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737Y1 - 다기능성 액자 겸용 거울 - Google Patents

다기능성 액자 겸용 거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737Y1
KR200281737Y1 KR2020020012147U KR20020012147U KR200281737Y1 KR 200281737 Y1 KR200281737 Y1 KR 200281737Y1 KR 2020020012147 U KR2020020012147 U KR 2020020012147U KR 20020012147 U KR20020012147 U KR 20020012147U KR 200281737 Y1 KR200281737 Y1 KR 2002817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main body
picture
frame
ligh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21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근
김요한
Original Assignee
최원근
김요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근, 김요한 filed Critical 최원근
Priority to KR20200200121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7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7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737Y1/ko

Link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정한 틀로 형성된 본체의 내부에 조명장치를 설치하고 사진이나 그림을 양면거울과 테두리부 사이에 위치시켜 평상시에는 거울로 사용되나, 본체의 일측에 설치.고정된 센서가 실내의 조도 및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여 상기 조명장치에 전원을 인가시켜 조명을 밝게 하므로 상기 양면거울의 배면에 위치한 사진 및 그림이 나타나 사용자로 하여금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 액자 겸용 거울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안출된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다기능성 액자 겸용 거울{Multi-ability mirror used also as a fram}
본 고안은 다기능을 갖는 액자 겸용 거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액자본체 내부에는 조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에 의해 작동되는 조명장치를 설치하되, 본체에 고정된 양면거울의 일측에 접착된 사진이나 그림 등을 조명이 켜진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고, 조명이 꺼진 상태에서는 일반적인 거울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 액자 겸용 거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와 거울은 그 용도가 상이하므로 각각 개별되게 생산되어 사용되어 왔던 바, 상기 액자는 전형적으로 투명한 유리판과 사진 그리고 이면판을 차례로 중첩시켜서 그 둘레를 틀에 끼워서 고정한 액자본체와 상기 액자본체를 비스듬히 지지해주는 받침대로 구성되어 있는 한편, 거울은 받침대와 일체로 된 틀에 양면거울이나 일면거울 등을 삽입.고정시켜 사용하여 왔다.
상기와 같이 각각 개별된 액자와 거울은 좁은 공간에서의 활용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대두되었으며, 액자인 경우에는 단지 사진을 끼워두고 보는 용도로만 사용되었으므로 그 실용성이 떨어졌을 뿐만아니라 투명한 유리에 끼워진 사진이나 그림은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부여하지 못하여 장시간 사용시 식상함을 주므로 사용기간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거울 겸용 액자가 고안되어 사용되어 왔는데 상기 거울 겸용 액자는 액자본체 이면에 거울을 결합시켜 액자와 거울 두가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거울 겸용 액자는 그 사진틀인 전면틀과 후면틀이 양쪽으로 분리되는 구조이므로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전면틀과 후면틀의 접합부가 어긋나거나 벌어져 외양이 좋지 못하였으며 상기 거울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항시 본체를 회전하여 사용하였다가 용도상 다시 액자면이 전면에 위치하도록 회전시켜야만 하는번거로운 문제점도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일정한 틀로 형성된 본체의 내부에 조명장치를 설치하고 사진이나 그림을 양면거울과 테두리부 사이에 위치시켜 평상시에는 거울로 사용되나, 본체의 일측에 설치.고정된 센서가 실내의 조도 및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여 상기 조명장치에 전원을 인가시켜 조명을 밝게 하므로 상기 양면거울의 배면에 위치한 사진 및 그림이 나타나 사용자로 하여금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 액자 겸용 거울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안출된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설치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개략적인 배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양면거울
2a : 아크릴판 2', 2" : 박판
3 : 사진 4 : 테두리부
10 : 조명장치 11 : 전지
12 : 램프 13 : 스위치회로부
14 : 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거울과 액자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액자 겸용 거울에 있어서, 상기 액자를 형성하는 일정 크기의 틀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에 체결.고정될 수 있게 일정 크기의 아크릴판의 양측면에 수은코팅이나 알루미늄 박막코팅이 된 양면거울과; 상기 양면거울의 배면에 부착되는 그림이나 사진이 일정하게 위치되도록 고정시키는 테두리부와; 상기 본체의 내부 상측에 고정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램프가 일체로 설치된 조명장치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고정.설치되어 물체의 접근이나 조도를 감지하여 상기 조명장치에 전원을 인가시키는 센서와; 상기 조명장치에서 발산되는 열을 차단하거나 보호하는 보호판과; 상기 본체의 배면에 체결되고, 일측에 본체를 지지할 수 있는 받침대가 설치된 뒷판이 일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설치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개략적인 배면도 및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일정 크기의 틀로 된 본체(1)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1)의 일측에 양면거울(2)을 고정시키되, 상기 양면거울(2)은 일정크기의 아크릴판(2a)을 구비한 다음 양측면에 수은이나 알루미늄 박판(2')(2")을 코팅하여서 된 것을 고정한 다음 사진이나 그림(3)을 양면거울(2)의 배면에 부착하고, 상기 사진(3)이 양면거울(2)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테두리부(4)로 고정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양면거울(2)과 테두리부(4) 사이에 위치한 사진이나 그림 (3) 등을 적정두께 및 크기를 갖는 시계나 가훈 등을 표현한 글로 교체하여 사용해도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본체(1)의 내부 상측에는 조명장치(10)를 설치하되, 상기 조명장치(10)는 전원을 발생하는 전지(11)와 소정의 빛을 발하는 램프 (12)와 상기 램프(12)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회로부(13)를 일체로 설치하고, 상기 스위치회로부(13)에 외부의 조도나 물체의 접근 등을 감지하여 그 정보를 전달시켜 전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센서(14)가 일체로 된 것이다.
예를들면, 실내의 조도가 밝을 경우에는 일반적인 거울로 사용되나 실내의 조도가 일정 이하로 어두워지면 본체(1)의 일측에 설치된 센서(14)가 감지하여 상기 본체(1)의 내측에 설치된 스위치회로부(13)에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정보에 의해 스위치회로부(13)가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램프(12)에서 빛을 발하게 되며 이때 발산되는 빛에 의해 상기 양면거울(2)의 배면이 투과되면서 사진이나 그림(3) 등이 전면에 투영되므로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부여하며 사진이나 그림(3)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여 액자용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램프(12)에서 발생되는 빛에 의해 본체(1) 주변의 일정 범위를 밝힐 수 있어 실내조명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센서(14)는 조도와는 관계없이 물체가 본체(1)에 접근하게 되면 스위치회로부(13)에 정보를 전달하여 전원을 인가하도록 하므로서 접근한 물체가 본체(1)의 내부에 부착된 사진이나 그림(3)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조명장치(10)의 일측에 음성인식장치(15)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음성에 의해 상기 램프(12)에 전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고, 음성인식장치(15)에 내장된 스피커를 통해 일정 시간이 되면 알람기능을 할 수 있는 것으로서, 미설명 부호 5는 보호판이고, 6는 뒷판 및 7은 상기 본체(1)를 지지하는 받침대를 도시해 보인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본체의 일측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본체 내부에 장착된 조명장치에 전원을 온/오프시켜 양면거울의 배면에 부착된 사진이나 그림 등이 투영되어 나타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부여하여 식상함을 최소화시켜 사용기간을 장기화시킴은 물론 상기 조명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빛은 실내조명등으로 사용할 수 있어 별도의 고가의 실내조명등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간성 실용성을 극대화시킨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그에 관한 최선의 실시예를 예거하였으나, 굳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 범위에 국한되어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면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의 변경을 고려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Claims (1)

