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3124Y1 - 이어폰 - Google Patents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3124Y1
KR200283124Y1 KR2020020011917U KR20020011917U KR200283124Y1 KR 200283124 Y1 KR200283124 Y1 KR 200283124Y1 KR 2020020011917 U KR2020020011917 U KR 2020020011917U KR 20020011917 U KR20020011917 U KR 20020011917U KR 200283124 Y1 KR200283124 Y1 KR 2002831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earphone
fixed
earring
charac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19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의봉
Original Assignee
박의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의봉 filed Critical 박의봉
Priority to KR20200200119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31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31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3124Y1/ko

Link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외측에서 보이는 몸체의 표면에 각종 문자, 로고, 사진 등이 인쇄된 인쇄물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또한 이어폰에서 귀걸이가 소정 각도만큼 정확히 회동 및 고정되도록, 각종 음향기기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잭(2)과; 상기 잭(2)에 연결되어 유연하고 자유롭게 휘어지는 와이어(4)와; 상기 와이어(4)가 고정되고, 내부에는 스피커부가 위치되며, 외형은 대략 속이 비어 있는 원판 형태를 하는 몸체(6)와; 상기 몸체(6)의 외측에서 결합되어 상기 몸체(6)의 표면에 각종 광고물, 문자, 캐릭터, 사진 또는 로고가 인쇄된 인쇄물(8)을 고정시키는 커버(10)와; 상기 몸체(6)에 결합된 동시에, 상기 몸체(6)에서 일정 각도 회동 및 고정되는 대략 반원주 형태의 귀걸이(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함.

