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2820Y1 - 보면대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보면대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2820Y1
KR200282820Y1 KR2020020011114U KR20020011114U KR200282820Y1 KR 200282820 Y1 KR200282820 Y1 KR 200282820Y1 KR 2020020011114 U KR2020020011114 U KR 2020020011114U KR 20020011114 U KR20020011114 U KR 20020011114U KR 200282820 Y1 KR200282820 Y1 KR 2002828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bracket
support
support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11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재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앙고분자산업
주재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앙고분자산업, 주재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앙고분자산업
Priority to KR20200200111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28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28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2820Y1/ko

Links

Landscapes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악보받침판과 브래킷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보관이나 휴대가 편리하도록 분해할 수 있는 동시에 악보받침판의 파손시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경제적으로 악보받침판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보면대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지주(10)와, 지주(10)를 지지하는 다리(20)와, 지주(20)의 상부에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브래킷(30)과, 브래킷(30)에 부착되어 악보를 받쳐주는 악보받침판(40)으로 구성된 보면대에 있어서, 상기 악보받침판(40)과 브래킷(30)에 하부로 요입 및 돌출되어 상호 결합되는 다수개의 요철부(41)(31)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요철부(41)(31)의 중앙에 나사공(42)(32)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나사공(42)(32)에 접시머리나사(50)를 체결하여 악보받침판(40)과 브래킷(30)을 조립한 것이다.

Description

보면대의 조립구조{ASSEMBIY STRUCTURE OF MUSIC STAND}
본 고안은 음악을 연주할 때 악보를 올려놓는 보면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악보받침판과 브래킷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보관이나 휴대가 편리하도록 분해할 수 있는 동시에 악보받침판의 파손시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경제적으로 악보받침판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보면대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면대는 무대,공연장이나 락카페 등에서 악기를 연주할 때 악보를 받쳐주는 것으로, 이러한 보면대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지주와, 상기 지주를 지지하는 다리와, 상기 지주의 상부에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부착되어 악보를 받쳐주는 악보받침판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보면대의 악보받침판과 브래킷을 스폿 용접을 통해 일체로 로 접합시켰기 때문에 작업이 불편하여 조립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와 같이 악보받침판과 브래킷이 스폿 용접을 통해 일체로 접합되어 분해가 불가능하므로 악보받침판의 파손시 구조적으로 파손된 악보받침판만을 교체하지 못하고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악보받침판이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부피가 커 보관이나 휴대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악보받침판과 브래킷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보관이나 휴대가 편리하도록 분해할 수 있는 동시에 악보받침판의 파손시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경제적으로 악보받침판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보면대의 조립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악보받침대와 브래킷에 서로 결합되는다수개의 요철부를 각각 엠보싱으로 가공하되, 상기 요철부의 중앙에 나사공을 각각 피어싱으로 가공하여, 상기 악보받침판의 나사공과 브래킷의 나사공을 접시머리나사로 체결하여 조립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한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지주 20 : 다리
30 : 브래킷 31 : 요철부
32 : 나사공 40 : 악보받침판
41 : 요철부 42 : 나사공
50 : 접시머리나사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보면대의 조립구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높이조절이 가능한 지주(10)와, 지주(10)를 지지하는 다리(20)와, 지주(20)의 상부에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브래킷(30)과, 브래킷(30)에 부착되어 악보를 받쳐주는 악보받침판(40)으로 구성된 보면대에 있어서, 상기 악보받침판(40)과 브래킷(30)에 하부로 요입 및 돌출되어 상호 결합되는 다수개의 요철부(41)(31)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요철부(41)(31)의 중앙에 나사공(42)(32)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나사공(42)(32)에 접시머리나사(50)를 체결하여 악보받침판(40)과 브래킷(30)을 조립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주(10)는 주지된 바와 같이 수개의 파이프가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다리(20)는 지주(10)를 받쳐주도록 수개가 지주(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브래킷(30)은 지주(10)의 상부에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악보받침판(40)은 브래킷(30)의 상부에 부착된다.
상기 악보받침판(40)과 브래킷(30)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요철부(41)(31)는 엠보싱으로 가공되고, 상기 요철부(41)(31)에 형성되는 나사공(42)(32)은 피어싱으로 가공된다. 이때, 상기 요철부(41)(31)는 하부로 폭이 좁아지는 상광하협의 테이퍼로 형성된다.
상기 악보받침판(40)에 형성된 요철부(41)의 오목부로는 접시머리나사(50)의 나사머리가 끼워지고, 상기 브래킷(30)에 형성된 요철부(31)의 오목부로는 악보받침판(40)에 형성된 요철부(41)의 볼록부가 끼워진다.
상기 요철부(41)(31)에 형성된 나사공(42)(32)으로는 접시머리나사(50)가 끼워져 나사결합으로 체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악보받침판(40)에 형성된 요철부(41)를 브래킷(30)에 형성된 요철부(31)에 끼워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요철부(41)(31)에 형성된 각 나사공(42)(32)으로 접시머리나사(50)를 각각 끼워 나사결합으로 체결하면 악보받침판(40)과 브래킷(30)의 조립이 간단하게 완료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악보받침판(40)과 브래킷(30)을 접시머리나사(50)로 나사조립하여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으므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악보받침판(40)이 브래킷(30)에 접시머리나사(50)를 통해 나사조립되어 분해가 가능하므로 휴대 및 보관시에는 나사공(42)(32)에 체결된 접시머리나사(50)를 풀고 악보받침판(40)을 분리하면 부피가 작아 보관이나 휴대가 용이하고, 이와 같이 악보받침판(40)의 분해가 가능하기 때문에 악보받침판(40)의 파손시 경제적으로 악보받침판(40)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악보받침판과 브래킷을 나사조립을 통해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므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악보받침판이 분해되므로 보관이나 휴대가 편리하고, 악보받침판의 파손시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경제적으로 악보받침판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높이조절이 가능한 지주(10)와, 지주(10)를 지지하는 다리(20)와, 지주(20)의 상부에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브래킷(30)과, 브래킷(30)에 부착되어 악보를 받쳐주는 악보받침판(40)으로 구성된 보면대에 있어서, 상기 악보받침판(40)과 브래킷(30)에 하부로 요입 및 돌출되어 상호 결합되는 다수개의 요철부(41)(31)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요철부(41)(31)의 중앙에 나사공(42)(32)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나사공(42)(32)에 접시머리나사(50)를 체결하여 악보받침판(40)과 브래킷(30)을 조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면대의 조립구조.
KR2020020011114U 2002-04-12 2002-04-12 보면대의 조립구조 KR2002828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114U KR200282820Y1 (ko) 2002-04-12 2002-04-12 보면대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114U KR200282820Y1 (ko) 2002-04-12 2002-04-12 보면대의 조립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0191A Division KR20030081793A (ko) 2002-04-13 2002-04-13 보면대의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2820Y1 true KR200282820Y1 (ko) 2002-07-23

