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419Y1 - 휴대용 키보드 - Google Patents

휴대용 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419Y1
KR200286419Y1 KR2020020015905U KR20020015905U KR200286419Y1 KR 200286419 Y1 KR200286419 Y1 KR 200286419Y1 KR 2020020015905 U KR2020020015905 U KR 2020020015905U KR 20020015905 U KR20020015905 U KR 20020015905U KR 200286419 Y1 KR200286419 Y1 KR 2002864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frame
sub
frame
keyboard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9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균
Original Assignee
(주)어플라이드 디바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어플라이드 디바이스 filed Critical (주)어플라이드 디바이스
Priority to KR20200200159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4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4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419Y1/ko

Links

Landscapes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키보드를 소정 개수의 서브 프레임으로 분리가 가능하도록 한 다음, 하나의 서브 프레임 상에 다른 서브 프레임이 슬라이딩되어 적층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메카니즘의 단순화를 갖도록 하는 휴대용 키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은, 중앙 서브 프레임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사이드 서브 프레임이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각 서브 프레임 상에는 각각의 키가 배치되며, 상기 사이드 서브 프레임의 측면에는 슬라이더가 구비됨과 아울러, 일측은 중앙 서브 프레임에 피봇팅되고, 타측은 상기 사이드 서브 프레임의 슬라이더에 피봇팅되어 연결된 회전 지지체에 의하여 사이드 서브 프레임이 중앙 서브 프레임을 중심으로 상하 이동되어 적층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Description

휴대용 키보드{Portable Keyboard}
본 고안은 휴대용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컴퓨터에 연결시켜 사용하는 키보드의 구조적 메카니즘을 단순화하고, 휴대 시 그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컴퓨터의 대표적인 것으로, 노트북, PDA 등을 들 수 있다.
노트북의 경우 키보드가 일체로 구비되어 별도의 키보드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지만, PDA의 경우 그 크기가 손안에 들 수 있는 크기로 제한됨에 따라 키보드를 일체화하기에 많은 곤란점이 있다.
그러므로, 키보드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별도의 키보드를 구비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휴대용 키보드의 일 예가 미국특허 6,174,097호에 공개되어 있다.
이 특허에는 접철이 가능한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키보드를 4개의서브 프레임으로 나누고, 각 서브 프레임이 피봇(pivot)으로 결합되어 서로 접철이 가능토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 키보드는 피봇에 의해 접철하기 위하여 피봇 부위를 회피하도록 서브 프레임 상에서 각 키들이 슬라이딩되는 구조를 가져야 하고, 이의 슬라이딩 구조를 고려하여 피씨비 등의 설계가 이에 걸맞게 이루어져야 하는 등의 복잡한 메카니즘 구조를 가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키보드를 소정 개수의 서브 프레임으로 분리가 가능하도록 한 다음, 하나의 서브 프레임 상에 다른 서브 프레임이 슬라이딩되어 적층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메카니즘의 단순화를 갖도록 하는 휴대용 키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를 보인 도.
도 2 는 중앙 서브 프레임을 중심으로 사이드 서브 프레임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상태를 보인 도.
도 3 은 본 고안의 휴대용 키보드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도.
도 4 는 회전 지지체의 길이를 결정하기 위한 개념을 보인 도.
도 5 는 서브 프레임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컨텍터의 구조를 보인 도.
도 6 은 도 5 의 컨택터가 접촉되어 있는 상태를 보인 도.
도 7 은 본 고안에 덮개가 구비된 상태를 보인 도.
도 8 은 서브 프레임들이 적층된 상태에서 덮개가 피봇 결합된 상태를 보인 도이고,
도 9 는 덮개가 덮힌 상태를 보인 도.
