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454Y1 - 조립식 보트 - Google Patents

조립식 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454Y1
KR200286454Y1 KR2020010006294U KR20010006294U KR200286454Y1 KR 200286454 Y1 KR200286454 Y1 KR 200286454Y1 KR 2020010006294 U KR2020010006294 U KR 2020010006294U KR 20010006294 U KR20010006294 U KR 20010006294U KR 200286454 Y1 KR200286454 Y1 KR 2002864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pped
support plate
boat
groove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2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종철
Original Assignee
공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종철 filed Critical 공종철
Priority to KR20200100062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4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4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454Y1/ko

Link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보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평면상 사각형상으로 구비되며 대향하는 양 측면은 상반된 계단식 형상으로 형성된 단차면에 의해 제1 계단식 홈과 제1 계단식 돌기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 지지판; 상기 제1 지지판의 각 측면에 형성된 제1 계단식 홈과 제1 계단식 돌기에 대해 끼워 맞춤되는 제2 계단식 돌기와 제2 계단식 홈이 대향하는 각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 지지판을 향한 일측 방향에서 상반된 타측 방향으로 갈수록 예각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2 지지판; 및 상기 제2 지지판의 양 측면과 양 측면에 형성된 제2 계단식 돌기와 제2 계단식 홈에 끼워지는 제3 계단식 홈 및 제3 계단식 돌기가 양측에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지지판과 상응하여 상측을 향해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는 다수개의 코너 연결판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여 이동이 자유롭고 보관장소를 줄일 수 있으며 침수의 우려를 방지함은 물론 사용인원에 비례하여 크거나 작게 보트를 조립한 후 사용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보트{Boat of prefabricated}
본 고안은 조립식 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여 이동이 자유롭고 보관장소를 줄일 수 있으며 침수의 우려를 방지함은 물론 사용인원에 비례하여 크거나 작게 보트를 조립한 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보트는 단일체로 제작된 선체와 엔진 등으로 이루어진다.한편, 저수지 낚시나 연안에서 바다낚시를 즐기는 조사들 또는 레프팅 등에 사용하는 보트들은 주로 고무로 제작된 보트나 합성수지로 선체를 제작된 것이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보트에서 특히 전자의 경우 고무보트의 바람을 제거한 상태에서 접어서 보관한 후 사용장소에서 그 내부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고무보트를 팽창시켜 사용하며, 후자의 경우 별도의 추레라 등의 운반수단을 이용하여 보트를 싣고 원하는 장소로 운반하여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전자의 경우 보관 및 운반할 때 중량이 무겁고 부피가 커서 취급이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사용 중 날카로운 물체에 접촉되면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고, 후자의 경우 완제품인 보트(또는 요트)를 운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운반수단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보관할 때에도 별도로 마련된 보관장소에 보관해야 하므로 점유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한편, 여러 명이 승선할 수 있는 비교적 규모가 큰 보트를 휴대할 경우 상기한 문제점은 가중된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와 같은 보트에 대한 구조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여 이동이 자유롭고 보관장소를 줄일 수 있는 조립식 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보트의 부품을 분리하여 휴대한 후 사용하고자 하는 장소에서 용이하게 조립하여 사용함은 물론 침수의 우려를 방지하는 조립식 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개의 부품을 선택적으로 구입함으로써 사용인원에 비례하여 적정한 크기로 보트를 조립한 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제1 지지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제1 지지판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제1 지지판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조립식 보트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코너 연결판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제1,2 지지판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측면도.도 10은 본 고안에서 변형 가능한 지지판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10,20;제1,2 지지판 11,21,31;제1,2,3 계단식 홈12,22,32;제1,2,3 계단식 돌기 30;코너 연결판40;연결밴드 41;결합홀42;체결부재 51;결합홈52;결합돌기 "s";공간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는, 평면상 사각형상으로 구비되며 대향하는 양 측면은 상반된 계단식 형상으로 형성된 단차면에 의해 제1 계단식 홈과 제1 계단식 돌기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 지지판; 상기 제1 지지판의 각 측면에 형성된 제1 계단식 홈과 제1 계단식 돌기에 대해 끼워 맞춤되는 제2 계단식 돌기와 제2 계단식 홈이 대향하는 각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 지지판을 향한 일측 방향에서 상반된 타측 방향으로 갈수록 예각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2 지지판; 및 상기 제2 지지판의 양 측면과 양 측면에 형성된 제2 계단식 돌기와 제2 계단식 홈에 끼워지는 제3 계단식 홈 및 제3 계단식 돌기가 