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540Y1 - 전동장치를 이용한 건설재료 운반용 철도횡단 가시설 구조 - Google Patents

전동장치를 이용한 건설재료 운반용 철도횡단 가시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540Y1
KR200286540Y1 KR2020020015126U KR20020015126U KR200286540Y1 KR 200286540 Y1 KR200286540 Y1 KR 200286540Y1 KR 2020020015126 U KR2020020015126 U KR 2020020015126U KR 20020015126 U KR20020015126 U KR 20020015126U KR 200286540 Y1 KR200286540 Y1 KR 2002865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railroad
construction
steel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1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구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구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구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200151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5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5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540Y1/ko

Links

Landscapes

  • Railway Tracks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동장치를 이용한 건설재료 운반용 철도횡단 가시설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철로위로 건설용 자재를 횡단이동할 수 있도록 강재기둥을 설치하고 강재기둥 상부에 모노레일과 전동 호이스트를 설치하여 건설공사에 사용되는 재료나 부재를 철로 위로 횡단이동 운반하여 철도공사에 사용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전동장치를 이용한 건설재료 운반용 철도횡단 가시설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철로 위를 가로지르며 설치되어 건설 자재를 이동하는데 사용되는 구조물에 있어서, 철로 A와 철로 B의 상부를 가로질러 열차의 운행에 전혀 방해가 없이 건설 자재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전동 장치를 이용하여 작업이 가능한 철도 횡단 가시설 구조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의 철로 A와 철로 B에는, 일측면에 각각 기초 콘크리트부가 타설되고 상기의 기초 콘크리트부의 상부에 각각 강재 기둥이 설치되어 하부에 부착된 사각 플랜지에 고정 앵커를 결합하여 기초 콘크리트부의 상부에 안착시키며, 상기의 강재 기둥에는 수직한 중간부쯤에 앵커 빔이 강재 기둥을 수평하게 지지하도록 설치되고 상기의 강재 기둥에는 제일 상부에 상부 마감각재이 설치되며, 상기의 상부 마감각재에는 폭방향 중간부를 가로지르도록 모노레일 빔이 설치되고 상기의 모노레일 빔에는 하부에 전동장치 호이스트가 설치되어 건설 자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며, 이때 상기의 강재 기둥을 지지하는 앵커 빔에는 상부에 받침빔이 열차의 운행에 방해가 없도록 철로 A와 철로 B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고 상기의 받침빔에는 침목과 레일이 설치되어 철로를 형성시키는 한편, 상기의 레일에는 상부에 이동 바퀴를 매개로 구동되는 자재이동 적재판이 안착되어 철로 A와 철로 B의 상부에서 작동하여 건설 자재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장치를 이용한 건설재료 운반용 철도횡단 가시설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동장치를 이용한 건설재료 운반용 철도횡단 가시설 구조{TEMPORARY ESTABLISHMENT STRUCTURE FOR CROSSING OF RAIL FOR MEMBER TRANSPORT}
본 고안은 전동장치를 이용한 건설재료 운반용 철도횡단 가시설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철로위로 건설용 자재를 횡단이동할 수 있도록 강재기둥을 설치하고 강재기둥 상부에 모노레일과 전동 호이스트를 설치하여 건설공사에 사용되는 재료나 부재를 철로 위로 횡단이동 운반하여 철도공사에 사용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전동장치를 이용한 건설재료 운반용 철도횡단 가시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제까지 우리나라에서는 기존철도 확장공사 및 철로 위로 횡단하는 신설 고가도로의 설치공사시 건설 자재를 운반하기 위하여 철도를 횡단하는 가시설 구조물인 운반도로가 필수적이었다.
