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117Y1 - 소방용 스프링클러헤드 고정부재 - Google Patents

소방용 스프링클러헤드 고정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117Y1
KR200285117Y1 KR2020010031508U KR20010031508U KR200285117Y1 KR 200285117 Y1 KR200285117 Y1 KR 200285117Y1 KR 2020010031508 U KR2020010031508 U KR 2020010031508U KR 20010031508 U KR20010031508 U KR 20010031508U KR 200285117 Y1 KR200285117 Y1 KR 2002851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kler head
tex
tightening
ceiling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15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화자
Original Assignee
박화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화자 filed Critical 박화자
Priority to KR20200100315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1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1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117Y1/ko

Links

Landscapes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방용 스프링클러헤드가 천정텍스로부터 처져 돌출됨이 없이 정밀한 조립이 유지되게 스프링클러헤드의 고정구조를 개선하여 소방 배관설비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소방용수가 공급되는 메인파이프로부터 분기되는 가지배관에 연결되는 플렉시블 호스의 일단에 천정텍스의 설치공에 지지판을 개재하면서 스프링클러헤드와 나사 결합되게 설치된 중공관부와,
상기 중공관부의 외주에 천정텍스를 가압하게 나사 결합되는 조임관부와,
상기 조임관부와 천정텍스사이에 일정 넓이로 복수개의 천정텍스에 걸쳐 개재되게 형성되어 조립되는 텍스보강판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소방용 스프링클러헤드 고정부재를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방용 스프링클러헤드 고정부재{FIXING MEMBER OF SPRINKLER HEAD FOR FIRE FIGHTING}
본 고안은 소방용 스프링클러헤드 고정부재에 관한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방용 스프링클러헤드를 지지 설치하는 스프링클러지지대의 처짐이나 소방수 분사 작동시에도 천정텍스와의 정밀한 조립이 유지되게 스프링클러헤드의 고정을 개선한 소방용 스프링클러헤드 고정부재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종래기술로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에 적용된 스프링클러지지대와 이의 처짐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스프링클러지지대(2)는 소방용수가 공급되는 메인파이프(4)에서 분기되는 가지배관(6)으로부터 티관(8)에 연결되는 플렉시블호스(10)의 일단에 조립되는 중공관(12)과, 이 중공관(12)이 위치하는 천정텍스(14)의 설치구멍에 플렌지형 플레이트(16)를 개재한 후 나사 결합으로 스프링클러헤드(18)가 조립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소방배관설비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클러헤드(18)와 조립되는 중공관(12)의고정을 위해 천정슬라브(도시생략)와 천정텍스(14)사이에 안정되게 거치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스프링클러지지대(2)는 천정슬라브와 천정텍스(14)사이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20)과, 이 지지프레임(20)과 중공관(12)을 상호 연결하여 고정하는 통상의 클램프(22)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프링클러헤드(18)를 스프링클러 작동시 안정되게 고정하며 천정텍스(14)측에 견고하게 설치됨을 유지하게 한다.
