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771Y1 - 병 - Google Pa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771Y1
KR200280771Y1 KR2020020009620U KR20020009620U KR200280771Y1 KR 200280771 Y1 KR200280771 Y1 KR 200280771Y1 KR 2020020009620 U KR2020020009620 U KR 2020020009620U KR 20020009620 U KR20020009620 U KR 20020009620U KR 200280771 Y1 KR200280771 Y1 KR 2002807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drink
main body
region
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6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주상
Original Assignee
조주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주상 filed Critical 조주상
Priority to KR20200200096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7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7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771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두 종류 이상의 마실 것을 넣을 수 있는 병에 관한 것으로, 이것은 서로 다른 마실 것을 따로 따로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여 하나의 마실 것을 담을 수 있는 제 1 영역과;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여 다른 하나의 마실 것을 담을 수 있는 제 2 영역과;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을 정의하는 칸막이와; 상기 본체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마실 것들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여닫기 위한 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병{Bottle}
본 고안은 병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두 종류 이상의 마실 것을 넣을 수 있는 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Bottle)은 그 모양과 재질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마실 것을 보관하였다가 필요할 때마다 마실 수 있도록 한 도구이다.
이러한 병의 재질은 주로 금속류와 합성수지류가 있고, 최근에는 1회용으로 이용하는 페트(P.E.T)병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고, 병의 구조는 마실 것을 담아둘 수 있는 소정 용량의 공간과 마실 것이 외부로 흐르거나 새지 않도록 하는 마개로 이루어진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병은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첫째, 종래의 병은 한 종류의 마실 것만을 담을 수 있도록 되어서 두가지 종류 이상의 마실 것을 담아두려면 일일이 병마다 마실 것을 담아두어야 하고, 이로 인해 휴대시 들고 다닐 병들이 많아지는 단점이 있다.
둘째, 병원이나 약국에서 조제된 소량의 약물이 담긴 병 조차도 하나의 병에 하나의 약물이 담기는 식으로 이용되어, 여러 종류의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인 경우에는 병마다 약물을 담아서 보관하기 때문에 휴대성 면에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병에 두가지 이상의 마실 것을 담아서 음용(飮用)할 수 있도록 한 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병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병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병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병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병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병 12 : 본체
13 : 나사산 14 : 마개
16 : 제 1 영역 18 : 제 2 영역
19 : 빨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서로 다른 마실 것을 따로 따로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여 하나의 마실 것을 담을 수 있는 제 1 영역과;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여 다른 하나의 마실 것을 담을 수 있는 제 2 영역과;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을 정의하는 칸막이와; 상기 본체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마실 것들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여닫기 위한 마개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고안은 두가지 이상의 마실 것을 담아서 음용하도록 한 병이지만, 설명을 명료함을 위해서 두가지 종류의 마실 것을 담아서 음용하도록 병에 대한 제 1 내지 제 5 실시예를 예시하고자 한다.
제 1 실시예
제 1 실시예는 마개가 하나인 원통형 병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병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제 1 병(10)은 두 종류의 마실 것을 담을 수 있는 본체(12)와, 상기 본체 상부에 형성되어 회동시켜 잠그기 위한 숫나사산(13)과, 상기 나사산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내경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마개(14)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2) 내부는 하나의 마실 것이 담기는 제 1 영역(16)과, 다른 마실 것이 담기는 제 2 영역(18)과, 상기 제 1 영역(16)과 상기 제 2 영역(18)을 정의하는 칸막이(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마실 것을 각자의 빨대(19)로 빨아서 먹도록 하고, 제 1 병(10)의 재질은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실시예
제 2 실시예는 마개가 둘인 원통형상의 병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병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제 2 병(20)은 두 종류의 마실 것을 담을 수 있는 본체(22)와, 상기 마실 것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여닫는 제 1 및 제 2 마개(23)(24)와, 상기 제 1 및 제 2 마개(23)(24)가 충분히 잠글 수 있도록 볼록한 나선형상으로 형성된 나사산(25)이 구비되어 있다. 이때, 도면상 제 1 마개(23)의 잠금기능을 도와주는 나사산(25)만 도시되어 있으나, 제 2 마개(24)로 가려진 부분에는 제 2 마개(24)의 잠금기능을 도와주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22) 내부의 공간은 하나의 마실 것을 담을 수 있는 제 1 영역(26)과, 다른 하나의 마실 것을 담을 수 있는 제 2 영역(28)으로 나뉘어져 있고, 상기 제 1 영역(26)과 제 2 영역(28)을 정의하는 칸막이(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제 2 실시예는 빨대로 빨아서 마셔도 되고, 입을 대어 마셔도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3 실시예
제 3 실시예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칸막이로 구분하지 않고, 따로 성형하며, 착탈가능하도록 한 병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병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제 3 병(30)은 반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제 1 본체(32)와 제 2 본체(34)가 접촉되는 부분에 볼록하게 형성되어 슬라이딩 체결되는 볼록레일(36)과 오목하게 형성되어 슬라이딩체결되는 오목레일(38)이 서로 끼워지도록 한 것이다.