그러나, 대부분 철로가 2라인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사람들이 열차가 운행하지 않는 시간대에 건설 자재를 운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므로, 종래의 철도 횡단 작업도로 설치시는 고가교 또는 지상 가도로를 설치하여 작업하는 경우와 열차 운행 시간대를 피하여 작업자들에 의한 작업이 대부분으로 고가교 또는 지상 가도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열차운행에 막대한 위험성이 내재되어 있었고 가시설에 대한 설치비로 막대한 예산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열차 운행 시간대를 피하여 작업자들이 철로를 가로지르며 직접 작업하는 경우에는 항상 안전 사고가 발생될 확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철도횡단 구조물 공사에 사용되는 건설재료 및 부재 운반에 사용되는 전동장치를 이용하여 철로를 횡단시켜 건설공사에 투입되는 운반비를 절감하고 철도의 안전운행을 확보함과 동시에 건설 자재를 운반시 발생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전동장치를 이용한 건설재료 운반용 철도횡단 가시설 구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동장치를 이용한 건설재료 운반용 철도횡단 가시설 구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200': 철로 A,B 210,210': 기초 콘크리트부
220,220': 강재 기둥 230 : 사각 플랜지
240 : 고정 앵커 250,250': 앵커 빔
260,260': 상부마감 각재 270,270': 모노레일 빔
280,280': 전동장치 호이스트 290 : 조정 스위치
300 : 받침빔 310 : 낙석 방지판
400 : 침목 500 : 레일
510 : 스톱부 600 : 자재이동 적재판
610 : 이동 바퀴 700 : 건설 자재
800 : 열차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철로 위를 가로지르며 설치되어 건설 자재를 이동하는데 사용되는 구조물에 있어서, 철로 A와 철로 B의 상부를 가로질러 열차의 운행에 전혀 방해가 없이 건설 자재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전동 장치를 이용하여 작업이 가능한 철도 횡단 가시설 구조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의 철로 A와 철로 B에는, 일측면에 각각 기초 콘크리트부가 타설되고 상기의 기초 콘크리트부의 상부에 각각 강재 기둥이 설치되어 하부에 부착된 사각 플랜지에 고정 앵커를 결합하여 기초 콘크리트부의 상부에 안착시키며, 상기의 강재 기둥에는 수직한 중간부쯤에 앵커 빔이 강재 기둥을 수평하게 지지하도록 설치되고 상기의 강재 기둥에는 제일 상부에 상부 마감각재이 설치되며, 상기의 상부 마감각재에는 폭방향 중간부를 가로지르도록 모노레일 빔이 설치되고 상기의 모노레일 빔에는 하부에 전동장치 호이스트가 설치되어 건설 자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며, 이때 상기의 강재 기둥을 지지하는 앵커 빔에는 상부에 받침빔이 열차의 운행에 방해가없도록 철로 A와 철로 B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고 상기의 받침빔에는 침목과 레일이 설치되어 철로를 형성시키는 한편, 상기의 레일에는 상부에 이동 바퀴를 매개로 구동되는 자재이동 적재판이 안착되어 철로 A와 철로 B의 상부에서 작동하여 건설 자재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장치를 이용한 건설재료 운반용 철도횡단 가시설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동장치를 이용한 건설재료 운반용 철도횡단 가시설 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철로 A(200)와 철로 B(200')를 가로질러 건설 자재를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의 철로 A(200)와 철로 B(200')의 측면에 각각 기초 콘크리트부(210)(210')가 설치되고 상기의 기초 콘크리트부(210)(210')에는 상부에 직사각형 형태로 강재 기둥(220)(220')이 6개가 입설되며, 이때 상기의 강재 기둥(220)(220')에는 하부에 사각 플랜지(230)가 형성되어 기초 콘크리트부(210)(210')의 상부에 고정 앵커(240)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의 강재 기둥(220)(220')에는 중간부에 앵커 빔(250)(250')이 수평하게 설치되고 상기의 강재 기둥(220)(220')에는 제일 상부에 상부 마감각재(260)(260')가 설치되며, 상기의 상부 마감각재(260)(260')에는 하측에 모노레일 빔(270)(270')이 설치되어 전동장치 호이스트(280)(280')가 모노레일 빔(270)(270')의 하측에서 작동되게 된다.
