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4666Y1 - 셋트 전열기구 - Google Patents

셋트 전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4666Y1
KR200284666Y1 KR2020020015046U KR20020015046U KR200284666Y1 KR 200284666 Y1 KR200284666 Y1 KR 200284666Y1 KR 2020020015046 U KR2020020015046 U KR 2020020015046U KR 20020015046 U KR20020015046 U KR 20020015046U KR 200284666 Y1 KR200284666 Y1 KR 2002846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creen plate
energy
plate
hea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0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조
박일홍
조문제
Original Assignee
이상조
박일홍
조문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조, 박일홍, 조문제 filed Critical 이상조
Priority to KR20200200150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46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46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4666Y1/ko

Links

Landscapes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자리에서 움직이지 않고, 장시간 동안 사용하는 네티즌 혹은 사무원들의 발바닥과 무릎을 비롯한 신체의 하체 부위에, 고품질의 원적외선 열과 음이온이 방사되는 전열장치가 구비된 셋트 전열 기구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셋트가 에너지발판과 열스크린판이며, 분리형 구성 셋트는 선풍기 스탠드와 같이 높낮이 조절과, 방향 전환이 되는 구조 및 열 방사 장치와 열 송풍 장치의 2중 전열장치가 된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의 에너지 발판과 열 스크린판의 상면에는, 각종 기능성 소재의 천연약돌판, 소성조형물, 목초액 함침포를 적층하여, 혈액순환의 활성화, 무좀예방, 모기 접근이 예방되는 효과를 갖게 하였고, 또한 책상 밑의 빈 공간이나, 책상의 저면 4벽면에 설치하여 편리하게 사용 할 수 있게 하였다.

Description

셋트 전열기구{Electronic Heating Set}
본 고안은 셋트 전열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자리에서 움직이지 않고 장시간 동안 컴퓨터를 사용하는 네티즌 혹은 일을 하는 사무원들의 발바닥과 무릎을 비롯한 신체의 하체 부위에, 고품질의 원적외선 열과 음이온이 방사되는 전열장치가 구비된 셋트 전열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를 사용하기 위해 컴퓨터 책상 앞에 앉게 되면, 책상 밑 빈 공간으로 두 다리가 들어가서, 편안한 자세를 마음대로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공간은 상당한 크기로 되어 있어서, 두 다리를 마음껏 뻗치고, 벌리고, 오므리고, 할 수 있을 정도의 커다란 빈 공간이다. 이 빈 공간을 그대로 두기가 아까워 크고 작은 책들이나, 여러 가지 잡동사니들을 넣어 두게 되면, 당장 컴퓨터를 사용하기 위해, 책상머리에 앉음과 동시에 두 다리를 마음대로 놔 둘 곳이 없어지게 되어, 불편함을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가 된다. 그래서 즉시 치워 버리게 된다. 그 결과 컴퓨터 책상 밑 공간은, 그야말로 아무 것도 들어있지 않는 비어 있는 공간이 되는 것이다. 다만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의자를 그 빈 공간에 넣어 두는 장소일 뿐이다. 이와 같은 빈 공간은, 컴퓨터를 장시간 사용하는 네티즌들에게는, 충분하게 다리운동을 할 수 있는 다리운동 전용 운동장이 되는 곳이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컴퓨터 등을 이용하는 오랜 시간 동안, 거의 모두가 다리운동을 전혀 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다리운동을 할 줄도 모를 뿐 더러, 하여야 되는 이유도 모르고, 할 려는 생각도 하지 않는다. 그 결과 특히 어린 학생시절부터 다리운동이 부족해서, 장래 건강이 심히 우려되고 있음이 현 실정이다. 즉, 컴퓨터를 사용하거나 업무 후에, 자리에서 일어설 때 다리가 뻐근해지면, 그냥 무릎 운동을 하거나, 다리를 조금 흔들어 주는 것이 고작이었다. 결국, 운동 부족에 의해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못한 결과, 하체부분에 서서히 체온 저하현상이 나타나서, 장시간 경과 후에는 무릎이하 정강이, 장딴지, 발목 등을 만져보면, 싸늘하게 식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학생이거나 젊은 층인 경우 이러한 사실에 대해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하체 무력증이라는 증상이 점점 심해지고 있다는 것이 의학계의 설명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제반 결점들을 해소하고, 장시간의 컴퓨터 사용자 혹은 장시간의 업무를 하지 않으면 안되는 사무원들의 인체에 매우 유용한 고품질의 원적외선 열과, 음이온을 부여하여 항시 최적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게 한 셋트 전열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셋트 전열기구는 양쪽 발바닥이 놓이는 자리에는, A3용지 크기의 에너지발판과 열스크린판이 만들어져 있어서, 이 에너지발판과 열스크린판을 통하여,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온열작용에 의해, 무릎부위와 발바닥 전체에 전달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너지발판의 구성에 대하여 기술하면, 사이즈는 사무용 A3용지 전, 후 크기이고, 밑바닥에는 바닥마감재가 있으며, 바닥마감재의 위에는 단열재가 적층되어 있다. 그리고 단열재 위에는 방열판이 적층되어 있고, 방열판의 소재로써는 4가지가 있다. 이 방열판의 4가지 소재 중에서, 1가지 소재를 선택하여 사용하면 되는데, 금속 판재 혹은 음이온이나 원적외선이 다량 방출되는 기능을 갖는 천연 약돌판, 이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기능성 소재물의 분말을 혼합하여 소성시킨 조형물, 기능성 적층 소재물인 부드러운 적층 천(布)이다. 사이즈는 단열재와 동일한 크기로 단열재 위에 적층 될 수 있는 4가지 종류의 방열판이다.
이 방열판이 되는 금속판재나 천연약돌판 또는 소성(燒成) 조형물이나 적층천(布)의 바닥면에는 발열체(열선, 면상발열체, 카본발열체, 탄소발열체)가 고정된 구성이다. 그 순서는 바닥마감재가 가장 밑이고, 그 위에 단열재, 발열체, 방열판(금속판재, 천열약돌판, 소성조형물, 적층천)의 순차로 적층되는 구성이다.
이렇게 순차 적층된 에너지발판은, 그 두께가 불과 2∼3㎝ 전, 후의 두께이기 때문에 그 형태가 얇고 심플한 모양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면에서 방열판 역할을 하는 약돌판이나 소성조형물 또는 기능성 적층천은, 그 자체가 음이온이나 원적외선을 다량 방출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더 이상 추가 적층하여야 되는 별도의 기능성 소재물이 불필요 하지만, 단순히 방열판의 기능만을 수행하는 금속판의 경우에는, 이 금속판에, 별도의 기능성 소재물을 적층하여 고정을 시켜 주거나 금속판 표면을 소성 조형물로 가공 처리하여서,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을 방사 할 수 있는 기능을 갖도록 만들어 주면 된다(적층 소재물의 기능성 효과에 대해서는, 기술적 과제에서 상세히 기술토록 하겠다).
이렇게 해서, 금속판재로 만들어진 기능성을 갖는 방열판과, 금속판 위에 일반 후포지나 부직포를 적층시켜, 부직포에 천공구멍을 뚫고, 기능성 약돌판이나 소성 조형물을 천공 구멍에 끼워서, 이것을 금속판의 상면에 일체로 고정시켜서 사용한다. 또 다른 기능의 방열판으로는,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이 방사되는 소성조형물 분말로, 방열판이 되는 금속판을 표면처리(도장, 도금, 도포)하면 된다.
방열판에 적층되는 적층 천의 천공구멍 모양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발바닥 모양, 또는 발바닥 모양에 발가락 모양을 추가로 뚫거나, 이 외에 사용 목적에 적합한 모양으로, 보다 다양한 모양을 재미있게 뚫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양쪽 발바닥의 모양이 형성되어 있는 에너지발판에는, 발가락 끝이 놓이는 자리에, 발가락 끝 모양과 동일하게, 여러 개의 기능성 약돌판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발바닥 복판의 용천혈 자리와, 발 뒷굼치 중앙에도 약돌판이 놓여저 있어서, 발열체로부터 발열된 열이, 금속판으로 열전이가 이루어지고, 이 열을 상면에 고정되어 있는 약돌판으로, 그대로 열전도가 이루어져서, 발바닥 전체에 원적외선과 음이온의, 고품질의 기능성 온열을 제공하게 된다.
고품질의 기능성 온열을 제공하는 소재의 약돌판이라 함은, 옥(玉)돌판, 금강약돌판(북한산), 세라믹판, 맥반석돌판, 게르마늄 돌판을 말한다.
원적외선 음이온이 방출되는 분말 소재의 소성조형물이라 함은, 상기 약돌들을 분쇄하여서 만든 가루를 혼합한 분말을 소성시켜서 만든 조형물과, 숯 분말고형물, 황토고형물, 카본고형물과 이들의 혼합물들이 여기에 해당된다. 그리고, 에너지발판의 중앙부분에는, 여러 모양을 갖는 다수개의 지압돌기나 약돌판이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발바닥 전체에 분포되어 있는 수많은 경혈과 신경조직에 온열작용과 지압을 동시에 할 수 있고, 인체의 축소판이라 하는 발바닥을 통하여, 왕성한 혈액순환과 신체 활성화를 이루어 주는, 고품질의 기능성 에너지를 불어넣어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열스크린판의 구성에 대하여 기술하면, 에너지발판과 셋트로 이루어지는 열스크린판의 크기는, 에너지발판과 동일하거나 비슷한 크기이다. 이 열스크린판의 구성으로는, 밑바닥에는 바닥마감재가 있으며, 바닥마감재의 위에는 단열재가 적층되어 있다. 그리고 단열재 위에는 방열포가 적층되어 있고, 방열판의 소재로써는 3가지가 있다. 이 방열판의 3가지 소재 중에서, 1가지 소재를 선택하여 사용하면 되는데, 금속 판재 또는 (2) 음이온이나 원적외선이 다량 방출되는 기능을 갖는 천연 약돌판, 이와 동일 기능을 갖는 기능성 소재물의 분말을 혼합하여 소성시킨 조형물이다. 사이즈는 단열재와 동일한 크기로, 단열재 위에 적층 될 수 있는 3가지 종류의 방열판이다. 이 방열판이 되는 금속판재나 천연약돌판 또는 소성조형물의 바닥면에는 발열체(열선, 면상발열체, 카본발열체, 탄소발열체)가 고정된 구성이다. 그 순서는, 바닥마감재가 가장 밑이고, 그 위에 단열재, 발열체(열선, 면상발열체), 방열판(금속판재, 천연약돌판, 소성조형물)의 순차로 적층되는 구성이다. 이렇게 순차 적층된 열스크린판은, 그 두께가 불과 2∼3㎝ 전.후의 두께이기 때문에 그 형태가 얇고 심플한 모양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면에서 방열판 역할을 하는 약돌판이나 소성조형물은, 그 자체가 음이온이나 원적외선을 다량 방출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더 이상 추가 적층하여야 되는 별도의 기능성 소재물이 불필요 하지만, 단순히 방열판의 기능만 수행하는 금속판의 경우에는, 이 금속판에 별도의 기능승 소재물을 적층하여, 고정을 시켜 주거나, 또는 금속판 표면을 소성조형물로 가공 처리하여서,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을 방사 할 수 있는 기능을 갖도록 만들어 주면 된다(적층 소재물의 기능성 효과에 대해서는, 기술적 과제에서 상세히 기술토록 하겠다).
