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2705Y1 - 컴퓨터용 다기능 의자 - Google Patents

컴퓨터용 다기능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2705Y1
KR200282705Y1 KR2020020012678U KR20020012678U KR200282705Y1 KR 200282705 Y1 KR200282705 Y1 KR 200282705Y1 KR 2020020012678 U KR2020020012678 U KR 2020020012678U KR 20020012678 U KR20020012678 U KR 20020012678U KR 200282705 Y1 KR200282705 Y1 KR 2002827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armrest
bent
neck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26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지덕
Original Assignee
채지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지덕 filed Critical 채지덕
Priority to KR20200200126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27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27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2705Y1/ko

Link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지압대의 높낮이 및 팔걸이대의 위치를 조절하고, 음식물을 먹거나, 컴퓨터 등의 작업등을 할 수가 있고 목의 경추부분의 만곡 운동을 할 수 있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의자는 지지각으로 지지되는 시트를 구비하고, 이 시트의 후측에는 등받이가 설치되는 의자에 있어서, 이 시트로부터 절곡 입설되며 상단에는 목지압대를 설치하기 위한 장소를 마련하기 위한 등받이 지지대; 이 목지압대를 갖는 시트의 양측으로부터 경사지게 입설되는 관형의 고정대와 이 공정대에 분리가능하게 각각 끼워지고 그 고정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진 절곡부를 갖는 이동대로 이루어진 팔걸이대 지지대;팔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넓이를 갖으며 일측은 이동대의 절곡부에 고정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타측 부위로 그 이동대의 절곡부로부터 하향되게 제1 단턱을 이루는 단차부가 형성된 팔걸이대;소정 넓이를 갖는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팔걸이대의 하부에 대응면으로 각각 위치되며 일측을 단차부에 대해 직각으로 회동되게 힌지되고 단차부에 접하는 부위로 제1 단턱에 상응되는 제2 단턱이 형성되어 키보드 또는 노트북 등의 물건 등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장소로 활용되는 받침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컴퓨터용 다기능 의자{MULTI-FUNCTIONAL CHAIR FOR COMPUTER}
본 고안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목지압대의 높낮이 및 팔걸이대의 높낮이 위치를 조절하는 한편, 간식해결 또는 컴퓨터 작업과 별도의 탁자없이도 노트북 등의 작업을 할 수가 있고, 목의 경추부위에 C자형 만곡을 형성시켜줄 수 있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지지각으로 지지되는 시트와, 이 시트의 후측에 설치되는 등받이로 구성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의자에서 장시간 앉아 컴퓨터 작업을 할 경우, 목의 부담이 컸고, 팔을 편안하게 올려 놓은 채 작업을 할 수 없었다. 또한 이러한 의자에 앉아서 간단한 식사를 한다거나, 또는 노트북 등의 작업을 할 수 없었다.
게다가, 기존의 의자는 신체의 길이에 따라 목지압대와 팔걸이대의 높낮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없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장시간 컴퓨터 작업시 앉은 상태가 편안하도록 목지압대의 팔걸이의 등받이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아주 넓은 편안한 팔걸이대가 더 설치되어 있는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식사를 한다거나, 또는 노트북, 키보드, 마우스 작업 등을 장시간 편안하게 할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장시간 컴퓨터 작업시 발생하기 쉬운 목의 경추부의 대나무 같이 곧은 경추골격구조를 피하기 위한 목지압대를 제공하고 팔 전체를 팔걸이에 지지한 채 키보드와 마우스 작업을 할 수 있어 어깨와 팔꿈치 관절, 손목관절 등을 보호할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의자의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의자에 있어서, 각 받침판이 회전된 상태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등받이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구성요소의 조립도,
도 4a 및 도 4b는 등받이의 상부에 설치된 목지압대의 부분 사시도 및 부분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의자에 있어서, 시트에 설치된 고정대에서 이동대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 고안의 의자 11 : 시트
13 : 등받이 지지대 15 : 등받이
17 : 조절구 23 : 고정핀
27 : 목지압대 33a, 33b : 팔걸이대
41a, 41b : 받침판 50a, 50b : 팔걸이 지지대
51a, 51b : 고정대 53a, 53b : 이동대
55a, 55b : 끼움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의자는 지지각으로 지지되는 시트를 구비하고, 이 시트의 후측에는 등받이가 설치되는 의자에 있어서, 이 시트로부터 절곡 입설되며 상단에는 목지압대를 설치하기 위한 장소를 마련하기 위한 등답이 지지대; 이 목지압대를 갖는 시트의 양측으로부터 경사지게 입설되는 관형의 고정대와 이 고정대에 분리가능하게 각각 끼워지고 그 고정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진 절곡부를 갖는 이동대로 이루어진 팔걸이대 지지대; 팔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넓이를 갖으며 일측은 이동대의 절곡부에 고정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타측 부위로 그 이동대의 절곡부로부터 하향되게 제1 단턱을 이루는 단차부가 형성된 팔걸이대; 및 소정 넓이를 갖는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팔걸이대의 하부에 대응면으로 각각 위치되며 일측을 단차부에 대해 직각으로 회동되게 힌지되고 단차부에 접하는 부위로 제1 단턱에 상응되는 제2 단턱이 형성되어 키보드 또는 노트북 등의 물건 등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장소로 활용되는 받침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고정대의 일측에는 이동대가 선택적으로 더 끼워질 수 있는 끼움대가 그 고정대에 평행하게 더 설치될 수 있다.
