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2578Y1 - 하수구 마개의 배수구 구조 - Google Patents

하수구 마개의 배수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2578Y1
KR200282578Y1 KR2020020013511U KR20020013511U KR200282578Y1 KR 200282578 Y1 KR200282578 Y1 KR 200282578Y1 KR 2020020013511 U KR2020020013511 U KR 2020020013511U KR 20020013511 U KR20020013511 U KR 20020013511U KR 200282578 Y1 KR200282578 Y1 KR 2002825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drainage
sewer
present
inn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5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경서
Original Assignee
구경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경서 filed Critical 구경서
Priority to KR20200200135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25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25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2578Y1/ko

Links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구 마개의 배수구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수구에 끼워지는 하수구 마개의 배수구 중앙에 배수유도편이 형성된 배수유도판을 형성하여 배수되는 물이 배수구의 내경을 따라 배수 되도록 유도하여 하수관을 통한 배수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하수구 마개의 배수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고안은 걸림망이 상측으로 삽입되고 하측으로는 배수구를 형성한 몸체의 배수구 내경 중앙으로는 상측면이 반구형상으로 형성된 배수유도판을 다수의 고정편으로 배수구와 일체로 고정하여 상기 배수구의 내경에 다수의 배수공을 형성하되 상기 배수유도판의 상측면에는 나선형의 배수유도편을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배수되는 물이 배수구의 내경을 따라 낙하하여 배수 되도록 유도하므로써 하수관을 통한 배수시 소음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하수구 마개의 배수구 구조{A WATER SPOUT CAP}
본 고안은 하수구 마개의 배수구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수구에 끼워지는 하수구 마개의 배수구 중앙에 배수유도편이 형성된 배수유도판을 형성하여 배수되는 물이 배수구의 내경을 따라 배수 되도록 유도하여 하수관을 통한 배수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하수구 마개의 배수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구 마개는 하수구로 버리는 오수에 섞여있는 오물이 하수구 내부로 유입되어 하수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고유기능으로 하수구의 단부에 걸림막을 형성한 것이 대부분이였다.
이와같은 하수구 마개의 전형적인 일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부재번호 1은 몸체, 2는 배수구, 3은 걸림망을 각각 가리킨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수구에 삽입되도록 몸체(1)의 하측으로 배수구(2)를 형성하고 상기 상측으로는 걸림망(3)을 형성하여 오수에 오물을 걸러주면서 오수를 배수하도록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하수구 마개는 악취나 역류를 방지하는 여러종류가 제안되고 있으나 종래 대부분의 하수구 마개는 오수를 배수할 때 오수가 배수구나 하수구에 직접 떨어지면서 배수되기 때문에 오수가 낙하되는 소음으로 인하여 아파트와 같이 다층건물에서는 소음피해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하수구에 끼워지는 하수구 마개의 배수구 중앙에 배수유도편이 형성된 배수유도판을 형성하여 배수되는 물이 배수구의 내경을 따라 낙하하여 배수 되도록 유도하므로써 하수관을 통한 배수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하수구 마개의 배수구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걸림망이 상측으로 삽입되고 하측으로는 배수구를 형성한 몸체의 배수구 내경 중앙으로는 상측면이 반구형상으로 형성된 배수유도판을 다수의 고정편으로 배수구와 일체로 고정하여 상기 배수구의 내경에 다수의 배수공을 형성하되 상기 배수유도판의 상측면에는 나선형의 배수유도편을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 마개의 배수구 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하수구 마개를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하수구 마개의 배수구 구조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하수구 마개의 배수구 구조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하수구 마개의 배수구 구조를 나타낸 사용상태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하수구 마개의 배수구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몸체 2 : 배수구
3 : 걸림망 4 : 상측면
5 : 배수유도판 6 : 고정편
7 : 배수공 8 : 배수유도편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하수구 마개의 배수구 구조를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하수구 마개의 배수구 구조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하수구 마개의 배수구 구조를 나타낸 사용상태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하수구 마개의 배수구 구조는 걸림망(3)이 상측으로 삽입되고 하측으로는 배수구(2)를 형성한 몸체(1)의 배수구(2) 내경 중앙으로는 상측면(4)이 반구형상으로 형성된 배수유도판(5)을 다수의 고정편(6)으로 배수구(2)와 일체로 고정하여 상기 배수구(2)의 내경에 다수의 배수공(7)을 형성하되 상기 배수유도판(5)의 상측면(4)에는 나선형의 배수유도편(8)을 돌출 형성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배수유도편(8)을 연장 형성하여 상기 배수구(2)와 일체로 형성하므로써 상기 배수유도편(6)이 고정편가 같은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배수유도편(8)의 간격이 배수공이 되도록 형성할 수 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을 사용하고 사용한 폐수를 하수구를 통하여 배출할 때 우선 폐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걸림망(3)에 의해 걸려지고 오, 폐수는 몸체(1)의 배수구(2)를 통하여 배수된다.
상기와 같이 배수되는 오, 폐수는 몸체부(1)의 배수구(2)로 유입되어 배수유도판(5)의 상측면(4)에 접촉하면서 상기 배수유도판(5)에 형성된 나선형의 배수유도편(8)을 따라 오, 폐수가 회전하면서 반구형상의 배수유도판(5)을 따라 하강한다.
이와같이 하강하는 상태의 오, 폐수는 회전력에 의하여 외측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배수구(2)의 내경에 접촉하면서 하강하여 배수공(7)을 통하여 배수된다.
이와같이 오, 폐수는 배수구(2)의 내경을 따라 배수되므로써 물이 낙하되어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배수구(2)의 내경과 접촉하면서 배수되므로써 물이 낙하되는 소음을 방지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배수되는 물이 배수구의 내경을 따라 낙하하여 배수 되도록 유도하므로써 하수관을 통한 배수시 소음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걸림망이 상측으로 삽입되고 하측으로는 배수구를 형성한 몸체의 배수구 내경 중앙으로는 상측면이 반구형상으로 형성된 배수유도판을 다수의 고정편으로 배수구와 일체로 고정하여 상기 배수구의 내경에 다수의 배수공을 형성하되 상기 배수유도판의 상측면에는 나선형의 배수유도편을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 마개의 배수구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배수유도편을 연장 형성하여 상기 배수구의 내경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 마개의 배수구 구조.
KR2020020013511U 2002-05-03 2002-05-03 하수구 마개의 배수구 구조 KR2002825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511U KR200282578Y1 (ko) 2002-05-03 2002-05-03 하수구 마개의 배수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511U KR200282578Y1 (ko) 2002-05-03 2002-05-03 하수구 마개의 배수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2578Y1 true KR200282578Y1 (ko) 2002-07-22

