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846Y1 - 코인형 진동모터의 브러쉬 구조 - Google Patents

코인형 진동모터의 브러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846Y1
KR200285846Y1 KR2020020015564U KR20020015564U KR200285846Y1 KR 200285846 Y1 KR200285846 Y1 KR 200285846Y1 KR 2020020015564 U KR2020020015564 U KR 2020020015564U KR 20020015564 U KR20020015564 U KR 20020015564U KR 200285846 Y1 KR200285846 Y1 KR 2002858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portion
brush
coin
commutator
vibration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5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아텍
Priority to KR20200200155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8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8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846Y1/ko

Links

Landscapes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Motor Or Generator Current Colle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코인형 진동모터의 브러쉬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부 기판(12)에 고정된 단부로부터 상부로 완만하게 상향 경사지면서 경사진 부위가 정류자(32)의 형상을 따라 서로 대향되게 밖으로 굽어지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말단이 2갈래로 갈라진 요크형상 부위가 상향으로 구부러진 외측 밴딩부(142) 및 내측 밴딩부(144)가 형성된 코인형 진동모터의 브러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측 밴딩부(142)와 상기 내측 밴딩부(144)의 폭을 다르게 형성하여 상기 외측 밴딩부(142)와 상기 내측 밴딩부(144)가 균일한 힘으로 정류자(32)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서, 외측 밴딩부(142)와 내측 밴딩부(144)중 어느 하나가 먼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정류자와 브러쉬간의 접점 안정화가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코인형 진동모터의 브러쉬 구조 {A STRUCTURE OF BRUSH OF COIN TYPE VIBRATING MOTOR}
본 고안은 코인형 진동모터의 브러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균일한 탄성력으로 정류자편에 접촉될 수 있는 코인형 진동모터의 브러쉬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일반적인 코인형 진동모터의 브러쉬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이나 호출기등에 내장되어 진동 착신기능을 제공하는 진동 모터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은 직경이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큰 외형을 갖는 코인형 진동 모터가 사용된다.
코인형 진동 모터는 고정부재인 스테이터와, 회전부재인 로터, 및 스테이터와 로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브러쉬(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테이터는 원형의 평판인 브라켓(10)과, 그 상부면에 접합 등에 의해 부착되는 회로가 인쇄된 하부 기판(12)과, 이 하부 기판(12)에 부착되는 도넛츠형상의 마그네트(14)를 포함한다.
또한, 브라켓(10) 상부는 하향 개방된 캡형상의 케이스(16)에 의해 커버되며, 브라켓(10)과 케이스(16)는 샤프트(20)에 의해 연결되어 용접 또는 강제 끼움에 의해서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 스테이터의 샤프트(20)에는 회전 가능한 로터가 장착된다.
로터는 상기 샤프트(20)에 편심 지지되는 상부 기판(30)과, 상부 기판(30)의 저면 중심부에 원형으로 배열되는 정류자(32)와, 상부 기판(30)의 상부면에 부착되는 권선코일(34)과, 이 권선 코일(34)의 부착면을 제외한 상부 기판(30)의 상부면을 채우는 절연물(36)로서 이루어진다.
한편, 정류자(32)는 다수개의 정류자편이 미세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전체적으로 원형을 이루는 형상으로 배열된다.
또한, 권선 코일(34)은 최근에는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2개의 코일로 이루지며, 상기 편심 구조의 상부 기판(30) 양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절연물(36)은 일반 수지재를 이용하여 인서트 사출에 의해서 성형된다.
상기 스테이터와 로터간의 전기적 연결은 전기한 바와같이 브러쉬(40)를 통해 이루어 진다.
브러쉬(40)는 통상 전원이 입력되는 단자와 전원이 출력되는 단자인 한쌍으로 이루어진다.
도 1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이들 브러쉬(40)는 일정한 거리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며 나란하게 구비되며, 상기 브러쉬(40)의 하단은 하부 기판(12)의 인쇄된 회로에 고정 연결되고, 상단은 정류자(32)의 정류자편에 미끄럼 접촉된다.
한편, 각 브러쉬(40)는 하부 기판(12)에 고정된 단부로부터 상부로 완만하게 상향 경사지면서 경사진 부위가 정류자(32)의 형상을 따라 서로 대향되게 밖으로 굽어지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정류자(32)와 안정된 접촉을 확보하기 위해 상단부 말단이 2갈래로 갈라진 요크형상으로 형성되며, 이 요크형상으로 갈라진 부위가 정류자(32)와 면접촉이 되도록 상향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된 밴딩부(42,44)가 상기 브러쉬(40)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그런데, 밴딩부(42,44)는 다른 브러쉬의 밴딩부(42,44)와 샤프트(20)를 중심으로 90°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밴딩부(42,44)와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밴딩 지그(도시되지 않음)를 삽입시켜 상단부의 일부가 굽어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기 브러쉬(40) 밴딩부(42,44)는 그 상부의 정류자(32)와 불균일하게 접촉된다.
즉, 완만하게 상향 경사지면서 밖으로 굽어진 브러쉬(11)의 요크형상인 상단부를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밴딩시키면, 외측 밴딩부(42)로부터 내측 밴딩부(44)로 하향 경사지는 상태가 되므로 결국 정류자(32)와 불균일하게 접촉되는 상태가 된다.
한편, 공개번호 제 10-2001-0046374호(공개일 2001.6.15)에는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요크 형상의 상단부에 하부 기판으로부터 동일한 높이를 갖는 면을 따라 상향 만곡되어진 밴딩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밴딩부는 정류자편과 균일하게 접촉되도록 하는 편평형 진동 모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 기판으로부터 동일한 높이를 갖는 면을 따라 상향 만곡되어진 밴딩부를 형성하면, 접촉각이 샤프트를 중심으로 90°의 각도가 유지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브러쉬(40)는 샤프트(20)을 중심으로 밖으로 굽어진 원호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외측 밴딩부(42)와 내측 밴딩부(44)의 반경과 호의 길이가 다르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외측 밴딩부(42)와 내측 밴딩부(44)가 동일한 높이를 가지더라도 정류자(32)에 눌려 발생하는 탄성력에 차이가 나게 된다.