이 열스크린 판에서도 고품질의 기능성 원적외선열과 음이온을, 네티즌들의 무릎에 제공하는 기능을 갖는다. 에너지발판과 열스크린판으로부터 각각 방사되는 복합된 열이, 보다 강력한 기능을 갖는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되어 정강이와 무릎에전달되어, 장시간 동안 운동부족으로 굳어진, 무릎의 근육을 부드럽게 풀어주고, 긴장된 신경조직을, 기능성 온열로서 안정시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는 것이다. 특히, 겨울철에는 실내 온도 중 가장 낮은 곳이, 책상 밑의 빈 공간이라고 할 수 있는데, 장시간 동안 컴퓨터를 사용함으로 인해, 차갑고 굽어져 있는 사용자들의 발과 무릎에, 따듯한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온열이 되어 발바닥을 통해 발목으로 그리고 정강이를 거쳐, 무릎 깊숙히 침투시켜 줌은 물론 발과 무릎 이외에, 장딴지와 허벅지 부위까지 네티즌들의 하반신 전체에 활력을 불어넣어 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품의 셋트(Set) 구성은, 에너지발판과 열스크린판이 셋트(set)가 되어, 일체형으로 구성된 것과 분리형으로 구성된 것으로 구분된다.
열스크린판을 좌 또는 우로 돌려서, 양쪽 장딴지의 옆 정강이 부위에 맞닿도록 한 후, 에너지발판에 발을 올려, 보다 편리하게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열스크린판과 에너지발판이 ″L″자 형태로 된 일체형 셋트로는, 에너지발판의 상단 중앙에 고정 스탠드가 형성되고, 스탠드 상단에는 열스크린판이 에너지발판과 ″L″자 형태로 고정된 셋트 구조(도11)와 같다. 이 고정 셋트의, 열스크린판 상단 중앙에는, 열풍 송풍구가 형성되어 있고, 이 송풍구에는, 열풍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풍향타가 끼워진다.
그리고, 스탠드 뒷면 하단에는 니크롬열선과 송풍팬이 장치되어 있고, 송풍통로는 스탠드 내부에 형성되어, 열스크린판 상단의 송풍구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동일한 열풍장치가, 스탠드와 열스크린판에 장치된 구조로써, 도16과 같이, 열스크린판과 에너지발판이 분리되는 셋트(set) 구조이다. 분리되는 에너지발판은, 딱딱한 발판과 푹신한 발판의 2가지 종류이다.
또 다른 일체형 셋트로써는, 에너지발판 상단부 중앙에, 선풍기의 스탠드와 같이, 높낮이를 조절 할 수 있고, 구동모터에 의해, 좌, 우 연속적으로 방향 전환이 가능한 스탠드가, 에너지 발판과 일체로 고정되어 있고, 스탠드의 상단에는 둥근원이나 타원모양, 또는 4각이나 다각(多角)모양의 아크(arc)형이나, 오목형의 열스크린판이 고정된 셋트 구조이다.
상기와 동일한 기능의 또 다른 셋트 구조로는, 2개의 열스크린판이 스탠드 상단에 장치된 형태는 도면8과 같은 셋트 구조이다. 이는 열스크린판(원모양 또는 사각모양의 아크형)의 중앙에, 2중 전열장치의 크롬열선, 석영관히터등, 원적외선등이 장치된 셋트 구조이다.
상기 열스크린 판(원모양 또는 사각모양의 아크형)의 앞면 중앙에, 열 송풍구가 형성되어 있고, 이 송풍 구에는 열풍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 조절 노브가 구비된 풍향 타가 끼워져 있으며, 송풍 팬과 니크롬열선은 열스크린 판의 뒷면 중앙에 장치된 세트 구성이다(도13참조).
상기에서 일체형 셋트를 이루는 에너지발판은 딱딱한 발판이다.
또한, 상기 일체형 셋트에는 온도조절 계기가 장치되어 있다.
또, 상기 셋트는 송풍 강약 조절장치와, 좌.우 연속 회전장치와, 타이머 작동 조절장치가 되어 있다.
또, 상기 열스크린판(원모양 또는 사각모양의 아크형) 전면에는 안전망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분리형 셋트의 또 다른 구조로써는, 열스크린판과 스탠드가 일체가 되고, 에너지발판은 분리되어 셋트를 이루는 구조(도 9)이다.
상기 스탠드와 일체된 열스크린판의 상단 중앙에는 열풍 송풍구가 형성되어 있고, 이 송풍구에는 열풍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풍향타가 끼워진다.
상기 스탠드 뒷면 하단에는 니크롬열선과 송풍팬이 장치되어 있고, 송풍 통로는 스탠드 내부에 형성되어 열스크린판 상단의 송풍구와 연결 되어 있다.
상기 열스크린판과 분리되어 셋트를 이루는 에너지발판은, 딱딱한발판과 푹신한 발판 2종류가 있다.
상기 스탠드 앞면 하단의 일측단에, 전원 접속 숫콘넥트 장치가 되어 있고, 에너지발판의 상단 중앙의 일측단에는, 전원 접속 암콘넥트장치를 갖는다(도10참조). 상기 스탠드에는 온도조절 계기 장치와, 송풍 강약 조절장치와 작동 타이머 장치가 되어 있다.
분리형 셋트의 또 다른 구조로써는, 열스크린판을 고정하는 지지대가, 벨로우즈 형 지지대, 다관절기능의 암(arm)지지대, X-밴드 지지대로 형성된 구조이다(도14~16). 이와 같은 구조의 지지대를 갖는 열스크린판은, 컴퓨터 책상 밑 4면 중, 어느 면이든지 편리한 장소에 부착하여, 사용되는 구조이다. 상기 에너지발판과 열스크린판과의 전원연결장치는 콘센트 결속장치로 된다. 상기 에너지발판의 바닥 저면에는, 이동 수단이 되는 회전볼 장치, 또는 고정바퀴장치, 또는 탈착과 부착이 용이한, 탈, 부착형 바퀴장치를 할 수 있다(도 17).
상기 에너지발판의 상면에는, 실내화슬리퍼 형태의, 발덮개가 형성되어 있다(도12).천연약돌판(옥돌, 금강약돌, 게르마늄, 맥반석)과 소성조형물을 고정하는 방법의 수단은 비닐망사를 사용하여 봉제, 고주파 열접착, 봉제와 고주파 열접착을 병행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에너지발판은 밑바닥 면에는 바닥마감재가, 그 위에 단열재가, 그 위에 발열체가 부착 고정된 알미늄금속판, 천공적층천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천공적층천 대신에 다른 기능성 소재 물을 사용 할 수 도 있다.
상기 바닥마감재의 재질은 가죽, 인조가죽, 비닐, 또는 천(布)이나 합판, 세라믹판, 목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가능한 한 딱딱한 구조로써, 휘어지거나, 꺽임이 되지 않는, ABS수지나 알미늄금속판과 같은 보다 강한 재질이면 더욱 좋다.
상기 단열재는 솜, 견면, 방염처리된 합성수지재나 세라믹, 골판지로써 불연성이거나 방염처리가 된 재질을 사용한다.
상기 발열체로서는 보통 열선을 규격에 맞게 쓰면 되는데, 면상발열체를 사용하면, 보다 간편하고 편리하다.
이 열선은, 접착되는 알미늄 금속판의 바닥면에, 열선 굵기의 직경 반정도 미만의 깊이로 홈이 파여져 있는데, 이 홈에 열선이 반쪽 끼워져서, 알미늄 접착 테잎 등으로 고정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열선을 상기 기술 내용과 같이 접착 고정시키는 것은, 가장 기본이 되는 방법이며, 그 외에 알미늄 금속판의 바닥면에 아무런 홈이 없이, 그냥 열선이나, 면상발열체를 얹어서 접착테잎이나 접착제로써, 간단하게 붙여 주는 방법과, 천(布)이나 종이에 열선이나 면상발열체를 접착시킨 후, 이것을 앞.뒷면 관계없이, 단열재와 금속판 사이에 삽입하여 넣어 주는 방법과, 강력 압축된 패딩 솜에, 고주파 처리하여 단열재에 열선이 끼워 질 수 있을 정도의 홈을 형성시키거나, 또는 단열재의 표면에 그냥, 열선이나 면상발열체를 접착테잎이나 접착제로써, 접착을 시켜서 사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알미늄금속판과 같은 딱딱한 재질을 사용하지 않는 푹신한 에너지발판을 만들 때 사용하는 열선 접착 방법으로는(이 방법은 알미늄금속판과 같은 딱딱한 재질에는 사용하지 않는다)푹신한 에너지발판의 열선 접착방법, 기능성 약돌판이나 소성조형물이 천공 구멍에 끼워져 있는, 천공 적층천일면에, 발열체를 접착 고정시켜서 사용하는 방법,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의 기능을 갖는 적층천의 바닥면에, 발열체를 접착고정시켜서 사용하는 방법, 방향제나 목초액이 함침된 적층천의 바닥면에, 발열체를 접착 고정시켜서 사용하는 방법, 이와 같은 기능을 갖는 3가지 종류의 적층천 바닥면에 발열체(열선, 면상발열체)를 접착 고정시켜서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에너지발판을 열스크린판과 분리시켜서 사용할 때 쓰는 여러 종류의 에너지발판 중에서, 한가지 방법에 해당되며, 이후 푹신한 에너지발판에 대하여 기술 할 때 상세히 설명토록 하겠다. 이상과 같은 열선 접착 방법들이 있으나, 상기의 기본방법이나 면상발열체를 방열판이 되는 금속판의 바닥면에 접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발열체의 전압과 전류에 의하여 방출되는 전기장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금속판(방열판)과 발열체 사이에, 방염 처리된 일반 천(布)이나 종이(紙),또는 목재류 박판을 절연물로 삽입, 적층 한 후, 일체로 접착시켜서 사용하여도 된다.
알미늄(Aluminium) 금속판은 그 두께가 최소 0.5㎜ 이상은 되어야 하는데, 평균 1㎜ 전, 후의 두께를 보통 쓴다. 그러나 0.2㎜ 이하 두께도 쓸 수 있으나, 얇으면 얇을수록 빨리 뜨거워지는 만큼 빨리 식게 되며, 운반시 중간에 휘어지거나 꺽임 현상이 나타날 수도 있는 결점이 있다. 그런 반면, 그 두께가 1㎜ 전, 후 정도되면 열효율 면에서 아주 좋다. 두꺼우면 두꺼울수록 그 무게가 무거운 만큼, 운반이 불편하고 비용만 과다 지출 될 뿐이다. 알미늄판 대신에 일반금속판재나 각종 도금판재, 또는 각종금속도장(스프레이분무, 페인팅) 판재를 쓸 수도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각종 금속판재 중에서, 두께 1㎜ 전, 후의 알미늄금속판을 주(主) 소재로 사용함에 대하여 중점 기술토록 하겠다.
일반 금속판재로는 동(銅)판재, 은(銀)판재, 금(金)판재들이 있으나 너무 고가이다. 알미늄 금속판을 사용해야 되는 이유로는, 체적 비중이 엄청나게 적다.
