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8899Y1 - 반사겸용 장식체 - Google Patents

반사겸용 장식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899Y1
KR200208899Y1 KR2020000008912U KR20000008912U KR200208899Y1 KR 200208899 Y1 KR200208899 Y1 KR 200208899Y1 KR 2020000008912 U KR2020000008912 U KR 2020000008912U KR 20000008912 U KR20000008912 U KR 20000008912U KR 200208899 Y1 KR200208899 Y1 KR 2002088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mirror
reflection
light
reflecting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89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예원
황선철
Original Assignee
이예원
황선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예원, 황선철 filed Critical 이예원
Priority to KR20200000089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8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8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899Y1/ko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반사와 빛의 투과를 겸하는 반사경으로 다중 반사효과와 거울로 사용하도록 하는 반사경 겸용 장식체에 관한 것이다.
전면으로 부딪치는 빛은 모두 반사되고, 이면에 부딪치는 빛은 일부 투과하고 일부 반사되는 제1반사경과, 상기 반사경을 개구의 전면에 설치하며, 조명부재를 내부에 설치하는 케이스 부재와, 상기 케이스부재의 내부공간에는 전면반사만을 이루는 제2반사경과, 상기 제2반사경 표면에 접착되는 도안을 갖는 인쇄물과, 소리 혹은 접근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폐회로를 구성하여 조명등에 전원을 공급하며 오프하는 전원제어부를 구비하여서 되는 장식체를 제공하여 빛을 반사하는 상태와 선택적으로 점등되는 조명등의 빛이 반사경 외부로 투과될때 다중 반사효과로 장식물의 홍보를 효율적으로 이루게 하고, 반사효과도 증대되게 한다.

