 : 트레일러 전부몸체
104 : 트레일러 승강몸체 106 : 트레일러 이동몸체
108 : 바퀴 110 : 승강장치
112 : 롤러부 116 : 윈치
118 : 고정장치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량에 연결하여 보트를 싣고 다니는 트레일러에 있어서, 트레일러 전부몸체를 전부에 구비하고 하부에는 이동용 바퀴가 설치되고 다수의 횡프레임과 종프레임이 서로 연결되며 상기 횡프레임의 전부가 완만한 라운드부가 형성되어 있고 롤러를 가이드하는 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트레일러 하부몸체와; 횡프레임과 종프레임이 서로 연결 설치되어 상기 트레일러 하부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횡프레임의 상부면에 각각의 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트레일러 승강몸체와; 상기 트레일러 승강몸체의 일측단부에 연결 설치되고 트레일러 승강몸체를 올리고 내릴 수 있도록 브이(V)형상으로 이루어진 승강바와, 상기 승강바에 수평하게 설치되고 승강바를 당기고 밀어주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승강바의 일단의 하부에 롤러가 구비된 연결부로 이루어져서 상기 트레일러 승강몸체와 트레일러 하부몸체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승강장치와; 상기 트레일러 승강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트레일러 승강몸체의 횡프레임의 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도록 다수의 롤러부를 횡프레임 내측에 구비하며 일단의 하부에는 상기 트레일러 하부몸체를 타고 이동하는 바퀴가 구비된 트레일러 이동몸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리드스크류와 결합되어 승강바에 설치되는 십자형상의 너트와, 상기 너트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롤러부는 상기 트레일러 승강몸체에 설치된 레일에 얹혀지듯이 설치되는 단면이 요(凹)형상인 롤러가 롤러 고정축에 의해 횡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레일러 전부몸체의 상부에는 보트와 트레일러 이동몸체를 손쉽게 글어내리고 끌어올리기 위한 윈치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레져용 보트의 입수가 용이한 트레일러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레져용 보트의 입수가 용이한 트레일러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레져용 보트의 입수가 용이한 트레일러의 승강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레져용 보트의 입수가 용이한 트레일러의 승강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의 레져용 보트의 입수가 용이한 트레일러의 A-A선을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레져용 보트의 입수가 용이한 트레일러의 동작시켰을 때의 상태도이다.
우선, 도 1내지 도 5를 참고로 살펴보면, 본 고안의 트레일러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위치에 대칭되도록 바퀴(108)가 하부에 설치되고 전단부가 완만한 라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트레일러 하부몸체(100)와, 상기 트레일러 하부몸체(100)의 전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전부에 차량과 연결되는 케플러를 구비하는 트레일러 전부몸체(102)와, 상기 트레일러 하부몸체(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트레일러에 실린 레져용 보트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강장치(110)가 구비되고, 전단부가 완만한 라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트레일러 승강몸체(104)와,상기 트레일러 승강몸체(104)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트레일러 승강몸체(104)의 상면을 따라 구름 이동하는 트레일러 이동몸체(106)로 구성된다.
상기 트레일러 하부몸체(100)는 다수의 횡프레임(4)과 종프레임(6,8)을 격자모양으로 서로 고정시켜서 구성한다.
상기 횡프레임(4)의 중앙에는 세로방향으로 세로 프레임(8)을 고정시키고 전부에는 세로 프레임(6)을 고정시키며, 상기 세로 프레임(8)과 세로 프레임(6)을 연결하는 레일(24)을 고정 설치한다.
이때, 상기 레일(24)의 상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져서 통공(도면부호 도시안함)이 형성된 고정브라켓(14)이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횡프레임(4)의 좌측 단부를 아래방향으로 완만한 굴곡이 이루어지도록 형성시키고 그 상부에는 통공이 형성된 힌지 브라켓(11)을 각각 고정시켜서 설치하며 상기 힌지 브라켓(11)과 일정한 거리로 이격된 우측부에는 지지 브라켓(10)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트레일러 하부몸체(100)의 후부에는 통상의 고정장치(11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장치(118)는 상기 트레일러 이동몸체(106)에 고정 설치되는 후크부와 트레일러 하부몸체(100)에 고정 설치되는 레버부로 이루어져서 상기 트레일러 이동몸체(106)를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함으로써 보트가 트레일러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안정시킨다.
상기 지지 브라켓(10)의 상부에는 상면이 넓은 플레이트를 고정하여 상기 트레일러 승강몸체(104)를 받쳐 줄 수 있도록 고정한다.
상기 트레일러 하부몸체(100)의전부에는 트레일러 전부몸체(102)가 고정설치되어 있고, 상기 트레일러 전부몸체(102)의 상부에는 윈치(11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윈치(116)는 후크가 달린 케이블을 권취시키고 레버를 회전시킴으로써 보트 또는 트레일러 이동몸체(106)를 끌어당기고 서서히 풀어주는 역할을 하는 통상의 윈치를 사용한다.
이때, 상기 윈치(116)의 후크에 걸리는 부분은 보트의 후부 또는 트레일러 이동몸체(106)의 전부 등 자유자재로 사용된다.