즉, 체적에 따른 무게가 가장 가벼우며, 열 전도율이 49%로써, 금속판재로써는 비교적 값 싼 자재로써, 그 성능 발휘가 되는 열전도율은 가장 우수하다.
그러므로 인해, 상당한 에너지가 절약되는 것이다. 이외에는 아연판과 갈바판이 있으며, 일반 철판에 금, 은, 동, 아연, 니켈을 도금하여 쓸 수 도 있다.
형식만 갖추게 할 경우에는 금색, 은색을 스프레이 분무하거나, 페인팅 하여서 쓸 수 도 있지만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리고, 알미늄 금속판을 지금까지는 보편적인 금속열판으로 사용됨을 기술한 반면, 지금부터는 보다 높은 열에너지 이용의, 기능과 수단을 갖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토록 한다. 이세상의 모든 물체는 열에 대하여 민감한 반응을 하게 되는데,이러한 열반응을 물체에 대한 열 현상이라 한다. 물체간에 일어나는 열이동 현상을 열전이라 하고, 열이동 현상이 일어나는 물체의 열기능을 열전도도, 또는 열전도율 이라 한다. 열 확산이란 열에너지에 의하여, 열전이가 이루어 지는 물체의 열평준화(열평형)현상을 말한다. 열 포집이란 외부로부터 열전이가 이루어 진 물체의 열잔류 현상이며, 열포집기능은 물체가 갖는 열잔류기능(물질, 시간)이다. 열 확산은 매체간(물체) 열 이동 현상이 복사열과 열 대류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서의 집열, 방열판이라 함은, 발열체(열선, 면상발열체, 탄소발열체, 카본발열체)의 열이, 열 이동(열전이)되어 열 확산이 이루어지는 열포집 기능의 물체를 말한다.
본 고안에서는 집열방열판의 주(主)소재는 알미늄금속판이나 기타 각종 금속판들도 사용 가능하며, 이들은 모두 다 열포집체의 기능을 갖게 된다.
또한, 열확산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집열방열판 보다 열전도율이 높은 은(銀), 백금, 금(金), 동(銅), 아연(亞沿), 알미늄 등의 얇은(미크론 두께) 박판을 사용하며, 0.5㎜ ∼ 1㎜ 전, 후 두께의 알미늄판, 또는 금속판의 앞, 뒷면에 접착, 도포, 도장, 도금을 하는 방법으로, 전체를 하나가 되도록 일체화한 것이다.
여기서 열 과학 관련문헌에 기록된 내용을 살펴보면, 열전이율이 은(銀)의 경우를 100%로 볼 때, 동(銅)은 92%, 알미늄은 49%, 일판철(鐵)은 10∼15%, 천(布)은 0.019%, 나무는 0.02%, 공기는 0.057%이다. 이러한 내용을 참고로 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열포집체를 알미늄금속판으로 하고, 뒷면은 은박판을, 앞면에는 동박판을 접착, 또는 도포, 도장, 도금을 하게 된 경우에는 뒷면의 발열체로부터 발열된 열을, 뒷편의 은박판이 전량 흡수하여, 일체화로 밀착 접착되어 있는 알미늄금속판 쪽으로 전달하며, 이 일은 열이동 현상으로 인하여, 알미늄금속판에 열이 보관되고, 이 말미늄금속판은 또 다시 일체화로 밀착 접착되어 있는, 앞면의 동박판으로 열이동 현상이 일어나게 됨으로써, 알미늄금속판 만으로 단순한 금속열판의 역할을 하는 것 보다는, 그 열효율이, 실시 예 결과 30∼43%의 에너지효율이 상승되는 기능과 효과를 갖는다. 이렇게 하는 공정을 열포집체 제작 공정이라고 하며,
이 열포집체의 제작 고정에서는 앞, 뒷면에 다른 종류의 금속박판을, 또는 같은 종류를 선택적으로 쓸 수 있으며, 보다 열전도율이 높은 박판을 앞면에 쓸 수 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으나, 앞면에는 열전도율이 보다 높은 박판을 쓰는 것이 좋다. 그렇게 하면 발열체의 발열온도 효율을 가장 많이, 가장 높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집열방열판의 기능 및 열효율에 대하여 기술하면,알미늄판의 앞, 뒷면에 똑같이 은(銀)박막이 되었을 경우, 발열체(열선, 면상발열체)에서 발생되는 열은, 뒷편에 접착된, 열전도율이 100%인 은(銀)박막층으로 열전이가 이루어지고, 열전이에 의한 은박막의 열은, 곧 알미늄판으로의 열이동과 열확산 현상에 따라, 알미늄판은 열포집체가 됨과 동시에, 상면에 접착되어 있는 열확산 매체 소재인 은박막층으로 열전이에 의한 열확산이 나타나는 현상이다.
가장 이상적인 열효율기능을 갖는 전기에너지 사용 방법의 집열방열판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을 도면 제 8도를 참고로 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겠다. 발열체에서 발열되는 온도가, 예를 들어 섭씨 100℃라고 하면, 발열체에 접착되어 있는 동(銅)에는, 동(銅)의 열전도율이 92%이니까, 동(銅)의 능력대로,흡수한 92℃를 유지시켜 준다. 이때에, 동은 열흡수기능, 즉 열확산 매체물이 되어, 고효율의 열이동 현상이 일어난다. 동(銅)으로 전이되어진, 92℃의 온도는, 접착되어 있는 알미늄 판에 전달되는데, 알미늄의 열전도율은 49% 이므로 92℃ × 49% = 45℃가 된다. 그러므로 알미늄은 45℃를 유지시키게 된다. 이때부터, 알미늄은 열 저장고, 즉 열포집체의 기능을 수행한다. 알미늄에 저장된 45℃ 온도는, 접착되어 있는 은(銀)으로 전달되는데, 은(銀)의 열전도율은 100%이므로, 45℃를 그대로 받아서 표면으로 보내준다. 이때의 은(銀)은, 열확산의 고(高)효율 열방사체로써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열전도가 이루어진 45℃의 온도는, 발열체에서 100℃의 열이 계속적이고, 지속적으로 공급됨으로 인해, 점차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서, 50℃‥‥‥55℃‥‥60℃로 계속 상승되어, 마침내는 80℃ ∼ 90℃ 정도까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열방사 기능을 수행하는 은(銀)박판 위에, 덮게나 기타 천, 또는 동사원단이나,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금사원단, 은사원단, 니켈도금원단을 덮어두면, 보다 더 열이 상승하게 되는데, 열전도성과 열저장기능 및 열함축성이 뛰어나며, 또한 열전도율을 상승 시켜 주며, 시너지효과를 일으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동사원단을 사용한 결과, 실시예에 의하면, 83℃ 까지 온도가 상승함을 확인하였다. 즉, 이러한 것은, 지속적인 열이동 현상(열관류)에 의한 열전이가,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으로써, 열확산의 연속성에 의한 열평형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열 보관 기능을 갖는 열포집체로 집열방열판을 제작하여서, 발열체의 열효율을 극대화 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종전보다도 한 차원 높은 에너지 이용법으로써, 상기 기술한 내용과 같으며, 이 방법은 곧 반도체 생산 공정중, 하나의 공정에 해당되는 것이다. 그래서, 상기 알미늄금속판의 역할은 열저장고의 역할 즉, 열포집체의 기능을 하게되며, 열확산의 연속적인 현상에 의하여, 열이동 또한 지속적으로 계속될 때, 말미늄금속판의 열(熱)도 앞, 뒷면에 일체화로 접착되어진 동(銅)과 은(銀)에 근접하는 온도까지 온도가 상승되면서, 에너지뱅크의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집열 판은, 일반 철재(열전도율 10∼15%)도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나, 열전이율 및 열전도율, 열 확산이 낮은 만큼 알미늄 판에 비하여, 보다 많은 온도상승 시간과 열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값이 싸고, 열전도율도 높으며, 체적비중에 대비하여 무게가 가벼운 알미늄판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다.
천공적층천은, 일판천 중에서도 약간 두꺼운 후포지나 부직포, 또는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출되는 기능성 소재를 통 털어 말하며, 어느 것이든 모두 다 쓸 수 있다. 그리고 부직포는 알미늄판 상면을 접착제로 도포한 후, 그 위에 붙이면 된다. 그러나, 단순히 부직포만을 붙이는 것 보다는 현대인들의 건강선호 기호에 맞추어서, 부직포에 독특한 모양의 천공(구멍)을 다수개 인위적으로 형성 시켜서, 이 천공 모양과 동일한 형태의, 음이온이나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약돌판이나,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는 소정조형물을 구멍에 끼워 알미늄판에 접착시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음이온이나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약돌판이나, 동일한 기능의 소성조형물로는, 옥(玉), 금강약돌(북한산), 세라믹, 맥반석, 게르마늄과, 이들을 분쇄한분말 가루로 만든, 약돌분말 혼합 소성조형물(燒成造型物), 숯분말고형물, 황토고형물, 카본고형물을 사용하는데, 1종류나 2 종류 이상의 분말을 섞어서 혼합한 소성조형물을 만들어서 사용하거나, 또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독립적으로, 또는 다른 것과 혼용하여, 천공적층천의 구멍에 끼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들을 다같이, 음이온이나 원적외선을 다량 방출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여기에서 원적외선과 음이온에 대해서 간단히 기술토록 하겠다.
원적외선이란, 18세기 독일의 과학자 「허셀」에 의해 발견된 원적외선은, 1896년부터 의학계에서 질병 치료에 활용되기 시작하여, 국내에서도 온열 암치료 기기가 개발되어 임상에 사용되고 있다. 원적외선은 「생명 또는 생육광선」이라 불리며, 3.6 ∼ 16미크론의 긴 파장의 열에너지를 발산한다.
이 열에너지는 피부속 40㎜까지 침투되어, 몸의 온열작용을 통해, 인체의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인체의 물질들을 돕는 유익한 광선이다. 이 광선은 지구상의 모든 물질에서 방사되나, 특히, 숯, 황토, 제올라이트, 게르마늄, 맥반석, 금강약돌, 옥(玉), 세라믹, 등의 방사 율이 높다.
보건 관련 문헌에 의하면, 숯이 방사하는 원적외선의 방사율 기준을 100으로 놓고 볼 때, 게르마늄, 맥반석, 제올라이트, 금강약돌, 옥(玉), 세라믹, 들의 방사율이 93이나 된다고 기술하였다. 음이온이란, 통칭하여, 「생체이온」이라고도 부르며, 공기중에 존재하는,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구별하고, 전기 성질을 띤 미립자로 존재하고 있으며, 1,000만분의 1㎜ 정도라는 아주 미세한 크기로 지구상의 대기 속의 모든 곳에 무한히 널려 있다. 음이온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세계최초로 학술적으로 발표한 분이,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독일의 레너드박사이다. 그는 폭포주위가, 가장 음이온이 많이 존재하는 장소라고 발표하였다. 일본 동경대학 의학부의 야마노 이노보루 공학박사는 「음이온을 많이 호흡하면 세포가 활성화 된다」고 발표하였다. 이와 같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 등은 너무나 많이 알려져 있는 사실로써, 순수 물질인 금(金), 은(銀), 동(銅), 알미늄에서도, 음이온이 온도 변화에 의한 이온이동현상에 의하여 방출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음이온이 환경에 미치는 주요 작용은, 화학적, 전기적, 방사성, 물질 등이 원인인, 공기 오염의 정화. 건축자재, 신축건물 등에서 발산되는, 포르마린등 유해 물질 정화. 살균작용에 의한 공기 오염의 방지. 꽃가루 알레르기, 기관지 천식의 화분, 진드기 번식, 곰팡이류 등을 제거. 식물의 성장 촉진이다.