또, 높낮이 조절은 등받이 지지대를 관통시키며 등받이의 후측에 설치되어 등받이와 함께 등받이 지지대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고정공이 형성된 조절구와, 이 고정공에 끼워져 조절구를 등받이 지지대의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받침판에는 공기를 통할 수 있는 통기공이 더 형성될 수 있고, 회전된상태에서 받침판이 서로 접하는 부위는 서로 접할 경우 통기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도록 굴곡되어질 수 있다.
또, 팔걸이대대의 상부에는 그를 기단부로 하여 수직하게 돌편이 형성될 수 있고, 마우스 등의 줄이 끼워질 수 있는 홈이 상기 팔걸이대의 단차부에 위치된 돌편에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 및 장점 그리고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의자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의자에 있어서, 각 받침판이 회전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등받이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구성요소의 조립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등받이의 상부에 설치된 목지압대의 부분 사시도 및 부분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의자에 있어서, 시트에 설치된 고정대에서 팔걸이대가 설치된 이동대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의자(10)의 시트(11)의 후측에는 절곡 입설된 등받이 지지대(13)가 설치되고, 목지압대의 모체 역할을 하는 등받이(15)는 이 등받이 지지대(13)에 설치되는데, 본 고안의 의자(10)에 있어서, 이 등받이(15)는 등받이 지지대(13)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면서 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등받이(15)의 높낮이 조절은 등받이 지지대(13)에 설치된 관통구(19)가 고정공(28)에 체결되는 고정핀(23)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목지압대(27)가 화살표(29) 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목지압대(27)는 반발력이 강한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30)에 의해서 등받이(15)의 상부에 설치되어 진다. 특히, 의자(10)의 미관을 미려하게 하는 한편, 탄성체(30)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체(30)의 외측에는 유연성이 좋은 주름관 또는 프라스틱재등의 커버(31)가 더 씌여질 수 있다. 따라서, 목을 목지압대(27)에 댄 상태에서, 목을 화살표(29) 방향으로 움직이면, 목의 경추부에 만곡을 형성시켜 이로 인해 목디스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 지지대(13)가 고정된 시트(11)의 양측에는 팔걸이 지지대(50a)(50b)가 입설되어 있다. 이 팔걸이 지지대(50a)(50b)는 시트(11)의 양측으로부터 경사지게 입설되는 관형의 고정대(51a)(51b)와, 이 고정대(51a)(51b)에 분리가능하게 각각 끼워지는 이동대(53a)(53b)로 이루어진다. 더욱이, 이동대(53a)(53b)는 고정대(51a)(51b)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진 절곡부(54a)(54b; 도시하지 않았음)가 더 형성되며, 고정대(51a)(51b)에 끼워지는 이동대(53a)(53b)의 부위에는 고정대(51a)(51b)에 끼워질 수 있는 그 고정대(51a)(51b)의 직경보다 작은 끼움 부위(56a)(56b)가 더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이동대(53a)(53b)에는 팔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충분한 넓이를 갖는 팔걸이대(33a)(33b)가 설치되며, 이 팔걸이대(33a)(33b)는 일측이 이동대(53a)(53b)의 절곡부(54a)(54b)에 고정 설치되고 타측 부위로 그 이동대(53a)(53b)의 절곡부(54a)(54b)로부터 하향되게 제1 단턱(35a)(35b; 도시하지 않았음)을 이루는 단차부(37a)(37b)로 형성된다.