Family

ID=73121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1114U KR200282820Y1 (ko) 2002-04-12 2002-04-12 보면대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28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1793A (ko) * 2002-04-13 2003-10-22 주식회사 중앙고분자산업 보면대의 조립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1793A (ko) * 2002-04-13 2003-10-22 주식회사 중앙고분자산업 보면대의 조립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51039A1 (en) Multifunctional holder
US8020823B2 (en) Three-dimensional multi-directional rotation support
US6840573B1 (en) Chair having rigid structure
US10842256B2 (en) Foldable table leg
US7659468B1 (en) Guitar stand system and method of use
US20060238086A1 (en) Structure of a monitor support device with height adjusting function
US8865988B2 (en) Cymbal holding structure, cymbal stand having the holding structure, and fastener used in the holding structure
USD482904S1 (en) Foldable musical instrument stand
KR200282820Y1 (ko) 보면대의 조립구조
US5895874A (en) Wide angle tom-tom holder
JP5694248B2 (ja) スパイク付脚、楽器、及び楽器用スタンド
KR20030081793A (ko) 보면대의 조립구조
JP6888134B2 (ja) 三次元的な装飾を備える計時器用の表盤
US5918300A (en) Device for locating and adjusting a set of cymbals
USD486273S1 (en) Adjustable height pet feeder
JP2011056229A (ja) スライドラック
US3955465A (en) Drum construction
US20120279377A1 (en) Convertible transforming drum set
KR101591068B1 (ko) 조립식 책상
KR200319398Y1 (ko) 가구용 다리의 결합구조
JP4750533B2 (ja) 仰臥用書見台
JP7162497B2 (ja) 鍵盤楽器の脚柱及び脚柱取付構造
JP2015083748A (ja) 蝶番及び音調パネル群
KR200279904Y1 (ko) 가구용 다리
US20040159210A1 (en) Conga st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