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707Y1 - 생수 용기 - Google Patents

생수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707Y1
KR200285707Y1 KR2020020016037U KR20020016037U KR200285707Y1 KR 200285707 Y1 KR200285707 Y1 KR 200285707Y1 KR 2020020016037 U KR2020020016037 U KR 2020020016037U KR 20020016037 U KR20020016037 U KR 20020016037U KR 200285707 Y1 KR200285707 Y1 KR 2002857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water
stopper
bottled wat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60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주)미스터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스터케이 filed Critical (주)미스터케이
Priority to KR20200200160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7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7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707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0.5리터 생수를 담아 시판하는 제품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기존의 19리터(18.6리터) 생수통을 축소시킨 외형상으로 외형홈에 손가락을 꼭 맞게 하여 편안하게 들어올릴 수 있고, 생수를 담는 기능과 장식물로서의 미감적 기능뿐만 아니라 회전식 마개를 구비하여 돌려서 개방시킬 수 있고, 마개 부분에 고리가 구비되어 보관이 용이한 생수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수 용기{BOTTLE OF MINERAL WATER}
본 고안은 생수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및 소지가 편리한 소용량의 생수를 담아 보관하는 소형 생수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수는 음용수의 일종으로 광천수(mineral water) 내지 먹는샘물(spring water)로 불리우며 사람이 마시기에 적합하도록 여과 등 물리적인 처리만을 한 물이다. 이런 생수에 사용되는 샘물은 지하 암반 대수층에 있는 지하수나 땅 위로 솟는 용천수 등 수질의 안전성을 계속 유지할 수 있는 자연 상태의 깨끗한 물로서, 각종 미네랄을 포함하고 있으며 약알칼리성을 띠고 있다.
특히, 상수도물 내지 수돗물이라 불려지는 대부분의 음용 가능한 물은 소독을 위해 사용하는 염소가 유기화합물과 반응해서 트리할로메탄이라는 발암물질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물질을 제거한 후 마셔야 한다. 또한, 우리 인체 내부는 금속이온의 균형을 통한 세포 내부의 삼투압 조절을 하므로 증류수와 같이 아무것도 들어있지 않은 물은 생명체에 적당하지 않고, pH 7.35 ~ 7.45의 약알칼리성인 우리 인체에 적합한 약알칼리성의 물을 자주 마셔주면, 체내 효소와 항산화물질의 활동을 저하시키지 않으므로 음식의 분해와 소화, 흡수능력이 높아지고 면역력도 강해진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이와 같이 깨끗한 물의 수요와 공급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생수를 보다 잘 보관하고 운반할 수 있는 용기에 대한 기술 발전이 현재까지고 계속 되고 있으며, 종래의 생수 용기들은 냉온수기용 19리터 원형 생수통에서부터 손잡이를 갖거나 직사각으로 형성된 생수통, 1.5리터 페트(PET)병, 0.5리터 소형 생수병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상을 갖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생수 용기 내지 생수병들은 사각형 내지 원형을 갖는 통상의용기 형상을 갖고, 단순히 물의 수질과 처리방식을 무기로 제품 생산에 열을 올리고 있는 것이 실정이고, 정작 그 물을 담고 있는 용기는 대소동이하여 소비자에게 식별력이 없다.
물론, 제품의 식별력은 제품 품질을 보장하고 신뢰할 수 있는 외적인 표시로 상표의 기능이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으나, 제품을 담고 있는 용기의 형상에 의해 식별력을 갖게 되는 용기의 독특함이 외적인 미감과 함께 기능성을 겸비한 용기의 개발을 촉진시키고 있고, 이에 생수의 맛, 즉 물맛이 이 물맛이나 그 물맛이나 그게 그거라는 생각을 갖는 소비자의 심리에 식별력을 제공할 수 있는 기능성 용기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것이다.
상기 제품 식별력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일반적인 19리터(18.6리터) 대형 생수통의 축소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담고 있는 내용물이 생수라는 것을 일견에 알려줄 수 있어서 통상적인 제품과의 차별성을 갖고, 회전식으로 개폐가능하며, 보관용 고리가 형성된 마개가 제공되어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생수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생수 용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생수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생수 용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적용예에 따른 마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20, 20', 20" : 마개
11, 12, 13 : 돌출부 24 : 후크부
25 : 고리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하면, 중공형 몸체의 병목부위에 개폐 가능한 회전형 마개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의 외형상은 원통형 19리터 생수통의 축소 형상을 갖고, 상기 몸체의 크기는 성인이 한 손으로 편안하게 잡을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된 생수 용기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몸체는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에이트(PET) 수지 재질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몸체의 크기는 외경의 직경이 7㎝ ∼ 8㎝, 높이가 15㎝ ∼ 17㎝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몸체에는 직경방향으로 소정 높이를 갖고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들이 3단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돌출부들 중 임의의 두 개의 돌출부 사이의 원주표면에는 제품명, 성분표시, 제조일자, 회사명 등의 제품관련 표시사항을 갖는 라벨이 감겨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생수 용기는 상기 마개의 상면에는 돌출되어 고리 형상을 갖는 후크부를 형성함으로써 소정 위치에 걸어서 보관하거나 소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생수 용기는 상기 마개의 상면에는 힌지부의 구멍에 탄성력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의 고리부와 작동부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힌지형 고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생수 용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실시예>
도면에서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생수 용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생수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생수 용기는 일반 가정용 사무용 냉온수기에 사용되는 19리터 생수통을 0.5리터 생수통으로 축소된 것으로서, 실제 내부 공간은 0.5리터의 물을 담고도 약간 남을 정도의 체적을 갖는 중공형 몸체(10)를 갖는다.