상기 트레일러 승강몸체(104)는 다수의 횡프레임(7)과 종프레임(8)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횡프레임(7)에는 후술되는 힌지축(12)이 결합되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평행하게 설치된 각각의 횡프레임(7)의 상부에는 레일(32)이 돌출 고정되어 있다.
상기 횡프레임(7)의 안쪽 소정의 위치에는 트레일러 이동몸체(106)를 정지시키는 스토퍼(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트레일러 승강몸체(104)의 전부에는 승강장치(1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장치(110)는 상기 트레일러 하부몸체(100)에 형성된 레일(24)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며 트레일러 승강몸체(104)의 전부를 승하강시킨다.
상기 승강장치(110)는 브이(V)자 형상의 승강바(20)와, 상기 승강바(20)의 좌측 하단부에 설치된 롤러(26)와, 상기 승강바(20)와 롤러(26)를 연결하는 연결부(25)와, 상기 연결부(25)에 결합 설치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14)에 끼움 결합되어 승강바(20)를 전후로 당겨주는 리드 스크류(1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리드 스크류(16)는 승강바(20)의 중앙 전부에서 후부로 관통하도록 수평하게 설치되고 후단부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리드 스크류(16)를 회전시킴으로서 리드스크류(16)에 체결 설치된 상기 승강바(20)를 당기고 밀어준다. 즉, 후단이 고정된 리드 스크류(16)를 오른쪽으로 회전시키면 동시에 승강바(20)는 앞으로 당겨지고, 리드스크류(16)를 왼쪽으로 회전시키면 동시에 승강바(20)는 뒤로 밀려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 및 동작은 당업자라면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는 것이라 할 것이다.상기 승강바(20)는 그 전단부의 양측단이 각각의 횡프레임(7)에 힌지축(22)에 의해 각각 연결 설치되어 있고 하단부의 롤러(26)는 레일(24)에 얹혀져서 설치됨과 동시에 소정의 경사를 가지면서 설치된다.
한편, 상기 연결부(25)는 십자형상으로 이루어진 너트(18)와, 상기 너트(18)를 감싸도록 캡(2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트레일러 승강몸체(104)의 상부에는 트레일러 이동몸체(106)가 얹혀지듯이 설치되어 전후로 구름 이동한다.
상기 트레일러 이동몸체(106)는 다수의 횡프레임(7)과 다수의 종프레임(8)이 서로 연결 고정되어 있고, 상기 횡프레임(7)의 하부 저면 내측에는 상기 레일(32)을 따라 구름 이동을 하기위한 다수의 롤러부(11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횡프레임(7)의 앞쪽 내측 소정의 위치에는 상기 스토퍼(42)와 접촉되어 트레일러 이동몸체(106)를 멈추기 위한 스토퍼(40)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트레일러 하부몸체(100)를 따라 구름이동하도록 바퀴(34)가 각각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다수의 롤러부(112)는 상기 레일(32)의 상부에 얹혀져서 구름 이동하는 롤러(28)와, 상기 트레일러 이동몸체(106)를 관통하고 롤러(28)를 고정하는 롤러 고정축(30)으로 이루어진다.상기 롤러(28)는 레일(32) 위를 구름이동할 수 있도록 단면이 요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트레일러 이동몸체(106)의 상부에는 보트가 안착되어지고, 트레일러의 이동시 흔들리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계속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여 보면, 본 고안의 승강장치(110)를 동작시켜서 트레일러 승강몸체(104)를 승강시킨다.
상기 트레일러 승강몸체(104)가 승강되면 트레일러 이동몸체(106)의 롤러부(112)가 트레일러 승강몸체(104)에 형성된 레일(32)을 타고 서서히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트레일러 이동몸체(106) 상부에는 보트가 실려져 있으므로 보트는 상기 트레일러 이동몸체(106)와 함께 미끄러지면서 하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강한 보트는 물에 입수되고, 보트가 입수된 후 승강장치(110)를 하강동작시키면 트레일러 이동몸체(106)가 들리면서 사람이 수동으로 가볍게 밀어주면 롤러부(112)가 레일(32)을 따라 이동하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트레일러에 싣고 다니는 보트를 입수시킬 때, 차량을 물에 빠뜨리지 않고도 보트를 손쉽게 입수시킬 수 있으므로 차량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차량의 관리가 편해지고 차량의 유지 보수비가 절감되며 차량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무거운 보트를 한 사람의 작업자가 손쉽게 내리고 실을수 있으므로 보트의 승하강 작업이 용이하여 안전사고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차량에 연결하여 보트를 싣고 다니는 트레일러에 있어서,
    트레일러 전부몸체를 전부에 구비하고 하부에는 이동용 바퀴가 설치되고 다수의 횡프레임과 종프레임이 서로 연결되며 상기 횡프레임의 전부가 완만한 라운드부가 형성되어 있고 롤러를 가이드하는 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트레일러 하부몸체와;
    횡프레임과 종프레임이 서로 연결 설치되어 상기 트레일러 하부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횡프레임의 상부면에 각각의 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트레일러 승강몸체와;
    상기 트레일러 승강몸체의 일측단부에 연결 설치되고 트레일러 승강몸체를 올리고 내릴 수 있도록 브이(V)형상으로 이루어진 승강바와, 상기 승강바에 수평하게 설치되고 승강바를 당기고 밀어주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승강바의 일단의 하부에 롤러가 구비된 연결부로 이루어져서 상기 트레일러 승강몸체와 트레일러 하부몸체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승강장치와;
    상기 트레일러 승강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트레일러 승강몸체의 횡프레임의 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도록 다수의 롤러부를 횡프레임 내측에 구비하며 일단의 하부에는 상기 트레일러 하부몸체를 타고 이동하는 바퀴가 구비된 트레일러 이동몸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져용 보트의 입수가 용이한 트레일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리드스크류와 결합되어 승강바에 설치되는 십자형상의 너트와, 상기 너트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져용 보트의 입수가 용이한 트레일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상기 트레일러 승강몸체에 설치된 레일에 얹혀지듯이 설치되는 단면이 요(凹)형상인 롤러가 롤러 고정축에 의해 횡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져용 보트의 입수가 용이한 트레일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 전부몸체의 상부에는 보트와 트레일러 이동몸체를 손쉽게 글어내리고 끌어올리기 위한 윈치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져용 보트의 입수가 용이한 트레일러.
