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690Y1 - 동력분무기의 압력조정밸브 - Google Patents

동력분무기의 압력조정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690Y1
KR200286690Y1 KR2020020016097U KR20020016097U KR200286690Y1 KR 200286690 Y1 KR200286690 Y1 KR 200286690Y1 KR 2020020016097 U KR2020020016097 U KR 2020020016097U KR 20020016097 U KR20020016097 U KR 20020016097U KR 200286690 Y1 KR200286690 Y1 KR 2002866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hamber
valve
discharge chamb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60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수
Original Assignee
김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수 filed Critical 김동수
Priority to KR20200200160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6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6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690Y1/ko

Links

Landscapes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동력분무기의 압력조정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분무기를 사용하는 중에 작업자가 그의 필요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분무작업을 중지하기 위해 토출구를 잠그게되면 토출구에서 분무기의 분사헤드로 작동하는 압력이 역행하여 약액탱크로 되돌아가서 저압으로 가동되고 분무작업을 재개하면 정상적인 압력으로 분무압이 작동하여 분무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압력조정관(1)의 압력공급실(100)의 주벽에 통공(102)이 있는 밸브외통(101)을 고정하고 밸브외통 내부에 코일스프링(103)에 의하여 위로 탄발되는 내통밸브(104)를 수직으로 승강되게 끼워서 상단 개폐부(105)가 압력공급실(100)의 상단 구획부(106)의 통공(107)에 밀착되게하고 압력공급실 상측에 압력배출실(108)을 형성하여 압력배출실내에는 조정봉(2)을 삽입하여 그 하단 연결봉(201)이 내통밸브(104)의 개폐부(105)를 가압할 수 있게하며 조정봉(2)의 상단 나사부(202)를 압력조정관(1)의 상단으로 돌출시켜 조정너트(203)를 나사결합한 후 조정너트 내측과 압력조정관(1) 사이에 코일스프링(3)을 장치하고 압력공급실(100)과 압력배출실(108)의 경계부에 있는 구획부(106) 상측에 배출관(4)을 형성하여 일정압을 유지할 수 있게하며 압력공급실(100)에서 측방으로 형성된 토출실(5)과의 연통공(501)에 역지밸브(6)를 장치하고 토출실 상부에 압력 해소실(7)를 형성하여 그 통공부(701)위에 피스톤 밸브(702)를 장치하여 상단을 밀폐하고 압력해소실(7)의 상부와 압력배출실(108) 사이에 연통공(703)을 형성하여압력해소실과 압력배출실에 기름을 충만시키고 토출실 출구에 개폐밸브(502)를 부착하여 분무용 호스를 접속하므로서 압력공급실을 통해 펌프(8)의 압력으로 약제를 분사할 수 있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원 고안은 사용이 편리하고 모우터의 에너지 소모가 적은 고압분무기를 얻게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동력분무기의 압력조정밸브{Pressure control valve of power sprayer}