양측에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지지판과 상응하여 상측을 향해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는 다수개의 코너 연결판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트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제2 실시 예로는, 상기 제1,2 지지판과 상기 코너 연결판의 상,하 적어도 어느 일 측면에는 복수개의 결합홀이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결합홀은 연결밴드와 체결부재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바람직한 제3 실시 예로는, 상기 제1,2,3 계단식 홈 및 그 홈에 대해 면 접촉되는 상기 제1,2,3 계단식 돌기의 중앙부에는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바람직한 제4 실시 예로는, 상기 제1,2 지지판과 상기 코너 연결판의 내측에는 중공의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제1,2 지지판의 구성을 보인 도면들이 예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조립식 보트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코너 연결판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고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 내지 도 10에는 본 고안에 따른 제1,2 지지판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제1 지지판(10)은 평면상 사각형상으로 구비되며 대향하는 양 측면은 상반된 계단식 형상으로 형성된 단차면에 의해 제1 계단식 홈(11)과 제1 계단식 돌기(12)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즉, 도 3과 같이 상기 제1 지지판(10)의 일 측에 형성된 제1 계단식 돌기(12)는 상반된 타 측에 형성된 제1 계단식 홈(11)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된다.상기 제1 지지판(10)의 각 측면에는 제2 지지판(20)이 결합된다.상기 제2 지지판(20)은 상기 제1 지지판(10)의 각 측면에 형성된 제1 계단식 홈(11)과 제1 계단식 돌기(12)에 대해 끼워 맞춤 되는 제2 계단식 돌기(22)와 제2 계단식 홈(21)이 대향하는 각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 지지판(10)을 향한 일측 방향에서 상반된 타측 방향으로 갈수록 예각으로 절곡 형성된다.또 상기 제2 지지판(20)과 제2 지지판(20)이 설치된 코너부는 코너 연결판(30)에 의해 결합 마무리된다.상기 코너 연결판(30)은 상기 제2 지지판(20)의 양 측면과 양 측면에 형성된 제2 계단식 돌기(22)와 제2 계단식 홈(21)에 끼워지는 제3 계단식 홈(31) 및 제3 계단식 돌기(32)가 양측에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지지판(20)과 상응하여 상측을 향해 원호 형상으로 만곡된다.
바람직한 제2 실시 예로는, 상기 제1,2 지지판(10)(20)과 상기 코너 연결판(30)의 상, 하 적어도 어느 일 측면에는 복수개의 결합홀(41)이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결합홀(41)은 연결밴드(40)와 체결부재(42)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또 바람직한 제3 실시 예로는, 상기 제1,2,3 계단식 홈(11)(21)(31) 및 그 홈에 대해 면 접촉되는 상기 제1,2,3 계단식 돌기(12)(22)(32)의 중앙부에는 결합 홈(51)과 결합돌기(5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또한 바람직한 제4 실시 예로는, 상기 제1,2 지지판(10)(20)과 상기 코너 연결판(30)의 내측에는 중공의 공간부(S)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즉, 본 고안을 조립할 때에는 먼저 제1 지지판(10)의 각 면에 형성된 제1 계단식 홈(11)과 제1 계단식 돌기(12)에 상기 제2 지지판(20)에 형성된 제2 계단식 돌기(22)와 제2 계단식 홈(21)을 일치시켜 끼워 결합한다.상기와 같이 제2 지지판(20)의 결합이 완료되면 각 모서리 부위는 코너 연결판(30)에 구비된 제3 계단식 돌기(32)와 제3 계단식 홈(31)을 상기 제2 지지판(20)에 형성된 제2 계단식 홈(21)과 제2 계단식 돌기(22)에 끼워 결합함으로써 도 4와 같은 조립식 보트를 완성한다.또 상기와 같이 제1,2 지지판(10)(20)과 코너 연결판(30)을 상호 결합하면 제1,2 지지판(10)(20)과 상기 코너 연결판(30)에 선택적으로 형성된 결합홈(51)에는 제1,2 지지판(10)(20)과 코너 연결판(30)에 선택적으로 형성된 결합돌기(52)가 끼워지며 더욱 견고하게 조립된다.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보트에 승선한 후 물에서 사용하게 되면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계단식 홈과 계단식 돌기 그리고 결합홈에 끼워진 결합돌기의 구조에 의해 그 틈새로 물이 유입되지 않게 된다.한편, 상기와 같이 조립식 보트의 일차적인 결합이 완료되면 각각의 제1,2 지지판(10)(20) 또는 코너 연결판(30)에 형성된 결합홀(41)에 대해 연결밴드(40)를 일치시킨 후 체결부재(42)로써 체결함으로써 조립식 보트의 최종적인 조립이 완료된다.물론, 본 고안에 따른 제1,2 지지판(10)(20)은 조립할 때 그 개수를 줄이거나 늘림으로써 보트에 탑승할 수 있는 승선인원의 수에 비례하여 보트를 작거나 크게 조립할 수 있다.또 본 고안에 따른 제1,2 지지판 내지 코너 연결판은 그 크기를 작거나 크게 제작하고 두께를 도 7 또는 도 9와 같이 얇거나 두껍게 제작함으로써 그에 따라 각각에 형성된 계단식 홈과 계단식 돌기의 개수를 줄이거나 늘리며 비교적 규모가 작은 보트에서 규모가 큰 보트까지 사용자가 원하는 치수대로 제작할 수 있다.한편,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보트를 분해할 경우 그 동작은 조립동작과 역순이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보트에 의하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여 이동이 자유롭고 보관장소를 좁히거나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또 본 고안은, 보트의 부품을 분리하여 휴대한 후 사용하고자 하는 장소에서 용이하게 조립하여 사용함은 물론 침수의 우려를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또한 본 고안은, 다수개의 부품을 선택적으로 구입함으로써 사용인원에 비례하여 적정한 크기로 보트를 크거나 작게 조립하며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지금까지는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다수개의 지지판을 조립하여 조립식 보트를 제작하는 것에 대하여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지지판을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제작함으로써 건축용 패널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어린이들의 지능 향상형 완구인 퍼즐 등에도 사용할 수도 있으며, 그 사용범위는 한정되지 않는다.한편, 지금까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 사용이 가능하다.

