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2027Y1 - 칼라 무늬가 형성된 판유리 - Google Patents

칼라 무늬가 형성된 판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2027Y1
KR200282027Y1 KR2020020008781U KR20020008781U KR200282027Y1 KR 200282027 Y1 KR200282027 Y1 KR 200282027Y1 KR 2020020008781 U KR2020020008781 U KR 2020020008781U KR 20020008781 U KR20020008781 U KR 20020008781U KR 200282027 Y1 KR200282027 Y1 KR 2002820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lass
etching
pattern
layer
pi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87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온재민
Original Assignee
온재민
정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온재민, 정재석 filed Critical 온재민
Priority to KR20200200087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20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20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2027Y1/ko

Links

Landscapes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칼라 무늬가 형성된 판유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인테리어용으로 사용되는 판유리의 표면에, 밀가루, 아교, 감자, 고구마 등의 천연재를 혼합한 수성약품을 이용하여 특정문양의 에칭(etching)면을 형성시키고, 에칭면 상부에 다양한 색상의 안료를 도포하여 안료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다양한 도안의 무늬를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어 창작성 및 장식성이 우수하도록 함과 동시에, 수분이나 대기에 접촉되어도 칼라 무늬가 박리되지 않는 등 외부환경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화학약품을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칼라 무늬가 형성된 판유리(A)에 있어서, 판유리(1)의 표면에 수성약품을 특정문양으로 스크린인쇄하여 수성약품층을 형성시키고, 자동샌딩기계로 에칭함으로써 수성약품층이 형성되지 아니한 판유리(1)의 표면에 에칭면(11)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판유리(1)를 세척하여 상기 수성약품층을 제거한 후, 에칭면(11)에 안료를 도포하여 특정무늬의 안료층(2)이 형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무늬가 형성된 판유리.