또한, 음이온의 인체 활성화 작용으로는, 혈액 정화작용(저항력이 있는 약 알카리성으로 바꾼다).정신 안정작용(뇌 내에 베타 엔돌핀을 활성화 한다). 자율신경 조절작용(자율신경의 밸런스를 유지한다). 간, 장의 면역 강화작용(면역의 중심은 간과 장이다). 폐기능 강화작용(폐기능을 높이고, 산소 교환을 원활히 한다). 진통작용(신체의 이온 밸런스가 회복되어, 통증해소).세포 활성화작용(세포의 신진대사 활발). 공기비타민작용(공기정화작용: 오염된 공기정화. 상쾌하고 깨끗한 공기제공).알레르기 체질의 개선작용(공기 오염원인 항체제거)이다.
우리 주위에서 이를 적용한 사례로는 실내 폭포 조경,음료수를 차게하여 먹는 것, 은단(銀丹), 금(金)가루술, 은(銀)주전자, 동(銅)주전자, 이외에도, 너무나 많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음이온의 효능과 기능을 잘 활용하는 것이, 자연이 주는 은혜를 보답하는 것이다. 그리고, 천공적층천으로 사용하는 일반후포지나 부직포 대신에, 음이온이나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기능을 발휘하도록 하는 기능성소재물을, 사용 목적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알루미늄금속판 상면에 접착시키거나, 또는 푹신한 에너지발판을 만들 때 쓰는 소재로써, 음이온이나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기능성 소재물로는 아래와 같다.
<기능성 소재물1>
은박지(대체소재로는 알미늄박지, 동박지)와 숯화이버(대체소재로는 게르마늄화이버, 맥반석화이버, 옥화이버, 제올라이트화이버)와, 동사원단(대체소재로는 금사원단, 은사원단, 닉켈도금원단), 이들 3종류를 , 사용 목적에 따라 1종류 또는 2종류이상을 혼합하여, 적층 소재물로 만든 후, 『푹신한 에너지발판』을 만들 때 사용하거나, 알미늄금속판과 일체화로 접착시켜서 사용함.
<기능성 소재물2>
맥반석가루, 숯가루, 금강약돌가루, 세라믹가구, 옥(玉)가루와 카본가루, 황토가루를 사용목적에 따라,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한 것을 응고제 나, 접착제로써 금속판 상면에 직접 도장(도색), 도포, 또는 접착하여 사용하거나, 또 다른 적층소재에 도장, 도포 또는 접착제로 접착시켜서, 일체화 된 적층 소재물을 만든 후, 『푹신한 에너지발판』을 만들 때 사용하거나, 알미늄판과 또다시 일체화로 접착시켜 사용함.
<기능성 소재물3>
황토물이나 한약재 추출물에 면(광목)을 침적시켜서, 건조시킨 것을, 필요수량만큼 접착제로써, 일체화된 적층 소재물을 만든 후, 개별적으로, 또는 사용 목적에 따른 순서대로 혼용하여, 푹신한 에너지발판을 만들 때 사용하거나, 알미늄 금속판과 일체화로 재접착 시켜서 사용함.
<기능성 소재물4>
상기 기능성소재(1)로 만든 소재물과, 상기 기능성소재(2)로 만든 소재물을,
사용 목적에 따른 순서에 의해, 접착제로 일체화된 적층 소재물을 만든 후, 『푹신한 에너지발판』을 만들 때 일체화로 접착시켜서 사용하거나, 알미늄금속판과 또다시 일체화로 재접착시켜서 사용함.
<기능성 소재물5>
상기 기능성소재1로 만든 소재물과,상기 기능성소재3으로 만든 소재물을,사용 목적에 따른 순서에 의해, 접착제로 일체화된 적층 소재물을 만든 후, 푹신한 에너지발판을 만들 때 일체화로 접착시켜서 사용하거나, 알미늄금속판과 또 다시 일체화로 재접착시켜서 사용함.
<기능성 소재물6>
상기 기능성소재1로 만든 소재물과, 상기 기능성소재2로 만든 소재물과, 상기 기능성소재3으로 만든 소재물을, 사용목적에 따른 순서에 의해, 접착제로 동시 접착시켜 일체화 된 적층 소재물을 만든 후, 『푹신한 에너지발판』을 만들 때 일체화로 접착시켜서 사용하거나 알미늄금속판과 또 다시 일체화로 재접착시켜서 사용함.
<기능성 소재물7>
상기 기능성소재2로 만든 소재물과, 상기 기능성소재3으로 만든 소재물을, 사용 목적에 따른 순서에 의해, 접착제로 일체화된 적층 소재물을 만든 후, 푹신한 에너지발판을 만들 때 일체화로 접착시켜서 사용하거나, 알미늄판과 또다시 일체화로 재접착시켜서 사용함.
이상과 같이 만들어서 사용하는 7가지의 기능성 소재물은, 부직포를 사용할 때와 마찬가지로 적층 소재를 전체를 접착시키거나, 또는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천공을 뚫어서, 사용 목적에 적합한 약돌판이나 소성 조형물을 만들어 끼운 후, 접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기능성 소재물 이외에도, 에너지발판에는 일반적인 방향제(허브향)와 목초액이 부직포에 함침 되어 있다. 방향제인 허브향은 너무나 많이 알려져 있어서 여기에서는 더 이상 기술하지 않겠다. 목초액, 또한 많이 알려진 물질로써, 여기에서는 목초액을 용액으로 쓰는 것보다도, 부직포를 함침 시켜서, 에너지발판에 적층하여 사용하는 실시 예를 기술토록 한다. 목초액 함침포는 목초액 자체가 순수 광합성 에너지 자체이다. 이는 태양 에너지에 의한 생성물로써, 초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산성액체이며, 참나무 대나무 등의 목재를 탄화시킬 때 발생하는 연기를 포집하여, 냉각시킬 때 생성되는 갈색과 흑색으로써, 코를 톡 쏘는 강한 냄새를 풍기는 강산성 용액이다. 이와 같은 목초액을 장기간 용기에 넣어서 숙성시키면, 상층(上層)에는 경유질, 중간층(中間層)에는 목초액, 하층(下層)에는 타르가 각각 분리된다. 이 중간층의 목초액 만을 분리 수거하여, 유해 성분을 완전히 제거하게 되면, 처음의 검고 탁한 색깔이 점차 노란색의 투명 액체가 된다. 목초액은 pH3 전후의 산성으로써, 정제된 목초액을 상온에서 장기간 보관하여도 대장균이나 일반 세균이 전혀 없다. 결국은, 균(菌) 자체의 생성을 완전 억제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목초액에는 200여 가지의 성분이 분류되는데, 정제된 목초액은 인체이 전혀 해(害)를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효능을 보면, 강한 살균력에 의해서, 숯 연기와 접속시켜 그을리게 하면, 음식물을 오래 보존(훈제처리)할 수 있고, 민간 의료 이용으로는 벌레나 뱀에 물리거나 화상치료, 당뇨, 빈혈에 효과적이다.
목초액은 중화라든가 “마스킹”이라고 하는 화학적인 작용으로 냄새를 없애준다. 이상과 같이, 기술한 목초액의 효능을 이용한 에너지발판 제작에 있어서, 부직포나 적층 소재에 천공을 뚫지 않고, 그 자리를 압착 함몰시켜서, 그 함몰된 자리에 약돌판이나 소성 조형물을 투입하여, 비닐 고주파 접착을 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렇게 압착 함몰된 자리의 뒷면은, 압착되지 않는 면과 동일하게 평면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금속관 상면에 일체화로 접착시키는 데는 아무 문제가 없다.
다만, 투입되는 약돌판이나 소성 조형물의 높이가, 함몰된 깊이 보다 길면, 차이만큼 접착 후 표면이 돌출될 뿐이다. 이 경우에는, 주로 옥(玉)을 많이 이용하며, 이외에도, 알미늄금속판 상면 전체를 옥판이나 그의 맥반석판, 금강약돌판, 세라믹판, 들과 같은, 천연원석인 약돌판을 그대로 알미늄금속판 크기와 동일하게 제작하여, 완전히 일체화로 접착시키기도 한다.
이렇게 적층 완료한 후에는, 미관을 화려하게 하고자 할 경우에 한해, 상면을 망사로 덮어서 마감처리 할 수 있다. 망사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대체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망사를 많이 이용하며, 이외에는 금(金)망사, 은(銀)망사, 동(銅)망사 들이 있다. 그리고 에너지발판의 상면에는 발 덮개가 덮히게 된다. 이 발 덮개는 실내화 슬리퍼의 발등에 덮이는 형상과 같다. 상기 발 덮개는 고정 형태로 된 것과 탈, 부착 할 수 있는 2가지 형태로 되어 있다. 탈부착이 가능한 발 덮개에는 똑딱단추나, 호크 또는 매직테이프(일명:찍찍이), 지퍼를 사용한다. 이런 다음, 최종적으로 테두리 둘레 전체를 마감재로 둘러 주게 된다. 테두리마감재로는 ABS와 같은 합성수지재를 많이 사용하는데, 외관상 부드러움을 주기 위해서는 인조가죽이나 천(布), 천연가죽으로써 마감을 해줄 수도 있다. 그리고 테두리 마감재로써 둘레전체를 나중에 마감할 수도 있고, 테두리 마감재를 제작 할 때, 처음부터 내부에 적층소재들을 순차적으로 적층 할 수 있도록 테두리를 형성하게 되며, 가장자리 전체에 프레임 틀이 일체로 형성되어서 아주 보기 좋게 된다. 다시 말해서, 프레임 틀을 뒤집어 놓은 후, 여기에 적층 소재들을 역순으로 순차 적층 한 후 마지막에 바닥 마감재와 프레임 틀을 고정시키면 간단하게 작업이 끝난다. 즉, 사진틀에 사진을 끼울 때, 뒤집어서 끼운 후 뒤쪽 바닥으로부터 마무리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열스크린판의 적층소재들의 종류나 모든 작업과정, 또한 에너지발판의 생산과정과 동일한데, 다만 차이나는 점은 열스크린판에는 발바닥 모양이나 발가락모양의 천공구멍이 없으며, 에너지발판에는 접착된 부직포에 목초액이 함침된 반면, 열스린판에는 이것이 없다.
그러나, 열스크린판에는 전원 스위치의 작동을 표시하는 조그마한 램프가 일측 끝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에너지발판과 분리되지 않는, 고정된 열스크린판의 연결된 중심축 자리에는, 전원 접속콘넥트(암콘넥트와 숫콘넥트로 전원 연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중심축의 중간에는 메인전원과 연결되어, 에너지발판과 열스크린판에 별도의 전원이 각각 공급된다.