게다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걸이대(33a)(33b)의 상부에는 그를 기단부로 하여 수직하게 돌편(40a)(40b)이 더 형성될 수 있고, 이 돌편(40a)(40b)은 팔걸이대(33a)(33b)의 외측 선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팔걸이대(33a)(33b)의 단차부(37a)(37b)에 위치된 돌편(40a)(40b)에는 마우스 등과 같은 줄이 끼워질 수 있는 홈(38a)(38b)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돌편(40a)(40b)은 팔걸이대(33a)(33b)에 올려진 팔이 바깥쪽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그에 마우스와 같은 올려진 물건 등의 낙하 위험을 차단하여 그 물건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대(51a)(51b)의 일측에는 이동대(53a)(53b)가 더 끼워질 수 있는 끼움대(55a)(55b)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이 끼움대(55a)(55b)는 상기 이동대(53a)(53b)의 끼움 부위(56a)(56b)가 끼워질 수 있는 홈(도시하지 않았음)이 형성되거나, 또는 고정대(51a)(51b)와 동일하게 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끼움대(55a)(55b)는 고정대(51a)(51b)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팔걸이대(33a)(33b)가 설치된 이동대(53a)(53b)는 선택적으로 끼움대(55a)(55b) 또는 고정대(51a)(51b)에 끼워질 수 있다. 특히, 이동대(53a)(53b)가 끼움대(55a)(55b)에 끼워질 경우, 팔걸이대(33a)(33b)는 고정대(51a)(51b)에 끼워지는 경우보다 그 높이가 더 낮아지고 등받이(15)에 가깝게 된다(도 1 참조). 이는 팔걸이대(33a)(33b)의 위치가 남녀노소 또는 신체의 크기에 따라, 또는 사용자 임의의 편의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을 의미하고, 도면에는 하나의 끼움대(55a)(55b)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한정된 것이 아니며, 필요에 따라 복수개의 끼움대(55a)(55b)이 상술한 바와 같이 더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걸이대(33a)(33b)의 하부에는 그대응면으로 소정 넓이를 갖는 판형상의 받침판(41a)(41b)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 받침판(41a)(41b)은 그 일측이 팔걸이대(33a)(33b)의 단차부(37a)(37b)에 그 단차부(37a)(37b)에 대해 직각으로 회동되게 힌지(43a)(43b)되고 단차부(37a)(37b)에 접하는 부위로 단차부(37a)(37b)의 제1 단턱(35a)(35b)에 상응되는 제2 단턱(45a)(45b)이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받침판(41a)(41b)은 사용자가 시트(11)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 제2 단턱(45a)(45b)이 단차부(37a)(37b)의 옆면을 따라 화살표(47a)(47b)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각 받침판(41a)(41b)이 단차부(37a)(37b)에 대해 직각으로 회전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접한 상태에서 받침판(41a)(41b)은 단차부(37a)(37b)와 수평이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받침판(41a)(41b)은 간단한 음식물을 놓고 먹거나, 노트북 컴퓨터 또는 타자기등을 놓고 작업할 수 있는 장소로 활용된다.
또한, 받침판(41a)(41b)에는 공기가 통할 수 있는 복수의 통기공(49a)(49b)이 더 형성될 수 있고,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부(37a)(37b)에 대해 직각으로 회전되어 서로 접하는 받침판(41a)(41b)의 부위는 서로 접할 경우 통기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도록 굴곡(60a)(60b)되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받침판(41a)(41b)을 더 형성하는 것은 그에 올려진 노트북의 바닥판 등을 수월하게 냉각하기 위해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의자는 목지압대의 높낮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고, 의자에 설치되는 팔걸이대의 위치 또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남녀노소 누구나 편안히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등받이의 상부에는 강한 반력으로 탄성운동하는 목지압대가 더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목의 경추부 만곡운동을 겸하여 컴퓨터작업을 할 수 있어 목 디스크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고, 컴퓨터 작업시 마우스와 키보드를 의자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팔꿈치와 손목을 팔걸이대에 편하게 붙이고 사용할 수 있어 오랫동안 작업할 경우에도 손목, 팔꿈치 관절, 어깨 근육 등에 많은 무리가 없다. 또, 모티터등과 멀리 떨어져 작업등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시력을 더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의자에는 받침판이 더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노트북등을 올려놓고 편안하게 작업할 수 있고, 또한 야간 작업시 간편하게 음식물을 올려놓고 먹을 수 있다. 특히, 이 받침판은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노트북의 받침판 등이 쉽게 냉각될 수 있다.

