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498Y1 - 곤돌라용 동력전달장치 - Google Patents

곤돌라용 동력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498Y1
KR200286498Y1 KR2020020013197U KR20020013197U KR200286498Y1 KR 200286498 Y1 KR200286498 Y1 KR 200286498Y1 KR 2020020013197 U KR2020020013197 U KR 2020020013197U KR 20020013197 U KR20020013197 U KR 20020013197U KR 200286498 Y1 KR200286498 Y1 KR 2002864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gondola
power transmission
pinion shaft
c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1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성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성산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성산전
Priority to KR20200200131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4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4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498Y1/ko

Links

Landscapes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설현장 등에서 쓰이는 곤도라와 건설 및 가설 등과 같이 저속으로 권양하는 권양기 케이블의 동력전달장치를 유니버셜 모터를 이용하여 토크가 크고 직류전원 또는 교류전원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특히, 3상 교류전원이 없는 장소에서 곤돌라 이동과 전선 및 케이블 가설 작업등을 할 수 있는 곤돌라용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권양기의 동력전달부에 설치된 제1피니언샤프트의 결합홀에 출력축을 결합시켜 사용자의 의도대로 이동이 용이하고 전압의 극성이 바뀌어도 동일한 회전방향을 출력하며, 시동 시 큰 토크를 출력하는 유니버셜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구성 요소가 타 곤돌라에 비해 간단하므로 설치 시 그 비용이 매우 저렴하게 되고, 전원(교류전원, 직류전원)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전압의 극성이 바뀌어도 회전방향은 동일하면서 일정하게 유지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유니버셜모터를 사용함으로 시동 시 큰 토크를 얻을 수 있으므로 같은 용량의 권양기에 비해 많은 짐을 싣고도 매우 부드럽게 작동되며, 고속 회전이 쉽게 얻어짐으로 사용자가 의도하는 대로 원활하게 작동되는 효과 또한 있다.