  1. 거울과 액자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액자 겸용 거울에 있어서, 상기 액자를 형성하는 일정 크기의 틀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에 체결.고정될 수 있게 일정 크기의 아크릴판의 양측면에 수은코팅이나 알루미늄 박막코팅이 된 양면거울과; 상기 양면거울의 배면에 부착되는 그림이나 사진이 일정하게 위치되도록 고정시키는 테두리부와; 상기 본체의 내부 상측에 고정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램프가 일체로 설치된 조명장치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고정.설치되어 물체의 접근이나 조도를 감지하여 상기 조명장치에 전원을 인가시키는 센서부와; 상기 조명장치에서 발산되는 열을 차단하거나 보호하는 보호판과; 상기 본체의 배면에 체결되고, 일측에 본체를 지지할 수 있는 받침대가 설치된 뒷판이 일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액자 겸용 거울.
KR2020020012147U 2002-04-22 2002-04-22 다기능성 액자 겸용 거울 KR2002817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147U KR200281737Y1 (ko) 2002-04-22 2002-04-22 다기능성 액자 겸용 거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147U KR200281737Y1 (ko) 2002-04-22 2002-04-22 다기능성 액자 겸용 거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737Y1 true KR200281737Y1 (ko) 2002-07-13

Family

ID=73121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2147U KR200281737Y1 (ko) 2002-04-22 2002-04-22 다기능성 액자 겸용 거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7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225B1 (ko) * 2002-11-18 2006-01-23 정인 조명부가 설치된 화장 거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225B1 (ko) * 2002-11-18 2006-01-23 정인 조명부가 설치된 화장 거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8692B2 (en) LED light means with timepiece
US20060242867A1 (en) Advertising apparatus using half-mirror
KR200398989Y1 (ko) 액자형 장식용 조명장치
US20040226209A1 (en) Picture frame with integrated lighting
KR200473864Y1 (ko) 발광 액자
KR20180126725A (ko) 조명이 구비된 거울
KR200281737Y1 (ko) 다기능성 액자 겸용 거울
US20030121191A1 (en) Customizable back lighted sign
JP2009525505A (ja) 発光文字プラカード
US20020040541A1 (en) Picture frame-type night lamp
US20060232953A1 (en) Illuminated document holder
KR200485065Y1 (ko) 조명 거울
CN212368710U (zh) 一种可播放视频的卫浴镜
JP2002223910A (ja) 鏡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洗面化粧台
KR101685140B1 (ko) 광고형 조명거울
WO2011029382A1 (zh) 可更换图片的挂壁式空调器
CN217743832U (zh) 一种镜子及浴室镜柜
JP3105262U (ja) ミラー装置
KR20200000595U (ko) 안내 표시기구
KR200326014Y1 (ko) 발광시계거울
CN217718964U (zh) 一种叠影发光装置
KR200208899Y1 (ko) 반사겸용 장식체
JP2000262369A (ja) 照明付き鏡
KR20200018048A (ko) 조명 무조명 일체형 실내 광고판
KR20100002066U (ko) 휴대폰 충전기용 소켓을 갖는 조명용 와이어 액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