Description

칼라 무늬가 형성된 판유리{A glass plate with a color pattern}
본 고안은 칼라 무늬가 형성된 판유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인테리어용으로 사용되는 판유리의 표면에, 밀가루, 아교, 감자, 고구마 등의 천연재를 혼합한 수성약품을 이용하여 특정문양의 에칭(etching)면을 형성시키고, 에칭면 상부에 다양한 색상의 안료를 도포하여 안료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다양한 도안의 무늬를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어 창작성 및 장식성이 우수하도록 함과 동시에, 수분이나 대기에 접촉되어도 칼라 무늬가 박리되지 않는 등 외부환경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화학약품을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판유리는 중세시대부터 제조되었고, 예전에는 사원 건축용재로서 특별히 이용되었으나 19세기 중반 이후 탱크가마에 의해 대량 생산이 가능해지면서부터 널리 사용되었다. 초기의 판유리는 용융(鎔融) 도가니에서 철봉 끝에 유리덩어리를 말아올려 회전시키면서 원판상으로 하여 판유리을 잘라낸다든가 틀에 대고 불어서 원통으로 만들어 사용하였으며, 그 후 철판 위에서 롤(roll)로 압연하는 방법, 또는 탱크가마에서 넘쳐흐르는 유리용액을 서로 반대로 회전하는 롤로 압연하면서 연속적으로 판유리를 제조하는 방법 등이 개발되었다.
근래의 판유리는 원료조합, 용해, 청징, 성형, 서랭 및 가공의 공정을 거쳐 제조되며, 필요에 따라 표면을 가공처리함으로써 표면을 거칠게 하여 불투명하게 하거나, 착색제를 이용하여 착색하여 제조한다.
투명유리는 외부의 시선이나 빛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없어 욕실 및 화장실의 칸막이로 이용하거나, 사무실의 칸막이 또는 창으로 이용 할시에 결점을 가지고 있어, 투명유리의 표면을 거칠게 하거나 무늬를 형성시킴으로써, 판유리의 반대편으로부터 투시를 차단하여 판유리 안쪽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판유리의 표면을 거칠게 하는 방법에는 물리적 방법과 화학적 방법이 있으며, 그 물리적 방법으로는 판유리의 무늬를 성형할 부분을 고압으로 분사되는 모래로 타격하여 미세한 요철면을 형성함으로써 필요한 무늬를 성형하는 샌드블라스팅(sandblasting)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화학적 방법으로는 용제 중에 플루오르화수소산(hydrofluoric acid)을 함유하는 잉크로써 유리면에 필요한 무늬를 실크 스크린 인쇄하여 플루오르화수소산(hydrofluoric acid)이 판유리의 표면을 부식시켜 무늬를 형성시키는 에칭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샌드블라스팅방법은 유리면의 무늬가 성형되지 아니하는 부분을 보호필름으로 가리고 원하는 무늬 부분만이 모래의 타격에 노출되도록 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므로, 보호필름에서 무늬부에 해당하는 부분을 수작업 등으로 오려내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함에 따라 무늬 성형 공정이 복잡하고 정교한 무늬의 형성이 불가능하여 제품생산성이 크게 떨어지며, 성형된 무늬에 있어서도 요철면이 비교적 거칠어 무늬면이 매끄럽지 못하고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기 쉬우므로 상품가치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화학에칭방법은 실크스크린 인쇄방법을 사용함에 따라 정교한 무늬의 형성이 가능하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무늬부를 비교적 매끄럽게 형성할 수 있어 상품가치를 제고시킬 수 있으나, 인쇄 부식 완료 후 유리면에는 강산으로서 환경 오염물질인 플루오르화수소산이 그대로 남아있어 세척공정을 반드시 거쳐야함에 따라 플루오르화수소산이 포함된 산업폐수가 대량으로 발생함으로써 폐수처리비용의 과중한 부담으로 인하여 그대로 방류시켜 환경오염을 발생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선출원 된 특허공보 제 1992-2632호의 '다색도 부분 칼라경을 갖는 장식용 판유리의 가공방법'은, 폴리비닐알코올과 메틸알코올 및 염료를 이용하여 칼라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다색도 부분 칼라경을 갖도록 하였으나, 화학약품의 사용으로 인하여 환경 오염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었으며, 또 다른 선출원 된 특허공보 제 224080호는 '판유리의 칼라에칭방법'에 관한 것으로, 판유리에 보호필름을 부착하고 문양대로 커팅한 후 고무층을 적층형성시킴으로써 무늬를 형성시켰으나,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비용이 고가이므로 실용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순히 표면을 불투명하게 에칭한 종래의 판유리가 지닌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판유리의 표면에 밀가루, 아교, 감자, 고구마 등의 천연재를 혼합한 수성약품을 이용하여 특정문양의 에칭(etching)면을 형성시키고, 에칭면 상부에 다양한 색상의 안료를 도포하여 안료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다양한 도안의 무늬를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어 장식성이 우수하도록 함과 동시에, 수분이나 대기에 접촉되어도 칼라 무늬가 박리되지 않는 등 외부환경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화학약품을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칼라 무늬가 형성된 판유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칼라 무늬가 형성된 판유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칼라 무늬가 형성된 판유리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판유리 2: 안료층
11: 에칭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칼라 무늬가 형성된 판유리(A)는, 판유리(1)의 표면에 수성약품을 특정문양으로 스크린인쇄하여 수성약품층이 형성되게 하고, 자동샌딩기계로 에칭함으로써 수성약품층이 형성되지 아니한 판유리(1)의 표면에 에칭면(11)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판유리(1)를 세척하여 상기 수성약품층을 제거한 후, 에칭면(11)에 안료를 도포하여 특정무늬의 안료층(2)이 형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칼라 무늬가 형성된 판유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칼라 무늬가 형성된 판유리의 단면도이다.
상기 판유리(1)의 표면에 형성되는 수성약품층은, 판유리(1)의 표면에, 밀가루 50∼60중량%, 아교 28∼35중량%, 감자즙 8∼12중량% 및 고구마즙 8∼12중량%의 배합비율로 혼합한 수성약품을 스크린인쇄하고 70∼100℃의 온도범위에서 열건조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에칭시에 수성약품층이 형성된 부분은 에칭되지 않도록 하고 수성약품층이 형성되지 아니한 판유리(1)의 표면은 에칭되도록 한 것이다.
수성약품층이 형성되지 아니한 판유리(1)의 표면에 형성된 에칭면(11)은, 수성약품층을 형성시킨 판유리(1)를 자동샌딩기계로 에칭함으로써 되는 것으로, 에칭시간 및 비용이 단축되도록 하고, 정교한 무늬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에칭면(11)이 형성된 판유리(1)를 세척하여 상기 수성약품층을 제거함으로써 안료층(2)의 형성이 용이하게 하며, 수성약품층이 제거된 판유리(1)의 에칭면(11) 상부에 형성된 안료층(2)은, 판유리(1)에 형성된 에칭면(11)에 안료를 도포하여 특정무늬의 안료층(2)이 형성되게 하는 것으로, 안료를 도포하는 방법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색상의 안료를 여러번 도포함으로써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에칭면(11)에 안료층(2)이 형성됨으로써 안료층(2)의 내구성이 강화될 수 있는 것이다.
부수적으로, 상기 수성약품의 조성물은 하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밀가루는 글루텐 성분을 포함하므로 점착성을 가지므로 수성약품의 응고를 용이하게 하고, 감자와 고구마는 삼베헝겊이나 거즈를 이용하여 즙을 내어 사용하는 것으로 밀가루와 마찬가지로 수성약품의 응고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며, 아교는 동물의 가죽, 힘줄, 연골 등을 구성하는 천연 단백질인 콜라겐을 뜨거운 물로 처리하면 얻어지는 유도 단백질의 일종으로, 2∼3% 이상의 농도에서는 실온(室溫)에서 탄성이 있는 겔(gel)이 되는 성질을 가져 수성약품의 응고를 돕는다.
따라서 본 고안의 판유리(A)에 의하면, 판유리(1)의 에칭면(11) 상부에 안료층(2)이 형성됨으로써 안료층(2)의 내구성이 강화되고, 연속무늬에칭방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무늬가 형성된 판유리를 규격화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을 판유리(1)의 일측에만 칼라 무늬가 형성되게 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를 특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판유리(1)의 양측 모두에 칼라 무늬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칼라 무늬가 형성된 판유리에 의하면, 판유리의 표면에 밀가루, 감자, 고구마 등의 천연재를 혼합한 수성약품을 이용하여 특정문양의 에칭(etching)면이 형성되게 하고, 에칭면 상부에 다양한 색상의 안료를 도포하여 안료층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도안의 무늬를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어 장식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수분이나 대기에 접촉되어도 칼라 무늬가 박리되지 않는 등 외부환경에 대한 내구성 또한 우수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상품가치가 우수한 제품을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속무늬에칭을 이용하여 다양한 칼라 무늬 판유리를 규격화 시킬수 있으며, 또한 제조시 화학약품을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칼라 무늬가 형성된 판유리(A)에 있어서,
    판유리(1)의 표면에 수성약품을 특정문양으로 스크린인쇄하여 수성약품층을 형성시키고, 자동샌딩기계로 에칭함으로써 수성약품층이 형성되지 아니한 판유리(1)의 표면에 에칭면(11)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판유리(1)를 세척하여 상기 수성약품층을 제거한 후, 에칭면(11)에 안료를 도포하여 특정무늬의 안료층(2)이 형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무늬가 형성된 판유리.
KR2020020008781U 2002-03-25 2002-03-25 칼라 무늬가 형성된 판유리 KR2002820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781U KR200282027Y1 (ko) 2002-03-25 2002-03-25 칼라 무늬가 형성된 판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781U KR200282027Y1 (ko) 2002-03-25 2002-03-25 칼라 무늬가 형성된 판유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6031A Division KR20020042546A (ko) 2002-03-25 2002-03-25 칼라 무늬가 형성된 판유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2027Y1 true KR200282027Y1 (ko) 2002-07-19