Description

곤돌라용 동력전달장치{The power generator for gondola}
본 고안은 권양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현장 등에서 쓰이는 곤돌라와 건설 및 가설 등과 같이 저속으로 권양하는 권양기 케이블의 동력전달장치를 유니버셜 모터를 이용하여 토크가 크고 직류전원 또는 교류전원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특히, 3상 교류전원이 없는 장소에서 곤돌라 이동과 전선 및 케이블 가설 작업등을 할 수 있는 곤돌라용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일반적으로 곤돌라는 운반물 이송할 수 있는 케이지(Cage)와, 상기 케이지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권양기(捲楊機)와, 상기 권양기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케이지와, 상기 케이지를 이동시키기 위한 권양기의 회전바퀴에 걸리는 와이어로프로 구성된다.
공사장에서 사용되는 동력전달장치는 큰 토크를 필요로 하게되는데 이는 무거운 짐을 곤돌라에 싣고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용이하게 위한 것이나, 현재 공사장에서 사용되는 곤돌라는 큰 토크를 제대로 출력하지 못하므로 필요한 용량보다 더 큰 곤돌라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필요한 용량보다 큰 곤돌라를 설치하게 되어 불필요한 비용이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곤돌라에 무게가 실려 있지 않을 시에는 빠른 이동이 용이하게 되어야 하는 데 큰 출력되는 반면에 그 이동속도는 상당히 느리게 이동됨으로 사용자의 의도대로 곤돌라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필요한 용량만큼의 엘리베이터를 설치함으로 불필요한 비용을 절감하면서 사용자의 의도대로 그 이동이 용이할 수 있도록 고속 회전이 쉽게 얻어지면서 직류 또는 교류의 전원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사용할 수 있는 곤돌라용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고속 회전이 용이하게 얻어지면서 엘리베이터에 무게가 실려 있을 시에는 큰 토크를 출력하여 그 이동방향에 따라 용이하게 작동될 수 있고, 전압의 극성이 바뀌어도 회전방향은 동일한 권양기용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운반물 또는 사람이 탑승할 수 있는 케이지(Cage)와, 상기 케이지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권양기와, 권양기의 회전바퀴에 걸리는 와이어로프로 구성된 권양기용 동력전달 장치에 있어서,
권양기의 동력전달부에 설치된 제1피니언 샤프트의 결합홀에 출력축을 결합시켜 상기 동력전달부에 동력을 전달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의도대로 이동이 용이하고 전압의 극성이 바뀌어도 동일한 회전방향을 출력하며, 시동 시 큰 토크를 출력하는 유니버셜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돌라용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곤돌라용 동력전달장치의 요부를 요부확대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곤도라용 동력전달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권양기 110 : 유니버셜모터
111 : 케이스 112 : 출력축
200 : 동력전달부 210 : 제1하우징
211 : 제2하우징 212 : 커버
220 : 제1피니언 샤프트 221 : 결합홀
230 : 제2피니언 샤프트 231 : 제1기어
240 : 제3피니언 샤프트 241 : 제2기어
250 : 제4피니언 샤프트 251 : 제3기어
260 : 인터날기어 270 : 시브(Sheave)
280 : 텐션부 300 : 케이지
310 : 제1브래킷 320 : 제2브래킷
400 : 가이드레일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곤돌라용 동력전달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곤돌라용 동력전달장치의 요부를 요부확대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곤도라용 동력전달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운반물을 이송할 수 있는 케이지(Cage)와, 상기 케이지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권양기와, 권양기의 회전바퀴에 걸리는 와이어로프로 구성된 권양기용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양기(100)는 상기 케이지(300)의 상부에 제1브래킷(310)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권양기(100) 중 동력전달부(200)는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11)이 구비되고, 상기 제2하우징(211)의 일측에는 커버(212)가 설치되며, 상기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11)의 내측에 중앙에 제1피니언 샤프트(220)가 설치되고, 상기 제1피니언 샤프트(220)의 일측에는 기어가 형성된다.
상기 제1피니언 샤프트(220)에 설치된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동력을 전달하는 제1기어(231)를 갖는 제2피니언 샤프트(230)가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11)의 도면상 하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피니언 샤프트(230)의 일측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미도시)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피니언 샤프트(230)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제2기어(241)가 설치된 제3피니언 샤프트(240)이 상기 커버(212)와 상기 제2항우징(211)에 걸쳐서 설치된다. 상기 제3피니언 샤프트(240)에는 상기 제1피니언 샤프트(220)에 일체로 형성된 기어와 동일하게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3피니언 샤프트(240)가 회전할 시에 이와 연동하면서 동력을 전달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하우징(211)의 내측 도면상 상부에는 상기 제3피니언 샤프트(240)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제3기어(251)가 설치된 제4피니언 샤프트(250)가 구비되고, 상기 제4피니언 샤프트(250)의 일측에는 상기 제1, 제3 피니언 샤프트(220, 240)와 동일하게 기어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4피니언 샤프트(25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기어에 인터날기어(260)가 결합되고, 상기 인터날기어(260)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케이지(300)가 승, 하강됨과 동시에 역회전에 의해 케이지(300)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시브(Sheave)(270)가 설치된다. 상기 시브(270)에는 케이지(300)를 승, 하강하기 위한 케이블(C)이 그 외측 둘레를 따라 감겨진다.
상기 시브(270)에 감겨진 케이블(C)이 항상 일정 텐션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제1하우징(210)의 내측 상기 시브(270) 상부에 텐션부(280)가 설치되어 항상 일정한 텐션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하우징(210)의 일측에는 유니버셜모터(110)가 설치되는데 상기 유니버셜모터(110)는 케이스(111)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회전체(미도시)가 설치되고, 회전체의 일측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결합홀(221)에 결합되는 출력축(112)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곤돌라 동력전달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건물을 신축하거나 또는 리모델링 시와 식당과 같이 사람이 일일이 무거운 짐 또는 운반물을 옮기기 어려운 경우에 본 고안의 권양기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상기 도 2는 건물 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 2를 참조 그 작용을설명한다.
사용자가 물건(건설자재 등)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케이지(300) 내에 물건(건설 자재 등)을 실은 상태에서 상층 또는 하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컨트롤러(미도시)를 조작한다. 상기 컨트롤러의 조작에 의해 신호를 받은 유니버셜모터(110)는 상기 신호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하면서 동력전달부(200)의 제1피니언 샤프트(220)를 회전시킨다.
상기 유니버셜모터(110)에 의해 전달되는 동력은 상기 제1피니언 샤프트(220)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기어를 통해 제1기어(231)에 전달되고, 상기 제1기어(231)가 설치되어 있는 제2피니언 샤프트(230)에 상기 동력이 전달된다.
상기 제2피니언 샤프트(230)에 전달된 동력은 그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제2기어(241)에 전달되어 제3기어(251)로 동력은 전달하고, 제3기어(251)로 전달된 동력은 다시 제3피니언 샤프트(240)가 연동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제3피니언 샤프트(24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기어가 상기 제3피어니언 샤프트(240)에 의해 회전하면서 제4피니언 샤프트(250)에 설치되어 있는 제3기어(251)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3기어(251)에 의해 상기 제4피니언 샤프트(250) 또한 연동 회전한다.
상기 제4피니언 샤프트(250)에 전달된 동력은 그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기어에 의해 인터날기어(260)로 동력이 전달되면서 이와 연동 회전하는 시브(Sheave)(270)에 동력을 전달하여 건물의 상부에 제2브래킷(320)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케이블(C)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케이블(C)을 따라 케이지(300)가 이동될 시에 상기 케이블(V)의 텐션이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텐션부(280)에 의해 일정한 텐션이 유지되며, 상기 시브(270)에 감겨져 다른 쪽으로 인출되어 있는 케이블(C)은 상기 케이지(300)가 이동할 시에 그 이동이 원할 할 수 있도록 자유로운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지(300)가 이동을 하면서 고장에 의한 추락이 발생할 때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하우징(210) 내측에는 정지수단(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작은 물건 또는 건축현장 물건만을 운반하는 권양기로 사용할 시에 그 설치가 매우 용이하므로 인하여 설치비용이 감소되고, 또한 이를 작동하기 위한 조작 또한 간편한 장점이 있다.
케이지(30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를 유니버셜모터(110)를 사용함으로 직류전원 또는 교류전원을 사용자 임의대로 사용할 수 있고, 전압의 극성이 바뀌어도 회전방향이 동일하면서 일정하게 유지되는 장점 또한 있으며, 속도를 전압조정으로 조절이 쉽게 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고속회전이 쉽게 얻어짐으로 사용자의 의도대로 이동이 자유롭고, 시동 시 큰 토크를 얻을 수 있으므로 같은 무게를 실을 수 있는 타 권양기에 비해 그 작동이 매우 부드러운 장점 또한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곤돌라용 동력전달장치의 효과를 살펴보면, 구성 요소가 타 권양기에 비해 간단하므로 설치 시 그 비용이 매우 저렴하게 되고, 전원(교류전원, 직류전원)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전압의 극성이 바뀌어도 회전방향은 동일하면서 일정하게 유지되는 효과 및 전압의 조정으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니버셜모터를 사용함으로 시동 시 큰 토크를 얻을 수 있으므로 같은 용량의 권양기에 비해 많은 짐을 싣고도 매우 부드럽게 작동되며, 고속 회전이 쉽게 얻어짐으로 사용자가 의도하는 대로 원활하게 작동되는 효과 또한 있다.

