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692Y1 - 낚시바늘 집 - Google Patents

낚시바늘 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692Y1
KR200286692Y1 KR2020020016120U KR20020016120U KR200286692Y1 KR 200286692 Y1 KR200286692 Y1 KR 200286692Y1 KR 2020020016120 U KR2020020016120 U KR 2020020016120U KR 20020016120 U KR20020016120 U KR 20020016120U KR 200286692 Y1 KR200286692 Y1 KR 2002866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fishing
case
accommodating spac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61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홍선
Original Assignee
장홍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홍선 filed Critical 장홍선
Priority to KR20200200161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6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6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692Y1/ko

Links

Abstract

개선된 낚시바늘 집은, 수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낚시바늘의 굴곡부가 자유로이 이동됨이 없이 걸려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수납공간의 내부에 설치된 바늘걸림 포스트와, 상기 수납공간의 가장자리에 연장 설치되며 줄걸이 홀과 개폐용 걸림돌기가 형성된 제1 분리 플랜지를 가지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의 수납공간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늘걸림 포스트를 내부의 홈으로 수용하며 상기 바늘걸림 포스트에 걸려진 낚시바늘을 눌러주기 위한 누름 턱과, 상기 대칭적으로 형성된 수납공간의 가장자리에 연장 설치되며 개폐용 걸림홈이 형성된 제2 분리 플랜지를 가지는 제2 케이스와; 상기 제1,2 케이스가 상기 제1,2 분리 플랜지의 설치위치에 대향된 측단부를 중심으로 개폐작동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2 케이스의 측단부에 연장설치된 절첩부를 구비함에 의해, 낚시바늘을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수용하며 낚시대 케이스에 일정한 장력을 유지한 채로 탈부착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낚시바늘을 안정하게 내부에 수용하여 낚시바늘의 수명을 보장하고 낚시줄과의 장력을 유지하여 낚시줄의 엉킴도 방지한다.

Description

낚시바늘 집{fish hook case}
본 고안은 낚시바늘 집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낚시바늘을 안전하게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개선된 낚시바늘 집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의 빠른 변화 속에서 살아가는 현대인은 점점 더 많은 스트레스에 쌓이게 되면서 이제는 일 못지 않게 건강과 휴식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으며, 그에 발 맞추어 많은 종류의 스포츠와 레저를 즐기려는 인구가 크게 늘어나고 있는실정이다. 새로운 종류의 스포츠와 레저도 속속 등장하고 있는 가운데, 현대인의 휴식처는 오직 자연 뿐이라는 인식을 하게 되면서 자연 속에서 자연과 함께 즐기는 종류가 주종을 이루고, 사람들도 그러한 레포츠를 더욱 더 선호하게 되었다.
그 중에서 낚시(fishing)는 가장 전통적이며 자연을 가장 깊게 이해할 수 있는 레저중의 하나로서 인식되고 있다. 민물낚시를 즐기는 사람의 95%가 붕어를 낚는다고 보고되고 있는데, 그만큼 붕어낚시는 오랜 세월동안 사람들로부터 사랑을 받아 왔다. 즉, 생존의 차원에서 고기를 잡아왔던 원시시대를 지나서 면면히 이어져온 낚시는 계획농경과 목축으로 식량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된 오늘날에 와서는 재미와 즐거움의 대상으로서 레포츠나 취미의 일환으로 우리의 일상생활속에 깊숙히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
낚시는 낚시바늘을 사용하여 미끼에 유인된 고기를 잡는 것으로, 바다에서 하는 바다낚시와 민물에서 하는 민물낚시로 나뉘어지며, 사용하는 낚시대보다 훨씬 멀리 낚시바늘을 투여할 수 있도록 낚싯줄을 감는 릴을 구비한 릴 낚시와 릴을 구비함이 없이 낚시대에 원줄을 바로 매어 낚시하는 대낚시로 구별된다. 전형적인 대낚시에서 카본이나 그라스 로드 소재로 만들어진 대의 가장 끝 부분에 위치된 초리대에 낚시 원줄이 매어지고 그 원줄의 끝에 봉돌(추)이 달린다. 상기 봉돌의 반대측에는 낚시 바늘이 목줄을 통해 연결된다. 봉돌의 상부와 초리대의 사이에서 낚시 원줄을 통과시키는 찌고무는 낚시 찌의 찌 날라리 부분을 낚시 원줄에 고정시키기 위해 설치된다.