이런 몸체(10)는 통상의 플라스틱 중공성형기(blow molding machine)에 의해 대량 생산된다.
이런 본 고안의 생수 용기 몸체(10)의 재질은 일반적인 생수 용기에 사용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에이트(PET) 등이 적당하며, 그 규격은 통상적인 음료수 캔과 같이 일반적인 성인이 한 손으로 편안하게 잡을 수 있는 크기를 갖는 것으로 음료수 캔보다 약간 더 큰 크기로 제작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몸체(10)의 규격은 외경의 직경이 7㎝ ∼ 8㎝이며 높이는 15㎝ ∼ 17㎝를 갖는 것으로서, 19리터 대형 생수통에 비교하여 마개 부분을 제외하고는 거의 유사하거나 동일한 외형상을 갖는다.
또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직경방향으로 소정 높이를 갖게 성형된 돌출부(11, 12, 13)들은 몸체(10)의 아래로부터 3단으로 배치되며, 실제로 성인 한 사람이 손으로 몸체(10)를 잡을 때, 손가락 중 일부가 돌출부(11, 12, 13)의 사이에 배치되어서 편안하게 몸체(10)를 들어올릴 수 있다.
돌출부(11, 12, 13)들의 사이에 원주표면(14, 15)에는 제품명, 성분표시, 제조일자, 회사명, 등의 식품관련 표시사항 등이 프린트되거나, 이들이 프린트된 플라스틱 테이프형 라벨이 감겨져 있다.
또한, 몸체(10)의 병목 부위의 형상은 최 상단의 돌출부(13)의 외경으로 부터 축심으로 콘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일반적인 회전식 플라스틱 마개(20)가 장착되도록 병목의 외원주면에 나사산(21)과 마개 고정용 원형턱(22)을 돌출성형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수로 마개(20)를 열고 닫을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즉, 본 고안의 생수 용기는 0.5리터 생수통의 마개 상면을 뚫어서 사용하거나 벗겨내서 사용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마개(20)의 원주면에는 축방향으로 다수의 돌출 스트립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마개(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수의 제조시에 몸체(10)의 내부로 생수가 소정량(0.5리터) 채워진 후 마개(20)가 씌워지며, 이후 사용자가 반시계 방향으로 뒤틀듯이 회전(o)시키면, 마개의 하부부위가 몸체(10)의 병목 부위에 남게 됨과 동시에 상부부위가 분리되는 통상의 페트병용 마개 개폐 구조(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는 않음)를 갖고, 생수를 마신 후 다시 마개(20)를 병목의 위에 놓고 시계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몸체(10)가 밀폐되도록 되어 있다.
<제 2실시예>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고안의 생수 용기는 마개에 일체형 후크, 힌지형 고리 등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1실시예의 기술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 1 내지 도 4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면에서, 도 3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생수 용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다른 적용예에 따른 마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선으로 표시한 몸체(10)의 병목부위에 결합되는 마개(20')의 상면에는 일체형으로 돌출되어 환 형상 또는 고리 형상을 갖는 후크부(24)가 형성되어 있다.
후크부(24)는 몸체(10)와 마개(20')를 자전거의 핸들, 가방, 옷자락 등과 같이 걸 수 있는 모든 곳에 걸려져서 본 고안이 용이하게 보관되고 편리하게 소지할 수 있게 한다.
이런 후크부(24)는 일체형으로 사출성형되며, 제작상 기존의 일반형 마개를 사용하기 위해서 후크부(24)를 별도로 사출성형한 후, 초음파 접합에 의해서 마개(20')의 상면에 접착되어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선으로 표시한 몸체(10)의 병목부위에는 힌지형 고리(25)를 구비한 마개(20")가 결합되어져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고리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마개(20")는 사출성형시 일체형으로 링형상의 힌지부(26)를 갖게되고, 이런 힌지부(26)의 구멍에 탄성력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의 고리부(27)가 결합된다. 여기에서, 힌지형 고리(25)는 힌지부(26)를 기준으로 고리부(27)가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다.
