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3814Y1 -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 - Google Patents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3814Y1
KR200283814Y1 KR2020020012040U KR20020012040U KR200283814Y1 KR 200283814 Y1 KR200283814 Y1 KR 200283814Y1 KR 2020020012040 U KR2020020012040 U KR 2020020012040U KR 20020012040 U KR20020012040 U KR 20020012040U KR 200283814 Y1 KR200283814 Y1 KR 2002838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iameter
sleeve
ring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20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석
Original Assignee
박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석 filed Critical 박종석
Priority to KR20200200120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38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38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3814Y1/ko

Links

Landscapes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파이프를 끼워 넣기만 하면 스냅링에 의해 빠지 않고 오-링에 의해 수밀을 유지하도록 된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에 있어서,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냅링,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오-링 및 슬리브가 파이프 결합부 내측에 내설되어 파이프를 밀어 넣는 것에 의해 빠지지 않고 수밀상태를 유지하도록 결합되는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결합부(32)의 말단에는 슬리브(60)의 이탈을 방지하는 벤딩부(33)가 형성되어지되, 이 벤딩부(33)는 파이프(70)의 외경에 일치되도록 반원단면형으로 180°이너 벤딩(inner bending)되며, 상기 파이프 결합부(32)는 그 내부로부터 파이프(70)의 외경에 일치되는 직경으로 형성된 소직경부(34), 이 소직경부(34)의 끝에서 이 소직경부(34)보다 확장된 직경으로 형성되어 오-링(50)이 안착되는 중직경부(35), 이 중직경부(35)의 끝에서 중직경부(35)보다 확장된 직경으로 형성되며 슬리브(60)가 안착되는 대직경부(36)가 형성되어 파이프 결합부(32)의 내부로부터 수밀을 위한 오-링(50), 파이프(7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냅링(40) 및 슬리브(60)가 순차적으로 삽입된다.