그러나 스프링클러 소화 설비의 경우 물이 스프링클러헤드의 일단까지 충진되어 있어 그무게 때문에 처지기도 하고 천정내 배치된 덕트나 전기배선의 점검 또는 정비작업시 천정슬라브에 행거로 거치된 스프링클러지지대를 밟고 작업자가 작업을 하므로서 지지프레임이 휘거나, 처짐으로 인해 스프링클러헤드가 천정텍스의 저면으로 돌출되어 외관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스프링클러헤드의 재작업이 필요하게 되며 스프링클러지지대의 조정 작업 등 보수 작업이 이루어져야 함에 따라 불필요한 관리비용 발생등으로 비경제적 요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고안의 목적은 소방용 스프링클러헤드를 통한 분사 작동시나 천정등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작업에 의해 스프링클러헤드의 처짐 방지나 천정텍스로부터 돌출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천정텍스와의 정밀한 조립이 유지되게 스프링클러헤드의 고정을 개선한 소방용 스프링클러헤드 고정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소방용수가 공급되는 메인파이프로부터 분기되는 가지배관에 연결되는 플렉시블 호스의 일단에 천정텍스의 설치공에 지지판을 개재하면서 스프링클러헤드와 나사 결합되게 설치된 중공관부와,
상기 중공관부의 외주에 천정텍스를 가압하게 나사 결합되는 조임관부와,
상기 조임관부와 천정텍스사이에 일정 넓이로 복수개의 천정텍스에 걸쳐 개재되게 형성되어 조립되는 텍스보강판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소방용 스프링클러헤드 고정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중공관부는 관통하는 중공부를 형성하면서 플렉시블호스와 나사 결합되게 형성한 제1나사부와, 이 제1나사부의 하측에 나사결합시 조임력을 발생하게 다면으로 형성한 조임부와, 이 조임부의 하측으로 일정 구간에 걸쳐 형성한 제2나사부와, 이 제2나사부의 하측으로 경사져 축소되면서 내주면에 스프링클러헤드와 나사 결합하게 제3나사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소방용 스프링클러헤드 고정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조임관부는 중공관부의 제2나사부에 승강하게 나사 결합으로 조립되는 조정너트부와, 이 조정너트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일정 직경으로 확관 형성되는 경사관부와, 이 경사관부의 가장자리에 천정텍스를 가압하게 절곡시킨 플렌지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소방용 스프링클러헤드 고정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텍스보강판은 스프링클러헤드의 직경 크기로 뚫려 형성된 구멍과, 이 구멍의주변으로 복수개의 천정텍스간을 포함하는 넓이이면서 평면으로 형성한 보강부를 개재하여 이루어지는 소방용 스프링클러헤드 고정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보강부는 천정텍스에 대해 면접촉에 따른 외력의 전달을 저감하게 굴곡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소방용 스프링클러헤드 고정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은 천정 전기배선이나 덕트 정비시에도 스프링클러헤드가 천정텍스로부터 분리되어 스프링클러헤드가 처져 천정외관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게 플렉시블호스에 중공관부를 이용 스프링클러헤드를 체결시 중공관부에 나사 결합된 조임관부를 조정하여 스프링클러헤드 주변의 천정텍스상에 개재된 텍스보강판을 가압하여 천정텍스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하므로서 스프링클러헤드의 돌출이나 처짐을 차단하여 하자 보수등의 재작업을 미연에 방지하고, 소방 배관설비의 시공 신뢰성을 도모하게 한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을 위해 적용된 스프링클러 지지대와 이의 처짐시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 고정부재가 적용됨을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 고정부재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텍스보강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 고정부재에 적용된 중공관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2:중공관부 34:조임관부
36:텍스보강판 38:메인파인프
40:가지배관 42:플렉시블 호스
44:천정텍스 46:설치공
48:지지판 50:스프링클러헤드
52:중공부 54:제1나사부
56:조임부 58:제2나사부
60:제3나사부 62:조정너트부
64:경사관부 66:플렌지부
68:구멍 70:보강부
72:굴곡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 고정부재가 다양한 두께의 천정텍스에 적용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 고정부재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텍스보강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소방용 스프링클러헤드 고정부재(30)는 크게 중공관부(32), 조임관부(34), 텍스보강판(36)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중공관부(32)는 소방용수가 공급되는 메인파이프(38)로부터 분기되는 가지배관(40)에 연결되는 플렉시블 호스(42)의 일단에 천정텍스(44)의 설치공(46)에 지지판(48)을 개재하면서 스프링클러헤드(50)와 나사 결합되게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중공관부(32)는 관통하는 중공부(52)를 형성하면서 플렉시블호스(42)와 나사 결합되게 제1나사부(54)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제1나사부(54)의 하측에 나사결합시 조임력을 발생하게 다면으로 조임부(56)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임부(56)의 하측으로 일정 구간에 걸쳐 형성한 제2나사부(58)와, 이 제2나사부(58)의 하측으로 경사져 축소되면서 내주면에 스프링클러헤드(50)와 나사 결합하게 제3나사부(60)를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제1나사부(54)는 플렉시블호스(42)의 일단과 너트(62)에 의해 조립 연결되고 있으며, 제2,3나사부(58)(60)는 중공관부(32)의 소방 배관 설비의 특성에 따라 형성 구간을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조임관부(34)는 상기 중공관부(32)의 외주에 천정텍스(44)의 두께에 관계없이 가압하게 형성되어 나사 결합되고 있다.