Claims (1)

  1. 운반물 또는 사람이 탑승할 수 있는 케이지(Cage)와, 상기 케이지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권양기와, 권양기의 회전바퀴에 걸리는 케이블로 구성된 권양기용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권양기의 동력전달부에 설치된 제1피니언 샤프트의 결합홀에 출력축을 결합시켜 상기 동력전달부에 동력을 전달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의도대로 이동이 용이하고 전압의 극성이 바뀌어도 동일한 회전방향을 출력하며, 시동 시 큰 토크를 출력하는 유니버셜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돌라용 동력전달장치.
KR2020020013197U 2002-04-30 2002-04-30 곤돌라용 동력전달장치 KR2002864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197U KR200286498Y1 (ko) 2002-04-30 2002-04-30 곤돌라용 동력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197U KR200286498Y1 (ko) 2002-04-30 2002-04-30 곤돌라용 동력전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498Y1 true KR200286498Y1 (ko) 2002-08-22

Family

ID=73084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197U KR200286498Y1 (ko) 2002-04-30 2002-04-30 곤돌라용 동력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49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373B1 (ko) 2013-04-03 2014-04-14 주식회사 해성굿쓰리 엔드리스 와인더의 웜기어 브레이크 장치
KR200478454Y1 (ko) 2015-06-02 2015-10-12 주식회사 해성굿쓰리 권양기의 와이어 안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373B1 (ko) 2013-04-03 2014-04-14 주식회사 해성굿쓰리 엔드리스 와인더의 웜기어 브레이크 장치
KR200478454Y1 (ko) 2015-06-02 2015-10-12 주식회사 해성굿쓰리 권양기의 와이어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35773C2 (ru) Приводная систем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ъема
US11939187B2 (en) Method for erecting an elevator facility
JPH0351295A (ja) ロープ式起重機用のエネルギー自動供給式機械化荷物回転装置
US20230117650A1 (en) Crane
WO1990014300A1 (fr) Crochet de levage rotatif
WO2000035800A1 (fr) Ascenseur
KR200286498Y1 (ko) 곤돌라용 동력전달장치
JP2000247559A (ja) エレベータ装置
US2279853A (en) Portable hoist
JP2002145544A (ja) エレベータ駆動制御装置
KR101539760B1 (ko) 엘리베이터의 발전장치
CN212425082U (zh) 一种立井矿井提升系统
WO2000053520A1 (fr) Ascenseur
JP2003267640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2002133B1 (ko) 승하강 구동 장치
KR101190508B1 (ko) 고소작업 차량용 유압펌프의 구동장치
KR101906210B1 (ko) Dps를 이용한 호이스트
CN202429917U (zh) 场桥及其减摇升降装置
KR100754016B1 (ko) 와이어 로프를 이용한 터닝 디바이스
CN111392587A (zh) 一种起重机起升机构
JP2017036583A (ja) 建設機械
JP2006341980A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3149416B2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
KR20180107657A (ko) 감속기를 이용한 크립형 호이스트
JP2006096500A (ja) 巻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