낚시바늘을 단 상태에서 상기 낚시 찌의 부력과 봉돌의 무게가 서로 동일하게 맞춤된 상태를 영점 찌 맞춤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찌 맞춤 상태에서 낚시바늘이 물속에 투여되고 고기가 미끼를 단 바늘을 흡입하면 무중력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찌와 봉돌간의 힘의 균형이 깨어지면서 찌의 찌톱이 수면의 상부로 올라오게 된다. 이 것이 바로 고기의 입질에 의한 통상적인 찌올림 동작인데, 이 시원스럽게 올리는 찌올림의 동작을 특히 야간에 캐미라이트 불빛을 통해 보고 있노라면 환상 그 자체이며, 이를 흔히 찌맛이라고 한다. 찌 올림의 정점에서 사람이 낚시대를 위로 들거나 앞으로 당기면 낚시바늘이 고기의 입에 박히게 되어 고기는 물밖으로 끌려 나오게 된다. 이때 고기는 생존본능의 차원에서 물속에서 몸부림을 치게 되며, 그 저항하는 힘은 낚시대를 잡은 손을 통해 생생하게 전달되는데 사람들은 이 느낌을 손맛이라고 하게된다. 손맛을 느끼게 하면서 잡혀진 고기는 사람의 재량에 따라 물속으로 곧 바로 방면되거나 식탁위에 올려진다.
고행이면서도 즐거운 낚시행위가 위와 같은 손맛을 반복하면서 드디어 끝나게 되면 상기 낚시대는 차례로 한칸씩 접혀져서 천이나 합성비닐로 흔히 제조된 낚시대 집에 넣어지고, 초리대의 상부에 연결된 낚시 원줄은 낚시대 집에 서로 떨어져 설치된 줄걸이 단추들 사이를 왕복하면서 감겨진다. 낚시줄이 모두 감겨지면 목줄에 연결된 낚시바늘이 남는데 이에 대한 처리문제가 낚시인들에게 있어서는 항상 문제로 된다. 즉, 낚시 바늘을 낚시대 집에 푹 꽂아 놓으면 다음에 뺄 때 매우 어렵게 된다. 특히, 미늘이 형성된 낚시바늘의 경우에 있어서 미늘부분을 넘어서 바늘끝이 걸리면 들어가는 것은 쉬운데 빠져 나오는 것은 매우 어렵게 된다. 반대로 이를 염려한 나머지 낚시바늘을 살짝 꽂아 놓으면 낚시를 하기 위한 이동동작 중에바늘이 빠져나와 사람의 피부를 찔러 피가 나오게 하거나 다른 물건에 박혀서 낚시바늘을 결국 잘라내게 한다.
상기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낚시바늘을 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보관하며 바늘이 녹스는 문제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들 중의 하나는 고안자 권동수에 의해 고안되어 1995년 3월 6일자로 대한민국에 등록된 실용신안등록번호 1995-0001395호에 개시되어있다.
상기한 고안에 따른 낚시 바늘 보관 케이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0)의 내부에 수납부(20)가 형성되며, 일측부에는 타측부의 힌지부(400에 의해 절첩되고 개폐작동하도록 결착부(30)를 일체로 형성하되, 전체적으로 물고기 형태를 갖도록 형성한 케이스 본체(10)의 내주면부에는 방청유 도포층(50)을 형성하고, 일측의 주둥이부에는 낚시바늘(60)을 묶고 있는 낚시줄(61)의 삽입요홈(21)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한 낚시바늘 보관 케이스는 낚시바늘을 외부와 격리되게 수납부에 수납하는 장점과 방청유 도포층에 의한 방청작용을 행하는 효과를 가지지만, 내부에 수납된 낚시바늘을 최적으로 보관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낚시바늘 보관 케이스를 낚시대 보관케이스에 결착시 일정한 장력을 가질 수 없는 경우를 발생하게 하며 낚시바늘 보관 케이스가 쉽게 움직일 수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한 종래의 고안에 따른 기술은 낚시바늘 보관 케이스에 수납된 낚시바늘이 쉽게 움직여서 밖으로 빠져 나오지는 않더라도 내부에서 낚시바늘이 쉽게 움직여 낚시 바늘의 끝부분을 무디게 하는 심각한 문제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낚시대 보관 케이스와의 결착이 미흡하여 낚시바늘 보관 케이스가 외부로 쉽게 이탈되거나 보관된 낚시 원줄이 장력을 가지지 못하여 꼬임이 발생될 수 있는 소지가 있다.