Family

ID=73122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511U KR200282578Y1 (ko) 2002-05-03 2002-05-03 하수구 마개의 배수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257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646B1 (ko) * 2015-08-26 2017-02-03 (주)에이프러스 씨엠 건축사사무소 우·하수 맨홀의 낙수충격 완충 장치
KR102178012B1 (ko) * 2019-11-07 2020-11-12 이경원 가축 사체 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646B1 (ko) * 2015-08-26 2017-02-03 (주)에이프러스 씨엠 건축사사무소 우·하수 맨홀의 낙수충격 완충 장치
KR102178012B1 (ko) * 2019-11-07 2020-11-12 이경원 가축 사체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7290B1 (ko) 배수변 구조체
KR200282578Y1 (ko) 하수구 마개의 배수구 구조
CN205740439U (zh) 一种隔油池
JP4849664B2 (ja) 排水トラップ
KR200223970Y1 (ko) 세면기의 배수트랩
JP2620918B2 (ja) 排水管用臭気止めトラップ
WO2002092926A1 (en) Drain-outlet structure
KR200223980Y1 (ko) 배수트랩
KR200257186Y1 (ko) 악취방지용 부표가 장착된 배수트랩
KR200331009Y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101926851B1 (ko) 악취 차단 하수구 마개
KR200334330Y1 (ko) 배수구용 걸름망
JP2009167591A (ja) 排水トラップ
KR200388695Y1 (ko) 악취 방지 하수구 덮개
KR200244693Y1 (ko) 배수트랩
KR200266230Y1 (ko) 배수구
KR200276643Y1 (ko) 트랩의 뚜껑
KR200265933Y1 (ko)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CN210194800U (zh) 一种防积水蹲厕
KR20200103449A (ko) 막힘 방지 기능이 부여된 배수구용 거름망 구조
KR200286098Y1 (ko) 악취방지용 배수구
KR200230642Y1 (ko) 하수구 덮개
KR970003934Y1 (ko) 배수구용 걸름망
JP2010275718A (ja) 排水目皿
KR200174775Y1 (ko) 배수 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