KR2020020008277U 2002-03-20 2002-03-20 레져용 보트의 입수가 용이한 트레일러 KR2002874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277U KR200287427Y1 (ko) 2002-03-20 2002-03-20 레져용 보트의 입수가 용이한 트레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277U KR200287427Y1 (ko) 2002-03-20 2002-03-20 레져용 보트의 입수가 용이한 트레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7427Y1 true KR200287427Y1 (ko) 2002-09-05

Family

ID=73119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8277U KR200287427Y1 (ko) 2002-03-20 2002-03-20 레져용 보트의 입수가 용이한 트레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7427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220Y1 (ko) * 2007-04-13 2008-07-31 안종은 브레이크 장치가 설치된 보트 트레일러
KR200471223Y1 (ko) 2012-12-10 2014-02-21 안종은 보트 트레일러의 하부 저상축 장치
KR200473775Y1 (ko) 2013-05-21 2014-07-31 김정연 보트 트레일러의 입수용 견인길이 조절장치
KR101437276B1 (ko) 2013-04-05 2014-09-02 조현철 보트의 진수가 용이한 트레일러
KR101525737B1 (ko) * 2014-05-15 2015-06-03 김종임 상,하차가 용이한 트레일러
KR102009211B1 (ko) 2018-05-25 2019-08-09 안종은 알루미늄바를 이용한 보트 트레일러
KR20190137237A (ko) 2018-06-01 2019-12-11 안종은 견인 프레임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보트 트레일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220Y1 (ko) * 2007-04-13 2008-07-31 안종은 브레이크 장치가 설치된 보트 트레일러
KR200471223Y1 (ko) 2012-12-10 2014-02-21 안종은 보트 트레일러의 하부 저상축 장치
KR101437276B1 (ko) 2013-04-05 2014-09-02 조현철 보트의 진수가 용이한 트레일러
KR200473775Y1 (ko) 2013-05-21 2014-07-31 김정연 보트 트레일러의 입수용 견인길이 조절장치
KR101525737B1 (ko) * 2014-05-15 2015-06-03 김종임 상,하차가 용이한 트레일러
KR102009211B1 (ko) 2018-05-25 2019-08-09 안종은 알루미늄바를 이용한 보트 트레일러
KR20190137237A (ko) 2018-06-01 2019-12-11 안종은 견인 프레임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보트 트레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6160B2 (en) Vehicle mounted lift assembly
US5033582A (en) Retractable ladder assembly
CA2361592C (en) Trailer with non-tilting moveable bed
US20070029267A1 (en) Bicycle support rack
KR200287427Y1 (ko) 레져용 보트의 입수가 용이한 트레일러
CN201056867Y (zh) 悬臂式机械停车设备
CN105016174A (zh) 一种用于楼梯上的轨道式电动升降车
CN110962723A (zh) 一种升降式山地运输助力车及其应用
CA1156614A (en) Bumper mounted hoist and movable hitch
US4483549A (en) Vehicle towing trailer
US3477600A (en) Hinged fork for fork-lift trucks
US2928502A (en) Braking device for cable-drawn wagon on funicular railways
US3896949A (en) Hoisting and towing dolly
CN204778187U (zh) 一种用于楼梯上的轨道式电动升降车
CN115490109A (zh) 一种高安全性能的升降装置
CN209835514U (zh) 一种装卸车用升降台
CN213742636U (zh) 一种车侧一体帐篷
GB1198184A (en) Improvements in Lifting Platforms
CN112010174B (zh) 一种机电设备安装装置及其使用方法
CN210313344U (zh) 举升机分体横梁机构
CN113562576A (zh) 一种节能型载货电梯
JP2022007421A (ja) リフター装置。
CN217947607U (zh) 垂直升降的施工人员通道装置
CN215970974U (zh) 一种用于输送机的牵引装置
KR200148886Y1 (ko) 개량 스윙식 주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