따라서, 보다 개량된 낚시바늘 집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낚시바늘 집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낚시바늘을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수용하며 낚시대 케이스에 일정한 장력을 유지한 채로 부착가능한 개선된 낚시바늘 집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낚시바늘을 안정하게 수용하여 낚시바늘의 수명을 보장하고 낚시줄과의 장력을 유지하여 낚시줄의 엉킴도 방지할 수 있는 낚시바늘 집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낚시바늘 집의 구조는,
낚시바늘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낚시바늘의 굴곡부가 상기 수납공간내에 자유로이 이동됨이 없이 걸려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수납공간의 내부에 설치된 바늘걸림 포스트와, 상기 수납공간의 가장자리에 연장 설치되며 줄걸이 홀과 개폐용 걸림돌기가 형성된 제1 분리 플랜지를 가지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의 수납공간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늘걸림 포스트를 내부의 홈으로 수용하며 상기 바늘걸림 포스트에 걸려진 낚시바늘을 눌러주기 위한 누름 턱과, 상기 대칭적으로 형성된 수납공간의 가장자리에 연장 설치되며 개폐용 걸림홈이 형성된 제2 분리 플랜지를 가지는 제2 케이스와;
상기 제1,2 케이스가 상기 제1,2 분리 플랜지의 설치위치에 대향된 측단부를 중심으로 개폐작동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2 케이스의 측단부에 연장설치된 절첩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낚시바늘 집의 구조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바늘 집의 구조도
도 3은 도 2의 측면 및 평면형상을 보인 도면
도 4는 도 2의 낚시바늘 집에 낚시바늘이 수용된 형상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확장된 실시 예에 따른 낚시바늘 집의 구조도
도 6은 도 2의 낚시바늘 집이 낚시대 케이스에 장착된 예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바늘 집의 구조 및 사용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바늘 집의 구조를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측면 및 평면형상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낚시바늘 집(90)은 편의상 하부 케이스로 되어 있는 제1 케이스(101)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에 위치된 제2 케이스(100)와, 상기 제1,2 케이스(101,100)가 개폐작동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2 케이스의 측단부에 연장설치되는 절첩부(10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케이스(101)는, 낚시바늘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102)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낚시바늘의 굴곡부가 상기 수납공간(102)내에 자유로이 이동됨이 없이 걸려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수납공간(102)의 내부에 설치된 바늘걸림 포스트(103)와, 상기 수납공간(102)의 가장자리의 일단에 연장 설치되며 줄걸이 홀(115,116)과 개폐용 걸림돌기(108)가 형성된 제1 분리 플랜지(117)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케이스(100)는, 상기 제1 케이스(1001)의 수납공간(102)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수납공간(118)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늘걸림 포스트(103)를 내부의 홈(104-1)으로 수용하며 상기 바늘걸림 포스트(103)에 걸려진 낚시바늘을 눌러주기 위한 누름 턱(104)과, 상기 대칭적으로 형성된 수납공간(118)의 가장자리에 연장 설치되며 개폐용 걸림홈(114)이 형성된 제2 분리 플랜지(109)를 포함한다.
상기 절첩부(105)는 상기 제1,2 케이스(101,100)가 상기 제1,2 분리 플랜지(117,109)의 설치위치에 대향된 측단부를 중심으로 개폐작동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2 케이스(101,100)의 측단부에 연장설치된다.
상기 절첩부(105)에는 개폐용 걸림돌기홈(106)가 확실한 개폐동작을 보장하기 위해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이에 대응하여 걸림홈이 설치된다. 상기 바늘걸림 포스트(103)는 바늘이 쉽게 이탈되지 못하도록 외주가 오목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줄걸이 홀(115,116)에는 낚시바늘 집을 낚시대 케이스에 탄성적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줄걸이가 끼워지고, 줄걸이 홀(116)의 대향방향에서 줄걸이가 끼워질 수 있게 제공된다. 상기 낚시바늘 집(90)의 꼬리부에 형성된 통과 개구(110,110-1)를 통해 낚시줄이나 목줄은 외부와 연결되어진다.
상기 도 2의 낚시바늘 집(90)에 대한 평면 및 측면의 구조는 도 3을 참조시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3에서는 도 2에 대응되는 부분이 동일한 참조부호로서 나타나 있다.