Family

ID=73119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8781U KR200282027Y1 (ko) 2002-03-25 2002-03-25 칼라 무늬가 형성된 판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20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8116A (ko) * 2003-12-29 2005-07-05 안병선 판유리에 실크스크린 인쇄를 이용하여 색상 및 에칭이표현되도록 한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8116A (ko) * 2003-12-29 2005-07-05 안병선 판유리에 실크스크린 인쇄를 이용하여 색상 및 에칭이표현되도록 한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80679Y1 (ko) 장식용 스티커 시트
CN104691087B (zh) 套印玻璃制造方法
EP1357092A1 (en) Method for preparing decorative glass using glass etching composition
CN110436936A (zh) 一种装饰图案光色陶瓷砖及其制备方法
KR200282027Y1 (ko) 칼라 무늬가 형성된 판유리
KR101472487B1 (ko) 유리 인쇄용 잉크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장식용 유리 및 그 제조방법
NZ193459A (en) Simulated lead light
CN1865026A (zh) 一种在陶瓷制品上形成浮雕图案效果的制作方法
US4748054A (en) Method of providing color on glass
KR20020042546A (ko) 칼라 무늬가 형성된 판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69260A (ko) 장식용 유리판의 가공방법
KR20050081726A (ko) 무기안료의 나노분산물을 이용한 석재의 착색처리방법
KR101049835B1 (ko) 착색 판유리 및 그 제조방법
US1207972A (en) Method of decorating glassware.
KR101223842B1 (ko) 이중유리가 구비된 창호유리 제조방법
JPS58161948A (ja) 彫刻粒痕模様の焼付着色強化ガラスの製造法
KR20040011729A (ko) 모자이크 결정화 유리판의 제조방법
KR20090002886U (ko) 실내 인테리어를 위한 창호 판유리
DE1086407B (de)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gemustertem Hohlglas
KR200463362Y1 (ko) 다색 창호
CN114987098A (zh) 一种低温套色刻花工艺
KR20040042492A (ko) 저반사 판유리의 투명무늬 제조방법
CN2801485Y (zh) 复合彩印胶片
US20040051208A1 (en) Process for forming foil
KR20140013671A (ko) 입체감 및 사틴 글라스 효과가 우수한 유리의 인쇄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입체감 및 사틴 글라스 효과가 우수한 유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