이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스윗치는, 에너지발판 또는 열스크린판의 일측에 설치된다. 또한, 사용자가 에너지발판과 열스크린판의 온도를 임의 제어하여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온도제어 방법으로는, 온도조절기를 에너지발판이나 스탠드, 열스크린판 중 편리한 부위에 설치한다. 이 온도조절기는 에너지발판과 열스크린판의 온도를 각각 별도로 조절 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상기 에너지발판의 바닥면에는, 각자의 취향에 맞게 쓸 수 있도록 바퀴가 3-5개 부착되어 있으며, 이 바퀴는 무릎을 폈다, 오므렸다 하면서 다리운동을 하는데 아주 요긴하고 재미있게 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동, 서, 남, 북, 전, 후, 좌, 우로 에너지발판에 발바닥을 붙어 둔 체로 컴퓨터 책상 밑 빈공간에 마음대로 끌고 다닐 수 있도록 하였다. 그래서, 어떤 사용자들은 에너지발판을 디디고 일어서서, 발바닥에 강한 지압을 줄려고도 할 것이기 때문에, 이에 대비하여 하중이 150~200kg까지도 견딜 수 있도록 튼튼하게 제작되어 있다.
이 바퀴는 탈, 부착이 아주 쉽게 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다. 그리고, 또 다른 방법으로는, 컴퓨터 마우스 바닥에 장착된 커서를 움직이는 구동볼과 같이, 에너지발판의 밑바닥에도 이와 같은 형태의 회전볼이 3~5개가 동그란 홈에 끼여져 있어서, 바퀴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시판되는 일반 롤러바퀴를 고정 부착하여 사용하게 되면, 바퀴의 높이만큼 에너지발판이 두껍게 형성되게 된다. 그래서, 회전볼로 된 것과 고정바퀴와 또는 탈,부착이 가능한 바퀴 중, 임의 선택하여 제작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회전볼로 된 것은 에너지발판은 에너지발판의 밑바닥에 돌출된 높이가 0,5cm전, 후이기 때문에, 오랜 시간 사용하게 되면 머리카락 같은 이물질이 끼워져서 사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를 해결 하기 위하여, 회전볼 주위 둘레에, 고정 와샤 처리를 하여서 탈, 부착이 간단하고 쉽게 되도록 하였다. 에너지발판의 윗쪽 상면에는, 기능성을 발휘하는 소재물들이 적층되게 되는 데, 그냥, 단순히 천공 적층천에 약돌판이나 기능성 소성조형물을 납짝하게 한 후, 천공구멍에 끼워서 알미늄금속판에 적층하여 일체화 된 것을 사용하는 방법 외에, 현재 시중에서 시판되고 있는 일반전열매트와 같이, 알미늄금속판 위에 추가로 보다 부드러운 재질의 기능성 소재물을 일정량 적층시켜 주고, 마지막으로 화려한 무늬의 천(布)이나 가죽, 금망사, 은망사의 여러 가지 색상으로 된 실로써 꼬아 만든, 예쁜 굵은 망사들을 이용하여 덮여 줌으로써, 보다 두툼하게 보이고, 고급스러워 보이도록 해서, 무릎 위 허벅지에 얹어 놓고 사용할 때, 그 느낌이 딱딱하지 않고, 푹신하며, 부드러운 느낌을 주게 되고, 실제로 사용해보면 편안하고 안온한 느낌을 받게 되는 푹신한 에너지발판인 것이다.
열스크린판은 방열판이 되는 알미늄금속판 상면에 동일크기의 천연 약돌판이나 또는, 기능성 소성조형물을 선택하여 납짝하게 만든 것을 일체화로 접착하여 사용하는 것 외에,기능성 약돌들의 분말가루(맥반석분말, 숯분말, 금강약돌분말, 세라믹분말, 옥분말, 게르마늄분말, 카본분말, 황토분말)를 사용 목적에 맞게 혼합하여서, 이것을 알미늄판 상면에, 도장 또는 스프레이하여 사용하게 되면, 알미늄판의 열이 그대로 네티즌들의 무릎을 향해 열반사가 되면서, 알미늄 방열판의 상면에 접착되어 있는 기능성 소재물의 기능을 최대한으로 발휘하도록 해 준다.
이렇게 하는 것이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제일 많이 뿜어져 나오면서, 네티즌들의 하체 깊숙이 침투시켜 주게 되는, 아주 유익한 고안품인 것이다.
상기 에너지발판을 제작함에 있어서 딱딱한 알미늄 금속판을 사용하지 않고, 부드러운 재질의 소재에 발열체(열선, 면상발열체, 탄소발열체, 카본발열체)를 접착하여 에너지발판을 만들 수도 있다. 이것은 에너지발판 자체를, 지금까지는 딱딱하고 경직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을 기술한 반면에, 에너지발판 전체가 아주 부드럽고 푹신하게 만들어지면서 그 기능은 알미늄금속판과 비교하여 전혀 손색이 없는 것이다. 푹신한 기능을 갖는 에너지발판을 만들기 위해서는, 부드러운 재질의 단열재의 상면이나, 또는 기능성 적층 소재물의 뒷면에 발열체를 접착하여 고정시켜주면 된다. 이와 같은 발열체를, 피접착물에 접착 고정시키는 방법으로는, 알미늄 접착테잎 접착방법이나, 누비이불에 쓰는 뜸바늘 이용방법, 또는, 열선이 좌우를 지그재그로 덮어서 봉재하는 방법이 있는데, 그중 가장 편리하고,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여, 접착 고정시켜 주면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기능성 적층 소재물이, 발열체의 열을 직접 받아서, 표면으로 직접 전달시켜 주기 때문에, 기능성 적층 소재물을 종류대로 여러 겹을 접착시켜서, 필요한 두께만큼 일체화하여 사용하면, 보다 많은 음이온이나 원적외선이 방사되어 나온다. 이와 같은 부드러운 에너지발판으로 제작되어진 것을 푹신한 에너지발판이라 칭하며, 이 「푹신한 에너지발판」은 명칭이 의미하듯이 그 용도가 보다 더욱 다양하게 쓰임새를 갖는다.
즉, 허벅지위, 등쪽, 엉덩이에 깔고 앉는 것, 이외에 아랫배가 차거나, 배가 불편한 경우에, 껴안고 있으면 뱃속이 따뜻해져서, 온몸이 편안해지는 느낌이 들게 되는 것이다. 이「푹신한 에너지발판」의 상면에도, 적층되는 천에 기능성 약돌이나 기능성 소성조형물을 접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기능성 원단(동사원단이나, 금사원단, 은사원단, 니켈도금원단을 대체 소재 사용함)이나, 기능성 섬유화이버(숯화이버 또는 맥반석화이버, 옥화이버, 기능성약돌 혼합화이버를 대체 소재로 사용함)실(絲)로써 짜여진 망사를 위에 덮어 주면 좋다. 이렇게 에너지발판과 열스크린판을 분리하여 사용 할 수도 있다. 에너지발판의 모양도 여러가지 모양으로 다양하게 제작 할 수도 있다. 우선 에너지발판을 형태별로 분리하게 되면, 알미늄금속판을 사용하는 「기본 형태의 에너지발판」과 알미늄금속판을 사용하지 않는「푹신한 에너지발판」으로 구분 할 수 있으며, 이 두 종류의 에너지발판은 여러 종류의 열스크린판과도 혼용하여 사용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컴퓨터 책상 밑 빈 공간의 네벽면 중 어느 면이든지 간에 걸게걸이를 벽면에 고정시킨 후, 별도로 만들어진 걸게구멍을 열스크린판의 뒷면에 접착 고정시키고, 이 걸개구멍을 이용하여 걸게 걸이를 걸어서 사용한다.
또, 다관절기능의 암(arm)형태로 된 전기 스탠식의 걸이를, 책상 밑 빈공간이나 가장자리에 고정시킨 후, 열스크린판을 자유자재로 이동하여 원하는 위치에 두고 사용 할 수도 있다.
또, X-Band식 벽걸이 행거 장치도 상기와 같이 편리하게 사용 할 수도 있다.
또, 임의 꺽임과 방향전환이 자유로운 자바라가 설치된 고정장치를 컴퓨터책상 밑의 어느 곳이든지, 고정시켜서 마음대로 이동하여 사용 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홀로서기를 할 수 있게 된 열 스크린판은 그 테두리 모양이 4각모양, 원모양, 타원모양, 다각(多角)모양으로 제작되어 있다.
다른 모양의 열스크린판은 활모양의 아크(arc)형태가 되어 음이온과 원적외선을 네티즌의 양 무??사이, 복판으로 모아서 열을 방사되도록 하는 특징을 갖는다. 아크(arc)모양의 열 스크린의 특징은, 음이온과 원적외선의 성질이 열스크린판의 상면에서부터 앞 방향으로 직진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열스크린판의 넓이와 동일한 크기로, 앞쪽으로 발산되고 있는 열빛을 아크(arc)모양의 각(角)을 형성시키서, 무릅 쪽으로 모여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아크(arc)형태의 열스크린판 복판에 석영관이나 니크롬열선을 장착시켜서, 이 석영관이나 니크롬열선에서 발산되는 열로, 보다 따뜻하고 훈훈한 열기(熱氣)를 네트즌들에게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니크롬열선이나 석영관히터등, 원적외선등은 장기 사용, 또는 외부의 충격으로 파손될 경우, 간단하게 교체, 교환하여 새로운 것으로 손쉽게 바꾸어 줄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교체, 또는 교환을 손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전원 인가 장치로는 니크롬열선, 석영관히터등, 원적외선등의 일측단에, Two Pin으로 형성된, 숫콘센트를 암콘센트에 끼워서 사용하는 전원 인가장치와, 니크롬열선, 석영관히터 등 원적외선 등의 일측 단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숫 소켓을 돌려서 암 소켓에 내삽하여 사용하는 전원 인가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간단하게 교체 할 수 있게 만들어진, 2중 전열장치(니크롬열선, 석영관히터등, 원적외선등)는 어떠한 모양이나 형태로 된 열스크린판에도, 동일한 전원인가 장치물로써, 모든 열스크린판에 공히 적용할 수 있는 편리한 전원 인가장치인 것이다.
아크형태의 열스크린판 복판에도 별도의 원적외선 등을 장착시켜서, 보다 풍부하고, 많은 양의 원적외선이 직접적으로 방사하도록 함과 동시에 원적외선등의 은은한 붉은빛이 네티즌 본인의 피부에 직접 방사되고 있다는 만족감을 부여하고, 시각적 효과로는 육안으로 보는 네티즌들의 심적 안정감과 편안함을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이와 같은 니크롬열선이나, 석영관히터등과 원적외선등(登)이 장착된 열스크린판에는 네티즌들의 취급 안전을 위하여, 전면에 안전그물망이 덮여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석영관히터 등이나 니크롬열선이 장착되어 있는 열스크린판의 복판에는, 석영관이나 니크롬열선이 장착되어 있는 주위에, 둥글게 일정크기의 구멍이 다수개 뒷쪽으로 관통되게 뚫어져 있으며, 구멍이 형성된 열스크린판의 뒷면에는 소형팬이 장치 되어 있고, 이 소형팬은 아주 천천히 작동하여 바람을 불어넣어 줌으로써, 관통구멍을 통과한 바람이 석영관히터 등이나 니크롬열선의 열기를, 그대로 네티즌들에게 송풍되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석영관히터 등이나 니크롬열선의 과열을 사전에 막아 주게 되는 이점도 있다.