도 10 은 중앙 서브 프레임의 상단에 커넥터가 구비된 상태를 보인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중앙 서브 프레임 200,300 : 사이드 서브 프레임
210,310 : 슬라이더 220,320 : 슬라이딩 가이드
400,500 : 회전 지지체 410,510 : 회전축
600 : 덮개 700 : 커넥터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휴대용 키보드는,
중앙 서브 프레임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사이드 서브 프레임이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각 서브 프레임 상에는 각각의 키가 배치되며, 상기 사이드 서브 프레임의 측면에는 슬라이더가 구비됨과 아울러, 일측은 중앙 서브 프레임에 피봇팅되고, 타측은 상기 사이드 서브 프레임의 슬라이더에 피봇팅되어 연결된 회전 지지체에 의하여 사이드 서브 프레임이 중앙 서브 프레임을 중심으로 상하 이동되어 적층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키보드를 보인 도로서, 중앙 서브 프레임(100)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제 1 사이드 서브 프레임(200), 제 2 사이드 서브 프레임(300)이 분리 가능토록 구비되며, 각 서브 프레임(100,200,300)상에는 키(K)가 구비되어 있게 된다.
상기 중앙 서브 프레임(100)과 양측의 서브 프레임(200,300)의 측면에는 회전 지지체(400,500)가 각각 구비되어 있어, 중앙 서브 프레임(100)으로부터 각각의 서브 프레임(200,300)이 분리되어 적층될 때 회전되는 상태를 지지하게 된다.
즉, 제 1 회전 지지체(400)의 경우 바 형태로 되어 그 일측 단부가 중앙 서브 프레임(100)에 피봇팅되며, 타측 단부는 제 1 사이드 서브 프레임(200)에 연결되는데, 이때 상기 제 1 사이드 서브 프레임(200)의 측면은 슬라이딩 가이드(220)가 형성되어 그 슬라이딩 가이드(220) 내에서 슬라이더(210)가 왕복 운동되며, 그 슬라이더(210)의 소정 부위에 제 1 회전 지지체(400)의 타측 단부가 피봇팅된다.
그러므로, 제 1 회전 지지체(400)는 2개의 회전축(410,410')을 갖게 되며, 회전축(410)은 슬라이딩되는 회전축이 되는 것이다.
또한, 제 2 회전 지지체(500)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그 단부가 각각 중앙 서브 프레임(200)에 피봇팅되며, 타측 단부는 제 2 사이드 서브 프레임(300)에 연결되는데, 이때 상기 제 2 사이드 서브 프레임(300)의 측면도 마찬가지로 슬라이딩가이드(320)가 형성되어 그 슬라이딩 가이드(320) 내에서 슬라이더(310)가 왕복 운동되며, 그 슬라이더(310)에 제 2 회전 지지체(500)의 타측 단부가 피봇팅된다.
따라서 이 경우도 2개의 회전축(510,510')을 갖게 되며, 회전축(510)은 슬라이딩되는 회전축이다.
이러한, 회전 지지체(400,500)는 2개 이상의 n개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중앙 서브 프레임(100)과 제 1 사이드 서브 프레임(200)에 2개 이상의 회전 지지체가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중앙 서브 프레임(100)과 제 2 사이드 서브 프레임(300)에도 2개 이상의 회전 지지체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로 인해, 좀 더 안정적인 사이드 서브 프레임(200,300)의 지지가 가능하다.
결국, 제 1 사이드 서브 프레임(200)이 중앙 서브 프레임(100)의 하부로 적층될 때 슬라이더(210)가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 1 사이드 서브 프레임(200)을 회전 이동 시키게 되고, 제 2 사이드 서브 프레임(300)의 경우 슬라이더(310)가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하여 중앙 서브 프레임(100)의 상부로 회전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상부에는 제 2 사이드 서브 프레임(300)이 위치하고, 그 하부에는 중앙 서브 프레임(100)이 위치하며, 그 하부에는 제 1 사이드 서브 프레임(20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물론, 제 1 사이드 서브 프레임(200)과 제 2 사이드 서브 프레임(300)의 위치는 슬라이더들(210,310)이 서로 이동하는 방향을 달리함으로써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키보드가 3개의 서브 프레임으로 분리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n개의 서브 프레임으로 분리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 은 도 2에서 적층된 각 서브 프레임(100)이 펼쳐진 상태를 보인 도로서, 중앙 서브 프레임(100)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제 1 사이드 서브 프레임(200)이 위치하고, 우측에는 제 2 사이드 서브 프레임(300)이 위치하는 경우에, 제 1 사이드 서브 프레임(200)의 슬라이더(210)는 우측 끝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 2 사이드 서브 프레임(300)의 슬라이더(310)는 좌측 끝으로 이동함으로써 펼쳐지게 되어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중앙 서브 프레임(100)의 양쪽에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사이드 서브 프레임(200,300)은 중앙 서브 프레임(100)과 약간의 간격이 존재하고, 사용자가 사이드 서브 프레임(200,300)의 양쪽 끝을 중앙 서브 프레임(100)쪽으로 밀게되면 그 분리된 부분이 밀착되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 1 및 제 2 사이드 서브 프레임(200,300)이 중앙 서브 프레임(100)의 측면으로부터 하부 및 상부로 이동하여 적층될 때 제 1 및 제 2 회전 지지체(400,500)의 회전축(410,410',500,510')의 위치와 길이가 올바르게 결정되어야 만이 아무런 간섭 없이 사이드 서브 프레임(200,300)이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지지체(400,500)의 위치와 최소 길이는 다음 수학식 1 및 수학식 2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정된다.