도 3에서 보여지는 낚시바늘 집의 외관구조는 전형적인 물고기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4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 2의 낚시바늘 집(90)에 낚시바늘(112)이 수용된 형상을 보인 도면으로서, 목줄(111)에 묶여진 낚시바늘(112)의 굴곡부(107)가 상기 바늘걸림 포스트(103)에 걸려있고, 목줄(111)은 통과 개구(110)를 통해 외부와 연결되어 있는 것이 보여진다. 상기 목줄(111)은 더 연장되어 미도시된 봉돌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봉돌은 낚시대의 초리대에 연결된 낚시원줄과 이어져 있다. 먼저, 낚시를 끝내고 이동시에 사용자는 낚시바늘을 보관하기 위해, 상부 케이스인 제2 케이스(100)의 제2 분리 플랜지(109)를 잡고 상부로 제낀다. 이에 따라, 개폐용 걸림 홈(114)이 하부케이스(101)의 개폐용 걸림돌기(108)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절첩부(105)를 축으로 상기 하부 및 상부 케이스들(101,100)의 제1,2 분리 플랜지(109,117)들은 서로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바늘걸림 포스트(103)가 노출되면, 사용자는 목줄(111)에 묶여진 낚시바늘(112)의 굴곡부(107)가 상기 바늘걸림 포스트(103)의 외주에 걸리도록 낚시바늘(112)을 잡아건다. 이때, 목줄(111)은 통과 개구(110)를 통해 외부로 빠지도록 줄정리를 한다. 만약, 상기 개구(110)가 미형성된 경우에도 낚시줄은 꼬리부분에서 압착되면서 외부로 빠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나서, 상기 상부 케이스, 즉 제2 케이스(100)의 제2 분리 플랜지(109)를 하부 케이스(101)가 있는 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절첩부(105)를 축으로 개폐용 걸림 홈(114)이 하부케이스(101)의 개폐용 걸림돌기(108)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 및 상부 케이스들(101,100)의 제1,2 분리 플랜지(109,117)들은 서로 맞닿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낚시바늘 집은 닫혀진 상태가 되며, 상기 바늘걸림 포스트(103)에 걸려진 낚시바늘(112)은 상기 누름 턱(104)에 의해 일정한 힘으로 눌려져 있게된다. 결국, 낚시바늘(112)은 외부의 충격이 있더라도 내부의 수납공간에서 자유자재로 이동됨이 없이 비교적 견고하게 상기 바늘걸림 포스트(103)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바늘끝의 손상이 없거나 무디어지는 것이 최소화된다.
줄걸이 홀들(115, 116,119)에 설치되는 줄걸이(113)는 고무재질을 내포한 끈으로 이루어져 상기 낚시바늘 집(90)이 낚시대 케이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5를 참조시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확장된 실시 예에 따른 낚시바늘 집의 구조도로서, 바늘허리 가이드 유닛(122)이 더 추가된 것을 제외하면, 상기 도 2의 낚시바늘 집 구조와 동일함을 알 수 있다. 상기 바늘 허리 가이드 유닛(122)은 상기 바늘걸림 포스트(103)에 낚시바늘(112)이 걸려질 때 바늘허리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바늘 허리 가이드 유닛(122)에 의해 형성되는 홈부분에 바늘허리가 삽입된다. 상기 상기 바늘 허리 가이드 유닛(122)의 추가설치에 의해 상기 낚시바늘은 더욱 더 안정하게 집 내부에 수용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도 2의 낚시바늘 집이 낚시대 케이스에 장착된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4에서 보여지는 줄걸이 홀들(115, 116,119)에 설치되는 줄걸이(113)는 고무재질을 내포한 끈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줄걸이 홀들(116,119)에 설치된 줄걸이는 낚시대 케이스(120)의 길이방향의 직각으로 서로 만나 묶여지거나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줄걸이 홀(115)에 설치된 줄걸이(113)는 상기 낚시대 케이스(120)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된다. 이에 따라, 낚시바늘 집(90)은 낚시줄 감김부(121)에서 일정한 장력을 유지한 채로 상기 낚시대 케이스(120)의 측면에 부착되므로, 이동이나 충격이 있는 상황에서도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도 6의 경우에는 낚시대 케이스의 외부에 낚시바늘 집(90)이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낚시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사용 및 부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낚시바늘을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수용하며 낚시대 케이스에 일정한 장력을 유지한 채로 탈부착가능할 수 있게 되며, 또한 낚시바늘을 안정하게 내부에 수용하여 낚시바늘의 수명을 보장함은 물론 낚시줄과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낚시줄(111)의 엉킴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아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낚시바늘 집 구조에 따르면, 낚시바늘을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수용하며 낚시대 케이스에 일정한 장력을 유지한 채로 탈부착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낚시바늘을 안정하게 내부에 수용하여 낚시바늘의 수명을 보장하고 낚시줄과의 장력을 유지하여 낚시줄의 엉킴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낚시바늘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낚시바늘의 굴곡부가 상기 수납공간내에 자유로이 이동됨이 없이 걸려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수납공간의 내부에 설치된 바늘걸림 포스트와, 상기 수납공간의 가장자리에 연장 설치되며 개폐용 걸림돌기가 형성된 제1 분리 플랜지를 가지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수납공간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대칭적으로 형성된 수납공간의 가장자리에 연장 설치되며 개폐용 걸림홈이 형성된 제2 분리 플랜지를 가지는 상부 케이스와;
    상기 상하부 케이스가 상기 제1,2 분리 플랜지의 설치위치에 대향된 측단부를 중심으로 개폐작동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상하부 케이스의 측단부에 연장설치된 절첩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 집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분리 플랜지에는 상기 낚시바늘 집이 낚시대 케이스에 탄력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줄걸이 홀들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 집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리 플랜지에는 상기 바늘걸림 포스트를 내부의 홈으로 수용하며 상기 바늘걸림 포스트에 걸려진 낚시바늘을 눌러주기 위한 누름 턱을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 집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걸림 포스트는 원형으로 되어 있으며 그 외주는 오목한 형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 집 구조.