지금까지는 열스크린판이 아크(arc)형태로 된 것에 대하여 기술 하였으며, 이러한 장치들은 4각모양이나 원모양 또는 타원, 다각모양의 열스크린판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열스크린판에 니크롬열선이나, 석영관히터등, 원적회선등(登)을 장착시킬 때는 발열체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열빛 반사체로만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열빛반사체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면을 도금 처리하여 단순 반사체로 사용하는 것 외에, 원적외선이 발산 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맥반석이나, 게르마늄, 옥(玉), 금강약돌(북한산), 숯, 제올라이트의 분말을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혼합하여, 열스크린판 상면에 도장, 도포의 방법으로 처리하여서 사용하면 보다 효과적이다. 그런 반면에, 열스크린판도 발열판으로써의 기능을, 동시 수행토록 하고자 한다. 열스크린판의 복판에 장착되어 있는, 니크론열선이나 석영관히터등, 원적외선등(登)이 설치되는 자리에는 발열체를 접착 할 수 없으므로, 그 자리를 제외한 부분에 발열체를 고정시켜서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이렇게 변형된 열스크린판은 독자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딱딱한 기본형태의 「에너지발판」이나 「푹신한 에너지발판」을 마음대로 선택하여, 셋트화시켜서 사용 할 수 도 있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셋트화로 하게 되면, 수십 가지로 만들 수 있다. 이외에, 열스크린판을 지지하는 스탠드구조에, 온풍기의 기능을 갖는 온풍장치에 대하여 기술하면, 그 형태는 열스크린판과 에너지발판이 연결된 일체형과, 그렇지 않은 분리형으로 구분된다. 일체형은 발판이 딱딱한 기본형태의 에너지발판으로 되어 있으며, 스탠드는 고정형과, 열스크린판의 높낮이를 마음대로 조절 할 수 있는 형태로 구분된다. 일체형은,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가정용 선풍기와 유사한 형태로 되어 있다.
송풍통로로 사용되는 고정형 스탠드는, 열스크린판의 전면 윗쪽 복판에 온풍구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온풍구에는 방향 조절이 가능한 풍향타가 끼워지게되어 있다. 이것은 승용차의 에어콘을 작동시킨 후, 시원한 바람을 운전석 쪽으로 오도록 하기 위해, 송풍방향을 조절토록 하는 장치와 동일하다. 이 온풍구는, 열스크린판을 지지해주는 스탠드 파이프속의 송풍통로 일측 끝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바닥받침대에 연결된 스탠드의 아랫쪽은 송풍통로의 타측 끝단부가 되며, 타측 끝단부에는 송풍통로를 향해 바깥쪽에서부터, 소형팬과 니크롬열선이 장착된 발열체가 순서대로 연결고정 되어 있다.
전원을 연결하여 소형팬이 작동하면, 니크롬열선에서 발생된 열이 스탠드의 송풍통로를 거쳐, 열스크린판의 송풍구를 통과하여, 네티즌들의 무릎으로 따뜻한 열기를 불어주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송풍장치는, 일체형과, 푹신한 에너지발판을 갖는 분리형, 모두에게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열스크린판이 평면형으로 된 4각모양, 원모양, 타원모양, 다각모양과, 이런 모양으로 된, 아크형 및 오목형, 모두에게 송풍장치를 장치 할 수 있다. 이 송풍장치의 효과 극대화를 위해, 일반선풍기의 기능과 동일한, 타이머 조절기능, 온도조절기능, 송풍방향 조절기능, 송풍강약 조절기능을 수행하는 조절버턴이 장착 되어있다. 높낮이를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는 스탠드에 연결된 열스크린판에는, 송풍통로가 없으며, 열스크린판의 뒷면에 소형팬과 니크롬열선이 장착 고정되어 있고, 열스크린판의 전면 윗쪽 복판에 형성된 송풍구에는, 풍향타가 끼워져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열스크린판은 송풍통로가 없기 때문에, 열 손실이 거의 없어서, 니크롬열선의 열이 그대로 송풍되게 되어, 보다 높은 온도의 열기를 송풍시키게 된다. 그리고, 푹신한 에너지발판을 갖는 분리형도, 스탠드가 송풍통로로 사용되는고정형과, 스탠드 높낮이를 조절 할 수 있는 구조의 형태로 구분이 된다. 그 기능과 장치는, 선풍기 형태 구조의 일체형과 동일하다.
또한, 2개의 열스크린판이, 서로 각(角)을 형성한 스탠드 구조는, 보다 많은 온열을 네티즌의 하체에 골고루 방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에너지발판에는 별도의 진동 맛사지 기능이 수반되어 있다.
이러한 진동 맛사지 기능은 전자석 코일에 의한 진동 맛사지 기능과, 금속 방열판에 가변진동 주파수 변동 발생장치에 의한, 진동 맛사지 기능이 수행되고 있어서, 발바닥의 굳어진 근육을 풀어 주게 된다.
본 고안의 위와 같은 구성은 에너지발판과 열스크린발판에 전열장치를 구비하여, 일체형 셋트와, 분리형 셋트로 구성됨이 특징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장시간 컴퓨터 작업을 하는 네티즌은 물론, 학생이나 가정 또는 사무실에 종사하는 사무 직원들에게도 실내온도가 낮은 겨울철이나, 환절기에 무릎, 발, 발목, 장 딴지, 정강이, 허벅지, 골반부위, 엉덩이, 단전, 아랫배, 허리, 등을 비롯한 하체부위에, 고품질의 기능성 원적외선 열과 음이온이 제공되게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셋트 전열기구의 제1일 실시예로서, (가)(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스탠드형 전열기구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 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셋트 전열기구의 제2실시 예로서, (가)는 열 방사장치가 장치된 오목형 열스크린판이 벨로우즈형 스탠드와 일체형 셋트로 구성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나)는 에너지발판과 4각 모양의 아크(arc)형 열스크린판이 높낮이 조절과 방향전환이 가능한 다관절 암(arm) 스탠드와 일체형 셋트로 구성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다)는 에너지발판과 4각모양의 평면 열스크린판이 높낮이 조절 가능한 X-밴드 스탠드와 일체형 셋트로 구성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셋트 전열기구의 소재물의 적층 구성을 나타낸 조립 전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셋트 전열기구의 소재 물 각각의 적층구조를 나타낸 도 3의 결합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5의 (가), (나), (다)는 본 고안에 따른 셋트 전열기구에 있어서, 금속판이 집열 방열판이 됨을 각각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의 (가), (나), (다), (라)는 본 고안에 따른 셋트 전열기구에 있어서 약돌판이 소재물 상면에 비닐망사로 고주파 접착되는 과정을 각각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셋트 전열기구의 제3실시 예로서, (가)는 높낮이 조절 가능한 스탠드와 송풍장치가 장치된 아크(arc)형 열스크린판이 일체형 셋트(set)로 것을 앞에서 보아 표시한 사시도이고, (나)는 후측에서 보아 표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셋트 전열기구의 제4실시 예로서, (가)는 높낮이 조절 가능한 한 개의 스탠드에 두 개의 아크형(arc) 열 스크린판이 일체형 셋트(set)로 구성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나)는 이에 대한 전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셋트 전열기구의 제5실시 예로서, (가)는 스탠드에 송풍통로와 송풍장치가 장착된 4각모양의 열스크린판이 에너지발판과 분리형 셋트(set)로 구성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나)는 이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셋트 전열기구의 제6실시 예로서, (가)는 에너지발판의 스탠드에 송풍통로와 송풍장치가 장착된 4각모양의 열스크린판이 일체형 셋트(set)로 구성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나)이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11은 본 고안에 따른 셋트 전열기구의 제7실시 예로서, (가)는 송풍통로가 구비된 스탠드의 하단에, 2종 전열수단의 니크롬열선과 송풍수단의 소형팬(fan)이 장치되고, 스탠드 상단의 송풍구에는 풍향타가 끼워진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나)는 높낮이 조절 수단과 아울러 방향 전환 수단이 구동 모터에 의해 이루어지는 구조의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2은 본 고안에 따른 셋트 전열기구의 제8실시 예로서, (가)는 아크(arc)형 열스크린판에 열풍장치가 구비되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스탠드와 일체형 셋트(set)로 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이에 대한 전면 분리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셋트 전열기구의 제9실시 예로서, (가)는 벨로우즈 (Bellows)형 지지대와 일체로 된 열스크린판이 책상 저면에 고정되어, 바닥의 에너지발판과 분리형 셋트로 사용되는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나)는 구부려서 사용할 수 있는 벨로우즈 부재의 끝단에 회전 및 결착수단이 되는 볼장치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다)는 벨로우즈 지지대의 볼이 열스크린판에 결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셋트 전열기구의 제10실시 예로서, (가)는 다 관절 꺽임 기능의 암(arm)이 컴퓨터 책상 저면 우측 별체에 고정되어, 바닥의 에너지발판과 분리형 셋트 구성으로 사용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나)는 다관절의 꺽임 기능을 갖는 암(arm) 지지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셋트 전열기구의 제11실시 예로서, (가)는 가변 이동 기능의 X-밴드 지지대를 책상에 고정하는 수단의 장치와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나)는 가변 이동 기능의 X-밴드 지지대가 책상 저면 좌측 벽체에 고정되어, 바닥의 에너지발판과 분리형 셋트 구성으로 사용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의 (가a)~(다a), (가b)~(다b)는 에너지발판의 바닥 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수단 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셋트 전열기구 3 : 발덮개
10: 에너지발판 12 : 책상
20 : 열스크린판 30 : 바닥마감재
31 : 단열재 32 : 발열체
33 : 방열판 34 : 천공적층천
35 : 약돌판 50 : 니크롬열선
51 : 석영관히터등(燈) 52 : 원적외선등(燈)
60 : 스탠드 63 : 송풍구
65 : 풍향타(風向舵) 66 : 소형팬(fan)
70 : 회전볼 71,71a : 바퀴
80 : 벨로우즈(Bellows) 81 : 볼
82 : 암(arm) 83 : X-밴드
84 : 고정노브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셋트 전열기구의 제1일 실시예로, (가)(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스탠드형 전열기구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의 셋트 전열기구(100)는 기본 적으로 에너지발판(10)과 열스크린판(20)을 구비하고 있다. 이 두개가 일체로 셋트(set)가 되어, 간편하고 편리하게 사용 할 수 있는 개인용 셋트 전열기구를 이루게 됨에 의해, 각 사용자들에게 기능성의 온열을 발을 비롯하여 신체 하체 부위 전체에 전달하여 열 건강을 제공한다. 상기 열스크린판(20)은 상기 에너지 발판(10)에 입설된 스탠드(60)에 고정되고, 상기 스탠드(60)가 상, 하 이동을 해줌으로써, 열스크린판(20)이 상하 이동된다. 상기 스탠드(60)의 상하 이동은 고정 노브(84)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열 스크린판(20)이 딱딱한 에너지발판(10)과 일체형으로 구성된 셋트로 보통의 가정용 일반 선풍기의 형태와 비슷하다. 그래서, 이 열스크린판(20)의 뒷면 중앙에는, 선풍기와 같이 전원에 의한 좌우 회전 수단이 구비된 장치가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열 스크린판(20)도 모양과 형태가 여러 가지로 변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너지 발판(10)의 상면에는 약돌판(35)이나 소성 조형물(35)을 고정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의 (가)~(다)는 본 고안에 따른 셋트 전열기구의 제2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가)는 열 방사장치가 장치된 오목형 열스크린판(20)이 절곡이 자유로운 벨로우즈형 스탠드(80)을 통하여 에너지 발판(10)과 일체형 셋트로 구성됨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상기 에너지 발판(10)에는 사용자들의 발을 넣을수 있도록 한 발 덮개(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발 덮개(3)은 실내화 슬리퍼의 발등에 덮이는 형상과 같다. 상기 발 덮개(3)은 고정 형태로 된 것과 탈부착 할 수 있는 2가지 형태로 구성 될 수 있다. 탈부착이 가능한 발 덮개(3)의 탈부착 수단으로는 똑딱단추, 후크 또는 매직테이프(일명:찍찍이), 지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발 덮개(3)이 부착된 상기 에너지 발판(10)의 저면으로는 전열기구(100)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이동 수단 즉, 바퀴(7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바퀴(71)은 도 17의 (다a),(다b)의 표시와 같이 에너지 발판(10)으로부터 탈부착 할 수 있도록 구성할수 있고, 혹은 도 17의 (나a),(나b)의 표시와 같이, 회전볼(70)의 형태로 구성할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오목형 열스크린판(20)의 복판에 장착된 열 방사장치는 니크롬열선을 갖는 석영관 히터등(51)이며, 이 석영관 히터등(51)에서 발산되는 열로, 보다 따뜻하고 훈훈한 열기(熱氣)를 사용자들에게 전달되도록 한다. 이러한 니크롬열선이나 석영관히터등, 원적외선등은 장기 사용, 또는 외부의 충격으로 파손될 경우, 간단하게 교체, 교환하여 새로운 것으로 손쉽게 바꾸어 줄 수 있는 구조로 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교체 또는 교환을 손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전원인가 장치로는 니크롬열선, 석영관히터등, 원적외선등의 일측단에, Two Pin으로 형성된, 숫콘센트를 암콘센트에 끼워서 사용하는 전원 인가장치와, 니크롬열선, 석영관히터 등 원적외선 등의 일측 단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숫 소켓을 돌려서 암 소켓에 내삽하여 사용하는 전원 인가장치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도면부호(91)은 상기 열스크린판(20)으로부터 사용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망을 표시한 것이다.