여기서 수학식 1은 서브 프레임(100,200 혹은 100,300)이 서로 펼쳐졌을 때의 회전 지지체(400,500) 1과 x, y, a, M의 관계를 나타난 것이고, 수학식 2의 경우에는 서로 접혀져 적층되었을 때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l = x + a + y
l2= (M+a-x-y)2+ d2
한편, 각 서브 프레임(100,200,300)의 양측면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식의 컨텍터(231)가 구비되어 서브 프레임(100,200,300) 내부의 피씨비(도시되지 않음)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즉, 각 키(K)들은 피씨비에 마운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이웃하는 서브 프레임들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컨텍터(231)가 구비되는 것이다.
제 1 사이드 서브 프레임(200)의 측면하부가 돌출되어진 돌출부(230)를 갖게 되고, 이의 돌출부(230)의 상부로 컨텍터(231)가 구비되고, 중앙 서브 프레임(100)의 측면상부 또한 돌출되어진 돌출부(110)를 갖게되어 그 돌출부의 저면에 컨텍트 패드(111)가 구비된다.
또한, 중앙 서브 프레임(100)의 반대편 측면하부가 돌출부(120)를 가지고,그 상부에 콘텍터가 구비되고, 제 2 사이드 서브 프레임(300)의 측면상부에 컨텍트 패드를 갖는 돌출부(330)가 구비되어 서로 접촉하게 된다.
상기, 컨텍터(231)는 삼각형의 형상으로 되어 자체 탄성력을 가지게 되고, 고정 공(232)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때 돌출부(233)에 걸리게 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컨텍트 패드(111)에 접촉될 때 탄성력에 의하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정적으로 밀착 접촉되는 것이다.
또한, 이의 컨텍터(231)와 컨텍트 패드(111)는 서브 프레임(100,200,300)이 서로 맞닿는 어느 곳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도 7 은 본 고안에서 각 키(K)들을 보호하기 위한 덮개(600)를 부가한 상태를 보인 도로서, 중앙 서브 프레임(100)과 사이드 서브 프레임(200,300)이 펼쳐있을 때 덮개(600)는 중앙 서브 프레임(100)의 윗쪽에 위치한다.
또한, 덮개(600)에는 록킹부(601)가 구비되어 있게 되고, 중앙 서브 프레임(100)에는 상기 록킹부(601)가 록킹되기 위한 록킹 홈(120)이 구비된다.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덮개(600)는 중앙 서브 프레임(100)의 윗측면 상부에 피봇 결합(610)에 의해 게재된다.
그러므로, 도 9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600)가 닫혀졌을 때 최상부에 적층된 사이드 서브 프레임(300)을 덮어 키(K) 부분을 보호하게 된다.
또한, 록킹부(601)가 중앙 서브 프레임(100)의 록킹 홈(620)이 록킹됨으로써이동 중에도 적층된 상태를 계속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덮개(600)가 중앙 서브 프레임(100) 뿐만 아니라 사이드 서브 프레임(200,300)중 어느 곳에도 피봇팅에 의하여 게재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0 은 중앙 서브 프레임(100)의 상단에 커넥터(700)를 구비하게 된다.