본 고안은 동력분무기의 압력조정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분무기를 사용하는 중에 작업자가 그의 필요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분무작업을 중지하기 위해 토출구를 잠그게되면 토출구에서 분무기의 분사헤드로 작동하는 압력이 역행하여 약액탱크로 되돌아가서 저압으로 가동되고 분무작업을 재개하면 정상적인 압력으로 분무압이 분리되어 분무작업을 속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력분무기는 송출구의 상부 일측에 압력조정밸브를 장치하여 분무기의 안전과 분무 압력을 조정하도록 두개이상의 조정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장치는 동력분무기의 분무작업을 일시중지하기 위해 토출구를 잠그게되면 흡입약액이 모두 약액탱크로 되돌림됨과 동시에 압력이 높아져서 불필요한 동력이 소요될 뿐 아니라 호스등이 파열되는 등의 현상이 생기므로 이를 조정하는 별도의 밸브를 열고 닫는 수단으로 고압을 해소시켜서 분무작업을 중지하거나분무작업을 재개해야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부파절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작동상태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조정밸브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압력조정관 100 : 압력공급실
101 : 밸브외통 102 : 통공
103 : 코일스프링 104 : 내통밸브
105 : 개폐부 106 : 구획부
107 : 통공 108 : 압력배출실
2 : 조정봉 201 : 연결봉
202 : 나사부 203 : 조정너트
4 : 배출관 5 : 토출실
501 : 연통공 502 : 개폐밸브
6 : 역지밸브 7 : 압력해소실
701 : 통공부 702 : 피스톤 밸브
703 : 연통공 8 : 고압펌프
압력조정관(1)의 압력공급실(100)의 주벽에 통공(102)이 있는 밸브외통(101)을 고정하고 밸브외통 내부에 코일스프링(103)에 의하여 위로 탄발되는 내통밸브(104)를 수직으로 승강되게 끼워서 상단 개폐부(105)가 압력공급실(100)의 상단 구획부(106)의 통공(107)에 밀착되게하고 압력공급실 상측에 압력배출실(108)을 형성하여 압력배출실내에는 조정봉(2)을 삽입하여 그 하단 연결봉(201)이 내통밸브(104)의 개폐부(105)를 가압할 수 있게하며 조정봉(2)의 상단 나사부(202)를 압력조정관(1)의 상단으로 돌출시켜 조정너트(203)를 나사결합한 후 조정너트 내측과 압력조정관(1) 사이에 코일스프링(3)을 장치하고 압력공급실(100)과 압력배출실(108)의 경계부에 있는 구획부(106) 상측에 배출관(4)을 형성하여 일정압력을 유지할 수 있게하며 압력공급실(100)에서 측방으로 형성된 토출실(5)과의 연통공(501)에 역지밸브(6)를 장치하고 토출실 상부에 압력 해소실(7)를 형성하여 그 통공부(701)위에 피스톤 밸브(702)를 장치하여 상단을 밀폐하고 압력해소실(7)의 상부와 압력배출실(108) 사이에 연통공(703)을 형성하여 압력해소실과 압력배출실에 기름을 충만시키고 토출실 출구에 개폐밸브(502)를 부착하여 분무용 호스를 접속하므로서 압력공급실을 통해 고압펌프(8)의 압력으로 약제를 분무할 수 있게한 구성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압력조정관의 조정봉(2)이 일정위치로 상향되게 스프링을 조정하여 구획부(106)의 통공(107)을 내통밸브(104)의 개폐부(105)가 막은 상태가 되도록 준비한 상태에서 고압펌프의 압력이 압력공급실(100)로 공급되게하여 분무용 호스의 밸브를 열어 토출실의 압력이 분무용 호스로 배출되게하면 토출실(5)로 작용하는 압력이 역지밸브(6)를 열고 분무기 호스로 압력을 보내 분무기의 헤드로 분무가 이루어지게되어 일정압으로 분무작업이 가능케된다.
그러나 분무작업중에 일시로 분무작업을 중지하기 위해 밸브(502)를 잠그게되면 토출실에 작용하는 압력이 갑자기 높아져서 피스톤(702)를 밀어올려 압력해소실의 압력을 높이기 때문에 그 압력이 연통공(703)을 통해 압력해소실(108)에 작용하여 조정봉(2)을 하강시켜 구획부의 통공(107)에 밀착된 개폐부(105)를 하향으로 밀어 통공(107)을 개방시켜 압력공급실(100)의 압력이 압력배출실(108)로 배출되게되고 이어서 배출관(4)으로 배출되어 약액탱크로 가게되므로 압력공급실에 공급된 약액이 배출관(4)에서 약액통으로 되돌아가는 역류가 일어나게된다.
이로인하여 토출실(5)에 작용하는 압력은 상용압으로 유지하게되며 과부하가 발생하지 않게되므로 고압펌프를 구동시키는 모터에 동력부담이 적게되고 다시 분무작업을 재개하면 토출실(5)의 압력이 낮아지므로 코일스프링(103)이 개폐부(105)를 상승시켜 구획부의 통공(107)을 닫아주기 때문에 전과같은 압력으로 분무작업이재개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압력조정기는 한번 조정한 압력조정이 자동으로 달성되고 이로인해 별도의 압력조정장치를 부가하지 않아도되므로 사용이 간편한 동력분무기의 압력조정장치를 얻게되는 이점이 있으며 압력해소실(7)과 압력배출실(108)에 기름을 채워 상호연통시켰기 때문에 압력조정을 민감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유막형성으로 약액이 압력해소실과 압력배출실에 혼합되는 것을 적극적으로 방지하여 작동의 신뢰성은 높힐 수 있는 이점을 얻는 것이다.

