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7230Y1 - 디브이디 보관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디브이디 보관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7230Y1
KR200287230Y1 KR2020020015423U KR20020015423U KR200287230Y1 KR 200287230 Y1 KR200287230 Y1 KR 200287230Y1 KR 2020020015423 U KR2020020015423 U KR 2020020015423U KR 20020015423 U KR20020015423 U KR 20020015423U KR 200287230 Y1 KR200287230 Y1 KR 2002872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elastic
storage case
jaw
integr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4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성
Original Assignee
이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성 filed Critical 이재성
Priority to KR20200200154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72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72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7230Y1/ko

Links

Landscapes

  • Packaging For Recording Disk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디브이디 보관용 케이스는 후면패널(11)과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된 반월형 고정부재(30)와, 상하로 이동되는 탄성부재(42)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반월형 고정부재(30)와 함께 원형의 형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일측에 걸림턱(41)이 형성된 버튼부재를 구성요소로 하는데, 상기 버튼부재(40)에 형성된 걸림턱(41)에 의해 케이스에 삽입된 디스크(5)의 이탈이 방지되며,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재(40)를 누르면 상기 반월형 고정부재(30)를 지지대로 하여 손쉽게 버튼부재(40)가 눌려짐으로써 걸림턱(41)에서 디스크(5)가 용이하게 탈착되고, 상기 탄성부재(42)의 일측 소정부위에 탄성강화부(43)를 구비함으로써, 반복적인 사용에 의한 탄성력약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브이디 보관용 케이스{CASE FOR DVD}
본 고안은 씨디 또는 디브이디를 보관하기 위한 디스크 보관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스크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납부의 중앙에 구비된 고정수단에 있어서, 후면패널과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된 반월형 고정부재와, 상하로 이동되는 탄성부재와 연결턱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반월형 고정부재와 함께 원형의 형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일측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버튼부재로 구성된 디브이디 보관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씨디(CD; Compact Disk) 또는 디브이디(DVD ; Digital Versatile Disc)는 소형이면서 대용량의 음성 또는 영상 정보를 담아 보관하기에 적합한 정보 저장매체이다.
상기 씨디 또는 디브이디는 디지털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디스크 반사면의 트랙을 따라서 '피트'라 불리우는 요철(凹凸)부를 형성하여 데이터를 기록하고, 이 반사면에 레이저 빛을 비추면 평탄한 부분에서는 빛이 대부분 그대로 반사되어 강하게 돌아오지만, 볼록한 부분에서는 반사되는 빛이 여러 방향으로 흩어져 돌아오는 빛의 세기가 약해지므로 이 차이를 이용하여 디지털신호 0과 1을 판정하여 기록된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디브이디('디지털 비디오 디스크'라고도 호칭한다)는 CD용의 적외선 반도체 레이저(파장 780mm 정도)보다도 파장이 짧은 적색 반도체 레이저(파장 635mm∼650mm)를 사용하여 레이저를 집광(集光)하는 대물 렌즈의 개구수(開口數)를 높이는 등 기록 용량을 증가시키고, 그 기록층에 국제표준 방식인 엠펙(MPEG-2)기술을 이용하여 동영상 등의 데이터를 압축저장함으로써, 기록용량을 일반 CD의 6∼8배 정도 증가시켰다.
이와 같은 씨디 또는 디브이디(이하 디스크로 호칭한다)는 대개 두께가 1.2 mm 이하로 매우 얇고,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면 위에 데이타를 보호하기 위해 코팅면(주로 폴리 카보네이트를 사용)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코팅면에 물이나 기름 등 이물질이 묻는 경우에는 레이저빛이 굴절되어 정상적인 데이터 출력이 불가능하고, 특히 코팅면에 흠집이 형성되면 음성 데이터의 경우 음이 튀며 영상 데이터의 경우 영상이 정지 또는 끊기는 현상이 발생되므로, 씨디 또는 디브이디는 별도의 보관 및 취급이 많은 주의가 요구된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패널(1)과 후면패널(2)이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면패널(2)의 내부 중심에 디스크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납부(3)가 형성되며, 수납부(3)의 중심에는 디스크의 개구가 끼워 고정되는 고정부재(4)가 후면패널과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므로, 사용자가 디스크를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 전면패널(1)을 개방시킨 다음 디스크의 개구를 고정부재(4)에 맞물리게 끼우고 개방된 전면패널을 닫으면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디스크 보관케이스는 외부의 오염원으로부터 디스크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에 적합하나, 고정부재에 개구가 완전 밀착되게 맞물려 있는 경우, 디스크가 고정부재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가 디스크의 이탈을 위해 무리한 힘을 가하는 경우 디스크가 휘어지게 되거나 고정부재가 파손 등 보관된 디스크의 인출시 극히 조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종래의 디스크 보관케이스를 보완하여 버튼부재를 이용한 다수의 디스크 보관 케이스가 새롭게 개발되었으나, 상기 보완된 디스크 보관케이스의 버튼부재는 별도의 고정부재가 없이 특정한 형상을 이룬 버튼부재가 내측으로 탄성을 유지한 상태로 삽입되는 방식이므로, 상기 버튼부재의 형상에 따라 버튼부재를 누르는 손가락에 통증을 야기할 수 있으며, 버튼부재를 지지하는 별도의 고정부재가 없으므로 버튼부재가 내측으로 함입되는 경우 디스크의 내측면이 손상될 우려가 있고, 버튼부재의 탄성력이 약화되는 경우 이를 보완하는 별도의 대책이 없으므로 새로운 케이스로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디스크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납부의 중앙에 구비된 고정수단에 있어서 후면패널과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된 반월형 고정부재와, 상하로 이동되는 탄성부재와 연결턱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반월형 고정부재와 함께 원형의 형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일측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버튼부재로 구성된 디브이디 보관용 케이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크 보관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디스크 보관용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디스크 보관용 케이스에 디스크가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및 상세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디스크 보관용 케이스에서 디스크가 탈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및 상세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10: 전면패널 2, 11: 후면패널
3, 20: 수납부 4: 고정부재
5: 디스크 6: 삽입홈
12: 삽입물 고정편 13: 연결부
21: 안내벽 22: 외측지지턱
21: 파지홈
30: 반월형 고정부재 31: 내측지지턱
40: 버튼부재 41: 걸림턱
42: 탄성부재 43: 탄성강화부