Description

반사겸용 장식체{a decoration combined with a reflector}
본 고안은 내부의 조명등을 소등할 경우 거울로 활용되고, 내부의 조명등을 점등하는 경우에는 다중반사 효과로 장식효과를 극대화 하는 장식체에 관한 것이 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모습 또는 어떤 사물을 비춰 보기 위해서는 거울을 사용해야 하고, 도안이나, 그림 사진등을 먼곳에 위치한 사람들도 잘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평판상의 사진주위에 조명등을 설치하고, 조명등의 빛이 사진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조명등을 비와 외부의 충격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조명등을 고정하는 케이스에 의해 장식체가 구비되었다.
이처럼 종래에는 거울과 장식체를 별도로 사용하고 설치하므로서 사용용도의 제한과 광고효과를 극대화 할 수 없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면이 개방된 본체(1)의 내부 양측에 조명등(2a)(2b)이 설치되는 조명부(3a)(3b)를 형성하고, 조명부의 전방에 불투명차단판(4a)(4b)를 설치하며 그 사이에 반사재층(6)과 장식인쇄층(7)이 배면에 도포되는 반사경(5)을 설치하여서 된 반사겸용 장식물이 발명특허 제145103호로 제안되었다.
상기의 선등록 발명은 조명등을 켜지 않을 때에 반사경(5)의 표면에서 빛을 반사 되어 본인의 모습과 여러사물을 비춰 볼 수 있는 거울로 이용되고, 조명등을 점등하였을 때에는 조명등의 빛이 내부에서 외부로 투과되면서 반사경 배면에 도포된 장식인쇄층(7)에 의해서 빛이 부분적으로 투과되지 못하여 장식물의 외면에서는 반사경에 인쇄된 도안을 볼 수 있도록 하였고, 상기 조명등을 일정한 펄스간격으로 점소등이 되게 하여 거울과 광고효과를 겸하여 소비자의 눈길을 끌어 광고효과를 극대화 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 발명에서는 홍보를 위한 인쇄가 반사경의 배면에 형성되므로 외부에서 보게 되는 화면도 평면적인 형태로만 볼 수 있어 소비자의 관심도가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한 종래의 장식물에서는 조명등의 점소등을 회로적으로 구비하여 일정시간간격으로 점소등되게 하므로 거울을 보고 있을 때 소등되어 거울의 역활을 상실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람이 다가가면 거울로 사용할 수 있고, 장식체에서 일정거리 벗어나면 조명등이 점등되어 거울의 기능과 홍보를 위한 장식체의 역할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전면으로 부딪치는 빛은 모두 반사되고, 이면에 부딪치는 빛은 일부 투과하고 일부 반사되는 제1반사경과, 상기 반사경을 개구의 전면에 설치하며, 조명부재를 내부에 설치하는 케이스 부재와, 상기 케이스부재의 내부공간에는 전면반사만을 이루는 제2반사경과, 상기 제2반사경 표면에 접착되는 도안을 갖는 인쇄물과, 소리 혹은 접근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폐회로를 구성하여 조명등에 전원을 공급하며 오프하는 전원제어부를 구비하여서 되는 구성을 제공함에 의하여 가능할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사람이 장식체에 근접하면 자동적으로 소등되어 제1반사경으로 모습을 비춰 볼 수 있고, 장식체로 부터 소정의 거리 떨어지면 자동으로 조명등이 점등되어 케이스부재의 내부에 설치된 인쇄물을 볼 수 있으며, 특히 인쇄물이 제2반사경에 의하여 다중적으로 반사되어 홍보의 효과를 유발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을 적용한 장식체에 대한 정면도.
도 2는 도1에 대한 종단면도.
도3은 종래의 장식체를 표현하는 분리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본체 210...제1반사경 220...제2반사경
230...인쇄물 310...조명등 320...전원제어부
330...센서
이하 본 고안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적용한 장식체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1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장식체는 벽에 걸어 설치허거나, 바닥에 올려 놓을 수 있도록 된 케이스부재(100)와, 자기의 모습을 비춰 볼 있는 거울기능을 하도록 외부의 빛은 모두 반사하고, 내부의 빛은 일부 투과되게 하는 제1반사경(21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부재(100)에 제1반사경(210)을 설치하기 위한 구성으로 소정크기의 개구(102)를 내부공간(101)에 형성하고, 상기 개구(102)에는 제1반사경(210)을 얹어 놓을 수 있는 받침턱(103)을 오목하게 형상한다.
상기 받침턱(103)의 대향한 곳에는 제1반사경(210)이 이탈되지 않도록 그 테두리 주변을 지지하는 고정테(120)가 구비된다.
상기 받침턱(103)에 얹어지는 제1반사경(210)은 반사도료의 농도를 흐리게하여 전면에서 입사되는 빛은 모두 반사되지만, 후면에서 입시되는 빛은 일부 투과되는 구조를 가지는 통상의 투과거울을 사용해도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반사경(210)의 면에는 반사경 제조시에 표면을 오목하게 연삭하여 오목면(212)을 형성하고, 표을 볼록하게 연삭하여 볼록면(211)을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 부재(100)의 내부 공간(101)에는 내경위치에 조명등(3100이 설치되고, 개구(102)와 대향한 내면에는 빛을 모두 전면으로 반사시키는 제2반사경 (220)을 설치하고, 상기 제2반사경(220)의 표면에는 도안이 구비된 인쇄물(230)을 적층 부착한다.
상기 제2 반사경(220)의 지름은 제1반사경(210)의 지름보다 항상 작은 지름으로 형성한다.
상기 조명등(310)에는 센서(330)가 구비된 전원제어부(320)가 연결된 구성을 이룬다.
상기 센서(330)는 근접센서이거나, 소리감지센서중 적당한 것 어느하나를 선택하여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 제어부(320)는 AC와 DC를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이 바람직하고, DC전원의 경우 자동차용 밧데리 전원으로 동작되도록 회로구성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설치허고자 하는 위치를 찾아서 벽면에 걸거나, 바닥에 견고하게 세워 고정한 다음 전원을 연결한다.
상기 전원 제어부(320)에 전기가 공급되면 케이스부재(100)에 설치된 세[ㄴ서(330)에서 전방에 사람이 있는지 없는 지 여부를 파악하여 없으면 폐회로를 구성하여 전원을 조명등(310)에 공급한다.
상기 폐회로의 구성으로 조명등에서 발광되는 빛은 케이스부재(100)의 내부공간(101)을 환하게 밝혀주게 되어 제1반사경(210)을 통해 투과되어 내부공간(101)이 외부보다 밝아 내부공간(101)을 투시할 수 있어 인쇄물(230)의 도안을 볼 수 있게 된다. 이때 조명등(310)의 일부 빛은 제2반사경(220)에 부딪치고, 반사되어 제1반사경(210)을 통해 외부로 나가 인쇄물의 내용을 볼 수 있게 된다,
이처럼, 그러나 제2 반사경은 그 자체의 반사기능과 제1반사경의 반사기능이 합해져 상호 반사를 이루어 제1 반사경(210)에서 는 다중으로 반사되는 모습을 로확인할 수 있다.
또 본고안에서는 제1반사경(210)에 볼록면9211)과 오목면(212)에 의해 사람의 모습의 변형되는 상태로 비춰지므로 신체를 국부적으로 확대와 축소형태로 비춰볼 수 있어 필요한 부분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람이 근접한 상태를 감지하는 근접센서 혹은 소리감지센서에 이해서 사람이 근접해 있을 경우 조명등을 켜지 않고, 사람이 멀리 있을때에는 조명등이 켜져 광고의 역할을 하게 하여 거울 보기에 불편하지 않으면서 광고를 지속적으로 할 수 있다.
빛이 일부투과되는 제1반사경과 빛이 전면 반사되는 제2반사경 사이에 인쇄물을 위치시키고, 사람의 근접여부에 따라 조명등을 점소등하는 구성으로 거울로 사용하면서 광고효과를 극대화하는 이점이 있고, 반사투과되는 상태가 다중적인 형태를 이루게 하여 괸심을 집중시키는 이점으로 광고와 제품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고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전면으로 부딪치는 빛은 모두 반사되고, 이면에 부딪치는 빛은 일부 투과하고 일부 반사되는 제1반사경과, 상기 반사경을 개구의 전면에 설치하며, 조명부재를 내부에 설치하는 케이스 부재와, 상기 케이스부재의 내부공간에는 전면반사만을 이루는 제2반사경과, 상기 제2반사경 표면에 접착되는 도안을 갖는 인쇄물과, 소리 혹은 접근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폐회로를 구성하여 조명등에 전원을 공급하며 오프하는 전원제어부를 구비하여서 되는 반사 겸용 장식체.
  2. 제1항에 있어서, 제2반사경은 제1반사경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반사겸용 장식체.
  3. 제1항에 있어서, 제1반사경 및 제2반사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반사경에는 오목면과 불록면을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겸용 장식체.
KR2020000008912U 2000-03-29 2000-03-29 반사겸용 장식체 KR2002088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912U KR200208899Y1 (ko) 2000-03-29 2000-03-29 반사겸용 장식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912U KR200208899Y1 (ko) 2000-03-29 2000-03-29 반사겸용 장식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8899Y1 true KR200208899Y1 (ko) 2001-01-15