Description

이어폰{EAR PHONE}
본 고안은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외측에서 보이는 몸체의 표면에 각종 문자, 로고, 사진 등이 인쇄된 인쇄물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또한 이어폰에서 귀걸이를 소정 각도만큼 정확히 회동 및 고정시킬 수 있는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종래의 귀걸이를 갖는 이어폰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귀걸이를 갖는 이어폰은 각종 음향기기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잭(1')과, 상기 잭(1')에 연결되어 유연하고 자유롭게 휘어지는 와이어(2')와, 상기 와이어(2')가 고정된 대략 직선형의 몸체(3')와, 상기 몸체(3')에 대략 직각 방향으로 결합된 동시에 상기 와이어(2')에 연결되어 소정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부(4')와, 상기 몸체(3')의 상단에 대략 반원주 형태를 하며 귀에 착용되는 귀걸이(5')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이러한 구성은 한쌍으로 구비됨으로써, 좌,우측의 귀에 모두 착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이어폰은 상기 잭(1')을 음향기기에 삽입하여 고정한 후, 상기 스피커부(4')는 귀에 근접시키고, 귀걸이(5')는 귀에 착용함으로써, 타인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각종 음향기기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물론, 상기 귀걸이(5')는 귀의 형태와 같이 대략 반원주 형태를 함으로써, 일단 귀에 착용된 후에는 소정 충격이나 움직임이 있어도 상기 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이어폰은 몸체나 스피커부의 크기가 너무 작아서 각종 광고물, 캐릭터, 문자, 사진, 로고 또는 마크 등을 적절히 형성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더불어 상기 몸체로부터 귀걸이가 상기 몸체를 회동 중심축으로 소정 각도 회동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이어폰을 장시간 착용하게 되면 귀나 머리가 아픈 단점이 있다. 즉 상기 몸체, 스피커부 및 귀걸이가 동일한 평면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몸체, 스피커부 및 귀걸이가 귀 및 머리에 과도하게 밀착되고, 따라서 이 상태로 장시간이 경과하면 착용이 매우 불편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외측에서 보이는 몸체의 표면에 각종 문자, 로고, 사진 등이 인쇄된 인쇄물을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고, 또한 이어폰에서 귀걸이가 소정 각도만큼 정확히 회동 및 고정됨으로써,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전혀 불편하지 않은 이어폰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의 이어폰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이어폰에서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이어폰에서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4a는 본 고안에 의한 이어폰에서 귀걸이가 일정 각도 회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4b는 본 고안에 의한 이어폰에서 귀걸이가 회동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 평면도이고,
도4c는 본 고안에 의한 이어폰에서 귀걸이가 회동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 평면도이다.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이어폰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잭 4; 와이어
6; 몸체 8; 인쇄물
10; 커버 12; 귀걸이
14; 통공 16; 경사면
18; 돌기 20; 회동축
22; 각도 제한 부재 24; 스폰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이어폰은 각종 음향기기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잭과; 상기 잭에 연결되어 유연하고 자유롭게 휘어지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가 고정되며, 내부에는 스피커부가 위치되며 외형은 대략 원판 형태를 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측에서 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표면에 각종 광고물, 문자, 캐릭터, 사진 또는 로고가 인쇄된 인쇄물을 고정시키는 커버와; 상기 몸체에 결합된 동시에, 상기 몸체에서 일정 각도 회동 및 고정되는 대략 반원주 형태의 귀걸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는 일측에 일부 영역이 절개된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공의 절개된 영역을 덮을 수 있도록 내측에 경사면이 형성된 각도 제한 부재가 몸체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몸체와 각도 제한 부재가 이루는 통공 내측에는 상기 경사면과 접촉되는 돌기를 갖는 회동축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축에는 귀걸이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고안에 의한 이어폰은 몸체의 표면에 각종 광고물, 문자, 캐릭터, 사진 또는 로고가 인쇄된 인쇄물을 용이하게 탈착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어폰에서 귀걸이가 소정 각도만큼 정확히 회동 및 고정됨으로써,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귀나 머리가 아프지 않은 장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이어폰에서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이어폰에서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또한, 도4a는 본 고안에 의한 이어폰에서 귀걸이가 일정 각도 회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4b는 본 고안에 의한 이어폰에서 귀걸이가 회동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 평면도이며, 도4c는 본 고안에 의한 이어폰에서 귀걸이가 회동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 평면도이다.
더불어,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이어폰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이어폰은 각종 음향기기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잭(2)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잭(2)에는 유연하고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는 와이어(4)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4)가 고정되고, 내부에는 스피커부(도시되지 않음)가 위치되며, 외형은 대략 속이 비어 있는 원판 형태의 몸체(6)가 구비되어 있다. 물론, 상기 와이어(4)는 상기 스피커부에 전기적으로 연결 및 고정된 상태이다.
계속해서, 상기 몸체(6)의 외측에서 결합되어 상기 몸체(6)의 표면에 각종 광고물, 문자, 캐릭터, 사진 또는 로고가 인쇄된 각종 인쇄물(8)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커버(10)가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몸체(6)와 커버(10) 사이에 상기 각종 인쇄물(8)이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인쇄물(8)은 상기 커버(10)에 의해 외측으로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몸체(6)의 일측에는 상기 몸체(6)에서 일정 각도 회동 및 고정됨으로써, 본 고안에 의한 이어폰을 귀에 편안한 상태로 밀착시킬 수 있는 대략 반원주 형태의 귀걸이(12)가 결합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4는 몸체(6)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6)가 귀에 부드럽게 밀착되도록 하는 스폰지이다.
한편, 상기 몸체(6)의 일측에는 일부 영역이 절개된 통공(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공(14)의 절개된 영역에는 내측에 경사면(16)이 형성된 각도 제한 부재(22)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6)와 각도 제한 부재(22)가 이루는 통공(14) 내측에는 상기 경사면(16)과 접촉되는 돌기(18)를 갖는 회동축(20)이 결합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회동축(20)에는 귀걸이(12)가 연장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귀걸이(12)가 일정 각도 회동 및 고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하는 본 고안에 의한 이어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각종 광고물, 문자, 캐릭터, 사진 또는 로고가 인쇄된 각종 인쇄물(8)을 상기 몸체(6)에 고정시킬 경우에는, 상기 몸체(6)에서 상기 커버(10)를 분리한다. 그런후, 상기 인쇄물(8)을 몸체(6)에 밀착시킨 후, 다시 상기 커버(10)를 상기 몸체(6)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각종 인쇄물(8)을 몸체(6)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커버(10)는 투명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이어폰 외측에서 상기 인쇄물(8)을 명확하게 볼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6)에서 귀걸이(12)가 회동 및 고정되는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귀걸이(12)가 일정 각도 회동되기 전에는, 상기 귀걸이(12)가 결합된 회동축(20)의 돌기(18)가 상기 각도 제한 부재(22)에 형성된 경사면(16)에 단순히 접촉되어 있을 뿐이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 상기 회동축(20)의 돌기(18)가 상기 경사면(16)을 자력에 의해 밀지 못함으로써, 상기 회동축(20)은 상기 각도 제한 부재(22)에 의해 일정 각도로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상기 귀걸이(12) 즉, 회동축(20)을 상기 몸체(6)의 통공(14) 내측에서 일정 각도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귀걸이(12)가 결합된 회동축(20)의 돌기(18)가 상기 각도 제한 부재(22)의 경사면(16)을 강제로 밀면서 일정 각도 회동된다. 결국 상기 귀걸이(12) 및 회동축(20)이 일정 각도 회동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회동축(20)의 돌기(18)가 상기 각도 제한 부재(22)의 경사면(16)을 일정 범위 이상 밀게 되면, 상기 돌기(18)와 상기 경사면(16)은 단순히 접촉되는 상태이며, 상기 경사면(16)의 일측이 상기 돌기(18)를 반대로 미는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회동축(20)이 고정된다. 즉, 상기 귀걸이(12)가 일정 각도를 이루며 상기 몸체(6)에 고정된다. 물론, 상기 회동축(20)의 돌기(18)가 상기 각도 제한 부재(22)의 경사면(16)을 밀 때는 상기 각도 제한 부재(22)에 소정의 복원력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귀걸이(12)의 작동시 회동 및 고정 상태가 명확히 구분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만 설명하였지만, 여기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에서 벗어남 없이 여러 가지의 변형과 수정이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이어폰은 몸체의 표면에 각종 광고물, 문자, 캐릭터, 사진 또는 로고가 인쇄된 인쇄물을 용이하게 탈착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어폰에서 귀걸이가 소정 각도만큼 정확히 회동 및 고정됨으로써,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귀나 머리가 아프지 않은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각종 음향기기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잭(2)과,
    상기 잭(2)에 연결되어 유연하고 자유롭게 휘어지는 와이어(4)와,
    상기 와이어(4)가 고정되고, 내부에는 스피커부가 위치되며, 외형은 대략 속이 비어 있는 원판 형태를 하는 몸체(6)로 형성된 통상의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몸체(6)의 외측에서 결합되어 상기 몸체(6)의 표면에 각종 광고물, 문자, 캐릭터, 사진 또는 로고가 인쇄된 인쇄물(8)을 고정시키는 커버(10)와;상기 몸체(6)에 결합된 동시에, 상기 몸체(6)에서 일정 각도 회동 및 고정되는 대략 반원주 형태의 귀걸이(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6)는 일측에 일부 영역이 절개된 통공(1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공(14)의 절개된 영역을 덮을 수 있도록 내측에 경사면(16)이 형성된 각도 제한 부재(22)가 몸체(6)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몸체(6)와 각도 제한 부재(22)가 이루는 통공(14) 내측에는 상기 경사면(16)과 접촉되는 돌기(18)를 갖는 회동축(20)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축(20)에는 귀걸이(12)가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KR2020020011917U 2002-04-19 2002-04-19 이어폰 KR2002831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917U KR200283124Y1 (ko) 2002-04-19 2002-04-19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917U KR200283124Y1 (ko) 2002-04-19 2002-04-19 이어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3124Y1 true KR200283124Y1 (ko) 2002-07-26