Claims (5)

  1. 지지각으로 지지되는 시트를 구비하고, 이 시트의 후측에는 등받이가 설치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시트로부터 절곡 입설되며 상단에는 목지압대를 설치하기 위한 장소를 마련하기 위한 등받이 지지대;
    상기 목지압대를 갖는 상기 시트의 양측으로부터 경사지게 입설되는 관형의 고정대와 이 고정대에 분리가능하게 각각 끼워지고 그 고정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진 절곡부를 갖는 이동대로 이루어진 팔걸이대 지지대;
    팔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넓이를 갖으며 일측은 상기 이동대의 절곡부에 고정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타측 부위로 그 이동대의 절곡부로부터 하향되게 제1 단턱을 이루는 단차부가 형성된 팔걸이대; 및
    소정 넓이를 갖는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팔걸이대의 하부에 대응면으로 각각 위치되며 일측를 상기 단차부에 대해 직각으로 회동되게 힌지되고 상기 단차부에 접하는 부위로 상기 제1 단턱에 상응되는 제2 단턱이 형성되어 키보드 또는 노트북 등의 물건 등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장소로 활용되는 받침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의 일측에는 상기 이동대가 선택적으로 더 끼워질 수 있는 끼움대가 그 고정대에 평행하게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에는 공기를 통할 수 있는 통기공이 더 형성되고,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받침판이 서로 접하는 부위는 서로 접할 경우 통기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도록 굴곡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대대의 상부에는 그를 기단부로 하여 수직하게 돌편이 형성되고, 마우스 등의 줄이 끼워질 수 있는 홈이 상기 팔걸이대의 단차부에 위치된 돌편에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KR2020020012678U 2002-04-25 2002-04-25 컴퓨터용 다기능 의자 KR2002827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678U KR200282705Y1 (ko) 2002-04-25 2002-04-25 컴퓨터용 다기능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678U KR200282705Y1 (ko) 2002-04-25 2002-04-25 컴퓨터용 다기능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2705Y1 true KR200282705Y1 (ko) 2002-07-22

Family

ID=73121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2678U KR200282705Y1 (ko) 2002-04-25 2002-04-25 컴퓨터용 다기능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270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4022A (ko) * 2002-07-11 2004-01-13 이광현 컴퓨터 키보드 의자
KR20220063950A (ko) 2020-11-11 2022-05-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 전투체계 디지털 콘솔 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4022A (ko) * 2002-07-11 2004-01-13 이광현 컴퓨터 키보드 의자
KR20220063950A (ko) 2020-11-11 2022-05-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 전투체계 디지털 콘솔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2375A (en) Adjustable ergonomic support for computer keyboards
US9433288B2 (en) Ergonomic productivity workstation having coordinated and harmonized movement of head rest, backrest, seat, leg rest, arm rests, monitor support, and work trays through sitting, standing, and reclining configurations
CA2596533C (en) Adjustable cross-legged support seat
US5072905A (en) Wrist and forearm support apparatus
CA2410341C (en) Chair
US5158256A (en) Keyboard accessory
JP3142518B2 (ja) 椅 子
US6454224B1 (en) Forearm and wrist support assembly for keyboard user
WO2006017065A3 (en) Ergonomic chair arm
JP2008531224A (ja) 椅子及び椅子用腰部サポートパッド、腰部サポートパッドアセンブリ
US6467737B1 (en) Adjustable arm rest for use with a personal computer
US6196631B1 (en) Ergonomic footrests for ergonomic chairs
US11166564B2 (en) Ergonomically configured muscle release office chair
US20060103180A1 (en) Chair arm with stowable table and mouse pad
KR200282705Y1 (ko) 컴퓨터용 다기능 의자
WO2005006917A3 (en) Task chair
KR20100110009A (ko) 발받침대
KR100734947B1 (ko) 탁상용을 겸한 휴대용 독서대
US5301908A (en) Method of using an arm support cushion
JP2004065530A (ja) 椅子
RU273863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нения угла наклона сиденья кресла
KR200496272Y1 (ko) 컴퓨터 작업용 받침대
JP2003199630A (ja) リクライニング姿勢用机
KR20020094473A (ko) 팔걸이가 일체로 형성된 마우스패드 장치
JP2000152845A (ja) 椅 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