44: 연결턱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크 보관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디스크 보관용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디스크 보관용 케이스에 디스크가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및 상세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디스크 보관용 케이스에서 디스크가 탈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및 상세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디브이디 보관용 케이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사출성형된 전면패널(10)과 후면패널(11)이 연결부(13)를 중심으로 접혀지는 구조로 형성된 디스크 보관케이스에 있어서, 후면패널(11)의 내부면 중앙에 구비되어 있으며 외측지지턱(22)이 구비된 안내벽(21)과 수납된 디스크(5)를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파지홈(23)이 일체로 포함된 수납부(20)와, 수납부(20)의 중앙에 고정설치되며 반월형 형상에 외측면에는 디스크(5)의 내측면이 지지될 수 있도록 내측지지턱(31)을 구비하고 있는 반월형 고정부재(30)와, 일측 소정부위에 걸림턱(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방향으로 탄성에 의해 이동가능도록 탄성부재(42)와 연결턱(44)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 버튼부재(40)로 구성되어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한 디브이디 보관용 케이스는 전면패널(10)과 후면패널(11)이 일체로 사출성형되는데, 상기 전면패널(10)과 후면패널(11)은 연결부(13)에 의해 구분되며, 상기 연결부(13)를 중심으로 상기 전면패널(10)과 후면패널(11)이 접혀지는 구조로서, 필요한 경우 서로 개폐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후면패널(11)의 내부면 중앙에는 디스크(5)가 수납되는 수납부(20)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수납부(20)에는 디스크(5) 수납을 안내하기 위한 원형의 안내벽(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안내벽(21)에는 수납된 디스크(5)를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파지홈(23)이 형성되어 있고, 안내벽(21) 내측으로는 디스크(5)의 외측 하부면을 지지하는 외측지지턱(2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반월형 고정부재(30)는 수납부(20)의 중앙에 고정설치되는데, 반월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면에는 디스크(5)의 내측면이 지지될 수 있도록 내측지지턱(3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탄성부재(42)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버튼부재(40)는 상기 디스크(5)의 삽입홈(6)이 삽입가능하도록 반월형 고정부재(30)와 함께 원형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삽입된 디스크(5)가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걸림턱(41)이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수납부(20)에 디스크(5)를 수납하는 경우에는, 디스크(5)의 외측 하부면이 상기 외측지지턱(22)에 걸리고, 디스크(5)의 내측 하부면이 반월형 고정부재(30)의 내측지지턱(31)에 걸리며, 디스크(5)의 내측 상부면이 버튼부재(40)의 걸림턱(41)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디스크(5)가 수납부(20)에 고정장착된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42)는 수납부(20)의 중앙에 연결된 상태에서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고 있으며, 수평하게 형성된 연결턱(44)에 의해 버튼부재(40)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연결턱(44)은 수납부(20)에 삽입된 디스크(5)의 내측 하부면을 지지하는 1차 지지대의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디스크(5)가 내측으로 밀리는 경우에는 상기 반월형 고정부재(30)의 내측지지턱(31)이 디스크(5)의 하부면을 지지하게 된다.
즉, 디스크(5)의 내측에 구비된 삽입홈(6)이 상기 반월형 고정부재(30)와 버튼부재(40)가 이루고 있는 원형에 삽입장착된 후, 상기 연결턱(44)에 디스크(5)의 내측 하부면이 지지되고, 버튼부재(40)에 구비되어 있는 걸림턱(41)이 디스크(5)의 내측 상부면을 고정함으로써 디스크(5)의 외부 이탈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버튼부재(40)는 탄성부재(42)와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누르면 하측으로 이동하고, 손가락을 떼면 다시 상측으로 복원되는데, 상기 탄성부재(42)는 일정횟수 이상 사용하면, 탄성력이 떨어져서 그 기능을 원할하게 수행하지 못하므로, 본 고안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탄성부재(42)의 일측 소정부위에 탄성강화부(43)를 구비하고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42)는 일정횟수 이상 사용할 경우 발생되는 탄성력약화를 방지하기 위해 탄성부재(42)와 수납부(20)가 접하는 부위에 소정 두께의 탄성강화부(43)가 일체로 설치되는데, 상기 탄성강화부(43)는 탄성부재(42) 하측에 구비된 일정두께 이상의 보조 지지대로서 상기 탄성부재(42)에 지속적으로 하측 방향의 힘이 가해지면 나타나게 되는 탄성력약화를 방지하게 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례로서 상기 탄성강화부(43)의 두께는 탄성부재(42)의 두께에 비해 10% 정도만 되면 탄성력약화방지를 위한 충분한 보완효과가 나타났으며, 필요한 경우 탄성강화부(43)의 두께는 임의로 조절가능하다.
한편, 디브이디 보관용 케이스의 전면패널에는 상기 디스크(5)의 내용을 소개하기 위한 안내책자 등이 삽입되는데, 본 고안에서는 상기 안내책자 등을 고정하기 위해 별도의 삽입물 고정편(12)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안내책자는 전면패널(10)의 내측에 삽입 된 후 상기 삽입물 고정편(12)에 의해 착탈가능한 상태로 고정된다.
본 고안에 의한 디브이디 보관용 케이스는 후면패널(11)과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된 반월형 고정부재(30)와, 상하로 이동되는 탄성부재(42)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반월형 고정부재(30)와 함께 원형의 형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일측에 걸림턱(41)이 형성된 버튼부재를 구성요소로 하는데, 상기 버튼부재(40)에 형성된 걸림턱(41)에 의해 케이스에 삽입된 디스크(5)의 이탈이 방지되며,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재(40)를 누르면 상기 반월형 고정부재(30)를 지지대로 하여 손쉽게 버튼부재(40)가 눌려짐으로써 걸림턱(41)에서 디스크(5)가 용이하게 탈착되고, 상기 탄성부재(42)의 일측 소정부위에 탄성강화부(43)를 구비함으로써, 반복적인 사용에 의한 탄성력약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일체로 사출성형된 전면 패널과 후면 패널이 연결부를 중심으로 접혀지는 구조로 형성된 디스크 보관케이스에 있어서,
    후면패널의 내부면 중앙에 구비되어 있으며 외측지지턱이 구비된 안내벽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파지홈이 일체로 포함된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중앙에 고정설치되며 반월형 형상에 외측면에는 디스크의 내측면이 지지될 수 있도록 내측지지턱을 구비하고 있는 반월형 고정부재와, 일측 소정부위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방향으로 탄성에 의해 이동가능도록 탄성부재와 연결턱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 버튼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브이디 보관용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탄성력약화를 방지하기 위해 탄성부재와 수납부가 접하는 부위에 소정 두께의 탄성강화부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브이디 보관용 케이스.
KR2020020015423U 2002-05-21 2002-05-21 디브이디 보관용 케이스 KR2002872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423U KR200287230Y1 (ko) 2002-05-21 2002-05-21 디브이디 보관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423U KR200287230Y1 (ko) 2002-05-21 2002-05-21 디브이디 보관용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7230Y1 true KR200287230Y1 (ko) 2002-08-27