Family

ID=73085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8912U KR200208899Y1 (ko) 2000-03-29 2000-03-29 반사겸용 장식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89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76408S1 (en) Combination ceiling fan and light fixture
USD478974S1 (en) Combination ceiling fan and light fixture
US20040226209A1 (en) Picture frame with integrated lighting
WO2019114545A1 (zh) 充电桩
KR20110113432A (ko) 장식용 조명거울
KR200208899Y1 (ko) 반사겸용 장식체
USD420161S (en) Light fixture for a ceiling fan
US20200033809A1 (en) Light-emitting clock
KR200382687Y1 (ko) 램프가 구비된 거울
USD492438S1 (en) Wall mounted light fixture
USD423708S (en) Outdoor light fixture
KR200281737Y1 (ko) 다기능성 액자 겸용 거울
USD459526S1 (en) Ceiling mounted light fixture
KR20080065432A (ko) 빛감지센서가 부착된 광고판
USD408579S (en) Lamp base
KR20090046622A (ko) 휴대용 컴펙트 라이팅거울
KR102562395B1 (ko) 거울 앞면의 인체감지에 따라 후방에 설치된 led가 자동 점소등되는 배광 거울장치
USD423131S (en) Outdoor light fixture
USD464167S1 (en) Lighting fixture backplate
JP2005312574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USD468476S1 (en) Wall mounted light fixture
KR200284205Y1 (ko) 빛을 발광시키는 차량용 액자
JPH0348630Y2 (ko)
USD438337S1 (en) Arm for a lighting fixture
KR20080065456A (ko) 거리감지포토센서가 부착된 광고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