Claims (4)

  1. 평면상 사각형상으로 구비되며 대향하는 양 측면은 상반된 계단식 형상으로 형성된 단차면에 의해 제1 계단식 홈과 제1 계단식 돌기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 지지판;
    상기 제1 지지판의 각 측면에 형성된 제1 계단식 홈과 제1 계단식 돌기에 대해 끼워 맞춤되는 제2 계단식 돌기와 제2 계단식 홈이 대향하는 각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 지지판을 향한 일측 방향에서 상반된 타측 방향으로 갈수록 예각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2 지지판; 및
    상기 제2 지지판의 양 측면과 양 측면에 형성된 제2 계단식 돌기와 제2 계단식 홈에 끼워지는 제3 계단식 홈 및 제3 계단식 돌기가 양측에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지지판과 상응하여 상측을 향해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는 다수개의 코너 연결판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지지판과 상기 코너 연결판의 상,하 적어도 어느 일 측면에는 복수개의 결합홀이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결합홀은 연결밴드와 체결부재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조립식 보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 계단식 홈 및 그 홈에 대해 면 접촉되는 상기 제1,2,3 계단식 돌기의 중앙부에는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더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조립식 보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지지판과 상기 코너 연결판의 내측에는 중공의 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조립식 보트.
KR2020010006294U 2001-03-08 2001-03-08 조립식 보트 KR2002864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294U KR200286454Y1 (ko) 2001-03-08 2001-03-08 조립식 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294U KR200286454Y1 (ko) 2001-03-08 2001-03-08 조립식 보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9102A Division KR100423936B1 (ko) 2001-02-22 2001-02-22 조립식 보트. 요트. 선박. 건축설비. 기계설비. 완구등의부품과 조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454Y1 true KR200286454Y1 (ko) 2002-08-22

Family

ID=73063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294U KR200286454Y1 (ko) 2001-03-08 2001-03-08 조립식 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45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4644Y1 (ko) 조립식 퍼즐 축구공에 있어서 퍼즐 연결구조
KR200286454Y1 (ko) 조립식 보트
KR200281495Y1 (ko) 조립식 보트
KR100423935B1 (ko) 조립식 요트.보트.선박.건축설비.기계설비.완구등의부품과 조립방법
KR100423936B1 (ko) 조립식 보트. 요트. 선박. 건축설비. 기계설비. 완구등의부품과 조립방법.
JPH01273783A (ja) 浮揚要素結合型水上浮体
JP3139035U (ja) 連結式スツール
RU2370298C2 (ru) Сборно-разборный конструктор
KR200406267Y1 (ko) 자석 완구용 패널
CN212067756U (zh) 一种新型拼接玩具构件
CN109173288A (zh) 中国智慧榫卯玩具拼搭模块系统
KR200323974Y1 (ko) 안전성이 구비된 조립식 보트.
KR101706984B1 (ko) 가변형 물놀이 튜브 어셈블리
KR102567550B1 (ko) 종이 블록 놀이 기구
US6196152B1 (en) Grid-like construction boat, for use as a tender or trip boat
EP1543869A1 (en) Laminated 3D jigsaw puzzle
JPH0237962Y2 (ko)
RU2613668C2 (ru) Плавательное средство сборно-разборного типа
JPH0236851Y2 (ko)
TWM578266U (zh) Float and float combination
US20040012147A1 (en) 3D jigsaw puzzle
CN208319997U (zh) 积木结构及包含其的积木组
JPH0415887Y2 (ko)
US5088437A (en) Boat hull construction method and product thereof
RU160400U1 (ru) Плавательное средство сборно-разборного тип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