Family

ID=73055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423U KR200287230Y1 (ko) 2002-05-21 2002-05-21 디브이디 보관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723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6567A (en) Storage cassette for a disc-shaped information carrier
JP2525060B2 (ja) 光学的に読み取り可能でかつ記録可能なディスク装置を格納する物品
KR200287230Y1 (ko) 디브이디 보관용 케이스
US20070012582A1 (en) Disk protective enclosure
KR200244584Y1 (ko) 디스크 보관 케이스
KR100362366B1 (ko) 디스크수납용어댑터
KR200228208Y1 (ko) 원터치 콤팩트 디스크 케이스
KR200193753Y1 (ko) 광디스크
KR100976481B1 (ko) 디스크의 착탈이 가능한 디스크 카트리지
KR200300927Y1 (ko) 디스크 보관 케이스
JP3686536B2 (ja) 情報記録ディスク用カートリッジ
KR930008502Y1 (ko) 콤팩트 디스크용 카트리지
KR100261470B1 (ko) 양방향 개폐 가능한 셔터를 갖는 카트리지
KR200201820Y1 (ko) 콤팩트 디스크 및 플로피 디스크의 휴대용 케이스
KR100976485B1 (ko) 디스크의 착탈이 가능한 디스크 카트리지
KR200213661Y1 (ko)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케이스
KR100976480B1 (ko) 디스크의 착탈이 가능한 디스크 카트리지
US7761889B2 (en) Disc cartridge protecting member, and disc cartridge
JPH10269737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及びカートリッジアダプタ
JP2005038529A (ja) ディスク用カートリッジ
KR19990017093U (ko) 디스크 보관장치
JP2003020094A (ja) ディスク記録媒体収納ケース
JP2007076707A (ja) 中空容器及びこれを用いて形成されたディスクケース
JP2005129126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5129129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