제 3 병(30)의 제 1 및 제 2 본체 각각에는 마개가 구비되어 있다.
제 4 실시예
제 4 실시예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이 상하로 정의되도록 한 병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병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제 4 병(40)은 하나의 마개(42)만 구비되어 여닫는 횟수가 빈번한 마실 것을 담아두는 제 1 영역(44), 마개가 필요치 않을 뿐만 아니라, 여닫는 횟수가 빈번하지 않은 마실 것을 담아두는 제 2 영역(46)으로 구분되어진다.
또한, 제 1 영역(44)의 하단 내경과 제 2 영역(46)의 상단 외경에는 서로 회동시켜 끼워지도록 한 나사산(43)(4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4 병(40)은 약물 및 알약 동시복용환자가 이용하는데 편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약물은 제 1 영역(44)에 담아두고, 알약은 제 2 영역(46)에 보관하면 매우 편리할 것이다.
제 5 실시예
제 5 실시예는 독신세대의 가정에서 이용하기에 편리하도록 디자인된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병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제 5 병(50)의 본체(52) 내부는 제 1 영역(53)과 제 2 영역(54)이 칸막이(56)에 의해 구분되고, 뚜껑(58)에는 상기 제 1 영역(53)과 제 2 영역(54)을 180。 각도로 여닫는 제 1 마개(58a) 및 제 2 마개(58b)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52) 상부에는 뚜껑(58)을 돌려서 잠그기 위한 나사산(51)이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소량의 마실 것들을 하나의 병에 담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편의성을 증대시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마실 것을 판매하는 업체의 화이트데이와 같은 이벤트상품의 제조가 손쉬워지기 때문에 판매량의 증대를 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결혼세대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소량을 소비하는 독신세대를 겨냥한 각종상품을 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같은 종류의 마실 것인 경우에도 하나의 페트병으로 함께 음용함으로써 발생되던 각종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서로 다른 마실 것을 따로 따로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여 하나의 마실 것을 담을 수 있는 제 1 영역과,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여 다른 하나의 마실 것을 담을 수 있는 제 2 영역과,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을 정의하는 칸막이와,
    상기 본체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마실 것들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여닫기 위한 마개를 포함하고, 그 재질은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KR2020020009620U 2002-03-30 2002-03-30 KR2002807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620U KR200280771Y1 (ko) 2002-03-30 2002-03-3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620U KR200280771Y1 (ko) 2002-03-30 2002-03-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771Y1 true KR200280771Y1 (ko) 2002-07-13

Family

ID=73120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620U KR200280771Y1 (ko) 2002-03-30 2002-03-30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7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322A (ko) * 2002-05-01 2002-05-18 황영호 다중 분할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322A (ko) * 2002-05-01 2002-05-18 황영호 다중 분할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9048B2 (en) Hinged closure
JP6275774B2 (ja) ボトルのような容器のためのキャップ
US7055709B1 (en) Receptacle cap for pills and other articles
US10858169B2 (en) Lid for a beverage cup including a snack storage reservoir
US20100163507A1 (en) Dual compartment container having a rotating cover
US7121431B2 (en) Battlefield flask
US7918336B2 (en) Closure device with corrugated ring plunger part
US20060016819A1 (en) Bottle assembly with removable container assembly
WO1999037190A1 (en) Bottle convertible into drinking utensil
US20150147430A1 (en) Adapters for consumable product packages and methods for using same
JP2005529801A (ja) 保存画室を有する容器/ボトルのキャップ
JP2013147284A (ja) 容量可変容器
AU2006237711B2 (en) Closure arrangement
EP1622815A1 (en) Closure element for cosmetic product containers and the like
KR200280771Y1 (ko)
KR20120001224U (ko) 이중 병마개의 내,외부마개의 결속구조
KR20080013582A (ko) 손잡이가 구비된 광구 pet용기
KR200350969Y1 (ko) 수납공간을갖는병마개
KR102099903B1 (ko) 이중 수용부를 가지는 식품용기
KR200398052Y1 (ko) 복수의 음료 저장 공간을 갖는 음료수 병
JP3084603U (ja) 携帯用飲料容器
KR100429708B1 (ko) 통체의 2중 분할 구조와 마개의 컵 겸용 구조를 갖는음료수 병
KR20060000096U (ko) 뚜껑 겸용 컵과 보조 컵이 구비된 용기
JP5387159B2 (ja) 収納スペース付きヒンジキャップ
KR200444442Y1 (ko) 손잡이가 구비된 광구 pet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2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