Family

ID=73083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1917U KR200283124Y1 (ko) 2002-04-19 2002-04-19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312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672B1 (ko) 2012-01-31 2012-12-28 크레신 주식회사 헤드폰 및 헤드폰 세트
KR101441821B1 (ko) * 2013-08-05 2014-09-17 서영현 귀걸이형 이어폰 거치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672B1 (ko) 2012-01-31 2012-12-28 크레신 주식회사 헤드폰 및 헤드폰 세트
KR101441821B1 (ko) * 2013-08-05 2014-09-17 서영현 귀걸이형 이어폰 거치 장치
WO2015020387A1 (ko) * 2013-08-05 2015-02-12 Seo Young Hyun 귀걸이형 이어폰 거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8006B1 (ko) 결합장치의 보유유지가 개선된 이어몰드
JP3827722B2 (ja) 2路通話手段のための耳成型品
JP3375135B2 (ja) 耳甲介ヘッドホン安定装置
US4965838A (en) Ear piece transducer
JP4088841B2 (ja) インナーイヤホン
JP3838072B2 (ja) ヘッドホン
KR100879418B1 (ko) 머리에 착용 가능한 음향 장치
JP4239404B2 (ja) ヘッドホン装置
EP0373816A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apparatus
CN1984505A (zh) 骨传导受话装置
JP2001112081A (ja) ヘッドホン
JPH0750892A (ja) イヤホン
JP2011130334A (ja) 骨伝導スピーカ及び骨伝導ヘッドホン装置
US4574912A (en) Ear muff hearing aid
KR200283124Y1 (ko) 이어폰
WO2007048713A1 (en) Support particularly for frames of eyeglasses and in-ear speakers
JP3051607U (ja) イヤホーン
KR200210151Y1 (ko) 어학 실습용 마스크
KR200281582Y1 (ko) 이어폰 고정구
JP4281024B1 (ja) 広告システム、広告方法
KR101827386B1 (ko) 이어폰용 가변 이어팁
US5988811A (en) Nose pads for spectacles
KR102315063B1 (ko) 세미 커널 타입 무선 이어셋
WO2023074354A1 (ja) 音響出力装置
KR200218642Y1 (ko) 귀걸이형 이어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