이 커넥터(700)에 각 기능을 담당하는 모듈을 연결함으로써 본 고안의 키보드를 휴대용 기기뿐만이 아닌 여타의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IRDA 모듈을 이의 커넥터(700)에 삽입하는 경우 원격의 장치와 적외선 무선 통신을 행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Bluetooth), RF 등의 확장 모듈 등을 연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USB 모듈 이나 PS/2 모듈을 삽입하는 경우 데스크탑 컴퓨터 등의 키보드 포트에 적용할 수 있어 그 사용범위가 확장되는 것이다.
물론, 도면에서는 중앙 서브 프레임(100)의 상단에 커넥터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서브 프레임(100,200,300)중 어느 하나의 서브 프레임의 소정 부위에 이와 같은 커넥터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 휴대용 키보드는, 적층식의 휴대가 가능토록 하여 그 키보드 메카니즘을 단순화시킴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제품의 가격을 낮출 수 있어 가격 경쟁력이 뛰어나 효과가 있다.
또한, 메카니즘의 단순화에 의한 잔고장을 줄일 수 있고, 휴대 시에 그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중앙 서브 프레임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사이드 서브 프레임이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각 서브 프레임 상에는 각각의 키가 배치되며, 상기 사이드 서브 프레임의 측면에는 슬라이더가 구비됨과 아울러, 일측은 중앙 서브 프레임에 피봇팅되고, 타측은 상기 사이드 서브 프레임의 슬라이더에 피봇팅되어 연결된 회전 지지체에 의하여 사이드 서브 프레임이 중앙 서브 프레임을 중심으로 상하 이동되어 적층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들은 n개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체는 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체는 n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브 프레임의 분리된 측면에는 각 서브 프레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컨텍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는 덮개가 피봇팅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7. 제 6 항에 있어서, 덮개에는 록킹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소정 부위에 유무선 확장 모듈이 삽입되는 커넥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KR2020020015905U 2002-05-24 2002-05-24 휴대용 키보드 KR2002864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905U KR200286419Y1 (ko) 2002-05-24 2002-05-24 휴대용 키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905U KR200286419Y1 (ko) 2002-05-24 2002-05-24 휴대용 키보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856A Division KR20030090960A (ko) 2002-05-24 2002-05-24 휴대용 키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419Y1 true KR200286419Y1 (ko) 2002-08-21

Family

ID=73123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905U KR200286419Y1 (ko) 2002-05-24 2002-05-24 휴대용 키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41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8649B1 (en) Mobile computer with foldable keyboard
JP6105655B2 (ja) ヒンジ装置及び携帯用情報機器
US6903927B2 (en) Convertible mobile computing device
US7308733B2 (en) Swivel hinge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20050002158A1 (en) Mobile computer with foldable keyboard
US7193614B2 (en) Multifunctional portable computing device with special housing
US11134579B2 (en) Hinge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9678535B2 (en) Moveable keyboard latti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6034866A (en) Equipment having openable cover
CN115914441A (zh) 具有位移改变铰链的铰接式电子设备和相应的系统
US6215419B1 (en) Method for operating an expandable computer keyboard
WO1996003685A1 (en) Portable computing device having an adjustable hinge
US20060267947A1 (en) Electronic apparatus provided with foldable and turnable display unit
JP2011061692A (ja) 電子機器
KR20050026989A (ko) 접히는 키보드가 달린 휴대용 컴퓨팅 장치
JP2011048536A (ja) 電子機器
WO2015016816A1 (en) Adjustable display housing assembly
CN113534893B (zh) 折叠式电子装置
WO2004070572A2 (en) Foldable keyboard
US20080273012A1 (en) Multifunctional portable computing device with special housing
KR102298726B1 (ko) 휴대단말기용 폴더블 힌지모듈
KR200286419Y1 (ko) 휴대용 키보드
CN203465630U (zh) 电子设备
KR100875856B1 (ko) 휴대전화기용 스윙힌지
KR100849284B1 (ko) 이축 회전 폴더 타입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힌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