따라서, 외측 밴딩부(42)와 내측 밴딩부(44) 각각과 정류자 사이의 수직항력에 차이가 나게 되고, 결과적으로 한쪽 브러쉬의 마찰에 의한 마모가 빨리 이루어 진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반경 1.4mm, 길이 4mm인 외측 밴딩부(42)와 반경 1.1mm, 길이 3.5mm인 내측 밴딩부(44)가 정류자(32)에 의해 0.5mm로 동일하게 눌리면, 외측 밴딩부(42)에 발생하는 탄성력은 0.28gf로서 내측 밴딩부(44)에 발생하는 탄성력 0.418gf보다 약 1.5배 작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외측 밴딩부(42)로부터 내측 밴딩부(44)로 하향 경사지는 종래의 브러쉬는 불균일한 접촉때문에 외측 밴딩부(42)에 내측 밴딩부(44)에 비해 접촉 마찰이 심하게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개번호 제 10-2001-0046374호(공개일 2001.6.15)개시된 외측 밴딩부(42)와 내측 밴딩부(44)의 높이가 동일한 종래의 브러쉬의 경우에는 접촉각이 샤프트를 중심으로 90°의 각도가 유지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내측 밴딩부(44)가 외측 밴딩부(42)보다 큰 힘으로 정류자에 접촉되므로 내측 밴딩부(44)가 빨리 마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샤프트를 중심으로 접촉각을 90°로 유지시킬 뿐만 아니라, 불균일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코인형 진동모터의 브러쉬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코인형 진동모터의 브러쉬 구조의 일예로써, 본 고안은 하부 기판에 고정된 단부로부터 상부로 완만하게 상향 경사지면서 경사진 부위가 정류자의 형상을 따라 서로 대향되게 밖으로 굽어지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말단이 2갈래로 갈라진 요크형상 부위가 상향으로 구부러진 외측 밴딩부 및 내측 밴딩부가 형성된 코인형 진동모터의 브러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측 밴딩부와 상기 내측 밴딩부의 폭을 다르게 형성하여 상기 외측 밴딩부와 상기 내측 밴딩부가 균일한 힘으로 정류자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코인형 진동모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코인형 진동모터의 정류자와 브러쉬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종래의 코인형 진동모터의 브러쉬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코인형 진동모터의 브러쉬 구조를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코인형 진동모터 10 : 브라켓
12 : 하부 기판 14 : 마그네트
16 : 케이스 20 : 샤프트
30 : 상부 기판 32 : 정류자
34 : 권선 코일 36 : 절연물
40, 140 : 브러쉬 42, 142 : 외측 밴딩부
44, 144 : 내측 밴딩부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코인형 진동모터의 브러쉬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코인형 진동모터의 브러쉬가 적용되는 코인형 진동모터는 종래의 코인형 진동모터와 같이 고정부재인 스테이터와, 회전부재인 로터, 및 스테이터와 로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브러쉬(40)로 이루어진다.
즉, 본 고안이 적용되는 코인형 진동모터의 스테이터와, 로터는 전술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며, 본 고안이 코인형 진동 모터의 브러쉬 구조에 관한 것이므로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브러쉬의 특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본 고안에 의한 브러쉬(140)는 통상 전원이 입력되는 단자와 전원이 출력되는 단자인 한쌍으로 이루어진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들 브러쉬(140)는 일정한 거리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며 나란하게 구비되며, 상기 브러쉬(140)의 하단은 하부 기판(12)의 인쇄된 회로에 고정 연결되고, 상단은 정류자(32)의 정류자편에 미끄럼 접촉된다.
한편, 각 브러쉬(140)는 하부 기판(12)에 고정된 단부로부터 상부로 완만하게 상향 경사지면서 경사진 부위가 정류자(32)의 형상을 따라 서로 대향되게 밖으로 굽어지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정류자(32)와 안정된 접촉을 확보하기 위해 상단부 말단이 2갈래로 갈라진 요크형상으로 형성되며, 이 요크형상으로 갈라진 부위가 정류자(32)와 면접촉이 되도록 상향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되고, 평면(도 3참조) 또는 원형(도 4참조)의 단면을 가지는 외측 밴딩부(142) 및 내측 밴딩부(144)가 상기 브러쉬(140)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이때, 반경 및 호의 길이가 커서 상대적으로 동일한 처짐에 대한 탄성력이 내측 밴딩부(144)보다 작은 외측 밴딩부(142)의 폭을 넓게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외측 밴딩부(142)의 탄성력은 일정 정도 증가하고 내측 밴딩부(144)의 탄성력은 일정 정도 감소하게 됨으로써 거의 비슷한 탄성력을 가지게 된다.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반경 1.4mm, 길이 4mm인 외측 밴딩부(42)와 반경 1.1mm, 길이 3.5mm인 내측 밴딩부(44)가 정류자(32)에 의해 0.5mm로 동일하게눌리면, 외측 밴딩부(42)에 발생하는 탄성력은 0.28gf로서 내측 밴딩부(44)에 발생하는 탄성력 0.418gf보다 약 1.5배 작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외측 밴딩부(142)의 폭이 내측 밴딩부(144)의 폭보다 약 1.5배 크게 함으로써, 그 각각에 발생하는 탄성력의 차이를 줄이고 긍국적으로 거의 균등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코인형 진동모터의 브러쉬 구조는 밴딩부의 폭을 달리하여 불균일 마모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류자와 브러쉬간의 접점 안정화가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코인형 진동모터의 브러쉬 구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하부 기판(12)에 고정된 단부로부터 상부로 완만하게 상향 경사지면서 경사진 부위가 정류자(32)의 형상을 따라 서로 대향되게 밖으로 굽어지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말단이 2갈래로 갈라진 요크형상 부위가 상향으로 구부러진 외측 밴딩부(142) 및 내측 밴딩부(144)가 형성된 코인형 진동모터의 브러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측 밴딩부(142)와 내측 밴딩부(144)의 폭을 다르게 형성하여 상기 외측 밴딩부(142)와 내측 밴딩부(144)가 균일한 힘으로 정류자(32)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진동모터의 브러쉬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외측 밴딩부(142)의 폭이 내측 밴딩부(144)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진동모터의 브러쉬 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밴딩부(142) 및 내측 밴딩부(144)는 단면이 원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진동모터의 브러쉬 구조.
KR2020020015564U 2002-05-22 2002-05-22 코인형 진동모터의 브러쉬 구조 KR2002858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564U KR200285846Y1 (ko) 2002-05-22 2002-05-22 코인형 진동모터의 브러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564U KR200285846Y1 (ko) 2002-05-22 2002-05-22 코인형 진동모터의 브러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846Y1 true KR200285846Y1 (ko) 2002-08-14