Description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 {ONE TOUCH TYPE PIPE JOINT}
본 고안은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스냅링, 오-링 및 슬리브가 파이프 결합부 내측에 내설되어 단순히 파이프를 밀어 넣는 것에 의해 빠지지 않고 수밀상태를 유지하도록 결합되는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말단을 파이프의 외경에 일치되도록 반원단면형으로 180°이너 벤딩시킴으로써 내압성능의 향상과 더불어 심플한 외관을 갖도록 하고, 벤딩부의 내측면에 파이프가 밀착되어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에 대한 종래기술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를 들 수 있다.
이 중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1)는 일측에 도시안된 관체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원터치식의 파이프 결합부(3)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파이프 결합부(3)에는 스냅링(4), 오-링(5) 및 슬리브(6)가 차례대로 끼워져 있으며, 외측에는 조임너트(7)가 해체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8)가 형성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한편,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는 특단의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 한 결합된 파이프를 빼내는 일이 없으므로,-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통상 파이프를 절단하여 다시 시공하고 있음 - 제조코스트의 절감측면에서 조임너트의 제작과 조임너트의 결합을 위한 수나사부의 가공이 생략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도 3에 도시된 타입은 상술한 도 1에 도시된 방식에서 조임너트와 수나사부의 가공을 생략하고 대신 결합부(3)의 말단을 약 30~45°정도의 각도로 이너 벤딩(inner bending)시키되, 결합부(3)에 삽입되는 슬리브(6)의 형태를 파이프의 지지가 가능하고 동시에 슬리브가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한 것이며, 결합부의 내부에 삽입된 오-링(5)과 스냅링(4) 사이에 스페이서 링(9)을 추가로 끼워 놓은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는 결합부의 말단에 형성된 이너 벤딩이 불완전하여 내압성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그 결합부에 내설되는 부품이 오-링, 스냅링, 슬리브 외에 스페이서 링이 추가됨으로써 부품수의 증가로 인한 원가상승, 조립불량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에서 별도 부품의 추가 없이도 충분한 내압성능을 가지며, 외관상으로도 심플하고, 결합되는 파이프를 결합부의 내측과 외측에서 이중으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의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스냅링, 오-링 및 슬리브가 파이프 결합부 내측에 내설되어 단순히 파이프를 밀어 넣는 것에 의해 빠지지 않고 수밀상태를 유지하도록 결합되는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결합부의 말단을 파이프의 외경에 일치되도록 반원단면형으로 180°이너 벤딩시켜 내압성능의 향상과 심플한 외관 및 파이프의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도록 한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를 제공한다.상기 슬리브는 오-링의 외측에만 설치할 수도 있고, 오-링의 외측 및 내측에 각각 설치할 수도 있는데, 이는 오-링의 보호와 더불어 오-링의 유동에 의한 파이프와 연결구간의 수밀상태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원터치식 엘보형 파이프 연결구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다른 방식에 이해 일자형 파이프 연결구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연결구의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파이프 연결구에 파이프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파이프 연결구의 벤딩부 가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 31 : 암나사부
32 : 파이프 결합부 33 : 벤딩부
34 : 소직경부 35 : 중직경부
36 : 대직경부 40 : 스냅링
50 : 오-링 60 : 슬리브
62 : 걸림턱 64 : 파이프 지지면
70 : 파이프 80 : 벤딩용 금형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구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파이프 연결구에 파이프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스냅링(40), 오-링(50) 및 슬리브(60)가 파이프 결합부(32) 내측에 내설되어 단순히 파이프(70)를 밀어 넣는 것에 의해 빠지지 않고 수밀상태를 유지하도록 결합되는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30)에서, 상기 파이프 결합부(32)의 말단에는 슬리브(60)의 이탈을 방지하는 벤딩부(33)가 형성되어지되, 이 벤딩부(33)는 파이프(70)의 외경에 일치되도록반원단면형으로 180°이너 벤딩(inner bending)된 특징을 갖는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파이프 연결구(30)는 파이프 결합부(32)의 내부로부터 파이프(7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냅링(40),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오-링(50) 및 슬리브(60)가 순차적으로 삽입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파이프 결합부(32)는 그 내부로부터 파이프(70)의 외경에 일치되는 직경으로 형성된 소직경부(34), 이 소직경부(34)의 끝에서 이 소직경부(34)보다 확장된 직경으로 형성되어 스냅링(40)과 오-링(50)이 안착되는 중직경부(35), 이 중직경부(35)의 끝에서 중직경부(35)보다 확장된 직경으로 형성되며 슬리브(60)가 안착되는 대직경부(36)의 다단형을 이루도록 가공되어 있으며, 대직경부(36)의 말단은 180°로 이너 벤딩된 벤딩부(33)와 연속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60)는 대체로 "L"자형 단면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외측은 대직경부(36)에 접하고 내측 상부에는 상기 벤딩부(33)의 내측단에 접하여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턱(62)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 하부에는 파이프(70)의 내경에 일치되는 직경으로 파이프 지지면(6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벤딩부(33)는 파이프(70)의 외경에 일치되도록 반원단면형으로 180°이너 벤딩되어 있는데, 이는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벤딩용 금형(80)에 의하여 단 한번의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바,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70)를 결합부 (32)에 밀어 끼워 파이프의 말단이 결합부(32) 최내측의 소직경부(34)에 끼워지도록 하면, 중직경부(35)의 내측 하부에 삽입되어 있는 스냅링(40)이 벌어지면서 파이프(70)가 외부로 빠지지 않게 물게 되는 것이며, 이와 동시에 중직경부(35)에 안착되어 있던 오-링(50)은 파이프(70)의 외측과 중직경부(35)사이에 수축력을 받으면서 밀착되어 수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파이프 결합부(32)에 삽입된 파이프(70)는 그 내측은 소직경부(34)에 의해 지지되고 외측은 슬리브(60)의 파이프 지지면(64)과 결합부(32) 말단의 벤딩부(33)에 의해 3중으로 지지되어 유동이 억제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파이프 연결구 가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파이프 결합부(32)의 내부에 스냅링(40), 오-링(50) 및 슬리브(60)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벤딩용 금형(80)으로 결합부(32)의 말단을 프레스가공하면 180°각도로 반원형의 이너 벤딩이 이루어져 벤딩부(33)가 형성됨으로써 본 고안의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밀을 위한 오-링, 파이프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스냅링 및 파이프를 지지하기 위한 슬리브가 끼워진 파이프 결합부의 말단을 반원단면형으로 180°이너 벤딩시킨 벤딩부를 형성함으로써 벤딩부 자체의 구조적인 강도 즉, 수압에 의한 벤딩상태의 해제가 완벽하게 방지됨은 물론, 이 벤딩부에 의해 결합부의 내측에 삽입된 슬리브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심플한 외관을갖게 되며, 결합부에 삽입된 파이프는 내측의 소직경부와 슬리브 및 벤딩부 내측의 3지점에서 3중으로 지지되므로 파이프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냅링,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오-링 및 슬리브가 파이프 결합부 내측에 내설되어 파이프를 밀어 넣는 것에 의해 빠지지 않고 수밀상태를 유지하도록 결합되는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결합부(32)의 말단에는 슬리브(60)의 이탈을 방지하는 벤딩부(33)가 형성되어지되, 이 벤딩부(33)는 파이프(70)의 외경에 일치되도록 반원단면형으로 180°이너 벤딩(inner bending)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결합부(32)는 그 내부로부터 파이프(70)의 외경에 일치되는 직경으로 형성된 소직경부(34), 이 소직경부(34)의 끝에서 이 소직경부(34)보다 확장된 직경으로 형성되어 스냅링(40)과 오-링(50)이 안착되는 중직경부(35), 이 중직경부(35)의 끝에서 중직경부(35)보다 확장된 직경으로 형성되며 슬리브(60)가 안착되는 대직경부(36)가 형성되어 파이프 결합부(32)의 내부로부터 파이프(7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냅링(40), 수밀을 위한 오-링(50) 및 슬리브(60)가 순차적으로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60)는 "L"자형 단면형태를 이루며, 그 외측은 대직경부(36)에 접하고 내측 상부에는 상기 벤딩부(33)의 내측단에 접하여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턱(62)이 형성되며, 내측 하부에는 파이프(70)의 내경에 일치되는 직경으로 파이프 지지면(6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
KR2020020012040U 2002-04-20 2002-04-20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 KR2002838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040U KR200283814Y1 (ko) 2002-04-20 2002-04-20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040U KR200283814Y1 (ko) 2002-04-20 2002-04-20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2535A Division KR100480755B1 (ko) 2003-05-22 2003-05-22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3814Y1 true KR200283814Y1 (ko) 2002-07-27