Claims (1)

  1. 압력조정관(1)의 압력공급실(100)의 주벽에 통공(102)이 있는 밸브외통(101)을 고정하고 밸브외통 내부에 코일스프링(103)에 의하여 위로 탄발되는 내통밸브(104)를 수직으로 승강되게 끼워서 상단 개폐부(105)가 압력공급실(100)의 상단 구획부(106)의 통공(107)에 밀착되게하고 압력공급실 상측에 압력배출실(108)을 형성하여 압력배출실내에는 조정봉(2)을 삽입하여 그 하단 연결봉(201)이 내통밸브(104)의 개폐부(105)를 가압할 수 있게하며 조정봉(2)의 상단 나사부(202)를 압력조정관(1)의 상단으로 돌출시켜 조정너트(203)를 나사결합한 후 조정너트 내측과 압력조정관(1) 사이에 코일스프링(3)을 장치하고 압력공급실(100)과 압력배출실(108)의 경계부에 있는 구획부(106) 상측에 배출관(4)을 형성하여 일정압을 유지할 수 있게하며 압력공급실(100)에서 측방으로 형성된 토출실(5)과의 연통공(501)에 역지밸브(6)를 장치하고 토출실 상부에 압력 해소실(7)를 형성하여 그 통공부(701)위에 피스톤 밸브(702)를 장치하여 상단을 밀폐하고 압력해소실(7)의 상부와 압력배출실(108) 사이에 연통공(703)을 형성하여 압력해소실과 압력배출실에 기름을 충만시키고 토출실 출구에 개폐밸브(502)를 부착하여 분무용 호스를 접속케한 동력분무기의 압력조정밸브.
KR2020020016097U 2002-05-27 2002-05-27 동력분무기의 압력조정밸브 KR2002866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097U KR200286690Y1 (ko) 2002-05-27 2002-05-27 동력분무기의 압력조정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097U KR200286690Y1 (ko) 2002-05-27 2002-05-27 동력분무기의 압력조정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690Y1 true KR200286690Y1 (ko) 2002-08-22

Family

ID=73123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097U KR200286690Y1 (ko) 2002-05-27 2002-05-27 동력분무기의 압력조정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6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777B1 (ko) 2012-09-12 2014-04-07 코원에너지서비스 주식회사 가스 압력 조절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777B1 (ko) 2012-09-12 2014-04-07 코원에너지서비스 주식회사 가스 압력 조절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6850A (en) Pressure regulating valve
US4022381A (en) Airless spray apparatus
JP2004249243A (ja) 材料供給システム
JPS5920877B2 (ja) 膜ポンプ
US6102127A (en) Temperature controlled valve for drip valves and sprinkler systems
KR200286690Y1 (ko) 동력분무기의 압력조정밸브
JP2004298862A (ja) 材料供給システム
JPH0771633A (ja) 自動バイパス・バルブ
EP1977298B1 (en) Air release valve
US5435469A (en) Pump for compression sprayers
KR200292045Y1 (ko) 동력분무기의 압력조정밸브
US20070246563A1 (en) Method for reducing drip from agricultural sprayer nozzles
KR200300749Y1 (ko) 동력 분무기의 압력 조절장치
KR840000123Y1 (ko) 농약 분무기의 자동 제어장치
KR200317312Y1 (ko) 동력 분무기의 압력 조정밸브
CN220789992U (zh) 一种泡沫盾的膜片保护结构
WO2003050633A8 (en) Improved liquid level controller
KR200338462Y1 (ko) 동력분무기용 자동안전밸브
KR830000631Y1 (ko) 동력 분무기의 압력제어 장치
KR100233158B1 (ko) 동력 분무기의 압력제어 장치
JP2600428Y2 (ja) 液体噴射装置
KR101314318B1 (ko) 동력펌프의 엔진 출력조절장치
US200502694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drip from spray nozzles
JP2550666Y2 (ja) 口腔衛生器のポンプ装置
WO2000016177A1 (en) Pressure regulating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