즉, 상기의 철로 A(200)와 철로 B(200')에는 측면에 기초콘크리트부(210)(210'), 강재 기둥(220)(220'), 앵커 빔(250)(250'), 상부 마감각재(260)(260'), 모노레일 빔(270)(270') 및 전동장치 호이스트(280)(280')가 동일한 구조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의 철로 A(200)와 철로 B(200')에는 강재 기둥(220)(220')의 높이방향의 중간부쯤에 설치된 앵커 빔(250)(250')의 상부에 받침빔(300)이 철로 A(200)와 철로 B(200')를 상부에서 가로지르는 구조로 열차(800)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는 구조로 설치되는 한편, 상기의 받침빔(300)에는 철로 구조와 마찬가지로 상부에 침목(400)과 레일(500)이 설치된다.
상기의 레일(500)에는 상부에 이동 바퀴(610)를 매개로 구동되는 자재이동 적재판(600)이 안착되고, 상기의 레일(500)에는 끝에 자재이동 적재판(600)이 이동 바퀴(610)에 의해 레일(500)에서 작동하는 경우 레일(500)의 상부에서 이동 바퀴(610)가 이탈되지 않도록 스톱부(510)를 설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의 전동장치 호이스트(280)(280')에는 각각 조정 스위치(290)가 결합되어 작업자들은 조정 스위치(290)를 작동하여 건설 자재(700)를 기초 콘크리트부(210)(210')에서 자재이동 적재판(600)으로 이동시키거나 자재이동 적재판(600)에서 기초 콘크리트부(210)(210')의 상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로서, 상기의 양측에 설치된 강재 기둥(220)(220')의 중간부를 가로지르는 받침빔(300)에는 그 사이에 낙석 방지판(310)이 설치되어 모노레일 빔(270)(270')에 결합된 전동장치 호이스트(280)(280')가 작동될 때 건설 자재(700)가 전동장치 호이스트(280)(280')에서 낙하된 경우 건설 자재(700)가 레일(500)과 침목(400)을 통하여 받침빔(300)의 하부로 낙하되는 문제점을 최대한 방지하게 된다.
상술한 설명과 같이, 철로 A(200)에서 철로 B(200')를 가로질러 건설 자재(700)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철로를 통행하는 열차(800)의 통제없이도 건설 자재(70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데, 상기의 철로 A(200)의 기초 콘크리트부(210)의 상부에 적재된 건설 자재(700)를 전동장치 호이스트(280)를 작동하여 자재이동 적재판(600)의 상부에 적재시킨 레일(500)을 통하여 반대편 철로 B(200')의 상부로 운반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의 철로 B(200')의 상부에 자재이동 적재판(600)이 이동된 후 강재 기둥(220')의 상부에 설치된 전동장치 호이스트(280')를 이용하여 철로 B(200')의 기초 콘크리트부(210')의 상부에 하차시키게 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 상태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전동장치를 이용한 건설재료 운반용 철도횡단 가시설 구조는, 건설 자재를 철로 A에서 철로 B를 횡단하여 이동시킬 때 열차에 대한 통제없이도 간단하게 전동 장치를 이용하여 건설 자재 및 부재를 운반시킬 수 있는 한편, 철도의 안전 운행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철로 위를 가로지르며 설치되어 건설 자재를 이동하는데 사용되는 구조물에 있어서,
    철로 A(200)와 철로 B(200')의 상부를 가로질러 열차의 운행에 전혀 방해가 없이 건설 자재(70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전동 장치를 이용하여 작업이 가능한 철도 횡단 가시설 구조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의 철로 A(200)와 철로 B(200')에는, 일측면에 각각 기초 콘크리트부(210)(210')가 타설되고 상기의 기초 콘크리트부(210)(210')의 상부에 각각 강재 기둥(220)(220')이 설치되어 하부에 부착된 사각 플랜지(230)에 고정 앵커(240)를 결합하여 기초 콘크리트부(210)(210')의 상부에 안착시키며,