Family

ID=73121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2040U KR200283814Y1 (ko) 2002-04-20 2002-04-20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381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651B1 (ko) * 2002-05-04 2005-06-03 임관섭 관연결장치
KR101087647B1 (ko) 2011-07-11 2011-11-30 에스이피엔씨 주식회사 파이프 연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651B1 (ko) * 2002-05-04 2005-06-03 임관섭 관연결장치
KR101087647B1 (ko) 2011-07-11 2011-11-30 에스이피엔씨 주식회사 파이프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057330Y (zh) 一体式快速管道接口、接头和堵头
US6270125B1 (en) Molded tubing assemblies
JP2004526911A5 (ko)
KR100941883B1 (ko) 배관연결구
KR200443803Y1 (ko) 파이프 접속용 그립링
KR200283814Y1 (ko)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
KR100480755B1 (ko)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
KR200306024Y1 (ko)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
JP4932633B2 (ja) 通水管の接続装置
JP2011089598A (ja) 継手
CN213900250U (zh) 一种燃气波纹管连接金属管的快速接头
JP2011089598A5 (ko)
KR200448977Y1 (ko) 배관 연결구
JP3235740U (ja) パイプジョイント
KR940011859B1 (ko) 분기 파이프 이음새
KR20060042031A (ko) 조립과 분리가 용이한 파이프 연결구
KR20060103698A (ko) 주름관 연결 구조
KR101073691B1 (ko) 허브형 밸브 구조
KR101562935B1 (ko) 디씨관 연결용 고정관으로 이루어진 분리방지 고정부재
KR101578031B1 (ko) 배관 무용접 시공을 위한 배관 연결구
KR20130092207A (ko) 농업용 관체 연결구
JP4639060B2 (ja) 保護管の接続端部構造
KR200325929Y1 (ko) 관연결구
KR100435118B1 (ko) 나사식 해제구를 갖는 파이프 연결구
KR200300312Y1 (ko) 관의 클램프 밴드식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