Family

ID=73076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564U KR200285846Y1 (ko) 2002-05-22 2002-05-22 코인형 진동모터의 브러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84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177B1 (ko) 2005-12-29 2007-03-12 정창술 진동모터
KR100699723B1 (ko) * 2005-09-12 2007-03-26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 모터의 브러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723B1 (ko) * 2005-09-12 2007-03-26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 모터의 브러쉬
KR100692177B1 (ko) 2005-12-29 2007-03-12 정창술 진동모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2401B2 (en) Flat vibration motor
KR100431061B1 (ko) 진동모터
US20070085495A1 (en) Vibrator and protable terminal device mounted with the vibrator
US20090224616A1 (en) Flat Vibration Motor
US6734594B2 (en) Vibration motor
KR200285846Y1 (ko) 코인형 진동모터의 브러쉬 구조
US20050173999A1 (en) Vibration motor and mounting structure of the vibration motor and mounting method of the vibration motor
JP2003285009A (ja) コインタイプ振動モーター
KR100512300B1 (ko) 코인타입 진동모터
KR100568296B1 (ko) 접촉궤적이 상이한 브러쉬를 구비하는 진동모터
JP2005229791A (ja) バータイプ振動モータ
KR101360937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KR20010046374A (ko) 편평형 진동 모터
JP3255163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
KR200291011Y1 (ko) 편평형 진동모터
EP1728308A1 (en) Flat type vibration motor and brush of the same
KR20010047772A (ko) 편평형 진동 모터의 로터 어셈블리
KR100692177B1 (ko) 진동모터
KR100401107B1 (ko) 진동모터
KR20060091905A (ko) 진동모터
KR20010047771A (ko) 편평형 진동 모터의 로터 어셈블리
KR20010057866A (ko) 편평형 진동 모터용 브러쉬
KR100520414B1 (ko) 편평형 진동모터의 단말결선 구조
KR100447604B1 (ko) 편편형진동모터
KR20150086611A (ko) 편편형 진동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30905

Effective date: 2005072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