도2의 (나)는 에너지발판(10)과 4각 모양의 아크(arc)형 열스크린판(20)이 높낮이 조절과 방향전환이 가능한 다관절 암(arm) 스탠드(82)와 일체형 셋트로 구성됨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열스크린판(20)은 상기 다관절 암(arm) 스탠드(82)에 볼(81)을 개재하여 부착시킨 구조로, 상기 열 스크린판(20)을 상기 다관절 암(arm) 스탠드(82)로부터 자유롭게 회동시키면서 위치 조절을 할 수 있다.
도 2의 (다)는 에너지발판(10)과 4각모양의 평면 열스크린판(20)이 높낮이 조절 가능한 X-밴드 스탠드(83)과 일체형 셋트로 된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열스크린판(20)을 에너지발판(10)으로부터 높낮이 조절을 세밀하게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에너지 발판(10)의 상면에는 약돌판(35)이나 소성 조형물(35)을 고정되어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셋트 전열기구의 소재물의 적층 구성을 나타낸 조립 전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셋트 전열기구의 소재 물 각각의 적층구조를 나타낸 도 3의 결합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5의 (가), (나), (다)는 본 고안에 따른 셋트 전열기구에 있어서, 금속판이 집열 방열판이 됨을 각각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셋트 전열기구(100)의 주 기능이 되는 에너지발판과 열 스크린판의 구성 소재로는, 바닥면에서부터 바닥마감재(30), 단열재(31), 발열체(32), 방열판(33), 천공 적층천(34)과 이 천공된 구멍에 끼워지는 약돌판(35)이 순차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에서 발열체(32)는 소재를 열선으로 사용함을 도시하였으며, 이 열선(32)을 고정시키는 방법으로는, 지그재그로 봉재하여 이 열선사이에는 온도 감지 센서(36)가 고정되어 있어서, 자동 온도 콘트롤러를 사용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방열판(33)은 알미늄 금속판을 사용하였는데, 알미늄금속판을 사용하지 않고 에너지발판(10)을 만들게 되면, 예컨대 푹신한 에너지발판이 되는데, 이때 테두리에는 구성 소재들의 흐트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로써 테두리를 봉제 처리하여 마감할 수 있다. 봉제 처리된 푹신한 에너지발판이외에는, 대부분이 금속판(33)을 사용하기 때문에, "딱딱한 에너지발판"이라 칭하고, 그렇지 않고 그냥 단순히 표현할 때는 "에너지발판"이라고 칭할 것임을 본 고안에서 용어를 통일하였다. 도면부호 (37)은 비닐망사로서, 상면에 접착 고정되는 약돌판(35)이나 소성조형물을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비닐망사(37)은 고주파 접착됨에 의해 약돌판(35)이나 소성조형물을 이동됨이 없이 고정한다. 도면 부호(38) 및 (39)는 방열판(33)의 표면에 설치한 은과 동판을 각각 표시한 것이다.
도 6의 (가), (나), (다), (라)는 본 고안에 따른 셋트 전열기구에 있어서 약돌판이 적층소재물 상면에 비닐망사로 고주파 접착되는 과정을 각각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가) 및 (나)는 적층 소재물과 같은 천공 적층천(34)의 상면에 약돌판(35)을 그냥 얹어 놓은 후, 비닐망사지(37)로서 고주파 접착하는 공정이고, (다) 및 (라)는 적층 소재물(34)의 상면을 함몰시킨 후, 이 함몰된 자리에 약돌판(35)을 삽입한 후, 고주파 접착하는 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셋트 전열기구의 제3실시 예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가)는 높낮이 조절 가능한 스탠드(60)와 송풍장치 즉, 소형의 송풍팬(66)이 장치된 아크(arc)형 열스크린판(20)이 일체형을 이루어 에너지 발판(10)에 설치되어 셋트(set)를 이룬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열스크린판(20)의 복판에 설치된 석영관이나 니크롬열선(50)이 장착되어 있는 주위에는 둥글게 일정크기의 구멍(54)가 다수개 뒷쪽으로 관통되게 뚫어져있으며, 상기 구멍(54)가 형성된 열스크린판(20)의 뒷면에는 상기 소형의 송풍팬(66)이 장치되어 있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송풍팬(66)이 아주 천천히 작동하여 바람을 불어넣어 줌으로써, 상기 구멍(54)를 통과한 바람이 석영관히터 등이나 니크롬열선(50)의 열기를, 그대로 사용자들에게 송풍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석영관히터 등이나 니크롬열선(50)의 과열을 사전에 막아 주게 되는 이점도 있다. 도면부호(35)는 원 적외선을 방사하는 약 돌판을 그리고(84)는 스탠드(60)의 높낮이 조절을 하는 고정 노브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셋트 전열기구의 제4실시 예d다.
도면 표시와 같이, 도 8의 (가),(나)는 에너지 발판(10)으로부터 노브(84)의 채용에 의해서 높낮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여 입설한 한개의 스탠드(60)에 두 개의 아크형(arc) 열 스크린판(20)을 설치하여 일체형 셋트(set)로 구성한 것으로, 많은 열을 방사하게 한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셋트 전열기구의 제5실시 예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도 9의 (가),(나)는 열 스크린판(20)이 설치된 스탠드(60)의 내부에는 송풍통로(62)를 형성하여, 상기 송풍통로(62)의 하부에는 송풍장치인 소형 팬(66)을 설치함과 아울러 그 앞쪽에는 니크롬열선(50)을 설치하였고, 상기 송풍통로(62)의 상단은 송풍구(63)에 의하여 외부로 개구되게 하였다.
이러한 구조는, 전원을 연결하여 소형팬(66)이 작동하면, 니크롬열선(50)에서 발생된 열이 스탠드(60)의 송풍통로(62)를 거쳐, 열스크린판(20)의 송풍구(63)을 통과하여 각 사용자들의 무릎으로 따뜻한 열기를 불어주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기능을 수행하는 송풍장치는 일체형과, 푹신한 에너지발판을 갖는 분리형 모두에게 동일하게 적용된다. 특히, 상기 송풍장치가 장착된 4각모양의 열스크린판(20)은 에너지발판(10)과 분리형 셋트(set)로 구성되어, 필요시 에너지 발판(10)만을 분리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도면 부호(34)는 천공적층천을,(35)는 약돌판을 각각 표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셋트 전열기구의 제6실시 예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도 10의 (가),(나)는 에너지발판(10)과 송풍통로(62)와 송풍용 팬(66)이 설치된 스탠드(60)을 일체형으로 하여 4각모양의 열스크린판(20)과 하나의 셋트(set)로 구성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에너지 발판(10)의 저면 부위에는 이동을 쉽게하기 위한 바퀴(71a)가 장착되어 있다. 그밖에 구조는 상기 제5실시 예와 동일하다.
도11은 본 고안에 따른 셋트 전열기구의 제7실시 예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가)는 송풍통로가 구비된 스탠드(60)의 하단에, 2종 전열수단의 니크롬열선(50)과 송풍 장치인 소형팬(fan)(66)이 설치되고, 스탠드(60)상단의 송풍구(63)에는 풍향타(65)가 끼워진 구조이다.
(나)는 에너지 발판(10)과 분리형으로 된 스탠드(60)에 열 스크린판(20)을 설치하고, 상기 열 스크린판(20)은 상기 스탠드(60)의 상단에 설치된 방향 전환 수단인 구동 모터(85)에 의해서 상기 열 스크린판(20)을 좌우로 회동되게 하여 방향 전환 시키면서 열을 좌우로 송풍한다. 상기 구동 모터(85)에는 소형 팬(66)이 설치되어 있어서 방향 전환과 함께 소형 팬(66)을 가동하여 니크롬 열선(50)의 열을 구멍(54)를 통하여 송풍한다. 도면부호(3)은 발 덮개를, (34)는 천공적층천을,(35)는 약돌판을 각각 표시한 것이다.