조임관부(34)는 중공관부(32)의 제2나사부(58)에 승강하게 나사 결합으로 조립되는 조정너트부(62)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조정너트부(62)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일정 직경으로 확관되는 경사관부(64)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경사관부(64)의 가장자리에 천정텍스(44)를 가압하게 절곡시킨 플렌지부(66)를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조정너트부(62)는 승강하게 나사결합으로 조립되게 되어 있어 천정텍스의 두께에 따라 조정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경사관부(64)는 도3에 도시한 기울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확관되어 수직으로 형성할 수 도 있으며, 이의 하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플렌지부(66) 또한 텍스보강판(36)을 누를 수 있는 정도의 면적이면 충분하다.
텍스보강판(36)은 상기 조임관부(34)와 천정텍스(44)사이에 일정 넓이로 복수개의 천정텍스(44)에 걸쳐 개재되게 형성되어 조립되고 있으며, 특정한 형상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텍스보강판(36)은 스프링클러헤드(50)의 직경 크기로 뚫려 형성된 구멍(68)과, 이 구멍(68)의 주변으로 복수개의 천정텍스(44)간을 포함하는 넓이이면서 평면으로 형성한 보강부(70)로 이루어지고 있다.
보강부(70)는 천정텍스(44)에 대해 면접촉에 따른 외력의 전달을 저감하게 굴곡부(72)를 형성하여 이루어짐도 가능하며, 굴곡부(72)는 도5와 같이 일정 곡률로 형성되거나 직각 형태로 형성함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한 텍스보강판(36)은 강도가 높은 경질재이면서 일정 넓이로 형성하여 스프링클러헤드(50)를 통해 전달되는 외력이 설치공(46)을 형성한 1장의 천정텍스(44)에만 미치는 것을 차단하므로서 천정텍스(44)의 파손을 방지하게 하고 있다.
또, 텍스보강판(36)은 경우에 따라 삭제한 후 조임관부(34)만을 이용 천정텍스(44)에 스프링클러헤드(50)를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은 소방 용수가 공급되는 메인파이프(38)로부터 분기된 가지배관(40)에 티관(74)으로 플렉시블 호스(42)가 연결되고 있으며, 이 플렉시블 호스(42)의 일단에 중공관부(30)의 제1나사부(54)를 이용 너트(62)로 연결 결합시킨다.
그리고 나서 중공관부(30)의 제2나사부(58)에 조임관부(34)를 나사 결합시켜 승강시킨 후 천정텍스(44)의 설치공(46) 주변에 텍스보강판(36)을 위치시켜 일치시킨다.