  5. 낚시바늘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낚시바늘의 굴곡부가 상기 수납공간내에 자유로이 이동됨이 없이 걸려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수납공간의 내부에 설치된 바늘걸림 포스트와, 상기 수납공간의 가장자리에 연장 설치되며 줄걸이 홀과 개폐용 걸림돌기가 형성된 제1 분리 플랜지를 가지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의 수납공간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늘걸림 포스트를 내부의 홈으로 수용하며 상기 바늘걸림 포스트에 걸려진 낚시바늘을 눌러주기 위한 누름 턱과, 상기 대칭적으로 형성된 수납공간의 가장자리에 연장 설치되며 개폐용 걸림홈이 형성된 제2 분리 플랜지를 가지는 제2 케이스와;
    상기 제1,2 케이스가 상기 제1,2 분리 플랜지의 설치위치에 대향된 측단부를중심으로 개폐작동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2 케이스의 측단부에 연장설치된 절첩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 집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걸림 포스트의 근방에는 상기 바늘걸림 포스트에 낚시바늘이 걸려질 때 바늘허리를 수용하기 위한 바늘 허리 가이드 유닛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 집 구조.
KR2020020016120U 2002-05-27 2002-05-27 낚시바늘 집 KR2002866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120U KR200286692Y1 (ko) 2002-05-27 2002-05-27 낚시바늘 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120U KR200286692Y1 (ko) 2002-05-27 2002-05-27 낚시바늘 집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9218A Division KR100431240B1 (ko) 2002-05-27 2002-05-27 낚시바늘 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692Y1 true KR200286692Y1 (ko) 2002-08-22

Family

ID=73123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120U KR200286692Y1 (ko) 2002-05-27 2002-05-27 낚시바늘 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6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030Y1 (ko) 2016-06-10 2017-11-20 양재영 길이조절 낚시 바늘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030Y1 (ko) 2016-06-10 2017-11-20 양재영 길이조절 낚시 바늘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1240B1 (ko) 낚시바늘 집
US9253966B2 (en) Fishing lure
US20160037760A1 (en) Fishing lure containment device
US2014517A (en) Fishing device
US20190098881A1 (en) Fish trap with buoy-activated net
US20090113783A1 (en) Fishing aid
US20200000073A1 (en) Modular chambered leader fishing lure
US7627980B2 (en) Snell holding and storing device
KR101731229B1 (ko) 쭈꾸미 포획용 어구
US5005310A (en) Floating tip-up fishing rig
US20140259869A1 (en) Fishing jig attachment systen
US3778918A (en) Downrigger release for fishing
US10327434B1 (en) Remotely operable latch for a pulley-type endless halyard
US7363743B2 (en) Safety bobber
US20070277424A1 (en) Fish Set Line
KR200286692Y1 (ko) 낚시바늘 집
KR101926313B1 (ko) 자동 발사 작살이 설치된 낚시 보조장치
US5068995A (en) Floating tip-up fishing rig with swivel fishing bobbin
US20090100740A1 (en) Triangular shaped cedar plug fishing lure and method
KR200447474Y1 (ko) 인조미끼
AU2015243436B2 (en) Modular chambered leader fishing lure
CN108703117B (zh) 一种钓鱼竿
US20110214334A1 (en) Artificial Bait Trailer Retainer
US3036397A (en) Combined fishhook retriever and float
US11344018B1 (en) Fish retrieva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123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