    상기의 강재 기둥(220)(220')에는 수직한 중간부쯤에 앵커 빔(250)(250')이 강재 기둥(220)(220')을 수평하게 지지하도록 설치되고 상기의 강재 기둥(220)(220')에는 제일 상부에 상부 마감각재(260)(260')이 설치되며, 상기의 상부 마감각재(260)(260')에는 폭방향 중간부를 가로지르도록 모노레일 빔(270)(270')이 설치되고 상기의 모노레일 빔(270)(270')에는 하부에 전동장치 호이스트(280)(280')가 설치되어 조정 스위치(290)의 작동에 의해 전동장치 호이스트(280)(280')가 상,하로 이동되며 건설 자재(700)를 위치이동시키며,
    이때 상기의 강재 기둥(220)(220')을 지지하는 앵커 빔(250)(250')에는 상부에 받침빔(300)이 열차(800)의 운행에 방해가 없도록 철로 A(200)와 철로 B(200')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고 상기의 받침빔(300)에는 침목(400)과 레일(500)이 설치되어 철로를 형성시키는 한편,
    상기의 레일(500)에는 양측에 스톱부(510)가 설치되고 상부에 이동 바퀴(610)를 매개로 구동되는 자재이동 적재판(600)이 안착되어 철로 A(200)와 철로 B(200')의 상부에서 작동하여 건설 자재(70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장치를 이용한 건설재료 운반용 철도횡단 가시설 구조.
KR2020020015126U 2002-05-17 2002-05-17 전동장치를 이용한 건설재료 운반용 철도횡단 가시설 구조 KR2002865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126U KR200286540Y1 (ko) 2002-05-17 2002-05-17 전동장치를 이용한 건설재료 운반용 철도횡단 가시설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126U KR200286540Y1 (ko) 2002-05-17 2002-05-17 전동장치를 이용한 건설재료 운반용 철도횡단 가시설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540Y1 true KR200286540Y1 (ko) 2002-08-21

Family

ID=73123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126U KR200286540Y1 (ko) 2002-05-17 2002-05-17 전동장치를 이용한 건설재료 운반용 철도횡단 가시설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54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48896A1 (en) Support for a panel of a section of guided transport track
JPH10250576A (ja) 車両脱線時の転倒防止装置
CN110723692A (zh) 一种用于边坡施工的移动式操作平台
CN213328698U (zh) 一种高速铁路桥面系预制件安装设备
KR100863734B1 (ko) 자기부상열차용 궤도 구조물
CN108638297A (zh) 用于单轨轨道梁模板的纵移小车、调节组件及使用方法
KR101023310B1 (ko) 자기부상열차용 궤도 구조물에서의 가이드레일 위치 조절장치
JPH0959930A (ja) 橋桁架設方法及びその装置
WO2011120186A1 (zh) 客运磁浮交通线路的轨道系统
JP2000230205A (ja) 高架軌道施工方法および装置
JP2007182728A (ja) 橋梁の施工方法および橋梁の側床版取付装置
KR200286540Y1 (ko) 전동장치를 이용한 건설재료 운반용 철도횡단 가시설 구조
JP2003239204A (ja) 鉄道車両車輪復線装置、及び鉄道車両車輪の復線方法
JP2005163264A (ja) 鉄道車両用軌道
KR101774510B1 (ko) 철도공사용 호이스트 연결장치
JP3991067B1 (ja) 鉄道ホーム間仮設橋
JP2008303537A (ja) プレキャスト床版の運搬方法
JP2005232922A (ja) 路面電車の軌道スラブ版及びその施工方法
GB2348410A (en) Hanging railway system
JP2021173051A (ja) 高架橋構築工法及び高架橋構築装置
WO2017061596A1 (ja) 軌道、走行路形成部、軌道の敷設方法、及び軌道のメンテナンス方法
KR100575493B1 (ko) 철도 선로 또는 이와 같은 종류의 것을 위한 고가도로
CN109080647A (zh) 轨道车及轨道车系统
CN219326511U (zh) 一种固定式十字交叉轨道装置
JP2004346735A (ja) リニア電動モータにより動力供給される磁気浮上輸送システム用のトラックを備えた構造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