그런다음 지지판(48)을 올려놓은 스프링클러헤드(50)를 중공관부(32)의 제3나사부(60)와 결합시켜 가조립한 후 중공관부(32)의 제2나사부(58)에 결합되어 있어 조임관부(34)의 조정너트(62)를 이용 조임으로서 조임관부(34)의 플렌지부(66)가 텍스보강판(36)을 가압할 수 있을 정도로 조여 스프링클러헤드(50)를 천정텍스(44)에 고정시켜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한 조임관부(34)는 중공관부(30)의 제2나사부(58)에 의해 승강하게 조립되어 있어 천정텍스(44)의 두께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정하여 스프링클러헤드(50)를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천정 전기배선 작업이나 덕트 정비시에도 천정텍스(44)로부터 스프링클러헤드(50)가 분리되어 처짐으로서 돌출되거나 하여 천정외관을 손상시키게 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 고정부재에 적용된 중공관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중공관부(32)는 플렉시블 호스(42)의 일단에 너트로 체결되게 일정 길이를 갖는 외주면에 조임관부(34)의 승강 조절이 이루어지게 형성한 승강나사부(74)와, 이 승강나사부(74)의 하측으로 경사져 축소되면서 연장되는 내주면에 스프링클러헤드(50)와 결합이 용이하게 체결나사부(76)를 형성하고, 외주면에는 조임공구에 의한 조임력의 전달이 용이하게 조임너트부(78)를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중공관부(32)는 스프링클러헤드 고정부재(30)에 적용되며, 작용은 상기 설명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 동일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체적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프링클러헤드 고정부재(30)에 적용되는 중공관부(32)는 용도에 따라 저압용과 고압용으로 구분되어 사용되며, 저압용에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나사부(74), 체결나사부(76), 조임너트부(78)로 형성된 중공관부(32)를 사용하며, 고압용에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나사부(54), 조임부(56), 제2나사부(58), 제3나사부(60)로 형성된 중공관부(32)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제1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에 준하여 여러가지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천정텍스로부터 스프링클러헤드가 천정내 작업등으로 인해 돌출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소방 배관 설비중 눈에 띄는 스프링클러헤드의 설치 시공을 완벽하게 하므로서 배관설비 시공의 신뢰성과 시공성을 도모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스프링클러헤드 고정부재는 저압과 고압에 따라 적당한 중공관부를 채용하여 사용하므로서 소방 배관설비의 규모에 따라 알맞은 부품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천정텍스의 두께에 관계없이 스프링클러헤드 고정부재를 이용 스플링클러헤드를 견고하게 고정 설치하므로서 하자보수 등의 재작업을 미연에 방지하여 불필요한 유지 보수 비용의 지출을 방지하게 되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스프링클러헤드 고정부재등을 탄소강류나 스텐레스등 단조 가능한 재질로 형성하여 단조품으로 제작하므로서 소비자의 욕구에 효과적으로 대체할 수 있음은 물론 내구성 증대, 성능면에서 향상된 자재를 제공하므로서 배관자재 산업에 기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소방용수가 공급되는 메인파이프(38)로부터 분기되는 가지배관(40)에 연결되는 플렉시블 호스(42)의 일단에 천정텍스(44)의 설치공(46)에 지지판(48)을 개재하면서 스프링클러헤드(50)와 나사 결합되게 설치된 중공관부(32)와,
    상기 중공관부(32)의 조임부(56) 하측 외주면에 형성된 제2나사부(58)에 천정텍스(44)를 가압하게 나사 결합되는 조임관부(34)와,
    상기 조임관부(34)와 천정텍스(44)사이에 일정 넓이로 복수개의 천정텍스 (44)에 걸쳐 개재되게 형성되어 조립되는 텍스보강판(36)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스프링클러헤드 고정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중공관부(32)는 관통하는 중공부(52)를 형성하면서 플렉시블호스(42)와 나사 결합되게 형성한 제1나사부(54)와, 이 제1나사부(54)의 하측에 나사결합시 조임력을 발생하게 다면으로 형성한 조임부(56)와, 이 조임부(56)의 하측으로 일정 구간에 걸쳐 형성한 제2나사부(58)와, 이 제2나사부(58)의 하측으로 경사져 축소되면서 내주면에 스프링클러헤드(50)와 나사 결합하게 제3나사부(60)를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스프링클러헤드 고정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임관부(34)는 중공관부(32)의 제2나사부(58)에 승강하게 나사 결합으로 조립되는 조정너트부(62)와, 이 조정너트부(62)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일정 직경으로 확관 형성되는 경사관부(64)와, 이 경사관부(64)의 가장자리에 