이런 힌지형 고리(25)는 통상적인 개폐형 고리와 동일하게 고리부(27)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작동부(28)로 이루어져 있으며, 작동부(28)는 탄성력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고리부(27)의 고정턱에 안착되어 있다. 이런 작동부(28)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서 안쪽으로 눌려지는 경우, 고리부(27)의 안쪽으로 움직여서 소정 위치에 고리부(27)를 걸 수 있게 하는 공간을 만들고, 작동부(28)에 가해졌던 손가락 힘이 제거될 경우, 자체 탄성력에 의해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힌지형 고리(25)는 본 고안의 생수 용기의 몸체(10)를 소정 위치에 걸어서 보관하거나 이동중의 물체에 거는데 매우 용이하게 사용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생수 용기는 기존의 19리터 생수통을 연상시킬 수 있는 외형을 갖기 때문에, 담고 있는 내용물을 즉각적으로 식별시킬 수 있어서, 소비자에게 친밀감을 줄 수 있으며 마스코트와 같은 역할을 통해 제품 이미지 증대를 가져와 제품 판매를 촉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생수 용기는 돌출부들간에 손가락이 안착되어 사용자가 편안하고 안전하게 몸체를 들어올릴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회전 개폐식 마개를 구비하여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생수 용기는 마개에 고리를 구비하여 보관 및 소지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고안의 생수 용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7)

  1. 중공형 몸체(10)의 병목부위에 개폐 가능한 회전형 마개(20, 20', 20")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10)의 외형상은 원통형 19리터 생수통의 축소 형상을 갖고,
    상기 몸체(10)의 크기는 성인이 한 손으로 편안하게 잡을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에이트(PET) 수지 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크기는 외경의 직경이 7㎝ ∼ 8㎝, 높이가 15㎝ ∼ 1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 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에는 직경방향으로 소정 높이를 갖고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11, 12, 13)들이 3단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 용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1, 12, 13)들 중 임의의 두 개의 돌출부 사이의 원주표면(14, 15)에는 제품명, 성분표시, 제조일자, 회사명 등의 제품관련 표시사항을 갖는 라벨이 감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 용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20')의 상면에는 돌출되어 고리 형상을 갖는 후크부(24)를 형성함으로써 소정 위치에 걸어서 보관하거나 소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 용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20")의 상면에는 힌지부(26)의 구멍에 탄성력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의 고리부(27)와 작동부(28)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힌지형 고리(25)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 용기.
KR2020020016037U 2002-05-25 2002-05-25 생수 용기 KR2002857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037U KR200285707Y1 (ko) 2002-05-25 2002-05-25 생수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037U KR200285707Y1 (ko) 2002-05-25 2002-05-25 생수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707Y1 true KR200285707Y1 (ko) 2002-08-13

Family

ID=73123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037U KR200285707Y1 (ko) 2002-05-25 2002-05-25 생수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70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8446B2 (en) Color coded beverage cap collection with permanent passive indicia indicating beverage bottle user identities
US7997434B2 (en) Bottle, in particular adapted to contain beverages
US20110253729A1 (en) Container for dispensing fluid
YU41203A (sh) Poklopac za kontejnere u obliku boce
CA2741395A1 (en) Container with cap and item compartment
WO2002036444A1 (en) Container module and modular container formed therefrom
KR200285707Y1 (ko) 생수 용기
WO2013142925A2 (en) Beverage container with a cup
US20150375901A1 (en) Reusable, eco-friendly container for storing and dispensing food and beverage
KR200314066Y1 (ko) 이중 분할 공간 구조의 음료수병 및 그 뚜껑
JP2006111268A (ja) 容器
KR100429708B1 (ko) 통체의 2중 분할 구조와 마개의 컵 겸용 구조를 갖는음료수 병
CN214357689U (zh) 一种带标记涂层的饮料瓶瓶盖
WO2016015642A1 (zh) 一种瓶装饮料及其饮料瓶
KR200281841Y1 (ko) 오프너
KR200282170Y1 (ko) 쌍둥이 음료수 용기
KR200398052Y1 (ko) 복수의 음료 저장 공간을 갖는 음료수 병
KR200339897Y1 (ko) 병제품 취부용 수납케이스
US20220087217A1 (en) Portable pet travel cup with prefilled water and sealable lid
JP5387159B2 (ja) 収納スペース付きヒンジキャップ
KR200397840Y1 (ko) 착탈형 컵을 갖는 플라스틱 음료병
KR200280771Y1 (ko)
KR100558748B1 (ko) 착탈형 컵을 갖는 플라스틱 음료병
KR200280926Y1 (ko) 음료수 용기 마개
KR200325536Y1 (ko) 착탈 가능한 이중 음료수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