도 12은 본 고안에 따른 셋트 전열기구의 제8실시 예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도 12의 (가),(나)는 아크(arc)형 열스크린판(20)에 열풍장치인 소형 팬(66)이 구비되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노브(84)를 구비한 스탠드(60)과 에너지 발판 (10)과 일체로 셋트(set)로 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송풍통로가 없는 스탠드(60)에는 열스크린판(20)의 복판에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이 관통구멍이 형성된 열스크린판(20)의 관통구멍에 송풍장치용 소형 팬(66)을 설치 해 주면 된다. 즉, 열스크린판(20)에 형성된 관통구멍 뒷면에서부터 소형팬(66), 니크롬열선(50), 풍향타(65)가 순서대로 장착되어 고정되며, 준비된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조절 버튼(도면 부호 미부여)이 발판의 상면 일 부위에 배치되어 있다. 도면 부호(34) 및 (35)는 에너지 발판(10)에 설치된 천공 적층천과 약돌 판을 각각 표시한 것이다. 그 밖의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실시 예들과 동일하다.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셋트 전열기구의 제9실시 예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도 13의 (가)는 벨로우즈 (Bellows) 부재(80)와 일체로 된 열스크린판(20)을 벨로우즈 부재(80)와 일체로 된 고정판(13)을 이용하여 책상(12)의 저면에 고정되어, 바닥의 에너지발판(10)과 분리형 셋트로 사용되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나)는 구부려서 사용할 수 있는 벨로우즈 부재(80)의 끝단에 회전 및 결착 수단이 되는 볼(81)이 구비된 것을 나타낸 것이고, (다)는 벨로우즈 부재(80)의 볼(81)이 열스크린판(20)에 회전 가능하게 결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 구조는 책상(12)의 저면에 장착하여, 사용자가 마음대로 당겨 쓸 수 있다. 그밖에 구성과 작용은 상기 실시 예들과 동일하다.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셋트 전열기구의 제10실시 예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도14의 (가)는 다 관절 꺽임 기능의 암(arm)(82)가 책상(12)의 저면 우측 벽면에 고정판(13)에 의해 고정되어, 바닥의 에너지발판(20)과 분리형 셋트 구성으로 사용되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나)는 다관절의 꺽임 기능을 갖는 암(arm)(82)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 부호(35)는 에너지 발판(10)에 설치된 약돌 판을, (71)은 바퀴를,(81)은 열스크린판(20)에 회전 가능하게 결착하는 볼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이 구조 역시 책상(12)밑 빈 공간의 어디든 마음대로 장착하여 편리하게 쓸 수 있다. 그밖에 구성과 작용은 상기 실시 예들과 동일하다.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셋트 전열기구의 제11실시 예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가)는 가변 이동 기능의 X-밴드 지지대(83)을 고정판(13)을 통하여 책상(12)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구조이고, (나)는 가변 이동 기능의 X-밴드 지지대(83)이 책상(12)의 저면 좌측 벽체에 고정되어, 바닥의 에너지발판(10)과 분리형 셋트로 구성된 것을 나타낸 것으로, 열 스크린판(20)의 전후 이동을 자유롭게 한다. 도면부호 (70)은 바퀴를 나타낸 것이다. 그밖에 구성과 작용은 상기 실시 예들과 동일하다. 이 구조는 열 스크린판(20)의 거리조절, 위치변경, 방향 전환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사용자들의 발과 무릎과 하체 부위에, 고품질의 원적외선열과 음이온 제공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사용 장소가 책상(12)밑의 빈 공간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의 셋트 전열기구(100)은 책상 밑의 어느 곳이라도 설치가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발바닥으로는, 고품질의 기능성을 갖는 원적외선 열과 음이온이 방사되어, 용천 혈을 위시하여, 인체 장기의 축소판인 소(小)우주 발바닥의, 여러 경혈과 혈맥을 자극하여, 신체 전부를 활성화 시켜 주고, 별도 기능의 전자석 진동에 의한 맛사지 자극으로, 굳어진 근육과 세포를 활성화시켜 주게 되며, 해충 구제용 방향제나, 목초액이 함침된 에너지발판을 사용함으로써, 무좀을 예방 할 수 있고, 여름철에는 모기 접근을 차단시켜 주고, 열스크린판을 통하여 방사되는,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온열작용에 의해 정강이, 무릎, 허벅지, 장딴지, 발목에 까지, 골고루 퍼지고, 피부 깊숙히 침투해 줌으로서, 하체 전체를 활성화 시켜 주고, 에너지발판과 열스크린판을 분리하여 마음대로 사용 할 수 있어, 허벅지에 올려놓을 수도 있고, 엉덩이에 방석대용으로 앉을 수도 있고, 의자에 앉을 때에는 등받이로 하여서, 등을 따뜻하게 해 줄 수 도 있다. 나아가 전 세계 사용자들에게 하체 활성화 및 무기력증 탈피에 더 좋을 수는 없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0)

  1. 발열체와 방열판을 구비하고, 안착되는 발에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을 방사하는 에너지 발판; 및
    상기 에너지발판에 대략 수직하게 결합되며, 발열체와 방열판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하체에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을 방사하는 열스크린판을 포함하는 셋트 전열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발판의 상단 중앙에 수직하게 입설되어 높낮이가 조절되며, 상단부에 상기 열스크린판이 고정되는 스탠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트 전열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발판의 상단 중앙에 수직하게 입설되어 높낮이가 조절되며, 상단부에 상기 열스크린판이 고정되는 벨로우즈(Bellows)형 스탠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트 전열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발판의 상단 중앙에 수직하게 입설되어 절곡이 가능한 다관절로 구성되며, 상단부에 상기 열스크린판이 고정되어 자유롭게 각도조절이 가능한 암(arm)스탠드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트 전열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발판의 상단 중앙에 수직하게 입설되어 그 상단부에 상기 열스크린판이 고정되며, 수축팽창하며 상기 열스크린판의 높이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X-밴드스탠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트전열기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일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발판은 사각(4角), 원(圓), 타원(??圓), 다각(多角) 모양 중 어느 하나의 모양으로 구성되며, 상기 열스크린판은 사각, 원, 타원, 다각 중 어느 하나의 모양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트전열기구.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일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발판의 상면에는 양쪽 발을 개별적으로 끼울 수 있는 발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발 덮개 입구에는 반원 형태의 철사(彈性소재)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발 덮개의 입구를 제외한 부분에는 상기 에너지 발판과 탈 부착하기 위한 단추, 후크, 매직테이프 및 지퍼로 이루어진 탈부착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트전열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스크린판을 컴퓨터책상 저면의 소정부위에 취부하여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고정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트전열기구.
  9.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일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발판 및 열스크린판은 바닥마감재, 단열재, 발열체, 방열판이 순차 적층 설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발열체는 열선, 면상발열체, 탄소발열체 및 카본발열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트 전열기구.
  10.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일항에 있어서, 상기 열 스크린판의 앞면 중앙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어 사용자들에게 보다 많은 열을 공급하기 위한 니크롬열선, 석영관 및 원적외선 등 중 어느 하나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트 전열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열 스크린판의 히터와의 대응 부위에는 상기 히터와 연락되게 한 다수개의 구멍이 더 형성되고, 상기 구멍의 히터와의 대응 부위에는 소형팬(fan)이 장착되어 히터의 열풍을 사용자쪽으로 송풍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트 전열기구.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스크린판을 지지해 주는 스탠드파이프 내부에 송풍통로가 더 형성되고, 상기 송풍통로의 일측단부에는 상기 열스크린판의 전면 윗쪽 복판으로 연통되며 풍향타가 장착된 송풍구가 형성되며,상기 송풍통로의 타측단부에는 상기 송풍통로 방향으로 소형팬(fan) 및 니크롬열선이 순서대로 연결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트전열기구.
  13.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일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발판과 열 스크린판은 금속판인 알미늄(Aluminum)판, 동(銅)판 및 아연을 도금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트 전열기구.
  14.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일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발판과 열 스크린판은 천연 옥(玉), 맥반석, 금강약돌, 세라믹, 게르마늄, 숯, 황토, 카본 중에서 선택한 1종이나 그 이상을 조합하여 제조되며, 또한 상기 에너지 발판의 앞면에는 세라믹, 숯, 옥(玉), 금강약돌, 맥반석, 게르마늄, 황토, 카본 중에서 선택한 1종이나 그 이상을 조합한 것을 접착제와 혼합하여 직접 도포 후, 피막 처리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트 전열기구.
  15.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일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발판의 표면에는 방향제(허브향), 목초액 중 어느 하나 함침한 부직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트전열기구.
  1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일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발판의 표면에는 은박지, 숯 화이버 및 동사원단 중 어느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트전열기구.
  1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일항에 있어서, 상기 열스크린판과 에너지발판은 이중 전열장치와, 송풍장치 및 풍향타조절 장치들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트전열기구.
  1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일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발판 하부에는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며 탈부착이 가능하게 된 회전볼 및 고정바퀴로 된 이동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트전열기구.
  1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일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기구는 타이머 조절장치, 온도조절장치, 송풍(풍속)강약조절장치와, 상기 열스크린판의 연속적인 좌우회전장치와, 상기 열스크린판의 상하 높낮이 조절기능을 수행하는 높낮이스프링장치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트전열기구.
  2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일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발판 및 열스크린판을 각각 한 쌍씩 구비하여, 발바닥, 엉덩이, 등받이, 허벅지, 아랫배, 기타 신체부위 두곳을 동시에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사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트전열기구.
KR2020020015046U 2002-05-17 2002-05-17 셋트 전열기구 KR2002846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046U KR200284666Y1 (ko) 2002-05-17 2002-05-17 셋트 전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046U KR200284666Y1 (ko) 2002-05-17 2002-05-17 셋트 전열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685U Division KR200282733Y1 (ko) 2001-06-07 2001-06-07 셋트 전열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4666Y1 true KR200284666Y1 (ko) 2002-08-05

Family

ID=73123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046U KR200284666Y1 (ko) 2002-05-17 2002-05-17 셋트 전열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466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647B1 (ko) 2009-09-24 2011-10-27 주식회사 세흥휴프텍 히터의 수납구조를 갖는 작업용 발판장치
KR101654636B1 (ko) * 2015-04-08 2016-09-06 김미선 책상용 히터
KR20180003454U (ko) * 2017-06-01 2018-12-12 이병호 근적외선 조리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647B1 (ko) 2009-09-24 2011-10-27 주식회사 세흥휴프텍 히터의 수납구조를 갖는 작업용 발판장치
KR101654636B1 (ko) * 2015-04-08 2016-09-06 김미선 책상용 히터
KR20180003454U (ko) * 2017-06-01 2018-12-12 이병호 근적외선 조리기
KR200488339Y1 (ko) * 2017-06-01 2019-04-11 이병호 근적외선 조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0682B1 (ko) 원적외선 방사기능을 갖는 세라믹볼을 사용하는 족욕기
US6884256B2 (en) Multiple-effect health device
KR101451386B1 (ko) 편백나무 및 플러렌 구조의 ?기트를 활용한 온열 치료장치
KR101206050B1 (ko) 황토볼을 이용한 침대 매트리스
CN202858757U (zh) 智能发热地毯
KR200284666Y1 (ko) 셋트 전열기구
KR101686422B1 (ko) 돔형 사우나 장치
CN206964716U (zh) 电热敷护腰带
JP2007136004A (ja) 温熱療養装置
CN201509955U (zh) 远红外线温热席梦思床垫
KR200282733Y1 (ko) 셋트 전열기구
KR20090009035U (ko) 기능성 매트리스
CN209712292U (zh) 多温区健康床垫
CN2680123Y (zh) 可调温水疗保健床
KR100754426B1 (ko) 휴대용 신체보온 핫팩
JP2007136001A (ja) 温熱療養装置
KR20020092070A (ko) 네티즌을 위한 컴퓨터 사무용 셋트전열기구
JP2002126105A (ja) 多機能特性を備えた健康器具
CN207928578U (zh) 温热理疗椅
JP3138879U (ja) 椅子
CN206325123U (zh) 一种多功能瑜伽垫
JP2007136003A (ja) 温熱療養装置
KR200174472Y1 (ko) 침대용 상부 받침대
JP3228211U (ja) 足裏ツボ温熱器
CN204334981U (zh) 黄土球发热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