천정텍스(44)를 가압하게 절곡시킨 플렌지부(66)를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스프링클러헤드 고정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텍스보강판(36)은 스프링클러헤드(50)의 직경 크기로 뚫려 형성된 구멍(68)과, 이 구멍(68)의 주변으로 복수개의 천정텍스(44)간을 포함하는 넓이이면서 평면으로 형성한 보강부(70)를 개재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스프링클러헤드 고정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보강부(70)는 천정텍스(44)에 대해 면접촉에 따른 외력의 전달을 저감하게 굴곡부(72)를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스프링클러헤드 고정부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중공관부(32)는 플렉시블 호스(42)의 일단에 너트로 체결되게 일정 길이를 갖는 외주면에 조임관부(34)의 승강 조절이 이루어지게 형성한 승강나사부(74)와, 이 승강나사부(74)의 하측으로 경사져 축소되면서 연장되는 내주면에 스프링클러헤드(50)와 결합이 용이하게 체결나사부(76)를 형성하고, 외주면에는 조임공구에 의한 조임력의 전달이 용이하게 조임너트부(78)를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스프링클러헤드 고정부재.
KR2020010031508U 2001-10-16 2001-10-16 소방용 스프링클러헤드 고정부재 KR2002851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508U KR200285117Y1 (ko) 2001-10-16 2001-10-16 소방용 스프링클러헤드 고정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508U KR200285117Y1 (ko) 2001-10-16 2001-10-16 소방용 스프링클러헤드 고정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117Y1 true KR200285117Y1 (ko) 2002-08-13

Family

ID=73070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508U KR200285117Y1 (ko) 2001-10-16 2001-10-16 소방용 스프링클러헤드 고정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11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96822B2 (en) 2012-06-01 2023-03-07 The Reliable Automatic Sprinkler Co. Inc. Flexible dry sprinkl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96822B2 (en) 2012-06-01 2023-03-07 The Reliable Automatic Sprinkler Co. Inc. Flexible dry sprinkler
US11872427B2 (en) 2012-06-01 2024-01-16 The Reliable Automatic Sprinkler Co. Inc. Flexible dry sprinkl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1381B2 (en) Concrete deck insert
US10016644B2 (en) End bracket for sprinkler and fixing apparatus for sprinkler including the same
CA2384042C (en) Pipe clamp arrangement
US5862637A (en) Roof screen system
KR200285117Y1 (ko) 소방용 스프링클러헤드 고정부재
US6508441B1 (en) Sway brace
EP2602403B1 (en) Anchor terminal for safety lines
US8127512B2 (en) Roofing system
WO1996027717A1 (en) Process in exterior post-repair of roof, exteriorly post-repaired roof and fastening means for use in exterior repair of roofs
JP2008169606A (ja) ブレース、ブレースの取付構造及び建物ユニット
KR100435300B1 (ko) 스프링클러의 고정구조
KR20220029197A (ko) 핸드레일 장치
KR100822946B1 (ko)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KR100795062B1 (ko) 스프링클러가지배관이 매립된 아치지붕구조
CN209129235U (zh) 吊顶结构及用于吊顶结构的吊架体系
KR100641715B1 (ko) 스프링클러 신축배관의 고정장치
JP6332355B2 (ja) 腕木の軒梁への取付構造及び腕木の軒梁への取付金具
CN219734471U (zh) 屋顶管道吊挂结构
JPH09276436A (ja)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の巻出し配管支持構造
KR102393422B1 (ko) 변형 방지 h형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9980038718U (ko) 건축용 배관덕트의 배관지지장치
KR200248002Y1 (ko) 플랙시블 튜브의 장착구조
JP2018188884A (ja) 軒先点検用歩廊
KR200370979Y1 (ko) 전선관용 금속제 아울렛박스 연결구조물
JPH08145026A (ja) フックボル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02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